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867B1 -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867B1
KR100336867B1 KR1019960039211A KR19960039211A KR100336867B1 KR 100336867 B1 KR100336867 B1 KR 100336867B1 KR 1019960039211 A KR1019960039211 A KR 1019960039211A KR 19960039211 A KR19960039211 A KR 19960039211A KR 100336867 B1 KR100336867 B1 KR 10033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nveying member
conveyed
rotat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428A (ko
Inventor
이와오 시모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시모니시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241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772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08172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02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289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32823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시모니시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시모니시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97001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4/00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54/02Non-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ostatic, electric, or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반송장치는 통상(筒狀)의 반송부재를 포함한다. 반송부재의 외주면에는 예컨대, 단면원형의 선재(線材)로 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가 코일상으로 감겨 붙혀진다. 반송부재의 안에는 주상의 회전부재가 회동자재로 내장된다. 회전부재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에 따라 자력발생부가 직선상으로 배열된다. 회전부재를 모터 등의 회전수단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는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반송된다. 반송부재의 하방에는 피반송물품을 안내공급하는 안내용기가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회동자재로 배설된다.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상부에는 피반송물을 반송부재의 반송로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가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또한 반송부재의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 지지구에 의해 부착된다. 지지구는 반송부재를 협지하는 1쌍의 협지부재와 그것을 조여붙히는 조여붙임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반송장치(搬送裝置)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이 발명은 반송장치에 관하여 특히 예컨대, 강구(鋼球), 작은나사, 볼트, 너트, 기타 자성재료로 되는 여러 가지 물품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물품을 상방으로 반송시키는 반송장치로서는 예컨대, 버킷엘리베이터 등이 있었다. 이 반송장치는 무단환상(無端環狀)의 사슬 또는 벨트에 일정간격으로 버킷을 달고 버킷 안에 소망하는 물품을 넣어 연속적으로 상방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또 제 32도 (A)는 이 발명의 배경으로 되는 종래의 반송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이 반송장치(1)는 마그넷롤러(2a)를 갖는 벨트컨베이어(2)를 포함하고, 벨트(3)의 이면측에 마그넷플레이트 내지 마그넷바 등의 마그넷부(4)가 배설된다. 이 반송장치(1)에 의하면 마그넷부(4)의 자하력에 의해 벨트(3)의 표면에피반송물(W)을 자기적으로 흡착시켜서 비스듬 상방으로 반송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32도 (B)는 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의 반송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이 반송장치(1)는 유저통상(有底筒狀)의 반송부재(5)를 포함한다. 반송부재(5)의 안에는 회전축(6)이 회전자재로 형성된다. 회전축(6)은, 베어링(7)에 의해 반송부재(5)에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회전축(6)의 외주면에는 나선상으로 홈(8)이 형성된다. 홈(8)의 안에는 복수의 마그넷(9)이 형성된다. 이 반송장치(1)에 의하면, 회전축(6)을 회전시킴으로써, 반송부재(5)의 외주면에 예컨대, 철분 등의 피반송물(W)을 자기적(磁氣的)으로 흡착시켜서, 비스듬 상방으로 반송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종래예의 반송장치에서는 통상 피반송물을 엘리베이터장치 내지 컨베이어 장치에서 집어내 다른 장소로 피반송물을 이송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버킷엘리베이터로 구성되는 반송장치에서는 버킷을 만드는 등의 수고가 드는 것 외에, 엘리베이터 장치자체가 꽤 커지게 됨으로, 반송장치 전체의 설치 공간을 넓게 잡을 필요가 있어 운전경비도 비싸게 치어왔다.
제 32도 (A)에 표시하는 반송장치(1)에서는 컨베이어 장치 자체의 설치공간을 넓게 잡을 필요가 있는 위에, 피반송물(W)이 벨트(3)의 표면에 자기적인 흡착력만으로 지지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벨트(3)와의 접촉면이 작은 예컨대, 강구 등의 피반송물을 수직방향으로 반송시키기가 곤란했다.
제 32도 (B)에 표시하는 반송장치(1)에서는 철분 등의 피반송물을 비스듬 상방으로 이송하기는 좋으나, 그것보다 큰 예컨대, 강구, 작은나사, 볼트, 너트, 코일스프링 등의 피반송물을 상방, 특히 수직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제 32도 (A) 및 제 32도 (B)에 표시하는 종래예의 반송장치(1)에서는 예컨대 6각 볼트나 6각 너트 둥의 피반송물, 또는 3각 주상(柱狀) 등의 비교적 접촉 면적이 큰 주상의 피반송물을 반송할 때에 자화(磁化)된 피반송물이 면과 면이 흡착하여 피반송물끼리가 이어져 다리를 걸친 상테로 되는 소위 브리징(bridging)이 발생하여, 괴반송물을 원활하게 반송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의 각 종래예의 반송장치에서는 피반송물을 엘리베이터장치 내지 컨베이어장치의 반송로에서 꺼내어, 피반송물을 다른 장소로 이송할 때, 반송로의 소정의 꺼내는 위치에서, 또한 고정된 위치에서 피반송물을 꺼내어 배출하는 구조로 돼 있기 때문에, 피반송물의 꺼내는 위치를 간단히 변경하기가 곤란하였다.
(발명의 요약)
그래서 이 발명의 제1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피반송물을 소망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고, 또 최소한의 공간으로써 간단하게 피반송물품을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이 발명의 제2의 목적을 간단한 구조, 최소한의 공간으로 피반송물을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고 또한 피반송물은 브리징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송되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물품을 소망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고, 소망하는 꺼내는 위치에서 또 소망하는 꺼내는방향으로 피반송물을 반송로에서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가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9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통상의 반송부재와 피반송물을 일시적으로 모아 두고, 피반송물을 반송부재로 공급하는 안내용기와, 반송부재에 내장되어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배설되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와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배설되는 반송로용 지지 가이드와, 안내용기에서 반송부재에 공급되는 피반송물의 브리징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을 포함하고,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안내용기에서 공급되는 피반송물은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것이다.
제 10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방지수단이 피반송물을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에 따르게 이행시키는 이행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1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이행수단이 피반송물을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교반시키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2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이행수단이 피반송물을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3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교반수단이 안내용기를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14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통상의 반송부재와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일방 측에 배설되어, 피반송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피반송물을 반송부재에 공급하는안내용기와 반송부재에 내장되어,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와, 회전 부재의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배설되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과,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재설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와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피반송물을 반송시키기 위한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안내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회전부재과 회전하는 것으로써, 안내용기에서 공급되는 피방송물은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반송되는 것이다.
제 15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반송부재가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피반송물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일방에서 타방으로 반송되는 것이다.
제 16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일방에서 타방으로 뻗는 반송로에 따라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수단의 반송로에서 반송되어 오는 피반송물을 반송로에서 떨어진 다른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와, 이송통로를 반송수단의 반송로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지지수단은 반송수단의 반송로를 협지하는 1쌍의 협지부재와 1쌍의 협지부재를 반송수단의 반송로에 죄어붙이는 체부(締付)수단을 갖고, 1쌍의 협지부재는 반송로의 반송방향에 변위자재로 또, 반송로의 주위에 회동자재로 부착되는 것이다.
제 17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통상의 반송부재와 반송부재에 내장되어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배설되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와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배설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되어온 피반송물을 반송부재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와, 이송통로를 반송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피반송물을 반송로용지지가이드의 진행하는 방향에 반송시키도록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피반송물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피반송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피반송물이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에서 지지수단은 반송부재에 협지되는 1쌍의 협지부재와, 1쌍의 협지부재를 반송부재에 죄붙이는 체부수단을 갖고, 1쌍의 협지부재는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변위자재로 또한 반송부재의 원주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부착되는 것이다.
