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152B1 -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152B1
KR100337152B1 KR1020000041934A KR20000041934A KR100337152B1 KR 100337152 B1 KR100337152 B1 KR 100337152B1 KR 1020000041934 A KR1020000041934 A KR 1020000041934A KR 20000041934 A KR20000041934 A KR 20000041934A KR 100337152 B1 KR100337152 B1 KR 10033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oil
solder ball
forming apparatus
drople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948A (ko
Inventor
정은
김경원
Original Assignee
이준호
덕산하이메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6359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3715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덕산하이메탈(주)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0004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1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41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ans for bonding, e.g. connectors
    • H01L24/742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41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ans for bonding, e.g. connectors
    • H01L2224/742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40Details of apparatuses used for either manufacturing connectors or connecting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지에이(BGA), 시에스피(CSP)패키지, 또는 플립칩에 사용되는 솔더볼의 제조장치에 있어 전자 및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300~5,000㎐의 진동으로 파쇄하여 직경이 100~1500㎛ 범위의 솔더볼을 형성하고, 일정량의 용융금속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적하되는 액적을 냉각오일로서 냉각시켜 솔더볼을 형성하는 챔버에 구간별로 온도구배를 일정하게 유지 및 냉각오일의 온도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을 방지하고, 챔버 내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액적의 형성으로 인한 일정한 크기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진구도, 표면조도, 입도분포가 양호하여 재용융 특성이 뛰어난 고품질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솔더볼의 샘플채취와 제조된 솔더볼의 수거시 시스템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는 비지에이 패키지, 시에스피, 플립칩에 사용되는 솔더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분리대가 설치된 상부챔버의 하측에 하부챔버가 설치되어 챔버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대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분되는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대 중앙부에는 높은 진폭의 진동으로 파쇄된 용융금속의 액적을 적하하고, 유입된 용융금속의 수위를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균일한 액적을 형성하는 액적형성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의 상측에는투입되는 합금을 용융 혼합하여 상기 액적형성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에 공급된 용융금속이 적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용융금속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의 하측에는 상기 액적형성장치로부터 적하되는 용융금속을 냉각오일로서 냉각하고, 적정한 온도구배의 유지와 오일의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진구도가 높은 솔더볼을 형성하는 오일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탱크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솔더볼을 급격히 냉각시키고 솔더볼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샘플채취기가 설치된 냉각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의 하측에는 작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솔더볼과 냉각오일의 분리 포집이 가능한 포집부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 및 하부챔버의 일측에는 내부의 압력차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차유지장치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a solder ball by dropping a metal droplet in the oil}
본 발명은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지에이(BGA), 시에스피(CSP)패키지, 또는 플립칩에 사용되는 솔더볼의 제조장치에 있어 전자 및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300~5,000㎐의 진동으로 파쇄하여 직경이 100~1500㎛ 범위의 솔더볼을 형성하고, 일정량의 용융금속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적하되는 액적을 냉각오일로서 냉각시켜 솔더볼을 형성하는 챔버에 구간별로 온도구배를 일정하게 유지 및 냉각오일의 온도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을 방지하고, 챔버 내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액적의 형성으로 인한 일정한 크기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진구도, 표면조도, 입도분포가 양호하여 재용융 특성이 뛰어난 고품질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솔더볼의 샘플채취와 제조된 솔더볼의 수거시 시스템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통신장치, 영상장치, 컴퓨터 등 각종 전자기기는 소형화와 고기능화 추세이며, 이러한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전자부품 중의 하나인 집적회로 (IC)를 기판의 표면에 실장하여 임의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집적회로는 도 1의 (가)에서와 같이 칩(Chip)(1)의 외주연에 상기 칩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패키지(2)를 형성하고,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된 리드핀(3)이 패키지(2) 외부로 설치되는 구조의 절곡형 패키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절곡형 패키지는 인쇄회로기판(4)에 형성된 유입홈(5)에 리드핀(3)을 삽입 후 납땜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4)에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고기능화 요구에 따라 패키지 자체가 경박단소(輕薄短小)화 됨으로써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리드핀(3)을 집적회로와 수평으로 내어 인쇄회로기판(4)의 표면에서 솔더 페이스트(8)를 사용하여 그대로 납땜할 수 있도록 하는 표면실장형 패키지가 수년전 부터 개발 사용되고 있고, 이는 인쇄회로기판에 유입홈을 뚫지 않고 기판 전체가 얇아지는 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이라 한다.
