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52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528B1
KR100337528B1 KR1020000040085A KR20000040085A KR100337528B1 KR 100337528 B1 KR100337528 B1 KR 100337528B1 KR 1020000040085 A KR1020000040085 A KR 1020000040085A KR 20000040085 A KR20000040085 A KR 20000040085A KR 100337528 B1 KR100337528 B1 KR 10033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power mode
voltage
p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428A (ko
Inventor
이진서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4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5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7Control dependent on the suppl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폰이나 PCS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adjustable regulator IC)를 이용해서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MSM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PA_R0)(PA_R1)가 모두 하이인 경우에는 스위칭수단(Q0,Q1)이 모두 오프되어 레귤레이터(8a)의 출력전압(Vout1)은 저항(R1,R2)에 의해서 결정된 값으로 출력되며(PCS high power mode), 제어신호(PA_R0,PA_R1)가 각각 로우,하이인 경우에는 스위칭수단(Q0)은 온되고 스위칭수단(Q1)은 오프되어 출력전압(Vout2)은 저항(R1,R2,R3)에 의해서 결정된 값으로 출력되며(CDMA,AMPS high power mode), 제어신호(PA_R0)(PA_R1)가 모두 로우인 경우에는 스위칭수단(Q0)(Q1)이 모두 온되어 출력전압(Vout3)은 저항(R1,R2,R3,R4)에 의해서 결정된 값으로 출력된다.(CDMA,AMPS,PCS low power mode).
[Vout1>Vout2>Vout3]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Power Control Circuit For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셀룰러폰이나 PCS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출력전압을 레귤레이터(regulator IC)의 외부에서 임피던스 조정을 통해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조절할 수 있는 타입의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 (adjustable regulator IC)를 이용해서 안정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MSM)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PA_R0,PA_R1)를 이용해서 레귤레이터의 전압조정 입력단(ADJ)의 임피던스를 전원공급모드(PCS high power mode; CDMA, AMPS high power Mode; CDMA, AMPS, PCS low power mode)에 따라 조절하여 전력증폭기의 제어전압으로 공급함으로써,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트라이 모드(tri-mode)에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셀룰러폰이나 PCS에서 MSM을 사용하는 전력제어회로의 제어계통을 살펴보면, 안테나와 연결된 RF수신부 및 RF송신부가 MSM의 제어를 받고, RF송신부의경우 MSM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하여 드라이브 증폭기를 거쳐 1차 증폭하고, 드라이브 증폭기에서 1차 증폭된 신호를 필터를 거쳐 전력 증폭기(power amplipier)에서 증폭하여 안테나에 인가하고 있다.
도1은 이와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력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안테나(ANT) 구동을 위한 제1전력 증폭부(1)와, MSM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PA_R1)를 입력으로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제1전력 증폭부(1)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제1전력 제어부(2)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서 1차 증폭된 셀룰러 구동신호 출력(Cell_DRV_OUT)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1전력 증폭부(1)에 공급하는 제1필터(3)와, 안테나 구동을 위한 제2전력 증폭부(4)와, MSM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PA_R1)를 입력으로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제2전력 증폭부(4)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제2전력 제어부(5)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서 1차 증폭된 PCS 구동신호 출력(PCS_DRV_OUT)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2전력 증폭부(4)에 공급하는 제2필터(6)와,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ON1) 및 전원(VPH_PWR)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제1전력 증폭부(1) 및 제2전력 증폭부(4)의 전원(Vcc1,Vcc2) 공급을 수행하는 전력증폭기 전원 제어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제1전력 증폭부(1)는 전력증폭IC(RM912: CONEXTANT CELLULAR POWERAMP)(1a)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전력 증폭부(4) 또한 이와 같이 전력증폭IC (RI23110U: CONEXTANT PCS POWER AMP)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전력 제어부(2)는 전력제어를 위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BJT(2a)와 상기 BJT(2a)의 온 또는 오프 여부에 따라서 입력전원(+3.3V_Cell_IN)의 전압강하를 수행하기 위한 저항(2b)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2전력 제어부(5) 또한 이와 같이 BJT와 저항을 포함하고 입력전원(+3.3V_PCS_IN)을 공급받고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3) 및 제2필터(6)는 송신용 SAW필터이다.