제 18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1쌍의 협지부재의 내주면에 반송로용 지지가이드를 감합(嵌合)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 19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통상의 반송부재와 반송부재에 내장되어 회동 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배설되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와,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형성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되어 온 피반송물을 반송부재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와, 이송통로를 반송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피반송물을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반송시키도록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피반송물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어,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에서 지지수단은 반송부재의 주위에 협지되는 1쌍의 협지부재와, 1쌍의 협지부재를 반송부재에 죄붙이는 체부수단을 갖고, 1쌍의 협지부재는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변위자재로 또한 반송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부착되고 1쌍의 협지부재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감합되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지름보다도 폭넓은 홈폭을 갖고 코일상의 홈부, 반송부재의 외주면과 당접(當接)하는 당접부과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 20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1쌍의 협지부재의 끝부간에 이송통로를 달기 위한 부착수단이 배설되는 것이다.
제 21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피반송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피반송물을 반송부재로 공급하는 안내용기를 더 포함하고, 안내용기는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자재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 22항에 기재한 반송장치는 반송부재가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알방에서 타방으로 반송되는 것이다.
제 9항∼제 15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안내용기에 따라 일시적으로 모아진 피반송물이 반송부재에 공급 안내된다. 자력발생부에서의 자력선에 의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는 자화력이 작용하여 자계가 발생한다. 그래서, 반송부재의 외주면에는 피반송물이 자기적으로 흡착한다. 그리고,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피반송물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된다. 또, 방지수단에 의해 안내용기에서 반송부재로 공급되는 피반송물의 브리징이 방지된다.
제 10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이행수단에 따라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그 반송방향으로 이행된다. 이 경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 방향으로 피반송물이 움직여진다.
제 11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교반수단에 의해, 피반송물이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교반되기 때문에,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이행한다.
제 12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요동수단에 의해 피반송물이 요동하기 때문에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이행한다.
제 13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회동수단에 의해 안내용기가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이행한다.
곧, 제 10항∼제 13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이행수단, 교반수단, 요동수단 내지 회동수단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를 거쳐서 피반송물을 반송부재의 흡착방향으로 또한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피반송물을 이행시키기 때문에 피반송물의 브리징 상태를 풀어내도록 작용한다. 그래서 제 10항∼제 13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안내용기에서 반송부재로 공급되는 피반송물의 브리징이 방지된다.
제 14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제 9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자석에 의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있고, 또 안내용기는 회전수단에 의해 피반송물을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감기방향이 오른쪽 방향일 때는 안내용기는 오른쪽 나사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감기방향이 왼쪽방향일 때는 안내용기는 왼쪽나사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곧 제 14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안내용기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안내용기에서 반송부재로 공급되는 피반송물의 브리징이 방지된다.
제 15항에 기재한 반송창치에서는 제 9항∼제 14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반송부재가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배설되기 때문에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수직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때 반송부재가 입설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작아진다.
제 9항∼제 15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 최소한의 공간으로 피반송물을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고 또한 피반송물을 브리징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반송할 수가 있다.
제 16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반송수단에 의해 피반송물이 일방에서 타방으로 뻗는 반송로에 따라 반송되어 이송통로를 지나서 반송로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된다. 이송수단은 지지수단에 의해 반송수단의 반송로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된다. 이때 반송수단의 반송로는 1쌍의 협지부재로 협지되어, 체부수단으로 반송로에 조여붙혀진다. 또한 1쌍의 협지부재는 적의, 반송로의 반송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또한, 반송로의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다.
제 17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제 16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자력발생부에서의 자력선의 의해,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화력이 작용하여 자계가 발생한다. 그래서, 반송부재의 외주면에는 피반송물이 자기적으로 흡착한다. 그리고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피반송물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된다. 피반송물을 반송부재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 통로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1쌍의 협지부재가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변위자재로 반송부재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자재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1쌍의 협지부재는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소망하는 위치에서 또한 반송부재의 원주방향의 소망하는 방위로 움직여져 체부수단에 의해 그 위치에 조여붙혀서 고정된다.
제 18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1쌍의 협지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 있는 코일상의 홈부에 의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가 반송부재의 지름방향의 양쪽에서 협지된다.
제 19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제 17항 및 제 18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1쌍의 협지부재에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지름보다도 폭넓은 홈폭을 갖는 코일상의 홈부가 형성돼 있기 때문에 코일상의 반송로용 지지가아드의 피치 및 리드각(lead 角)이 변하여도 폭 넓은 홈부의 사이에 반송로용 지지가이드가 감합되어 반송부재의 지름방향의 양쪽에서 반송로용 지지가이드를 협지한다. 또한 1쌍의 협지부재는 그 당접부가 반송부재의 외주면과 당접하기 때문에 안정하여 반송부재에 협지된다.
제 20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부착수단에 따라 1쌍의 협지부재의 단부간에 이송통로가 부착된다.
제 21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안내용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모아져있던 피반송물이 반송부재로 공급된다. 안내용기가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이행한다. 그래서 반송부재로 안내 공급되는 피반송물의 브리징이 방지된다.
제 22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서는 반송부재가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배설되기 때문에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으로 수직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때 반송부재가 입설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작게 된다.
제 16항∼제 22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물품을 소망하는 임의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할 수가 있고, 또한 소망하는 꺼내는 위치에서 또한 소망하는 꺼내기 방향으로 피반송물을 반송로에서 다른 장소로 이송할 수가 있다.
제 19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 의하면 특히 폭넓게 형성된 코일상의 홈부에 의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피치 및 리드각이 바뀌어도 그들에 대응하여 반송로용 지지가이드를 협지할 수가 있고, 또한 당접부가 반송부재의 외주면과 당접하기 때문에 안정하여 반송부재를 협지할 수가 있다.
제 21항에 기재한 반송장치에 의하면 특히 안내용기가 회전부재와 동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써 피반송물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이행함으로 피반송물의 브리징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상기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아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서 한층 명백해 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기제)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도 (A) 및 제2도 (B)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 (A)는 그 평면도이며, 제2도 (B)는 그 정면도이다. 제 3도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부재의 부착상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 확대도이다.
반송장치(10)는 예컨대 비자성재료로 되는 원통상의 반송부재(12)를 포함한다. 반송부재(12)는 피반송물품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반송부재(12)는 예컨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 합금, 놋쇠, 스테인레스 등의 비철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반송물품을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반송하기 위해 반송부재(12)가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배설돼 있다. 또 반송부재(12)가 예컨대 SUS304 등의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형성돼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의 비자성체에는 자화되는 강도가 철, 니켈, 코발트 등의 강자성체만큼 강하지 않는 상(常)자성체 둥도 포함된다.