또한 패키지의 경박단소화로 인한 다핀화와 파인 피치화에 대응하고자 개발된 쿼드 플래트 패키지(Quad Flat Package:QFP)에서는 최종 패키지의 불량률을 감안하면 최소 리드 피치가 0.3mm로서 다핀화에 리플로 솔더링의 한계가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TCP)의 경우 0.25mm 피치를 끊어 마무리 실장에 있어서도 패키지의 소형화에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핀 그리드 어레이(Pin Grid Array:PGA)와 플립 칩(Flip Chip) 개념의 장점만을 응용한 것으로 리드를 대신해서 솔더볼을 입출력단자로 하여 패키지 아랫 면에 어레이 형상으로 배열한 볼 그리드 어레이(Ball Grid Array:BGA)와, 이보다 진보된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CSP)가 개발되었으며, 전극 피치를 동일 핀 수의 쿼드 플래트 패키지(QFP)와 비교할 때 50∼60%까지 차지하는 공간을줄일 수 있고 전기적, 열적 수행능력도 크게 향상됨은 물론 300핀 이상의 다핀화에 유리하여 향후 각광 받을 주요 패키지로서 어떤 패키지가 주력으로 사용될 것인가는 종합적인 설계 및 가격, 납땜방법 등에 의해 좌우된다.
이와 같은 볼 그리드 어레이(BGA) 또는 칩 스케일 패키지(CSP)의 표면실장방법은 도 1의 (다)에서와 같이 볼 그리드 어레이 또는 칩 스케일 패키지(9)의 저면전극에 솔더볼(37)을 부착하고, 이 솔더볼(37)이 부착된 패키지(10)를 인쇄회로기판(4)의 표면에 안착시킨 후 열을 가하여 장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BGA/CSP용 솔더볼은 크게 진동분무법과, 디스크 형태로 스탬핑(Stamping)하거나 솔더와이어를 잘라 만든 솔더칩(Solder Chip)을 1차로 준비한 후 가열된 냉각오일 또는 플럭스 속에 적하(투입)하여 2차 구형화시키는 열매 투입방식의 오일 적하방법이 사용되고 있고,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솔더볼은 매우 높은 진구도를 유지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일정하여야 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이며, 패키지의 종류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다양한 크기( 300㎛, 350㎛, 450㎛, 760㎛ 등)의 솔더볼이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열매 투입방식에 비해 고속 생산할 수 있는 솔더볼과 같은 금속볼 제조장치 및 방법은 진동분무법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1754년 프랑스의 Nollet가 최초로 연구를 시작한 이래 영국의 Lord Rayleigh에 의해 이론적 바탕이 확립되었고, 이후 잉크젯 프린트 등에 산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근래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정밀 금속 및 세라믹 볼의 대량 제조에 적용하려는 시도와 연구가 진행중이다.
진동분무법은 분무조건에 따라 연속 액적형성모드(Continuous Pressurized Flow mode)와 비연속 액적형성모드(Drop On Demand mode)의 두가지 형태로 작동되는데, 미국 특허번호 제 5,266,098호에서 기술되어 있는 연속 액적형성모드를 이용한 금속분말 제조에서는 압전체와 같이 발생 진동의 진폭이 매우 작은 진동발생자를 채택함에 따라 노즐에서 분무된 입자들의 간격이 짧아 비산도중 합착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산입자를 대전시켜, 입자간 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였으나, 각 액적이 서로 엉겨 붙는 현상을 막기 위해 수백 볼트의 전압을 가하였지만 서로 붙는 현상을 산업적 의미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고, 또한 고전압 취급에 따른 위험성이 뒤따른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을 보다 실질적으로 근접한 솔더볼과 같은 금속볼 제조장치는 미국 특허번호 제 5,609,919호가 제안되어 있고, 이는 용탕 또는 슬러리 상태의 물질을 기계적 또는 열적 응력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구멍(Opening)을 가지는 노즐을 장착한 용기에 장입한 다음, 노즐구멍 상부에 설치된 진동발생장치(Impulse Generator)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노즐을 통해 용탕 또는 슬러리를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에 의해 가해진 진동은 특성상 수직으로 진행하며, 흐름방향으로 노즐상의 유체에 불연속적으로 가해진 진동 힘은 구멍를 통해 일정한 크기의 액적들의 흐름을 야기시키게 되고, 이러한 진동의 주파수는 넓은 영역에 걸쳐 변경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10~20,000㎐이고, 예상컨대 60,000㎐만큼 높은 주파수 영역) 이때, 행정거리(진폭)는 대개 0.1∼8mm이고 1∼2mm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나타나 있으며, 이것은 노즐로 밀어내는 압력을 가하는 작동이 진동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고, 결국 노즐의 출구를 통해 액적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인 미국 특허번호 제 5,609,919호는 비연속 액적형성모드를 채택하고 일정대역에서 높은 진폭을 가지는 진동발생장치를 적용하여 비산 액적간 거리를 k π배이상 띄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비연속 액적형성모드의 특성상 생산량이 연속모드에 비해 많이 떨어지고, 특히 기계적인 진동장치의 구성으로 불연속 액적형성을 시도하기 위해 진폭을 과도하게 크게 하여 기계적 노이즈가 발생되어, 입도분포가 연속 액적형성모드에 비해 넓게 되는 관계로 인해 공차가 10수 ㎛ 정도의 내외 인 솔더볼을 제조하기에 부적합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해주는 진동주파수에 대한 생성 액적수는 거의 동일하거나 조금 많으며, 미국특허 제5,609,909에서 채택한 불연속 모드에서 나타나는 주파수와 생성액적수의 비에 대한 결과와 매우 흡사하다. 