KR100478313B1 - 휴대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313B1
KR100478313B1 KR10-2002-0029718A KR20020029718A KR100478313B1 KR 100478313 B1 KR100478313 B1 KR 100478313B1 KR 20020029718 A KR20020029718 A KR 20020029718A KR 100478313 B1 KR100478313 B1 KR 10047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housing
opening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602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riority to KR10-2002-002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3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구성된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한변이 인접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거나 펼침으로서 디스프레이가 인접되는 이음매부 사에에 생기게 되는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휴대용 표시장치 사용자가 이음매 틈새 사이에 뽀죡한 이물질을 삽입하게 될 가능성을 막아줄 수 있게 되며, 이음매 사이로 인해서 신뢰성이 약해지게 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A Port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는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구성된 패널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한변이 인접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거나 펼침으로서 디스프레이가 인접되는 이음매부 사에에 생기게 되는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하나의 대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은 대형 표시장치에 적용하여 사용해 왔다. 최근에는 휴대용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무선 인터넷 등의 기능이 부과되어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대화면의 필요성이 증가되었으며,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대화면은 크기나 이동 등의 휴대적인 특성을 살리지 못하므로, 접이식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휴대용 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평판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며,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 Luminescent) 등이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접이식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패널하우징을 접거나 펼칠때, 디스프레이가 인접되는 부분의 틈이 벌어져 이음매 사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 사용자가 상기 이음매 사이에 뾰족한 이물질을 삽입할 가능성이 있게됨에 따른 휴대용 표시장치의 신뢰성 저하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구성된 패널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한변이 인접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거나 펼침으로서 디스프레이가 인접되는 이음매부 사에에 생기게 되는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도록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구성된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한변이 인접되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거나 펼침으로서 디스프레이가 인접되는 이음매부 사에에 생기게 되는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프레이가 패널하우징에 구비된 개구를 통하여 상호 인접되도록 할 때, 디스프레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탄성 부재에 의하여 디스프레이를 개구 바깥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며, 상기 디스프레이 상단에 보호판을 구비하고, 보호판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보호판을 패널하우징 이음매부 측면에 구비된 개구 바깥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의 회전운동의 움직임이 보호판에 전달되어, 보호판이 개구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수단의 회전 운동 움직임이 디스프레이에 전달되어, 디스프레이가 개구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음매 사이에 이음매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매 커버는 연결수단의 회전 움직임에 의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거나 패널하우징 내부로 수납된다.
한편,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디스프레이와 걸림 작용을 하며, 패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질 때, 스토퍼와 디스프레이와의 걸림 작용이 풀어져서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패널하우징에는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는 보호판과 걸림 작용을 하며, 패널하우징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질 때, 스토퍼와 보호판의 걸림 작용이 풀어져서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도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 이상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상호 인접하게 연결하여,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를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휴대용 표시장치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2)(4)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가 펼쳐질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4)의 한 측면이 서로 맞 닿거나 근접하게 되어 있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패널하우징(20)(40)은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연결수단(6)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6)은 캡축(61)과 삽입축(62)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이음매부 틈새를 나타낸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을 일정 각도로 접으면, 디스프레이(2)(4) 이음매부(8') 사이에 간격이 벌어져서, 약간의 틈인 이음매부 틈새(8")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접이식 표시장치가 일정 각도로 접힐때, 발생하는 이음매부 틈새(8")를 막아줄 필요가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들이 이음매부 틈새 사이에 뾰족한 삽입물 들을 삽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이음매 틈새를 막아주는 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에서와 같이, 패널하우징(20)(40)을 일정 각도로 접으면, 디스프레이(2)(4)가 인접되는 부분 사이에, 이음매부 틈새가 생긴다.
이때,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17)를 구비하여, 탄성부재가 디스프레이(2)(4)를 이음매부 틈새(8") 방향으로 밀어, 이음매부 틈새를 막아주게 된다. 즉, 디스프레이(2)(4)가 패널하우징의 이음매부 측면(20a) 보다 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패널하우징(20)(40)의 접혀진 각도가 작으면, 돌출되는 정도가 길어야 하지만, 패널하우징(20)(40)의 접혀진 각도가 크면, 돌출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즉, 패널하우징이 10 도 이내로 접혀졌을 때보다도 40 이상으로 접혀졌을 때, 돌출되는 길이가 작아도 이음매 사이를 막아 줄 수 있게된다. 그러므로, 30 도 정도 이상으로 접혀 졌을 때, 이음매 사이(8")를 충분히 막아 줄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된 길이를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에 대한 값은 탄젠트 값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을 펼치면, 도 3c에서 나타낸 것처럼, 탄성부재(17)가 수축되어, 돌출된 디스프레이(2)(4)가 패널하우징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디스프레이(2)(4)가 인접되게 된다.
도 4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디스프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 내부에 슬라이딩 받침(23)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받침(23) 상단에, 탄성부재(17)가 구비된 디스프레이(2)가 놓여진다. 그런 다음 덮개(24)를 덮는다. 탄성부재(17)는 디스프레이(2)를 개구(8) 바깥으로 밀게된다. 그리고, 디스프레이(2)를 감싸는 샤시(16)에 구비된, 샤시 걸림부(16c)가 측면 걸림수단(20a-1)에 걸리게 되어, 디스프레이(2)가 더 이상 개구 밖으로 나가지 않게 된다.