이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상단쪽에는 후술의 회전축(24)을 회전시키는 모터 M1을 갖춘 모터드라이브유닛(14)을 붙히기 위해 모터부착대(15)가 설치된다. 모터부착대(15)에 고정된 모터(M1)은 예컨대 제3도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플랜지(flange)부(16)를 거쳐서 회전축(24)에 접속된다. 플랜지부(16)의 동체부(16a)에는 그 외주면에서 내공부로 연통하는 복수의 나사구멍(18a)이 설치된다. 반송부재(12)는 제2도에 나타나 듯이 나사구멍(18a)에 나합(螺合)되는 고정나사(18b)에 의해 플랜지부(16)에 고정된다. 또한 플랜지부(16)에는 모터M1을 지지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가 고착된다. 고정부재(20)는 단면 약 L자형으로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장변부(20a)가 예컨대 용접 및 볼트· 너트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플랜지(16)의 날 밑부()(16b)에 고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0)의 단변부(20b)는 예컨대, 제1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소망의 장소에 고착되고 모터드라이브유닛(14)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20)의 단변부(20b)가 반송장치(10) 전체를 지지하는 후술의 프레임(frame)(100)의 테두리부재(103)에 설치된 부착편(103a)에 볼트·너트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반송부재(12)의 안에는 회전부재로서 회전 요크부(22)가 배설된다. 회전 요크부(22)는 예컨대 원주상의 회전축(24)과 후술하는 자력발생부(38)와로 구성된다. 회전축(24)은 예컨대, 알루미늄, 놋쇠 둥의 비철금속재료나 합성수지재료 등으로 형성된다. 회전축(24)은 그 축방향의 상단측이 모터M1의 구동축(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회동자재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24)의 축방향의 상단측에는 회전축(24)을 모터M1에 달기 위한 축부착 구멍(26)이 설치된다. 회전축(24)의 축방향의 상단측에는 외주면에서 축부착 구멍(26)에 연통하는 나사구멍(28a)이 설치된다. 모터M1의 구동축(도시되지 않음)은 축부착 구멍(26)에 삽입되어 나사구멍(28a)에 나합되는 고정나사(28b)로 회전축(24)과 연결된다. 회전축(24)은 그 축방향의 상단이 축받이(30)로 축방향의 하단이 축받이(32)로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또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에는 부시(bush)(34)가 끼워넣어져, 예컨대 작은나사(36)로 고정된다. 또 부시(34)는 예컨대 용접 또는 코킹(calking) 등의 방법에 의해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에 고정 되어도 좋다.
회전축(24)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예컨대 제3도 및 제4도(A) 등에 나타나듯이 회전축(24)의 축방향에 따라 직선상으로 뻗어서 자력발생부(38)가 형성된다. 곧 회전축(24)의 외주면에는 회전축(24)의 상단에서 축방향의 하단쪽으로 직선상으로 뻗는 홈부(40)가 예컨대 1열 형성된다. 홈부(40)는 제4도 (B)에 나타나듯이 예컨대 단면 「ㄷ」 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홈부(40)의 안에는 예컨대 복수의 "책상" 모양의 자석편(42) 및 요크편(44)가 끼워 넣어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석편(42)이 예컨대 영구자석으로 형성돼 있다.
또한 자력발생부(38)으로서는 예컨대 전자석 등으로 자계를 발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자력발생부(38)는 회전축(24)의 축방향에 따라 예컨대 원상, 나선상으로 뻗어 설치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홈부(40)의 저면(40a)에는 복수의 자석편(42)이 회전축(24)의 축방향으로 뻗도록 그축 방향에 따라 예컨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예컨대 접착제, 기타의 고착수단으로 고착된다. 또한 그들의 자석편(42)의 하면에는 각각 예컨대, 철 등의 강자성체로 되는 요크편(44)이 적층되고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고착된다. 자석편 (42)은 그 두께방향의 하단측이 N극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측이 S극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홈부(40)의 저면(40a)쪽에 배치되는 면이 N극으로 되고, 그 반대쪽에 배치되는 면이 S극으로 되어있다. 또한 홈부(40)의 저면(40a)쪽에 배치되는면을 S극으로 하고, 그 반대쪽에 배치되는 면을 N극으로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석편(42)의 두께방향의 하단면에 요크편(44)이 배치되기 때문에 자석편(42)의 N극에서 나온 자속(자력선)은 공기중 보다 통과하기 쉬운 요크편(44)을 지나서, 반송부재(12)의 외주면을 흘러 S극으로 들어간다. 그래서 요크편(44)을 두지 않은 때에 비하여 자력선이 길게 되어 자화력이 미치는 범위가 넓혀진다. 또 자속도 집중하여 자속밀도가 높아짐으로 자화력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4)의 축방향에 따라 홈부(40)에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편(42)의 자극이 자석편(42)의 두께방향의 상단면 및 하단면으로 형성돼 있으나, 그들이 자석편(42)의 자극은 자석편(42)이 긴쪽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인접하는 자석편(42)의 자극의 극성이 같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의 하단쪽에서 상단쪽에 걸쳐서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가 형성된다. 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는 비자성체, 예컨대 나선상 내지 원상 등 코일상으로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감아 붙여져 형성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가 예컨대 단면원형의 선재로써 형성된다.
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는 예컨대 강구, 6각 너트, 6각 볼트 등의 피반송물품(W)을 지지하는 기능과 피반송물품(W)을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부재(12)의 축방향으로 반송시킬 때의 반송로로써의 기능을 갖는다. 이때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는 회전 요크부(22)의 자력발생부(38)에서 발생한 자화에 의한자기적인 흡착력과 협동하여 피반송물품(W)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쪽, 곧 피반송물품(W)이 공급되는 쪽에서 반송부재 (12)의 축방향의 상단쪽에 피반송품(W)을 수직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한편, 반송장치(10)에는 제1도에 나타나듯이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방으로 피반송물품(W)을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피반송물품(W)을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쪽으로 안내공급하는 안내용기로서 예컨대 깔때기형의 호퍼(hopper)(50)가 배설된다. 제1도에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호퍼(50)가 프레임(100)에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프레임(100)은 예컨대 상자모양의 프레임 본체(102)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02)에는 그 양쪽에서 상방으로 뻗어서 예컨대 U자상의 테두리부재(103)가 설치 된다. 테두리부재(103)에는 상기한 모터드라이브유닛(14)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20)의 단변부(20b)가 고착된다.
프레임본체(102)의 하부에는 예컨대 구형의 고정판(104)이 배설된다. 고정판(104)에는 부착 플랜지(106)를 거쳐서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부가 볼트(105)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된다.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부에는 폴리(pulley)(110)가 축받이부(108)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폴리(110)는 접속편(112)을 거쳐서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부에 고착된다. 또 프레임 본체(102)의 하부에는 호퍼(5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M2)가 배설된다. 모터(M2)의 구동축에는 폴리(114)가 부착되고 폴리(110)와 폴리(114)와의 사이에는 벨트(116)가 가설된다. 또한 프레임(100)의상부에서는 호퍼(50)의 상단 갓부가 축받이부(118)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모터(M2)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폴리 및 벨트등의 전동장치를 썼으나, 전동(傳動)장치로써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체인(chain) 및 스프로킷(sproket) 등을 썬 전동장치가 적용되어도 좋다.
따라서, 모터(M2)를 구동시키면, 모터(M2)의 동력이 폴리(114), 벨트(116) 및 폴리(110)로 전동되어, 호퍼(50)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곧 이 실시예에서는 축받이부(108),(118), 폴리(110),(114), 벨트(116), 모터(M2) 둥으로, 호퍼(50)를 회동자재로 작동시키는 회동수단에 의하여, 피반송물품(W)의 브리징 방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회동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써, 호퍼(50)내에 일시적으로 모아진 복수의 피반송물품(W)이 교반되므로, 반송부재(12)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진행방향에 따르도록, 피반송물품(W)이 이행된다. 그래서, 반송시에 있어서의 피반송물품(W)의 브리징을 방지할 수가 있다. 곧, 호퍼(50)를 회동자재하게 작동시키는 회동수단은, 피반송물품(W)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 및,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의 진행방향으로 이행시키는 이행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한편, 반송부재(12)에는,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측에서 상단측으로 반송되는 피반송물품(W)을 반송부재(12)에서 떨어진 다른 소망하는 장소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서, 이송통로(60)가 적의 부착된다. 이송통로(60)는 예컨대, 합성수지재료, 또는, 놋쇠, 두랄루민(duralumin), 알루미늄 둥의 비철금속 등으로형성되어, 반송부재(12)는 축방향의 중간부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송통로(60)가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상단측에 부착되어있다.