현재까지 그 형성기구에 대해서 잘 알려진 바는 없으나, 이것은 아마도 저주파와 적정 가압 및 분사액체의 물성에 따라서 연속 액적형성 모드에서도 비산중 합착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비산액적간의 거리(생성 액적의 중심을 기준으로 액적지름으로 약 3배)를 두면서, 균일한 입도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불연속 모드에서와 같이 과도한 진폭의 진동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기계적 노이즈를 줄여 더 좁은 입도분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비지에이(BGA), 시에스피(CSP) 및 플립칩에 사용되는 솔더볼의 제조장치에 있어 전자 및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적하되는 입자간의 합착을 방지하기 위해 300~5,000㎐의 주파수와, 1.8∼50㎛의 진폭의 연속 액적형성 모드를 기본으로 하여 직경 100~1500㎛ 범위의 솔더볼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균일한 액적(용융금속)을 적하하는 액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액적형성장치에 일정량의 용융금속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와, 적하되는 액적을 냉각오일로서 냉각시켜 솔더볼을 형성하는 챔버에 구간별로 온도구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냉각오일의 온도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진구도, 표면조도, 입도분포가 양호하며 재용융 특성이 뛰어난 고품질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는 솔더볼형성부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압력차유지장치에 의해 상.하부챔버 내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일한 액적의 형성으로 인한 일정한 크기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조된 솔더볼의 샘플채취와 제조된 솔더볼의 수거시 시스템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잦은 시스템의 가동과 중단시 공정 안정화 단계까지 발생되는 불량을 없애 균일한 입도의 솔더볼을 대량생산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는 비지에이 패키지, 시에스피, 플립칩에 사용되는 솔더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분리대에 의해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로 구분되는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분리대 중앙부에는 높은 진폭의 진동으로 파쇄된 용융금속의 액적을 적하하고, 유입된 용융금속의 수위를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균일한 액적을 형성하는 액적형성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의 상측에는 투입되는 합금을 용융 혼합하여 상기 액적형성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에 공급된 용융금속이 적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용융금속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의 하측에는 상기 액적형성장치로부터 적하되는 용융금속을 냉각오일로서 냉각하고, 적정한 온도구배의 유지와 오일의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진구도가 높은 솔더볼을 형성하는 오일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탱크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솔더볼을 급격히 냉각시키고 솔더볼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샘플채취기가 설치된 냉각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의 하측에는 작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솔더볼과 냉각오일의 분리 포집이 가능한 포집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챔버의 일측에는 내부의 압력차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압력차유지장치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인쇄회로기판에 반도체 패키지가 장착되는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크기에 따른 여러 종류의 솔더볼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액적형성장치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오일탱크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샘플채취기
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냉각부와
포집부의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 : 용융금속 공급장치 10a : 교반기 10b : 배출조절기
11 : 용해로 12 : 가열부 13 : 교반날개
13a : 회전봉 14 : 교반모터 15 : 실린더
16 : 구동축 17 : 스토퍼 18 : 토출관
20 : 액적형성장치 21a : 요크 21b : 턴디쉬
23 : 진동발생장치 24 : 플란져 25 : 노즐
26 : 용탕공급관 27a : 제 1 레벨감지센서 27b : 제 2 레벨감지센서
28a : 통공 28b : 격벽 29a : 제 1 저장조
29b : 제 2 저장조 30 : 챔버 31 : 오일탱크
33a~33c : 써모카플러 34a~43c : 대류방지편
35 : 냉각기 36 : 냉각오일 37 : 솔더볼
38a : 상부챔버 38b : 하부챔버 39 : 분리대
40 : 냉각부 42. 44 : 냉각수 순환부 41 : 제 1 냉각탱크
43 : 제 2 냉각탱크 50 : 샘플채취기 51a, 51b : 노브
52 : 샤프트 53 : 부싱 54 : 오링
55 : 요홈부 60 : 포집부 61 : 보조 포집탱크
62 : 제 2 밸브 63 : 오일/솔더볼 분리탱크 64 : 제 1 밸브
65 : 걸름망 70 : 압력차유지장치 71 : 압력차감지부
72, 73 : 제 1, 제 2 솔레노이드밸브 75 : 가스공급부
80 : 솔더와이어 81 : 케이스 82 : 보빈
83 : 와이어피더 TH : 온도감지센서
19, 22, 26a, 32a, 32b : 히터
이하 첨부된 도 3에 의해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과 시스템 전체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대(39)가 설치된 상부챔버(38a)의 하측에 하부챔버(38b)가 설치되어 챔버(30)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대(39) 중앙부에는 전자장치 및 기계적인 구조로서 높은 진폭을 가지며 300~5,000㎐의 진동수로 진동되는 진동발생장치에 의해 직경 100~1500㎛ 범위내에서 용융금속의 액적(液滴)을 적하(滴下)하고, 투입된 용융금속의 수위를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균일한 액적을 형성하는 액적형성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액적형성장치(20)의 상측에는 투입되는 납(Pb)과 주석(Sn)을 비롯한 450℃ 이내의 용융점을 가지는 합금을 용융 및 고르게 혼합하여 상기 액적형성장치 (2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되, 이 액적형성장치(20)에 유입된 용융금속이 적정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용융금속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10)가 설치된다.