도 5는 개구 밖으로 돌출된 디스프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이음매부 측면(20a)에 구비된 개구(8)에 디스프레이(2)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도 6은 보호판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보호판(161)에 탄성부재(17')가 구비되어, 보호판(161)을 개구(8)바깥 방향으로 밀어주어, 디스프레이(2)(4) 이음매부 틈새(8")를 막아주게 된다.
따라서, 보호판(161)은 슬라이딩 받침(23') 상단에 올려져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보호판 걸림부(161c)가 걸림작용을 하여, 보호판(161)이 개구(8) 바깥 방향으로, 돌출될 때, 더 이상 돌출되지 않게 한다. 즉, 보호판(161)에 의하여 이음매부 틈새(8")를 막아주는 원리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그 원리가 동일하다.
그리고, 보호판(161)이 패널하우징(20)에 장착되면, 덮개(24)를 덮게된다.
도 7내지 도 9는 캡기어와 삽입 기어를 이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캡축(61)과 삽입축(62)에 캡 기어(61f)와 삽입 기어(62f)를 구비한다. 그리고, 캡 기어(61f)는 캡 벨트(61g)와 맞 물리어 연결되고, 삽입 기어(62f)는 삽입 벨트(62g)와 맞 물리어 연결된다.
따라서,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고 펼쳐져서, 캡축(61)과 삽입축(62)이 회전하면, 캡 벨트(61g)와 삽입 벨트(62g)가 회전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캡 벨트와 삽입 벨트의 동력이 전달 쉬프터(161a)에 전달되고, 따라서, 전달 쉬부터(161a)와 연결된, 보호판(161)이 이동을 하게 된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탄성부재(17)를 통하지 않고, 캡축과 삽입축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보호판이 움직이도록 한다. 도 7에서처럼, 패널하우징(20)(40)이 일정 각도로 접혀져 있으면, 보호판(161)이 이음매부 틈새(8")를 막아주게 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을 펼치면, 도 3c에서처럼 보호판(161)은 패널하우징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캡축(61)과 삽입축(62)의 회전 동력이 보호판에 전달되는 과정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처럼, 연결절개부(6a)의 일부가 절취되고, 절취된 부분을 통하여 캡기어(61f)의 동력이 캡벨트(61g)에 전달된다.
그리고, 캡벨트(61g)의 동력은, 쉬프터 기어(161b)를 통하여 전달쉬프터(161a)에 전달된다. 전달쉬프터(161a)는 보호판(161)과 연결되어 형성되었으므로, 전달쉬프터(161a)가 움직임에 따라, 보호판(161)도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을 도면에서는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원리를 디스프레이(2)(4) 움직임에 적용할 수 있다. 보호판(161)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수단(6)인 캡축(61)과 삽입축(62)의 회전 움직임을 디스프레이(2)(4)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프레이(2)(4)가 이음매 사이(8")를 막아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캡축과 삽입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캡기어(61f)가 구비된 캡축(61)에 삽입 기어(62f)가 구비된 삽입축(62)이 삽입된다.
도 10a와 도 10b는 이음매 커버를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a는 패널하우징(20)(40)이 일정 각도로 접혀져 이음매 틈새가 존재할 경우에, 하나의 패널하우징(20)에 대해서만 도시한 그림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일정 각도로 접혀져서 이음매 사이(8")가 있게 되면, 이음매 커버 상단(162a)이 이음매 사이(8")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널하우징을 펼치면, 삽입기어(62f)가 회전하고, 삽입벨트(62h)가 회전 이동하여 이음매 커버(162)를 움직이도록 한다. 이때, 패널하우징(20)(40)을 완전히 펼치면, 이음매 커버(62f)는 계속 이동하여 패널하우징(20) 안으로 수납되게 된다. 따라서, 패널하우징 이음매부 측면(20a)이 서로 맞닿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음매 커버(62f)는 상단(162a)보다 아래 부분이 더 두꺼운 형태를 가지므로, 패널하우징 이음매 사이(8")에 구비되기 용이한 구조가 된다.
도 10b는 삽입기어(62f)와 삽입벨트(62h)가 맞물리고, 다시 삽입벨트(62h)는 쉬프터 기어(162b)와 맞물려 회전 움직임이 이음매 커버(162)의 이동에 전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스토퍼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a는 패널하우징 이음매부 측면(20a)에 스토퍼 버튼(163a)이 구비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1b는 스토퍼(163)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패널하우징(20)(40)이 완전히 펼쳐져서 이음매부 측면(20a)이 서로 맞 닿게되면, 스토퍼 버튼(163a)이 눌려지고, 스토퍼 몸체(163d)의 전달에 의하여 스토퍼 돌기(163e)가 샤시 걸림부(16c) 하단의 홈에 들어가게 된다.