이송통로(60)는, 예컨대 구형평면상의 이송판(62)을 포함한다. 이송판(62)에는, 그 폭방향의 밀단에서 거의 직각으로 상방으로 뻗어서, 예컨대 구형의 안내판(64)이 형성된다. 또, 이송판(62)은 그 폭방향의 타단에서 상방으로 돌출설치되는 보지편(66)을 갖는다. 이송판(62), 안내판(64)및 보지편(66)은, 예컨대 합성수지재료등의 비자성재료로 약 L자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송통로(60)는, 제1도 나타내듯이, 지지수단으로써의 지지구(70)에 의해,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된다.
지지구(70)는, 1쌍의 협지부재(72),(72)를 포함한다. 1쌍의 협지부재(72),(72)는, 반송부재(12)를 그 직경방향의 양쪽에서 끼위 넣어서, 조여붙임수단에 의해 조여붙힌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여붙임수단으로 예컨대, 볼트·너트 등의 조여붙임구(74)에 의해 조여붙혀진다.
협지부재(72)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내듯이, 예컨대 반원형통상의 협지부(76)를 포함한다. 협지부(76)에는, 그 일단 및 타단에서 옆쪽으로 뻗어서, 예컨대 구형의 조여붙임부(78), (78)가 형성된다.
협지부(76)의 내주면에는,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가 감합되는 흠부(80a),(80b) 및 (80c)가 형성된다. 이들 홈부(80a)∼(80c)는, 반송로용지지가이드의 지름보다도 큰 홈폭을 갖고있다. 또, 이들의 홈부(80a)∼(80c)는, 예컨대 제2도에 나타내듯이, 리드각θ,피치P 및 리드L를 갖는 코일상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를 감합할 수 있도록, 그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형상과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또한 협지부재(76)의 내주면에는, 홈부(80a), (80b), (80c)간에,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당접하는 당접부(82),(82)가 형성된다.
그리고, 협지부(76)의 축방향의 중앙에 배설된 홈부(80a)는, 협지부(76)의 축방향의 일방쪽에서 타방쪽으로 배설된 홈부(80b) 및 (80c)보다도 홈폭이 크게되도록 형성돼있다. 홈폭이 넓은 홈부(80a)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피치(P) 및 리드 각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그러기 위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피치 P 및 리드 각θ 의 상위하는 반송부재(12)에도, 협지부(76)를 감합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피치(P)가 예컨대 80mm이고 리드각θ 가 30℃ 정도의 것에서, 피치P가 예컨대 110mm에서 리드 각θ 가 38° 정도의 것까지 대응할 수 있는 홈부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홈부(80a), (80b), (80c)간에 당접부(82),(82)가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1쌍의 협지부(76),(76)를 반송부재(12)에 끼워 넣었을 때 안정하여 1쌍의 협지부(76),(76)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조여붙임부(78),(78)를 각각 1쌍의 협지부(76),(76)를 반송부재(12)에 끼워 넣었을 때, 조여붙임구(74)를 체결하기 위한 조여붙임용 구멍(78a), (78a) 및 (78b),(78b)를 갖는다. 조여붙임용 구멍(78a),(78a) 및 (78b),(78b)는 각각, 일방의 조여붙임부(78)및 타방의 조여붙임부(78)의 긴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거쳐서 배치된다. 또, 일방의 조여붙임용 구멍(78a), (78a)는 소위, 헐거운구멍(clearance hole)으로 되어있어 타방의 조여붙임용 구멍(78b), (78b)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두어진 나사구멍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1쌍의 협지부재(72),(72)는 반송부재(12)의 직경방향의 양쪽에서 끼워넣어져, 볼트· 너트 등의 조여붙임구(74)에 의해 조여붙여짐에 의해, 반송부재(12)에 부착된다. 이때 조여붙임구(74)는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써 1쌍의 협지부재(72),(72)는 반송부재(12)의 축방향에 따라 자재하게 상하이동 시킬 수가 있다. 또 조여붙임구(74)는 느슨한 상태에서 1쌍의 협지부재(72),(72)를 반송부재(12)의 원주방향으로 자재하게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지지구(70)에는 이송통로(60)를 붙이기 위한 부착수단으로써, 보조부재(90)가 배설된다. 보조부재(90)는 예컨대, L자형판으로 형성된다. 보조부재(90)는, 그 단편부(90a)가 1쌍의 협지부재(72), (72)의 일방의 조여붙임부(78),(78)간에 협지되어, 조여붙임구(74)에 의해 고착된다. 그리고, 보조부재(90)의 장편부(90b)에, 이송통로(60)의 안내판(64)가 고착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보조부재(90)을 써서 이송통로(60)을 장착했으나 이송통로(60)을 1쌍의 협지부재(72),(72)의 조여붙임부(78),(78)에 직접, 예컨대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떼내기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제1도에 돌아와,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10)에서는, 호퍼(50)에 의해 일시적으로 모아두었던, 예컨대 강구, 6각너트, 6각볼트, 비틀림코일스프링 등의 피반송물품(W)이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부에 안내공급된다. 반송부재(12)에 공급된 피반송물품(W)은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수직으로 반송되어 간다.
곧, 모터(M1)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써, 회전축(24)이 회전한다. 회전축(24)이 회전하면 회전축(24)의 자력발생부(38)에서 미치는 자화력은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전역에 작용하여 자계를 형성한다. 그래서,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피반송물품(W)를 자기적으로 흡착시키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이 코일상으로 배설되기 때문에,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흡착한 피반송물품(W)은 회전축(24)의 회전과 더불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쪽에서 상단쪽으로 향하여 연속적으로 반송돼 간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10)에서는 반송부재(12)와의 접촉면적이 작은 곧, 반송부재(12)와 점접촉하는 것 같은 예컨대, 강구 등의 피반송물품(W)이라도,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의해 피반송물품(W)을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지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안정하게 피반송물품(W)을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따라 상방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10)에서는 안쪽의 회전축(24)이 회전하고 외측의 반송부재(14)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반송부재(14)의 외주면에 손이 닿아도, 손을 손상하는 일없어 매우 안전한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모터(M2)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써, 호퍼(50)이 회전축(24)와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호퍼(50)에서 반송부재(12)에 공급되는 피반송물품(W)은, 반송부재(12)를 중심으로 하여 교반되어 순차, 리드 각θ를 갖는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에 따라 이행한다. 곧, 피반송물품(W)은, 리드 각θ의 방향으로 이행해 간다.
그래서,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10)에서는, 호퍼(50)에서 반송부재(12)으로 공급되는 피반송물품(W)의 브리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부재(12)의 상방으로 반송되는 피반송물품(W)은, 이송통로(60)의 안내판(64)에 부딪혀, 안내판(54)로 안내되어 이송판(62)위로 이송된다. 곧, 반송부재(12)에서 꺼내진 피반송물품(W)은, 이송통로(60)을 지나서, 반송부재(12)에서 떨어진 소망의 다른 장소로 적의 이송된다.
또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10)에서는 지지구(70) 및 보조부재(9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소망하는 위치에서 또한 반송부재(12)의 원주방향의 전방위의 위치에 이송통로(60)을 자재로 붙일 수가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10)에서는 반송부재(12)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돼오는 피반송물품(W)의 꺼내는 구멍의 위치 및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가 있다.