상기 액적형성장치(20)의 하측에는 액적형성장치(20)로부터 직경 100~1500㎛ 범위에서 적하되는 용융금속을 유입되어 있는 냉각오일(36)로서 냉각하고, 적정한 온도구배의 유지와 오일의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균일한 표면장력에 의해 진구도가 높은 솔더볼(37)을 형성하는 오일탱크(31)가 설치된다.
상기 오일탱크(31)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솔더볼(37)을 급격히 냉각시키고 솔더볼(37)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샘플채취기(50)가 설치된 냉각부(40)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부(40)의 하측에는 작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솔더볼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집부(6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챔버(38a) 및 하부챔버(38b)의 일측에는 내부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차유지장치(7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차유지장치(70)에 의해 상.하부챔버(38a)(38b) 내부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용융금속 공급장치(10)로부터 액적형성장치(20)에 용융금속을 공급하게 되고, 액적형성장치(20)내에 용융금속이 일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300~5,000㎐의 진동수로 진동되는 진동발생장치(23)의 구동으로 용융금속을 직경 100~1500㎛ 범위의 균일한 액적(液滴)으로 형성하여 적하(滴下)시킨다.
따라서 상기 액적형성장치(20)로부터 적하되는 용융금속인 액적은 오일탱크 (31)내에 유입되어 있는 냉각오일(36)에 의해 서서히 냉각되며, 오일탱크(31)의 적정한 온도구배의 유지 및 오일탱크(31) 내부에서의 오일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균일한 표면장력에 의해 진구도가 높은 솔더볼(37)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솔더볼(37)은 냉각부(40)를 경유함에 따라 솔더볼(37)을 급속히 냉각시키게 되며, 이 냉각된 솔더볼(37)은 포집부(60)의 보조 포집탱크(61)를 거쳐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로 모이게되고, 밸브(62)의 개폐로 인해 포집된 솔더볼을 작업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포집이 가능하며, 샘플채취기(50)에 의해 임의적으로 솔더볼(37)의 채취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대(39)가 설치된 상부챔버(38a)의 하측에 하부챔버(38b)가 설치되어 챔버(30)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챔버(38a)의 분리대(39) 중앙부에는 액적형성장치(20)가 설치된다.
압력차유지장치(70)는 도 3에서와 같이 챔버(30)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챔버(38a)(38b)의 압력차를 센싱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하는 압력차감지부(71)와, 상기 상.하부챔버(38a)(38b) 내부에 일정한 압력을유지하기 위해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를 제공하는 가스공급부(75)와, 상기 상.하부 하부챔버(38a)(38b)의 내부 압력이 일정범위를 초과할 경우 내부가스를 배출하는 제 1 솔레노이드밸브(72)와, 상기 가스공급부(75)에 저장된 불활성가스를 상부챔버(38a)에 공급하는 제 2 솔레노이드밸브(73)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용융금속 공급장치 및 액적형성장치의 확대단면도로서, 용융금속 공급장치(10)는 원통형의 용해로(11) 외주면에 납땜용 금속을 용융시키는 가열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용해로(11)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히터(19)가 설치된 토출관(18)을 통해 용융되어진 용융금속을 액적형성장치(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해로(11) 상부에는 용융된 금속을 고르게 혼합시키는 교반기(10a)가 설치되고, 상기 용해로(11)의 상부에는 액적형성장치(20)에 공급된 용융금속의 수위레벨에 따라 용융된 금속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배출조절기(10b)가 설치되며, 상기 용해로(11) 내부 일측에는 용융금속의 온도를 센싱하여 그에 비례한 전기적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온도감지센서(TH)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10a)는 종단부에 교반날개(13)가 설치된 회전봉(13)을 회전시키는 교반모터(14)를 구동하여 용융금속을 고르게 혼합하도록 구성되며, 배출조절기(10b)는 종단부에 스토퍼(17)가 형성된 구동축(16)을 실린더(15)로서 승하강시켜 용해로(11)의 토출관(18)을 개폐시킴으로써 용융금속의 배출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액적형성장치(20)는 외주면에 히터(22)가 설치된 턴디쉬(Turndish,)(21b) 및 이를 커버하고 있는 요크(Yoke)(21a)가 구비되고, 상기 턴디쉬(21b)는 통공(28a)이 형성된 격벽(28b)에 의해 제 1, 제 2 저장조(29a)(29b)로 구분되며, 상기 제 1 저장조(29a) 내부에는 외주에 히터(26a)가 설치되어 용융금속 공급장치 (1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금속을 공급하는 용탕공급관(26)과, 공급된 용융금속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 1, 제 2 레벨감지센서(27a)(27b)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저장조(29b) 의 하측 중앙부에는 직경 100~1500㎛의 노즐(25)이 형성되며, 제 2 저장조(29b)의 중앙부에는 전자 및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300~5,000㎐의 주파수로 진동하여 플란져(Plunger)(24)로서 노즐(25) 부위로부터 수 ㎜ 떨어져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장치(2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오일탱크 (31)의 확대단면도로서, 냉각오일(36)이 유입되어 있는 오일탱크(31)의 내주면에는 적하되는 액적이 표면장력에 의한 완전한 구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구역에 따라 일정한 온도구배를 유지하는 히터(32a)(32b)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31)의 내주면에는 오일의 온도 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오일탱크(31)내 온도구배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대류방지편(34a~43c)이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오일탱크(31)의 외측에는 각각의 구간별로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기적신호를 전송하는 써모카플러(33a~33c)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오일탱크(31)의 