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442B1 -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442B1
KR100336442B1 KR1019980055842A KR19980055842A KR100336442B1 KR 100336442 B1 KR100336442 B1 KR 100336442B1 KR 1019980055842 A KR1019980055842 A KR 1019980055842A KR 19980055842 A KR19980055842 A KR 19980055842A KR 100336442 B1 KR100336442 B1 KR 10033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destination
user
destination station
port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0259A (ko
Inventor
조민영
장명호
류광희
정정태
김남선
Original Assignee
(주)한국 스포츠 방송
김 남 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 스포츠 방송, 김 남 선 filed Critical (주)한국 스포츠 방송
Priority to KR101998005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4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형 무선기기에 미리 입력해둔 목적지에 다가가면 그 무선기기가 경보음을 내거나 또는 진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에 다가왔음을 알게 해주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휴대형 무선기기를 사용하여 목적지 역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무선기기가 새로 진입하는 셀이 상기 입력된 목적지 역으로부터 소정의 영역 이내에 속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새로 진입하는 셀이 상기 입력된 목적지 역으로부터 소정의 영역 이내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경보를 내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기기를 이용한 정차역 안내방법
본 발명은 휴대형 무선기기를 이용한 정차역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형 무선기기에 미리 목적지 정차역을 입력하여두면 그 역에 가까이 왔을 때에 진동 또는 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또는 버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에 가는 경우에, 특히 목적지가 낯선 곳이거나 승차중에 잠시 잠에 빠지는 경우, 대화중에 목적지를 알리는 방송을 못듣고 놓쳐버리는 경우 등에는 자칫 목적지를 지나쳐버려서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이어람"(상표명)이라는 제품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타이머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보기기에 지나지 않는다. 즉, 목적지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보다 약간 짧은 시간을 입력하여 두면, 그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경보음을 방출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예상 소요시간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거나, 교통혼잡 등의 이유로 지체가 되는 경우 등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며, 예상 소요시간을 잘못 판단하여 실제 소요시간보다 더 길게 입력한 경우에는 목적지를 지나쳐 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1998년 10월 15일 공개된 특허공개 제1998-065848호에는 버스 및 지하철 통합 안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안내 시스템에서는 버스 또는 지하철에 송신기가 설치되어 있고, 승객들은 자신이 가고자 하는 정거장의 번호로 설정되어 있는 수신기를 지니고 있다. 버스 또는 지하철에 설치되어 있는 송신기는 정거장을 출발할 때 다음 정거장을 나타내는 번호를 호출한다. 그러면, 해당 정거장의 번호로 설정되어 있는 수신기가 호출신호를 받게 되어 그 수신기를 지니고 있는 승객은 미리 내릴 준비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안내 시스템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모든 버스 또는 모든 지하철 차량에 송신기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승객들은 별도의 수신기를 휴대하고 있어야 한다. 게다가, 송신기에서 현재 어떤 역인지를 자동으로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며, 따라서 버스 또는 지하철의 운전자가 수동으로 현재 역이 어떤 역인지를 선택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자신의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목적지역이 수신기의 어떤 번호에 설정되어 있는지를 알고 있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형 무선기기에 미리 입력해둔 목적지에 다가가면 그 무선기기가 경보음을 내거나 또는 진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에 다가왔음을 알게 해주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형 무선기기에 목적지를 입력할 때 시스템에 입력되어 있는 목적지의 리스트를 알려줌으로써 목적지의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휴대형 무선기기를 수정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목적지역에 전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목적지역을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목적지 입력 단계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목적지역을 한글로 입력할 때의 휴대폰의 LCD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양을 그린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목적지에 도달하였을 경우에 휴대폰의 LCD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양을 그린 도면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셀 분할방식의 무선통신방식에서 기지국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사용하여 목적지 역을 입력하고, 입력된 목적지 역에 해당하는 셀 안으로 그 휴대폰이 진입하는 경우에 경보를 울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지하철 또는 버스와 같은 운송수단이 목적지 역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전파 반경내에 진입하게 되면, 휴대폰에서는 핸드오프가 일어나게 되며 이때 그 기지국이 목적지역이 있는 기지국인 경우에는 휴대폰에 경보를 울리도록 하면 해당 목적지 역에 도달하기 전에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역에 다가왔음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형 무선기기를 사용하여 목적지 역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형 무선기기가 새로 진입하는 셀이 상기 입력된 목적지 역으로부터 소정의 영역 이내에 속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새로 진입하는 셀이 상기 입력된 목적지 역으로부터 소정의 영역 이내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경보를 내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존의 휴대폰을 수정하지 않고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휴대폰을 수정하지 않고 시스템에 목적지역을 등록하고 시스템에서 목적지역에 왔음을 휴대폰에 알려주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목적지 등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경보를 울릴 목적지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정차역 경보 서비스 코드를 다이알한다(단계 S100). 이 코드는 휴대폰 서비스 업체에서 고유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다이알한 코드가 시스템에서 제대로 인지된 경우에는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온다. 따라서, 소정 기간, 예를 들면 30초 동안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린 후에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삐"하는 소리와 함께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단계 S200).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이 온 경우에는 단계 S300에서 목적지를 입력한다. 목적지를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에서 등록가능한 목적지의 리스트를 안내하면 사용자가 그 안내를 듣고서 원하는 목적지의 코드를 다이알하는 방법,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역명을 말하면 시스템에서 음성 인식하여 등록하는 방법, 사용자에게 미리 목적지별로 코드를 할당해 놓은 표를 배포하고 사용자는 그중에서 원하는 역의 코드를 다이알하는 방법,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 역명을 다이알로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이를 등록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목적지 역명, 즉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기존에 나온 전화 다이알 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도 되고, 별도의 방법을 고안하여도 된다.