제9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고, 제10도는, 그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안내용기의 작동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저면도이다. 제9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10)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피반송물품(W)의 브리징을 방지하는 교반수단의 구성이 상이하다. 제1도의 반송장치에서는 호퍼(60)을 반송부재(12)에 내장되는 회전축(24)의 동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동수단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제9도의 반송장치에서는 호퍼(50)을 회전축(24)과 동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번갈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9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제1도의 반송장치와 같이 호퍼(50)이 축받이부(118)등에 의해 반송부재(12)에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있다. 호퍼(50)은 예컨대, 캠(cam)장치(120)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번갈아 주기적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곧, 호퍼(50)의 축방향의 아래쪽에는, 그 주위에 환상의 날밑편(122)가 두어진다. 날밑편(122)은, 보지부재(124)에 고착된다. 보지부재(124)는, 캠장치(120)의 종절링크(follower link) (126)와 연결돼 있다. 제9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모터(M3)를 구동시킴으로써 캠(128)이 등속회전하고, 캠(128)의 회전에 의해 종절링크(126)가 등속왕복운동한다. 따라서, 제9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호퍼(50)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번갈아 주기적으로 회전한다. 제9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10)에서도, 제1도 반송장치와 거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1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11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10)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피반송물품(W)의 브리징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의 구성이 상이하다. 제1도의 반송장치에서는, 호퍼(5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호퍼(50)내의 피반송물품(W)를 교반시키고 있었으나, 제11도의 반송장치에서는 동요수단으로서 예컨대, 이 장치(130)에 의해 호퍼(50)내의 피반송물품(W)을 요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11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호퍼(50)의 하부 외주면에 구멍(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그 구멍에 흔들어올림부재(138)가 꿰뚫어진다. 흔들어올림부재(138)는 지레장치(130)의 작동암(arm)(136)에 핀(137)으로 고정되고, 작동암(136)은 추축(134)로 지주(132)에 회동자재로 지지돼 있다. 따라서, 제11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지레장치(130)을 작동시켜서 흔들어올림부재(138)을 상하동시키는 것으로써, 호퍼(50)내의 피반송물품(W)을 요동시킬 수가 있다. 제1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10)에서는, 제11도의 반송장치와 거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2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12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10)는 제1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흔들어올림부재(138)의 상면에 탄성을 갖는 예컨대, 스프링재 등으로 되는 시트(sheet)상부재(140)이 배설되어 있다. 제12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제11도의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피반송물품(W)을 흔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제13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13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10)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피반송물품(W)의 브리징을 방지하기 위해, 피반송물품(W)을 요동시키기 위한 동요수단의 구성이 상이하다. 곧, 제11도 및 제12도의 반송장치에서는, 지레장치(130)에 의해 피반송물품(W)을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으나, 제13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호퍼(50)의 저면부에 원환상의 작동판(150)을 장착하고, 그 작동판(150)을 상하동시키는 것으로써, 피반송물품(W)를 요동시키고 있다. 제13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10)에서도, 제1도의 반송장치와 거의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4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14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10)은, 제11도∼제13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띠모양의 흔들부재(160)을 호퍼(50)의 내주면에 따라 가동시키는 것으로써, 피반송물품(W)를 요동시키고 있다. 흔들부재(160)는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복수의 단명 약 사다리꼴의 돌기편(162)를 갖는 것이다. 이 반송장치(10)에서는, 흔들부재(160)을 가동시켰을 때, 돌기편(162)에 피반송물품(W)이 보다 효과적으로 요동되어 진다.
제15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15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10)는, 제1도의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회전축(24)와 호퍼(50)와가 같은 회전구동수단보다 회전가능하게 형성돼있다. 제15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10)는 회전축(24)가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에서 돌출 설치된다. 회전축(24)의 축방향의 하단부에는, 회전축(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170)가 배설된다. 기어(170)은 축받이부(172)에 의해 플랜지부재(174)에 회동자재로 지지된다. 플랜지부재(174)는, 프레임본체(102)의 하부에 고정된다.
한편, 반송부재(12)에는 호퍼(50)의 저부근방에 호퍼(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176)이 희동자재로 배설된다. 기어(176)에는, 볼트(178)등의 고착수단에 의해원판상의 접속면부재(112a)가 고착된다. 접속면부재(112a)는, 접속편(112)의 하단에 예컨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착된다. 또 프레임본체(102)의 하부에는, 회전축(24) 및 호퍼(5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으로써 예컨대, 모터(M4)가 배설된다. 모터(M4)의 구동축에는, 전동축(180)이 접속된다. 전동축(180)은, 그 축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어(182) 및 (184)가 배설된다. 기어(182) 및 (184)는, 전기기어(174) 및 (176)에 각각 맞물리는 것이다.
따라서, 제15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모터(M4)를 구동시키면, 그 회전력이 기어(182) 및 (184)를 거쳐서, 기어(170) 및 (176)에 각각 전동됨으로, 회전축(24) 및 호퍼(50)은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곧, 같은 회전구동수단인 모터(M4)에 의해, 회전축(24)과 호퍼(50)와를 동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 제15도의 반송장치(10)에서, 회전축(24) 및 호퍼(50)를 회전시키기 위해 기어(170),(176),(182) 및 (184)를 예컨대 폴리로 바꾸고, 또한, 전동벨트 등으로 전동축(180)에서 전동되는 회전력을 폴리에 전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16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16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10)는 제1도의 반송장치와 비교하여 특히, 호퍼(50)를 고정시켜두고 방송부재(12) 및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을 회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제16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호퍼(50)는 프레임본 체(102)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돼 있다. 한편, 반송부재(12)는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190)가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에 배설된다. 또한, 프레임본체(102)의 하부에는, 반송부재(12)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M5)가 배설된다. 모터(M5)의구동축에는 기어(192)가 장착되고, 기어(192)와 기어(190)가 맞뭍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M5)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써 그 회전구동력이 기어(192)를 거쳐서 기어(190)에 진동된다. 곧 반송부재(12)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과 같이 회전한다.
제16도의 반송장치(10)에서는 반송부재(12) 및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호퍼(50)에서 반송부재(12)는 안내공급되는 피반송물품이 교반되어 피반송물품을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진행방향으로 이행시킬 수가 있다. 그래서 제16도의 반송장치(10)에서도 피반송물품의 브리징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17도는 제1도,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내는 협지부재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18도는 제17도의 협지부재의 붙임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이다.
제17도에 나타내는 1쌍의 협지부재(200)는, 예컨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내는 협지부재(72)과 비교하여, 특히 협지부의 내주면에 홈부 및 당접면이 형성돼 있지 않다. 곧 제17도의 협지부재(200)에서는 1쌍의 협지부(202)에서 원통형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협지부재(202)에서는 협지부(202)의 축방향의 길이A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피치P보다도 클때,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을 2피치분 이상으로 협지부(202)의 내주면이 당접하기 때문에, 1쌍의 협지부재(12)을 안정하게 반송부재(12)에 장착할 수가 있다.
제19도(A), 제19도(B) 및 제19도(C)는 상술의 각 실시예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상술의 각 실시예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은 단면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형상은 적의 변경가능이며, 제19도(A)에 나타내듯이 단면형상이 예컨대, 구형으로 형성돼도 좋고 또 제19도(B)에 나타내듯이 단면형상이 예컨대, L자형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단면 L자형의 짧은 쪽의 편(46a)은 반송물품(W)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서 낙하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지지기능을 갖는 지지편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를 제19도(C)에 나타내듯이, 단면 약 L자의 긴쪽의 편(46b)가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대하여 비스듬 상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제20도(A), 제20도(B) 및 제20도(C)는, 상술의 각 실시예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요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평면도이다.