하부 외측에는 액적이 냉각오일(36)에 적하되어 형성된 솔더볼(37)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3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탱크(31) 내의 냉각오일(36)은 기존의 에틸렌 글리콜, 대두유, 실리콘 오일,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솔더볼의 양호한 구형도와 표면형상과 가격적인 측면을 고려해서 20℃에서 점도가 2.2∼65cSt인 것으로 통과 위치에 따라 200℃로부터 15℃ 사이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냉각부(40) 에 설치된 샘플채취기(50)의 확대단면도로서, 샤프트(52)의 양측에 노브(51a)(51b)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52)의 중앙부에 냉각오일(36)에 의해 냉각되어진 솔더볼 (37)이 안치되는 요홈부(55)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52)와 오일탱크(31) 사이에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부싱(53)과 오링(54)으로 밀폐되어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냉각부(40)와 포집부(60)의 확대단면도로서, 상기 냉각부(40)는 외주면에 냉각수 순환부(42) (44)가 설치되어 낙하되는 솔더볼(37)을 급격히 냉각시키는 제 1 및 제 2 냉각탱크 (41)(43)와, 상기 제 1 및 제 2 냉각탱크(41)(43) 사이에는 형성된 솔더볼(37)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샘플채취기(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포집부(60)는 제조된 솔더볼(37)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보조 포집탱크 (61)와, 걸름망(65)이 설치되어 오일(37)과 솔더볼(37)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포집탱크(61)의 상.하부에는 제 1 및 제 2 밸브(64)(62)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64)(62)의 개폐조작에 따라 작업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솔더볼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포집탱크(61)와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 사이에는 냉각오일(36)을 충진하기 위한 오일펌프(66)가 설치되고,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의 일측에는 오일과 솔더볼을 분리하기 위해 오일만을 흡입하고 세척전 입자와 혼입되어 있는 대부분의 오일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펌프(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차유지장치(70)에 의해 챔버(30)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챔버 (38a)(38b)의 내부 압력을 일정한 범위에서 균일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솔더볼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을 용융금속 공급장치(10)의 용해로(11) 내부에 적정량 투입하여 가열부(12)의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가열부(12)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용해로(11) 내부에 투입된 금속이 용융되며, 이때 교반기(10a)인 교반모터(14)의 동작으로 회전봉(13a)에 설치된 교반날개(13)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용융금속을 고르게 혼합시키게 되고, 용융금속의 온도는 온도감지센서(TH)에 의해 지속적으로 센싱되고 있다.
여기서 용해로(11)에 투입되는 금속이 Sn63 Pb37 공정 솔더 합금의 경우 가열부(12)의 온도를 185∼260℃의 온도로 제어하여 용융시킨다.
상기 온도감지센서(TH)에 의해 감지된 용융금속의 온도가 일정치 이상으로 도달될 경우 제어부에서는 배출조절기(10b)의 실린더(15)를 구동하여 구동축(16)에 연결 설치된 스토퍼(17)를 상승시킴에 따라 용융금속을 토출관(18)과 용탕공급관 (26)을 통해 액적형성장치(20)의 턴디쉬(21b)인 제 1 저장조(29a)에 유입된다.
이때 제 1 저장조(29a)로 유입된 용융금속은 격벽(28b)에 형성된 통공(28a)을 통해 제 2 저장조(29b)로 서서히 공급됨으로써 용탕공급관(26)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융금속에 의한 유동(출렁임) 없이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저장조(29a)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용융금속이 제 1 레벨감지센서(27a)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배출조절기 (10a)의 실린더(15)를 동작시킴에 따라 구동축(16)에 설치된 스토퍼(17)를 하강함으로써 용해로(11) 내부에 용융된 용융금속이 제 1 저장조(29a)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제 1 저장조(29a)에 유입된 용융금속이 소모되어 제 2 레벨감지센서(27b)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17)를 다시 상승시켜 용융금속의 유입을 재개함에 따라 턴디쉬(21b) 내부에는 항시 일정한 범위내에서 용융금속이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공급 또는 완전히 소진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일정한 규격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저장조(29a)에 지속적으로 저장되는 용융금속이 제 1 레벨감지센서(27a)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자장치 및 기계적인 구조로서 액적간 합착방지를 위해 비산 액적간 거리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진폭을 가지며 300~5,000㎐의 주파수로 진동되는 진동발생장치 (23)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진동발생장치(23)의 진동으로 인해 플란져(24)가 노즐 (25) 부위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수 ㎜ 떨어져 진동함으로써 제 2 저장조(29b)에 유입된 용융금속을 파쇄하여 직경 100~1500㎛ 범위내에서 액적을 형성하고, 이 액적은 노즐(25)을 통해 오일탱크(31)에 유입된 냉각오일(36)로 적하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탱크(31) 내부로 적하된 200℃ 이상의 액적은 냉각오일(36)에 의해 냉각되며, 이때 액적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진구도가 높은 구형의 솔더볼(37)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솔더볼(37)은 오일탱크(31) 내부에서 계속적으로 하강하여 천천히 냉각이 이루어지다가, 도 3 및 도 7에서와 같이 냉각부 (40)의 제 1 및 제 2 냉각탱크(41)(43)를 경유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냉각탱크(41)(43) 외주에 설치된 냉각수 순환부(42)(44)에 의해 급격히 냉각되어 포집부(60)의 보조 포집탱크(61)로 모이게 된다.