즉,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면, 스토퍼 돌기(163e)에 의하여 샤시걸림부(16c)가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패널하우징(20)(40)이 접혀지게 되면, 삽입기어(62f)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기어(62i)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스토크(62k)가 스토퍼 걸게(163c)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한편, 탄성장치(163b)는 패널하우징에 걸린다.
하지만, 접혀졌던 패널하우징(20)(40)이 펼쳐지게 되면, 삽입기어(62f)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동 기어(62i)와 이동축(62j)은 스토크(62k)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스토퍼 걸게(163c)로 하단으로 움직이고, 스토퍼 몸체(163d)도 하단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스토퍼 돌기(163e)와 샤시 걸림부(16c)의 결합은 풀리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탄성부재(17)의 작용에 의하여 디스프레이가 개구(8) 바깥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돌출된 디스프레이(2)(4)가 이음매 사이(8")를 막아주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보호판에도 적용되어, 패널하우징이 펼쳐지면, 삽입축과 캡축의 회전 움직임에 의하여, 스토퍼(163)와 보호판 걸림부(161c)의 결합이 풀리고, 따라서 보호판이 개구(8) 바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는 복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패널하우징을 접거나 펼칠 때, 생기게 되는 이음매 사이를 막으므로서, 휴대용 표시장치 사용자가 이음매 틈새 사이에 뽀족한 이물질을 삽입하게 될 가능성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음매 사이로 인해서 신뢰성이 약해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를 펼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이음매부 틈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이음매 틈새를 막아주는 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디스프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개구 밖으로 돌출된 디스프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보호판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내지 도 9는 캡기어와 삽입 기어를 이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이음매 커버를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스토퍼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4 : 디스플레이 6 : 연결수단
17 : 탄성 부재 23 : 슬라이딩 받침
20a-1 : 측면 걸림수단 8" : 이음매부 틈새
16 : 샤시 161 : 보호판
61f :캡 기어 62f : 삽입기어
161a :전달 쉬프터 161b : 전달 쉬프터
162 : 이음매 커버 163 : 스토퍼

Claims (9)

  1.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구성된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프레이의 적어도 한변이 인접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패널하우징이 일정 각도로 접혀지게 되면 생기는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 측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디스프레이가 상호 인접되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패널하우징이 일정 각도로 접혀지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디스프레이를 개구 바깥 방향으로 돌출시켜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고,
    상기 패널하우징이 펼쳐지게 되면 상기 디스프레이가 개구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프레이 상단에 보호판을 구비하고, 보호판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디스프레이를 개구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대신 상기 보호판을 패널하우징 이음매부 측면에 구비된 개구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게 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혹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프레이혹은 보호판이 패널하우징 개구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 대신, 상기 연결수단의 회전 운동 움직임에 의해 상기 디스프레이 혹은 보호판이 개구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9. 디스프레이가 장착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구성된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을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패널하우징에 장착된 디스프레이의 적어도 한변이 인접되어 하나의 화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패널하우징이 일정 각도로 접혀지게 되면 생기는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는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상기 패널하우징 측면에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디스프레이가 상호 인접되며,
    상기 이음매 사이에 이음매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이음매 커버는 연결수단의 회전 움직임에 의하여, 이음매 사이를 막아주거나 패널하우징 내부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02-0029718A 2002-05-28 2002-05-28 휴대용 표시장치 KR10047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18A KR100478313B1 (ko) 2002-05-28 2002-05-28 휴대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718A KR100478313B1 (ko) 2002-05-28 2002-05-28 휴대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602A KR20030091602A (ko) 2003-12-03
KR100478313B1 true KR100478313B1 (ko) 2005-03-23

Family

ID=3238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18A KR100478313B1 (ko) 2002-05-28 2002-05-28 휴대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563A (en) * 1982-09-30 1984-01-03 George Ondricek Folding picture frame
KR20000039480A (ko) * 1998-12-14 2000-07-0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004350A (ko) * 2000-07-05 2002-01-16 김순택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KR20020012881A (ko) * 2000-08-09 2002-02-20 김시환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563A (en) * 1982-09-30 1984-01-03 George Ondricek Folding picture frame
KR20000039480A (ko) * 1998-12-14 2000-07-05 김순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004350A (ko) * 2000-07-05 2002-01-16 김순택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KR20020012881A (ko) * 2000-08-09 2002-02-20 김시환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602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42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CN110138916B (zh) 一种旋转装置以及移动终端
US7311366B2 (en) Case for portable display devices
EP4036897A1 (en) Electronic device
KR100377002B1 (ko) 접이식 평판디스플레이 케이스
KR10047831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ES2412504T3 (es) Terminal de comunicaciones
CN100461795C (zh) 可折叠便携式电子设备
CN117167396A (zh) 一种转轴机构、支撑装置以及折叠屏终端
KR100385668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KR100527164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KR10046191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TW522775B (en) Case for portable display devices
KR100441444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236190Y1 (ko) 접이식 멀티 표시장치용 케이스
KR100478310B1 (ko) 접이식 디스프레이 장치
KR20060028947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40076481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260044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JP2010021711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500754B1 (ko) 접이식 디스프레이 장치
KR20120129212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30020520A (ko) 멀티 표시장치
KR20120073167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50092328A (ko) 휴대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