상술의 각 실시예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부재(12)의 회전요크부(22)에 배설된 자력발생부(38)는, 회전축(24)의 축방향에 따라 직선상으로 1열만 배설되었으나, 이 자력발생부(38)는, 예컨대 제20도(A), 제20도(B) 및 제20도(C)에 나타내듯이, 회전축(24)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열 배설되어도 좋다. 또 이때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회전축(24)의 원주방향을 2등분한 위치에 각각, 자력 발생부(38)을 배열했을 때, 가장 자화력이 높아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예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부재(12)에서는 회전축(24)이 원주형(圓柱形)으로 형성되었으나, 회전측(24)의 형상은 적의 변경가능하며, 예컨대 제20도(B)에 표시된 것처럼 단면4각형 주상에 형성되어도 좋고, 또 제20도(C)에 나타내듯이 단면 정6각형 주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상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반송부재(12)를 고정하고 자력발생부(38)을 구비하는 회전요크부(2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써, 반송부재(12)의 외주면에 피반송물품(W)을 자기적으로 흡착시키고 또,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피반송물품(W)을 반송부재(12)의 축방향으로 반송시켰으나, 반송부재(12)를 회동자재로 형성하고 회전요크부(22)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고정하고, 반송부재(1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도, 피반송물품(W)을 반송부재(12)의 축방향으로 반송시키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호퍼(50)이 깔때기형 소위, 원주형으로 형성되었으나, 호퍼의 형상은 원추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원통형, 타원형 통상, 또는 4각추형, 6각추형 등의 다각 추체(錐體)등 적의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또, 상술의 각 실시예에서는, 반송부재(12)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피반송물(W)을 이송통로(60)등으로, 적의 다른 소망하는 장소로 이송했으나, 예컨대 제21도∼제23도 등에 나타내는 반송장치(300)와 같이, 이송통로(60)에 의해 다시 공급부(402)로 이송하도록 해도 좋다. 곧 반송장치(300)에서는 제1도의 반송장치(10)와 비교하여, 특히 이송통로(60)을 거쳐서, 예컨대 강구 등의 피반송물(W)이 순환 이동 되고 있다.
곧 반송장치(300)는 제21도에 나타내듯이, 그 상부에 개방부(400a)를 갖는 케이스(400)의 안에 반송부재(12)가 착탈자재로 장착된다. 이때 케이스(400)의 안에는 그 긴쪽방향의 일방쪽에 예컨대, 강구 등의 피반송물풍(W)을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단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402)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400)에는케이스(400)의 긴쪽방향의 타방의 위쪽에서 반송부재(12)의 하단측에 받는 부재(404)가 가설된다. 이 반송장치(300)에서는 피반송물품(W)이 공급부(402)에 적의 공급되어 반송부재(12)에서 상방으로 수직으로 반송된다. 이때 반송장치(300)에서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상방으로 반송되는 피반송물(W)은 이송통로(60)의 안내판(64)에 부딪혀, 안내판(64)으로 안내되어 이송판(62)위를 이동한다. 그리고 이송통로(60)에 안내된 피반송물(W)은, 케이스(400)내의 받는 부재(404)위로 낙하하여 다시 공급부(402)로 이송된다.
제24도(A)는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며,
제24도(B)는 정렬기능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고, 제24도(C)는 그 요부 평면 도해도이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500)는, 상술의 각 실시예의 반송장치(10),(300)와 비교하여, 특히 피반송물품을 소정의 자세로 정렬시켜 반송시키기 위한 정렬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반송장치(500)에서는 제24도(A)에 나타내듯이,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피치의 크기가 예컨대 피치 P1>P2>P3>P4>P5>P6로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반송 장치(500)에서는 피반송물품으로서 예컨대, 볼트(W)가 반송되고 특히, 반송부재(12)의 최상방으로 배치된 피치(P6)를 갖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46)간의 최단거리는 볼트(W)의 동체부의 지름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된다.
또한, 피치(P5) 를 갖는 반송부재(12)의 상방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46) 내의 하방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는 예컨대, L자상의 낙하가이드(502a) 및 (502b)가 배설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낙하가이드(502a) 및 (502b)는 제24도(C)에 나타내듯이, 반송부재(12)의 직경방향의 양쪽에 배설된다. 일방의 낙하가이드 (502a)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향하고 타방의 낙하가이드(502b)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낙하가이드(502a),(502b)는 예컨대, 용접, 접착, 나사고정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에 고착된다.
이 반송장치(500)에서는 제24도(B)에 나타내듯이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의 피치폭에 따라 순차 볼트W의 자세가 교정되어가 드디어는 피치폭(P6)의 반송로용지지가이드(46),(46)간에서 소정의 자세로 흡인된다. 또한 복수의 볼트(W)가 자기적 인력으로 잇따라 반송될 때도 소정의 자세이외의 볼트(W)는 낙하가이드(502a), (502b)에 부딪혀 제거되어, 피치(P6)을 갖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 (46)간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여러 가지 자세로 흡인돼 반송되는 볼트(W)는 순차 소정의 자세로 정렬돼 간다.
제25도(A), 제25도(B)는, 다른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고, 제25도(C)는 그 요부 평면 도해도이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500)에서는 제24도(A)∼제24도(C)와 비교하여 특히 같은 피치(P)로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가 배설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피반송물품으로써 예컨대, 캡(cap)(W)이 반송되고 반송로용 지지가이드 (46), (46)간의 최단거리가,캡(W)의 동체부의 높이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돼 있다. 그래서, 캡(W)은 제25도(A), 제25도(B)에 나타내듯이, 그 동체부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 (46)간에 끼워 넣는 것 같이 하여 반송되어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 (46)간에서 순차 정렬되어 간다.
제26도(A)는 또 다른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해도이며, 제26도(B)는 그 요부 정면 도해도이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500)에서는 제24도(A)∼제24도(C) 및 제25도(A)∼제25도(C)와 비교하여 특히, 미리 피반송물품(W)을 소정의 자세로 되도록 제어하여 반송부재(12)에 하나씩 공급해 가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500)에서는 피반송물품으로써 예컨대, 너트(W)가 반송된다. 이 반송장치(500)에는 반송부재(12)의 옆쪽하부에 부품공급장치(504)가 배설된다. 이 부품공급장치(504)는 미리 복수의 너트(W)를 정렬시켜 하나씩, 반송부재(12)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반송장치(500)에서는, 부품공급장치(504)에 의해 순차 송출된 너트(W)가 정렬된 상태로 반송부재(12)의 상방으로 반송돼 간다. 그리고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되는 너트(W)는 반송부재(12)의 상방에서 예컨대, 자동꺼내기장치(506)에 의해 하나씩 꺼내져 다음의 공정으로 보내진다.
제27도(A)는 다른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 도해도이며 제27도(B)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500)에서는 제24도(A)∼제24도(C), 제25도(A)∼제25도(C) 및 제26도(A), 제26도(B)와 비교하여 특히, 반송부재(12)의꺼내기 구멍에서 피반송물품(W)이 정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반송물품으로서 예컨대 링(W)이 반송된다. 이 반송장치(500)는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510)을 갖고 정렬장치(510)는 반송부재(12)의 상방의 꺼내기구멍 근방에 부설된다. 정렬장치(510)는 제1의 정렬통로(512) 및 제1의 정렬통로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2의 정렬통로(514)의 2단구성으로 되어있다. 제1의 정렬통로(512) 및 제2의 정렬통로(514)에는 각각 링(W)을 기립시킨 자세로 정렬시키기 위해 제1의 정렬통로(512) 및 제2의 정렬통로(514)의 통로의 양쪽에 가이드판(512a),(512a) 및 가이드판(514a), (514a)이 수직으로 형성 돼있다. 제1의 정렬통로(512) 및 제2의 정렬통로(514)의 통로폭은, 링(W)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형성돼 있다.
또한, 제1의 정렬통로(512)의 상류쪽(입구근방)에는, 예컨대 센서(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가동하는 슈터(516)이 배설되어 있다. 이 슈터(516)은 예컨대, 실린더, 캠, 솔레노이드 등의 기구에 의해 경동(傾動) 자재로 형성된다.