이때 200℃ 이상의 액적이 오일탱크(31) 내부로 적하되는 과정이 반복되어 오일탱크(31) 내부 냉각오일(36)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오일탱크(31) 내부에서 오일의 대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나, 도 5에서와 같이 오일탱크(31) 내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대류방지편(34a~34c)에 의해 냉각오일(36)의 온도상승에 의한 대류를 방지함으로써 오일탱크(31) 내부의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균일한 입자의 솔더볼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오일탱크(31)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써모카플러 (33a~33c)는 오일탱크(31)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각 구간의 써모카플러(33a~33c)에서 감지된 온도 레벨에 따라 오일탱크 (31) 내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히터(32a)(32b)의 발열을 조절하여 각 구간 마다 냉각오일(36)의 온도를 최적 상태로 유지시킴에 따라 액적에 가해지는 표면장력을 균일하게 유도함으로써 진구도가 매우 높은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히터(32a)(32b)의 발열 조절은 적하되는 액적의 크기 즉, 솔더볼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조절된다.
다음은 도 6에 의해 솔더볼(37)의 진구도 및 크기 등을 측정하기 위해 임의의 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샘플채취 과정을 설명하면, 오일탱크(31) 내부의 냉각오일(36)에 의해 냉각되어 냉각부(40)로 낙하되는 솔더볼(37)은 샤프트(52)의 중앙부에 형성된 요홈부(55)에 안착되며, 이 상태에서 샤프트(52)의 양측에 설치된 노브 (51a)(51b)를 당기게되면 부싱(53)에 의해 요홈부(55)가 외부로 노출되어 샘플을 채취하게 되고, 상기 부싱(53)과 오링(54)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냉각오일 (36)은 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계속적인 솔더볼(37)의 생산에 의해 포집부(60)인 보조 포집탱크(61)에 솔더볼(37)이 적정량 모일 경우 솔더볼을 배출하여야 하며, 이러한 솔더볼의 포집과정을 도 7에 도시된 포집부(60)의 확대단면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조 포집탱크(61)에 솔더볼(37)을 배출하기 위해 제 1 밸브(64)를 폐쇄시킨 다음 제 2 밸브(62)를 개방하게 되면 보조 포집탱크(6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오일(36)과 솔더볼(37)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때 솔더볼(37)은 걸름망 (65)에 의해 분리됨과 동시에 진공펌프(67)의 구동으로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게됨으로써 냉각오일(36)만 흡입하게 되어 솔더볼(37)과 냉각오일(36)이 서로 분리 포집된다.
이 후 보조 포집탱크(61)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오일(36)과 솔더볼(37)이 모두 배출이 완료되면 제 2 밸브(62)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오일펌프(66)를 가동하여 보조 포집탱크(61)에 설치된 주입밸브(a)를 통해 가득 채운 다음 제 1 밸브(64)를 개방함으로써 초기상태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밸브(64)(62)의 순차적인 개폐와, 보조 포집탱크(61) 및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에 의해 작업의 중단없이 제조된 솔더볼을 포집할 수 있게 되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솔더볼(37) 포집과정에서 잦은 제 1 및 제 2 밸브(64)(62)의 순차적인 개폐로 인해 액적형성장치(20)와 챔버(30)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챔버(38a) (38b)의 내부 압력이 떨어질 경우 균일한 솔더볼을 제조할 수 없게되므로 압력차유지장치(70)에 의해 압력을 일정한 범위내에서 균일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차유지장치(70)에서 상.하부챔버(38a) (38b) 내부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적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상.하부챔버(38a)(38b)의 내부 압력 차이를 판단하게 되고, 이 압력차가 설정된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제 2 솔레노이드밸브(73)를 개방하여 가스공급부(74)에 저장된 헬륨등의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또한 내부 압력차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 1 솔레노이드밸브(72)를 개방하여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내부압력을 낮추게되어 상.하부챔버(38a)(38b) 내부 압력차를 항시 550∼1500torr로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액적의 형성으로 인한 일정한 크기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에 있어 용융금속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케이스(81) 내부에 솔더와이어(80)가 권선된 보빈(82)이 설치되며, 상기 보빈(82)에 권선된 솔더와이어(80)는 와이어피더(83)에 의해 용탕공급관(26)으로 강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와이어피더(83)에 의해 보빈(82)에 권선된 솔더와이어(80)를 액적형성장치(20)의 용탕공급관(26)으로 강제로 이송시키게 되면 상기 솔더와이어(80)는 용탕공급관(26)의 외측에 설치된 히터(26a)에 의해 순간적으로 용융되어 용융금속으로 변화되고, 이 용융금속을 제 1 저장조(29a)에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솔더와이어 공급방식은 액적형성장치(20)에 유입된 용융금속의 수위레벨에 따라 와이어피더(83) 구동의 제한이 가능하여 액적형성장치(20)의 융융금속 수위를 보다 일정하게 유지하고, 열에너지 소모가 적으며, 특히 용탕의 적체에 따를 합금분리를 예방 할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는 전자 및 기계적인장치에 의해 300~5,000㎐의 진동으로 100~1500㎛ 범위의 솔더볼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균일한 액적을 적하하는 액적형성장치와, 상기 액적형성장치에 일정량의 용융금속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와, 적하되는 액적을 오일로서 냉각시켜 솔더볼을 형성하는 오일탱크에 구간별로 온도구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오일의 온도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을 방지하는 장치와, 상.