그리고, 상기 전력증폭기 전원 제어부(7)는 MSM으로부터의 제어신호(PA_ON1)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FET(7a) 및 BJT(7b)를 포함하고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ON1)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에 따라 전력증폭기 전원 제어부(7)의 BJT(7b)가 온(on) 또는 오프(off)되고, 또한 BJT(7b)의 온,오프에 따라 FET(7a)가 스위칭 동작하며, FET(7a)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원 제어부(7)에서 입력전원(VPH_PWR)을 스위칭하여 전력 증폭부(1)(4)의 전원(Vcc1)(Vcc2)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1)가 하이(high)로 입력되는 경우 전력 제어부(2)의 BJT(2a)는 온된다.(제2전력 제어부(5)내의 BJT 또한 같다).
BJT(2a)가 온되면 입력전원(+3.3V_Cell_IN)은 저항(2b)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온된 BJT(2a)를 통해서 전력 증폭부(1)의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고전압(high voltage)으로서 공급된다(+3.3V_PCS_IN, 전력 증폭부(4) 또한 같다).
따라서, 전력 증폭부(1)(4)는 고전압 모드로 동작하며,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구동신호(Cell_DRV_OUT)(PCS_DRV_OUT)가 필터(3)(6)를 통해서 전력 증폭부(1)(4)의 입력단(IN)에 공급되면 입력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한편,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1)가 로우(low)로 입력되는 경우 전력 제어부(2)의 BJT(2a)는 오프된다.(전력 제어부(5)의 BJT 또한 같다).
BJT(2a)가 오프되면 입력전원(+3.3V_Cell_IN)은 저항(2b)을 경유해서 전압강하된 상태로 전력 증폭부(1)의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저전압(low voltage)으로서 공급된다(+3.3V_PCS_IN, 전력 증폭부(4) 또한 같다).
따라서, 전력 증폭부(1)(4)는 저전압 모드로 동작하며,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구동신호(Cell_DRV_OUT)(PCS_DRV_OUT)가 필터(3)(6)를 통해서 전력 증폭부(1)(4)의 입력단(IN)에 공급되면 입력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MSM의 제어신호(PA_R1)를 CDMA, AMPS, PCS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BJT를 통해서 전력 증폭기의 제어전압(VREF)이 공급되고, 저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저항을 통해서 제어전압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BJT의 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를 거친 후 제어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효율이 낮아지는 구조이고, 또한 BJT를 거쳐서 제어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전원 노이즈(noise)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전압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저항을 통해서 전압강하를 거친 후 제어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전원공급 선상에 개입된 저항에 의한 전원 노이즈 발생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때,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제어전압 공급 선상에 스위칭 소자 또는 전압강하 소자의 개입을 배제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전원공급 제어를 이루고, 또한 전원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때,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adjustable regulator IC)를 이용해서 안정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증폭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때, MSM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PA_R1,PA_R2)를 이용해서, 전압 조정형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 조정단 입력 임피던스를 제어함으로써 레귤레이터에서 직접 전력 증폭기에 제어전원을 공급하고, 이에 따라 전원 노이즈 발생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전력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의 회로도
도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의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제어 회로의 실시예 회로도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는,
(a). 셀룰러 구동신호와 PCS 구동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셀룰러 또는 PCS 구동신호 입력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제1의 전력모드 또는 제2의 전력모드 또는 제3의 전력모드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전력모드 하에서 상기 입력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증폭수단, (b). 상기 제1의 전력모드 또는 제2의 전력모드 또는 제3의 전력모드 하에서 상기 전력증폭수단이 상기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제1의 제어전압과 상기 제2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제2의 제어전압과 상기 제3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제3의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제어전압 공급수단, (c). 상기 제1 내지 제3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의 제어전압 내지 제3의 제어전압을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이 출력하도록 제어전압 공급수단의 출력전압 레벨을 가변적으로 설정제어하는 설정제어수단; 을 가지고, 상기 설정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이 전력증폭수단에 소정의 제어전압을 인가하고 이 제어전압에 대응하여 전력증폭수단이 제1의 전력모드 또는 제2의 전력모드 또는 제3의 전력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의 전력모드는 PCS 하이 파워 모드(PCS high power mode)이고, 제2의 전력모드는 CDMA, AMPS 하이 파워 모드(CDMA, AMPS high power mode)이고, 상기 제3의 전력모드는 CDMA, AMPS, PCS 로우 파워 모드(low power mode)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은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adjustable regulator)이고, 상기 설정제어수단은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의 조정단(ADJ) 입력 임피던스를 변환시키는 임피던스 변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은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이고, 상기 설정제어수단은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의 