이 정렬장치(510)에서는, 슈터(516)위의 링(W)은, 거꾸로 된 상태로 통과하면 그것을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검지하여, 슈터(516)을 작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슈터(516)이 제2의 정렬통로로 향하여 경사하기 때문에 슈터(516)위의 링(W)은 제1의 정렬통로(512)에서 제2의 정렬통로(514)로 낙하한다. 또한 제2의 정렬통로(514)에 낙하한 링(W)은 가이드판(514a),(514a)에 의해 안내되어 기립한 자세로 순차 배출된다. 한편 슈터(516)위에 기립한 자세로 통과하는 링(W)은, 제1의 정렬통로(512)의 가이드판(512a),(512a)에 의해 안내되어 기립한 자세로 순차배출된다.
제28도는 순환기능을 갖는 재반송커버가 부설된 반송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정면 도해도이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600)에는 상술의 각 실시예 반송장치(10),(300),(500)와 비교하여 특히,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중간부의 주위에 약원통상의 재반송커버(610)가 배치돼 있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600)에서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되는 피반송물품(W)이 예컨대, 반송부재(12)에서 낙하한때도 예컨대, 제28도에 나타내듯이, 재반송커버(610)과 반송부재(12)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낙하하는 피반송물품(W)을 다시, 반송부재(12)에 공급하고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시킬 수가 있다.
재반송커버(610)는, 예컨대 제29도에 나타내듯이 둘로 쪼개진 구조를 갖는 1쌍의 커버부(612a), (612b)를 포함한다. 커버부(612a), (612b)는,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 일방의 커버부(612a)에 대해서 설명한다. 곧, 커버부(612a)는 예컨대, 반원형환상의 상(上)링부재(614a) 및 반원추형환상의 하(下)링부재(616a)를 포함한다. 상링부재(614a)와 하링부재(616a)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예컨대, 2개의 약 L자형 판상의 조인트 스테이(618a),(618a)에 의해 연결된다. 조인트 스테이(618a),(618a)는, 상링부재(614a) 및 하링부재(616a)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예컨대 고정나사 (619a)에 의해 상링부재(614a) 및 하링부재(616a)에 고착된다.
상링부재(614a)는 그 원주방향의 일단부에 1쌍의 커버부재(612a),(612b)를연결하기 위한 열결용 구멍(620a)를 갖는다. 또 상링부재(614a)의 원주방향의 중앙부에는 구멍(622a)을 갖는 U자상의 부착편(624a)이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링부재(614a) 및 하링부재(616a)간의 안쪽에는 그들의 반원호면에 대응한 만곡된 금망(630) 등이 형성된다. 금망(630)은 예컨대, 용접, 기타의 고착수단에 의해 상링부재(614a) 및 하링부재(616a)간에 고착된다.
1쌍의 커버부재(612a), (612b)는, 그들의 연결용 구멍(620a),(620b)이 겹치게끔 맞대져 예컨대, 제30도에 나타내듯이 고정나사(632) 둥으로 연결된다. 1쌍의 커버부재(612a),(612b)는 제28도에 나타내듯이 반송부재(12)는 그 양쪽에서 둘러싸듯이 하여 연결된다. 1쌍의 커버부재(612a), (612b)는 반송부재(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예컨대, 대판상(帶板狀)의 지지스테이(634a), (634b)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1쌍의 커버부재(612a), (612b)는 특히 예컨대, 제28도에 나타내듯이 하링부재(616a), (616b)와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와의 사이에 피반송물품(W)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배치된다. 또, 지지스테이(634a),(634b)는 각각 그 일단부가 상링부재(614a), (614b)의 부착편(624a),(624b)에 고정나사(636a), (636b) 등으로 부착되고, 그 타단부가 반송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00)의 테두리부재(103)(제1도참조)에 적당한 고착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이 실시예의 반송장치(600)에서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되는 피반송물품(W)이 예컨대 반송부재(12)에서 낙하했을 때도 예컨대, 제28도에 나타내듯이 낙하한 피반송물품(W)이 재반송커버(610)의 하링부재(616a), (616b)의 내주면에 따라 반송부재(12)쪽으로 안내된다. 그래서 낙하한 피반송물품(W)은 다시반송부재(12)의 반송로용 지지가이드(46)에 따라 반송된다. 따라서 이 반송장치(600)에서는 반송부재(12)에서 낙하한 피반송물품(W)이 반송장치(600)의 주변에 비산하여 예컨대, 다른 공정에 배치된 장치에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재반송커버(610)는 반송부재(12)의 축방향의 길이(높이)에 따라, 적의 그 높이가 조정된다. 또, 이 재반송커버(610)는, 반송부재(12)의 높이에 따라 예컨대, 제30도에 나타내듯이 2개 이상 잇따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반송커버(610)는 예컨대, 제28도∼제30도에 나타내듯이 약 원통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31도에 나타내듯이 4각 통상으로 구성해도 좋고 그 형상은 적의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어 도시되었으나 그것은 단지 도해 및 일례로서 쓴 것이며, 한정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은 명백하고, 이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제 1도는 이 발명이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2도 (A)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부재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며, 제 2도 (B)는 그 정면도이다.
제 3도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부재의 취부(取付)상태의 개략을 표시하는 일부 종단면 확대도이다.
제4도 (A)는 제1도의 반송장치의 회전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며, 제 4도(B)는 제 4도 (A)의 선 IVB-IVB에서의 단면도이며, 제 4도 (C)는 자력(磁力) 발생부에서 나오는 자속의 흐름을 나타내는 약 평면도이다.
제 5도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안내용기 및 그 주변을 표시하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6도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안내용기 및 그 주변을 나타내는 요부 약 저면도이다.
제 7도(A)는 제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협지(挾持)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제 7도(B)는 그 정면도이고, 제 7도(C)는 그 측면도이다.
제 8도는 제 1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협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9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반송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0도는 제 9도의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안내용기의 작동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저면도이다.
제 11도는 제 1도에 표시하는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2도는 제 1도에 표시한 반송장치에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차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3도는 제 1도에 표시한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4도는 제 1도에 표시한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5도는 제 1도에 표시한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6도는 제 1도에 표시한 반송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17도는 제 1도, 제 7도 및 제 8도에 표시한 협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8도는 제 17도의 협지부재의 취부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이다.
제 19도 (A), 제 19도 (B) 및 제 19도 (C)는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반송로용(搬送路用)지지가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정면도이다.
제 20도 (A), 제 20도 (B) 및 제 20도 (C)는 반송장치에 적용되는 회전요크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요부 약 평면도이다.
제 21도는 이 발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약 정면도이다.
제 22도는 제 21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요부 약 사시도이다.
제 23도는 제 21도의 선 XXIII-XXIII에서의 요부 약 단면도이다.
제 24도 (A)는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며, 제 24도 (B)는 정렬기능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며, 제 24도 (C)는 그 요부 평면 도해도이다.
제 25도 (A), 제 25도 (B)는 다른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며, 제 25도 (C)는 그 요부 평면 도해도이다.
제 26도 (A)는 또 다른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해도이고, 제 26도 (B)는 그 요부 정면 도해도이다.
제 27도 (A)는 다른 정렬기능을 갖는 반송장치 및 그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 도해도이며, 제 27도 (B)는 그 요부 정면 도해도이다.
제 28도는 순환기능을 갖는 재반송 커버가 부설된 반송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 도해도이다.
제 29도는 제 28도에 나타내는 반송장치의 재반송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30도, 제 28도, 제 29도에 나타내는 재반송커버를 상하로 잇따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다.
제 31도는 재반송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32도 (A)는 이 발명의 배경으로 되는 종래의 반송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약도이며, 제 32도 (B)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약도이다.