하부챔버 내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차유지장치와, 제조된 솔더볼의 샘플채취가 가능한 샘플채취기와, 제조된 솔더볼의 수거시 시스템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제조가 가능한 포집부로 구성되어 균일한 액적의 형성으로 인한 일정한 크기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진구도, 표면조도, 입도분포가 양호하여 재용융 특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솔더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된 솔더볼의 샘플채취와, 제조된 솔더볼의 수거시 시스템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제조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비지에이(BGA) 패키지, 시에스피(CSP), 플립칩에 사용되는 솔더볼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분리대(39)가 설치된 상부챔버(38a)의 하측에 하부챔버(38b)가 설치되어 챔버(30)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대(39) 중앙부에는 높은 진폭의 진동으로 파쇄된 용융금속의 액적을 적하하고, 유입된 용융금속의 수위를 일정레벨로 유지하여 균일한 액적을 형성하는 액적형성장치(20)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20)의 상측에는 투입되는 합금을 용융 혼합하여 상기 액적형성장치(20)에 공급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20)에 공급된 용융금속이 적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용융금속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용융금속 공급장치(10)가 설치되고,
    상기 액적형성장치(20)의 하측에는 상기 액적형성장치(20)로부터 적하되는 용융금속을 냉각오일로서 냉각하고, 적정한 온도구배의 유지와 오일의 대류현상을 방지하여 진구도가 높은 솔더볼을 형성하는 오일탱크(31)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탱크(31)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솔더볼을 급격히 냉각시키고 솔더볼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는 샘플채취기(50)가 설치된 냉각부(40)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부(40)의 하측에는 작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솔더볼과 냉각오일의 분리 포집이 가능한 포집부(6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챔버(38a) 및 하부챔버(38b)의 일측에는 내부의 압력차를 동일하게유지시키는 압력차유지장치(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형성장치(20)는,
    외주면에 히터(22)가 설치되며 통공(28a)이 형성된 격벽(28b)에 의해 제 1, 제 2 저장조(29a)(29b)로 구분되는 턴디쉬(21b)와,
    상기 턴디쉬(21b) 상측에 설치되어 이를 커버하고 있는 요크(21a)와,
    상기 제 1 저장조(29a)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히터(26a)가 설치되어 상기 용융금속 공급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금속을 상기 제 1 저장조(29a)로 공급하는 용탕공급관(26)과,
    상기 제 1 저장조(29a)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디쉬(21b) 내부에 공급된 용융금속의 상.하한 수위를 감지하는 제 1, 제 2 레벨감지센서(27a)(27b)와,
    상기 제 2 저장조(29b)의 하측 중앙부에 형성되어 액적을 배출하는 노즐(25)과,
    상기 제 2 저장조(29b)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300~5,000㎐ 주파수로 플란져(24)의 수직방향 진동에 의한 융융금속을 파쇄하여 직경 100~ 1500㎛ 범위의 액적을 형성시키는 진동발생장치(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 공급장치(10)는,
    원통형의 용해로(11) 외주면에 설치되어 납땜용 금속을 용융시키는 가열부(12)와,
    상기 용해로(11)의 하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히터(19)가 설치되어 용융금속을 액적형성장치(20)로 공급하는 배출관(18)과,
    상기 용해로(11)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용융된 금속을 고르게 혼합시키는 교반기(10a)와,
    상기 용해로(11)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액적형성장치(20)의 제 1, 제 2 레벨감지센서(27a)(27b)의 수위레벨에 따라 용융금속을 공급 및 차단하는 배출조절기(10b)와,
    상기 용해로(11)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용융금속의 온도를 센싱하여 상기 배출조절기(10b)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센서(TH)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탱크(31)는,
    상기 오일탱크(31)의 내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구역에 따라 일정한 온도구배를 유지하기 위한 히터(32a)(32b)와,
    상기 오일탱크(31)의 내주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냉각오일(36)의 온도 상승에 의한 대류현상을 방지하는 다수의 대류방지편(34a~43c)과,
    상기 오일탱크(31)의 외측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구역에 따라 일정한 온도구배를 유지하기 각각의 구간별로 온도를 센싱하는 써모카플러(33a~33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60)는,
    상부 일측에 걸름망(65)이 설치되어 진공펌프에 의해 솔더볼(37)과 냉각오일(36)을 분리시키는 오일/솔더볼 분리탱크(63)와,
    상하 양측에 제 1 및 제 2 밸브(64)(62)가 설치되어 냉각부(40)를 통해 낙하되는 솔더볼(37)을 일시적으로 포집하는 보조 포집탱크(61)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밸브(64)(62)의 순차적인 개폐에 의해 작업의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솔더볼의 포집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채취기(50)는,