조정단(ADJ) 입력 임피던스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온 또는 오프되는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등가저항값이 변화되는 적어도 4개의 저항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 PA_R1)에 의해서 각각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되는 FE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의 블럭도로서, 도시 생략된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공급되는 셀룰러 구동신호(Cell_DRV_OUT)를 전력증폭하는 제1전력 증폭부(11)와,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공급되는 PCS구동신호 (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는 제2전력 증폭부(12)와, 도시 생략된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PAR1)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부(11)의 제어전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제어전압 공급부(13)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제어전압 공급부(13)는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MIC5219_3.3V)와, 상기 제어신호(PA_R0,PA_R1)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조정단(ADJ) 임피던스값을 변화시키는 임피던스 설정부(13b)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는 입력단(Vin)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VPH_PWR)을 출력단(Vout)으로 출력할 때, 그 출력전압의 레벨(Vout)이 조정단(ADJ)의 임피던스값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PA_R1)에 따라 임피던스 설정부(13a)가 서로 다른 적어도 3가지의 임피던스값을 조정단(ADJ)에 설정하며, 이 임피던스값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는 출력단(Vout)에서 서로 다른 레벨의 제어전압(Vout1,Vout2,Vout3)을 출력하고, 이 제어전압이 제1 및 제2전력 증폭부(11)(12)의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제어전압으로 입력된다.
전력 증폭부(11)(12)는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공급되는 제어전압에 대응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서로 다른 적어도 3가지의 전력모드로 입력신호 (Cell_DRV_OUT, 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ANT)에 인가한다.
따라서,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에서 전력 증폭부(11)(12)의 제어전압을 직접 공급하므로, 종래의 도1과 비교할 때 전압강하용 저항이나 스위칭용 BJT의 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 등에 의한 전원 노이즈 발생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전력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제어 회로의 실시예 회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는, 도시 생략된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공급되는 셀룰러 구동신호(Cell_DRV_OUT)를 전력증폭하는제1전력 증폭부(11)와,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공급되는 PCS구동신호(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는 제2전력 증폭부(12)와, 도시 생략된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PAR1)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부(11)의 제어전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제어전압 공급부(13)와,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ON1) 및 전원(VPH_PWR)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여 상기 제1전력 증폭부(11) 및 제2전력 증폭부(12)의 전원(Vcc1,Vcc2) 공급을 수행하는 전력증폭기 전원 제어부(14)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서 1차 증폭된 셀룰러 구동신호 출력(Cell_DRV_OUT)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1전력 증폭부(11)에 공급하는 제1필터(15)와, 상기 드라이브 증폭기에서 1차 증폭된 PCS 구동신호 출력(PCS_DRV_OUT)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2전력 증폭부(12)에 공급하는 제2필터(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제1전력 증폭부(11)는 전력증폭IC(RM912: CONEXTANT CELLULAR POWER AMP)(11a)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전력 증폭부(12) 또한 이와 같이 전력증폭IC (RI23110U: CONEXTANT PCS POWER AMP)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전압 공급부(13)는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MIC5219_3.3V)와, 상기 제어신호(PA_R0,PA_R1)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조정단(ADJ) 임피던스값을 변화시키는 임피던스 설정부(13b)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는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IDLE1)에 의해서 인에이블(EN) 제어되며, 임피던스 설정부(13b)는 제어전압 출력단(Vout)과 조정단(ADJ)에 연결된 제1저항(R1), 상기 제1저항(R1)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R2), 상기 제2저항(R2)과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3저항(R3) 및 제4저항(R4), 그리고 상기 제3저항(R3) 및 제4저항(R4)을 제어신호(PA_R0)(PA_R1)에 따라 각각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으로서 FET(Q0)(Q1)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전력증폭기 전원 제어부(14)는 MSM으로부터의 제어신호(PA_ON1)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는 FET(14a) 및 BJT(14b)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15) 및 제2필터(16)는 송신용 SAW필터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ON1)의 하이(high) 또는 로우(low)에 따라 전력증폭기 전원 제어부(14)의 BJT(14b)가 온(on) 또는 오프(off)되고, 또한 BJT(14b)의 온,오프에 따라 FET(14a)가 스위칭 동작하며, FET(14a)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원 제어부(14)에서 입력전원(VPH_PWR)을 스위칭하여 전력 증폭부(11) (12)의 전원(Vcc1)(Vcc2)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IDLE1)에 의해서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는 인에이블(EN)된다.