Claims (13)

  1. 통상의 반송부재,
    피반송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상기 피반송을 상기 반송부재로 공급하는 안내용기,
    상기 반송부재에 내장되고,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배설되고,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배설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 및,
    상기 안내용기에서 상기 반송부재로 공급되는 상기 피반송물의 브리징을 방지하는 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안내용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피반송물은,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수단은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에 따르도록 이행시키는 이행수단을 포함하는 반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수단은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교반시키는 교반수단을 포함하는 반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수단은 상기 피반송물을 요동시키는 요동수단을 포함하는 반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안내용기를 상기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반송장치.
  6. 통상의 반송부재,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일방측에 배설되고 피반송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두어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부재에 공급하는 안내용기,
    상기 반송부재에 내장되고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배설되어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석,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배설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 및,
    상기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피반송물을 반송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안내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안내용기에서 공급되는 상기 피반송물은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재는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어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일방에서 타방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
  8. 일방에서 타방으로 뻗는 반송로에 다라 피반송로를 반송하는 반송수단,
    상기 반송수단과 반송로에서 반송되어 오는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 및,
    상기 이송통로를 상기 반송로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반송로를 협지하는 1쌍의 협지부재와, 상기 1쌍의 협지부재를 상기 반송로에 조요붙임수단을 갖고,
    상기 1쌍의 협지부재는 상기 반송로의 반송방향에 변위자재로 또, 상기 반송로의 주위에 회동자재로 부착되는 반송장치.
  9. 통상의 반송부재,
    상기 반송부재에 내장되어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배설되어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배설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되어 온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부재에서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 및,
    상기 이송통로를 상기 반송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반송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에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반송부재에 협지되는 1쌍의 협지부재와, 상기 1쌍의 협지부재를 상기 반송부재에 조여붙임 수단을 갖고,
    상기 1쌍의 협지부재는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변위자재로 또, 상기 반송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부착되는 반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협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가 감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반송장치,
    통상의 반송부재,
    상기 반송부재에 내장되고 회동자재로 형성되는 주상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축방향으로 직전상으로 배설되어,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력발생부,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코일상으로 형성되는 반송로용 지지가이드,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반송되어 온 상기 반송물을 상기 반송부재에 떨어진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이송통로 및,
    상기 이송통로를 상기 반송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진행방향으로 반송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으로써 상기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에 자기적으로 흡착되고, 상기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반송수단의 주위에 협지되는 1쌍의 협지부재와, 상기 1쌍의 협지부재를 상기 분송부재에 조여붙이는 조여붙임수단을 갖고,
    상기 1쌍이 협지부재는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으로 변위자재로 또 상기 반송부재의 원주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부착되고, 상기 1쌍의 협지부재에는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감합되고,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의 지름보다도 폭넓은 홈폭을 갖는 코일상의 홈부와 상기 반송부재의 외주면과 당접하는 당접부가 형성되는 반송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협지부재에는 상기 이송통로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이 배설되는 반송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을 일시적으로 모아두고 상기 피반송물을 상기 반송부재에 공급하는 안내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용기는 상기 반송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부재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자재로 형성되는 반송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재는 수직으로 기립하도록 설치되고 피반송물이 상기 반송로용 지지가이드에 따라 상기 반송부재의 축방향의 일방에서 타방으로 반송되는 반송장치.
KR1019960039211A 1995-09-13 1996-09-11 반송장치 KR100336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5-262413 1995-09-13
JP26241395A JPH0977256A (ja) 1995-09-13 1995-09-13 搬送装置
JP08172893A JP3130251B2 (ja) 1996-06-11 1996-06-11 搬送装置
JP17289496A JPH09328230A (ja) 1996-06-11 1996-06-11 搬送装置
JP1996-172893 1996-06-11
JP1996-172894 1996-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28A KR970015428A (ko) 1997-04-28
KR100336867B1 true KR100336867B1 (ko) 2002-11-18

Family

ID=2732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211A KR100336867B1 (ko) 1995-09-13 1996-09-11 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62905A (ko)
EP (1) EP0763489B1 (ko)
KR (1) KR100336867B1 (ko)
DE (1) DE6962233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92A (ko)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940B2 (en) * 2000-10-26 2004-03-09 Shell Oil Company Device for transporting particles of magnetic material
WO2005005765A1 (en) 2003-07-09 2005-01-2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Tool for excavating an object
ATE374304T1 (de) 2003-10-29 2007-10-15 Shell Int Research Fluidstrahlbohrwerkzeug
WO2009081475A1 (ja) * 2007-12-21 2009-07-02 Kuma Engineering Co., Ltd. 粉粒体供給機
DE102010021474A1 (de) * 2010-05-25 2011-12-01 Roland Gebert Fördervorrichtung für Stückgut
DE202011109945U1 (de) 2011-11-25 2012-08-23 GESI Gewindesicherungs-GmbH Behandlungsanordnung für ferromagnetische Teile
US9289796B2 (en) * 2014-04-17 2016-03-22 GESI Gewindesicherungs-GmbH Treatment arrangement for ferromagnetic parts
DE102015105645B4 (de) * 2015-04-14 2021-04-29 Ifsys Integrated Feeding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Kugeln
EP3483476B1 (en) * 2016-07-11 2023-06-21 Azbil Corporation Conveyance device
CN109625885B (zh) * 2018-11-27 2020-09-04 平湖市利群箱包有限公司 一种箱包的输送装置
CN114178810A (zh) * 2021-12-08 2022-03-15 深圳市泽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螺丝排列机
CN116573409B (zh) * 2023-07-12 2023-09-15 山东群鑫助剂有限公司 一种成品化学助剂包装桶自动转移机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54013B (de) * 1957-08-07 1959-03-26 Werkzeugmaschinenfabrik Veb Senkrechter Schneckenfoerderer
US3759367A (en) * 1971-05-13 1973-09-18 E Elliott Magnetic article sorting apparatus
JPS50125368A (ko) * 1974-03-22 1975-10-02
SU1719287A1 (ru) * 1985-01-28 1992-03-15 Киев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Магнитный конвейер
US4818378A (en) * 1987-03-17 1989-04-04 Elliott Eldon G Magnetic conveyor with multiple spiral ram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92A (ko) 2017-08-11 2019-02-20 신은경 건축용 석재패널 장착용 앵글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2336D1 (de) 2002-08-22
KR970015428A (ko) 1997-04-28
DE69622336T2 (de) 2003-02-27
EP0763489A1 (en) 1997-03-19
EP0763489B1 (en) 2002-07-17
US5862905A (en) 199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867B1 (ko) 반송장치
US7210581B2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separa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9592962B1 (en) Apparatus for arranging and transferring ammunition using controlled magnetic force
CN104203421B (zh) 磁选机
US3831736A (en) Power driven magnetic conveyor
EP0699605A1 (en) Apparatus for orienting lids
US4337856A (en) Transfer mechanism for a magnetic conveyor
JP2003020116A (ja) 小物部品の整列・供給方法並びにその整列・供給装置
CA1059543A (en) Magnetic orienting and conveying device for closure flanges
US59753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ll separation
US4593805A (en) System for sorting containers
US4136765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orienting electrically asymmetrical devices with magnetic handling
JP3130251B2 (ja) 搬送装置
US4356905A (en) Removing magnetic articles from a carrier
US3922219A (en) High intensity magnetic sorter
JPH09328230A (ja) 搬送装置
TWI567013B (zh) Electronic component steering method and device
US4727991A (en) Scroll strip conveyor system
JP4243236B2 (ja) ドラム型磁力選別装置
US4457421A (en) Bottle orientation apparatus
JPH06278848A (ja) 仕分コンベアの排出装置
CN220277615U (zh) 一种磁钢分级排列装置
JPH048096Y2 (ko)
CN219559989U (zh) 胶带输送机用自动除铁、收集装置
JP3017415B2 (ja) コンパクト電子部品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