    출몰이 가능한 샤프트(52)의 양측에 노브(51a)(51b)가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52)의 중앙부에 냉각오일(36)에 의해 냉각되어진 솔더볼(37)이 유입되는 요홈부(55)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52)와 오일탱크(31) 사이에 부싱(53)과 오링(54)으로 밀폐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금속 공급장치(10)는,
    케이스(81) 내부에 솔더와이어(80)가 권선된 보빈(82)이 설치되고,
    상기 솔더와이어(80)가 와이어피더(83)에 의해 용탕공급관(26)으로 강제 이송되도록 구성된 와이어 피딩장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KR1020000041934A 1999-07-28 2000-07-21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KR10033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34A KR100337152B1 (ko) 1999-07-28 2000-07-21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30949 1999-07-28
KR1019990030949 1999-07-28
KR1020000041934A KR100337152B1 (ko) 1999-07-28 2000-07-21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948A KR20010066948A (ko) 2001-07-11
KR100337152B1 true KR100337152B1 (ko) 2002-05-18

Family

ID=2663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934A KR100337152B1 (ko) 1999-07-28 2000-07-21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30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에이엠씨 오일 적하방식의 반도체 패키지용 솔더볼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23B1 (ko) * 2005-03-10 2006-12-13 주식회사 휘닉스피디이 균일한 크기의 구상 솔더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09597B1 (ko) * 2005-04-22 2006-08-08 주식회사 기성테크 소형 금속구 제조장치
KR100863772B1 (ko) * 2007-09-14 2008-10-15 한국과학기술원 솔더볼 및 공동이 형성된 몰드를 이용한 솔더볼의 제조방법
KR101035136B1 (ko) * 2009-06-19 2011-05-17 이정구 연마석을 이용한 미세 저융점 금속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35367B1 (ko) * 2013-01-24 2014-08-28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력을 이용한 균일한 미세 솔더볼 제조 방법 및 장치
CN112964205B (zh) * 2021-02-18 2022-09-1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熔化极气体保护焊熔滴尺寸的在线检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430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에이엠씨 오일 적하방식의 반도체 패키지용 솔더볼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948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0123A1 (en) Production apparatus of monodisperse particle and production process of monodisperse particle and monodisperse particle produced by the process
US5411602A (en) Sold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0337152B1 (ko) 오일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JP2009035476A (ja) 球状のデバイスのためのジェットシステム
US20020056950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fine metal balls
JP2000328112A (ja) はんだボール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装置
KR100337154B1 (ko) 가스 적하방식의 솔더볼 제조장치
KR100370863B1 (ko) 금속용탕으로부터의 금속분말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0609597B1 (ko) 소형 금속구 제조장치
KR100370861B1 (ko) 고정밀도 및 고수율의 엔지니어링 볼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522687B1 (ko) 마이크로 솔더볼 제조 장치
KR200264578Y1 (ko) 오일 적하방식의 반도체 패키지용 솔더볼 제조장치
KR20030039430A (ko) 오일 적하방식의 반도체 패키지용 솔더볼 제조장치
KR100386893B1 (ko) 고정밀도 및 고수율의 엔지니어링 볼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9990086315A (ko) 솔더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656223B1 (ko) 균일한 크기의 구상 솔더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74960B1 (ko) 초음파 진동회전판을 이용한 마이크로 금속파우더 제작장치
KR100386896B1 (ko) 금속용탕으로부터의 금속분말 제조장치
KR101035136B1 (ko) 연마석을 이용한 미세 저융점 금속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4850483B (zh) 一种快速高效筛选均一焊球的装置及方法
KR100386894B1 (ko) 고정밀도 및 고수율의 엔지니어링 볼의 제조장치
JP2002317211A (ja) 金属球製造方法
CN212239190U (zh) 一种毫米级金属球的制备装置
KR20030085864A (ko) 고정밀도 및 고수율의 엔지니어링 볼의 제조방법과 그장치
KR100469019B1 (ko) 가스플레임애터마이징법에 의한 마이크로 금속볼 제조방법및 그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111

Effective date: 200512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202

Effective date: 2006121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109

Effective date: 20091112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20

Effective date: 201004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