[PCS high power mode]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PA_R1)가 모두 하이(high)로 입력되는 경우 FET(Q0)(Q1)는 모두 오프된다.
FET(Q0)(Q1)가 오프되면 제3저항(R3) 및 제4저항(R4)은 스위칭 오프되고,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조정단(ADJ)의 임피던스는 제1저항(R1) 및 제2저항 (R2)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압(Vout1)은, Vout1 = 1.242(1+(R2/R1))(여기서 1.242는 IC에 따른 상수)로 설정되어 출력되고, 이 전압(Vout1)은 전력 증폭부(11)(12)의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고전압(high voltage)으로서 공급된다.
전력 증폭부(11)(12)는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각각 필터(15)(16)를 통해서 입력되는 구동신호(Cell_DRV_OUT)(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CDMA, AMPS high power mode]
한편,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가 로우, 제어신호(PA_R1)가 하이로 입력되는 경우 FET(Q0)는 온되고 FET(Q1)는 오프된다.
FET(Q0)가 온되면 제3저항(R3)은 스위칭 온되고, 전압조정형 레귤레이 터(13a)의 조정단(ADJ)의 임피던스는 제1저항(R1)과 제2저항(R2) 및 제3저항(R3)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압(Vout2)은, Vout1 = 1.242(1+((R2//R3)/R1))로 설정되어 출력되고, 이 전압(Vout2)은 전력 증폭부(11)(12)의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고전압(high voltage)으로서 공급된다.
전력 증폭부(11)(12)는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각각 필터(15)(16)를 통해서 입력되는 구동신호(Cell_DRV_OUT)(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CDMA, AMPS, PCS low power mode]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PA_R0)(PA_R1)가 모두 로우로 입력되는 경우 FET(Q0)(Q1)는 모두 온된다.
FET(Q0)(Q1)가 온되면 제3저항(R3) 및 제4저항(R4)은 스위칭 온되고,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조정단(ADJ)의 임피던스는 제1 내지 제4저항(R1∼R4)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출력단(Vout)에서 출력되는 전압(Vout3)은, Vout3 = 1.242(1+((R2//R3//R4)/R1))로 설정되어 출력되고, 이 전압(Vout3)은 전력 증폭부(11)(12)의 제어전압 입력단(VREF)에 저전압(low voltage)으로서 공급된다.
전력 증폭부(11)(12)는 드라이브 증폭기로부터 각각 필터(15)(16)를 통해서 입력되는 구동신호(Cell_DRV_OUT)(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어신호(PA_R0,PA_R1)에 따라 FET(Q0,Q1)가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되고, 이 것에 대응하여 저항(R1∼R4)에 의한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조정단(ADJ) 임피던스값이 변화되어 제어전압(Vout1,Vout2,Vout3)이 각각 다른 값으로 조정되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Vou1 > Vout2 > Vout3 이고, Vout1 = PCS high power mode, Vout2 =CDMA, AMPS high power mode, Vout3 = CDMA, AMPS, PCS low power mode 이다.
즉, 본 발명은 트라이 모드(tri-mode)에 적합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에서 전력 증폭부(11)(12)의 제어전압을 직접 공급하므로, 종래의 도1과 비교할 때 전압강하용 저항이나 스위칭용 BJT의 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 등에 의한 전원 노이즈 발생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전력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제어전압 스위칭 소자(by-pass용) 또는 전압강하용 저항에 의한 전원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전력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MSM의 제어신호(PA_R0,PA_R1)를 이용해서 트라이 모드에 적합한 전력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a). 셀룰러 구동신호와 PCS 구동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셀룰러 또는 PCS 구동신호 입력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제1의 전력모드 또는 제2의 전력모드 또는 제3의 전력모드를 가지고 상기 각각의 전력모드 하에서 상기 입력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안테나에 인가하는 전력증폭수단, (b). 상기 제1의 전력모드 또는 제2의 전력모드 또는 제3의 전력모드 하에서 상기 전력증폭수단이 상기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상기 제1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제1의 제어전압과 상기 제2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제2의 제어전압과 상기 제3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제3의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제어전압 공급수단, (c). 상기 제1 내지 제3의 전력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1의 제어전압 내지 제3의 제어전압을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이 출력하도록 제어전압 공급수단의 출력전압 레벨을 가변적으로 설정제어하는 설정제어수단; 을 가지고, 상기 설정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이 전력증폭수단에 소정의 제어전압을 인가하고 이 제어전압에 대응하여 전력증폭수단이 제1의 전력모드 또는 제2의 전력모드 또는 제3의 전력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력모드는 PCS 하이 파워 모드(PCS high power mode)이고, 제2의 전력모드는 CDMA, AMPS 하이 파워 모드(CDMA, AMPS high power mode)이고, 상기 제3의 전력모드는 CDMA, AMPS, PCS 로우 파워 모드(lowpower mod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은 전압조정형 레귤레이 터(adjustable regulator IC)이고, 상기 설정제어수단은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의 조정단(ADJ) 입력 임피던스를 변환시키는 임피던스 변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공급수단은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이고, 상기 설정제어수단은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의 조정단(ADJ) 입력 임피던스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각각 온 또는 오프되는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등가저항값이 변화되는 저항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MSM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PA_R0, PA_R1)에 의해서 각각 스위칭 온 또는 오프되는 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6. MSM의 제어에 따라 PCS 하이 파워모드, CDMA 및 AMPS 하이 파워모드, CDMA와 AMPS 및 PCS 로우 파워모드에서 동작하며 셀룰러 구동신호(Cell_DRV_OUT)를 전력증폭하는 제1전력 증폭부(11) 및 PCS구동신호(PCS_DRV_OUT)를 전력증폭하는 제2전력증폭부(12)와, 상기 전력증폭기가 상기의 각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소정의 제어전압을 공급하는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와, MSM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 (PA_R0,PA_R1)에 따라 상기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의 조정단(ADJ) 임피던스값을 변화시켜 전압조정형 레귤레이터(13a)가 상기 각 모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제어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전압 출력단(Vout)과 조정단(ADJ)에 연결된 임피던스 가변회로와, 상기 임피던스 가변회로의 임피던스값을 MSM으로부터의 제어신호(PA_R0) (PA_R1)에 따라 변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임피던스회로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수단(Q0)(Q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KR1020000040085A 2000-07-13 2000-07-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KR10033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85A KR100337528B1 (ko) 2000-07-13 2000-07-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085A KR100337528B1 (ko) 2000-07-13 2000-07-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428A KR20020007428A (ko) 2002-01-29
KR100337528B1 true KR100337528B1 (ko) 2002-05-22

Family

ID=1967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085A KR100337528B1 (ko) 2000-07-13 2000-07-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5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428A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1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ynamically configured low drop out regulator with zero quiescent current and fast transient response
US6369649B2 (en) Transmission power ampl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784748B1 (en) Power amplifying system with supply and bias enhancements
US6753734B2 (en) Multi-mode amplifier bias circuit
US73423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ighly efficient wide bandwidth power supply for a power amplifier
US8774739B2 (en) Multi-mode power supply regulator for power amplifier control
JP3809777B2 (ja) 電力増幅器
US8140028B2 (en) Low noise RF driver
KR20090103952A (ko) 선형 및 포화 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한 멀티모드 증폭기
JP2006500820A (ja) 周辺回路切換による電力増幅器の効率的電力制御
EP0876004B1 (en) Transmitter gain controller
KR20150001800A (ko) 증폭 회로
KR1003862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제어 장치
EP1122883B1 (en) Circuit for linearizing the power control profile of a BiCMOS power amplifier
KR1003375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회로
KR100835057B1 (ko) 분포형 전력 증폭기
WO2011099965A1 (en) Multi-mode power supply regulator for power amplifier control
EP1630965B1 (en) Power amplifying circuit in mobile terminal
CN110380698B (zh) 一种线性放大器
EP1766773B1 (en) Power sour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al power
JPH1032441A (ja) 電力増幅器
JP2005260581A (ja) 高効率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増幅回路
US20030169112A1 (en) Variable gain amplifi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CN217307648U (zh) 可变增益放大电路及接收机
KR100279816B1 (ko) 이중화 전력증폭기의 선형동작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