도 4에 한글로 목적지역을 입력하는 경우의 LCD 디스플레이의 모습의 일예를 도시하였다. 본 도면은 본 발명의 방법에 맞추어 휴대폰을 설계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먼저, (a)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휴대폰에서 가능한 기능 목록을 스크롤해가면서 보다가, 목적지 역 경보 기능을 선택한다. 물론, 목적지 역 경보 기능의 코드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바로 그 코드를 다이알해도 된다. 그러면 (b)에 도시된 것처럼 목적지역을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사용자가 목적지 역명을 입력하는대로 (c)에 도시된 것처럼 그 입력되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역명을 입력한 후에 사용자가 "저장" 버튼을 누르면, 목적지역이 등록되게 되며, 디스플레이에는 (d)에 도시한 것처럼 목적지역이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경보"라는 문자가 켜져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목적지역을 입력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으로부터 "목적지역의 코드번호를 알고 계시면 1번을, 모르시면 2번을 누르세요."라는 음성메세지가 전달된다(단계 S301). 그러면, 사용자는 1번 또는 2번 다이알을 누른다(단계 S302).
단계 S302에서 사용자가 다이알 1을 누른 경우에는 시스템으로부터 "목적지역의 코드 번호를 입력하세요"라는 메시지가 나오고(단계 S310), 사용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목적지역의 코드 번호를 입력한다(단계 S311). 목적지역의 코드는 임의로 정할 수 있겠지만, 지하철역의 경우에는 각 역마다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그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즉, 코드를 세자리 숫자로 하되, 첫 번째 자리는 그 역이 속하는 지하철 호선 번호, 예를 들면 1호선은 1, 2호선은 2와 같이 할당하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자리는 그 역의 고유번호를 할당하는 것이다.
단계 S311에서 사용자가 목적지역의 코드 번호를 다이알하면, 단계 S312에서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역명을 확인하여 준다. 즉, 시스템으로부터 "OOO역을 선택하셨습니다. 맞는 경우에는 1번을,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번을 누르세요."라는 메시지가 전달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메시지를 듣고 해당하는 코드를 다이알한다(단계 S313). 시스템이 확인해준 역명이 원하는 역인 경우에 1을 다이알하면, 단계 S314에서 "등록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목적지역 입력단계(단계 S300)은 종료된다. 시스템이 확인해준 역명이 원하는 역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는 2를 다이알하고, 그러면 다시 단계 S310으로 가서 다시 목적지역 코드를 입력하게 된다.
다시 단계 S302로 되돌아가서, 사용자가 목적지역의 코드를 몰라서 2번을 다이알한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자. 본 예에서는 서울의 지하철역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단계 S302에서 사용자가 2번을 다이알한 경우에는 단계 S320에서 시스템으로부터 "목적지역이 지하철 몇호선에 있는지 다이알로 입력하세요"라는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 그러면, 사용자는 목적지역이 속해 있는 지하철 호선을 입력한다(단계 S321). 사용자가 예를 들어 2를 다이알한 경우에는 지하철 2호선을 선택한 것이므로, 단계 S322에서 "시청은 01번, 을지입구는 02번, 을지3가는 03번,..."과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 사용자는 이를 가만히 듣고 있다가 원하는 역에 대한 코드가 나오면 그 코드를 다이알한다(단계 S323). 그러면, 시스템으로부터 "OOO역을 선택하셨습니다. 맞는 경우에는 1번을, 정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번을 누르세요."라는 메시지가 전달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메시지를 듣고 해당하는 코드를 다이알한다(단계 S325). 시스템이 확인해준 역명이 원하는 역인 경우에 1을 다이알하면, 단계 S326에서 "등록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목적지역 입력단계(단계 S300)은 종료된다. 시스템이 확인해준 역명이 원하는 역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는 2를 다이알하고, 그러면 다시 단계 S320으로 가서 다시 목적지역 코드를 입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목적지역을 시스템에 등록한 경우에, 그 사용자의 휴대폰이 그 목적지역이 있는 기지국내로 진입하게 되면, 시스템은 그 휴대폰으로 링착신 신호를 보낸다. 이때 사용자가 응답하면, 시스템에서는 "OOO역입니다"라는 안내음성을 내보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지역에 거의 도달했음을 알고 내릴 준비를 하게 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까지는 목적지역을 시스템에 등록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목적지역을 휴대폰에 등록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역을 휴대폰에 등록한다. 이때 목적지역을 등록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방식에서는 각 기지국에서 그 기지국에 속해있는 역에 대한 정보를 계속 보내고 있다. 그리고, 휴대폰은 목적지역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핸드오프가 일어날 때마다 새로 진입하는 기지국에서 보내주는 역에 대한 정보가 현재 휴대폰에 등록되어 있는 역과 일치하는지를 체크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OOO역입니다"라는 문자표시와 함께 링 또는 진동을 울리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목적지역에 거의 도달했음을 알고 내릴 준비를 하게 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목적지 역에 도달하였을 때 경보를 울리도록 하였지만, 목적지 역의 몇 정거장 전에 경보를 울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목적지 역에 도달하였다는 경보가 울릴 때 내릴 준비를 여유있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하철역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지하철역뿐만 아니라, 기차역, 버스역 등의 도착안내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각 기지국의 셀범위가 좁은 마이크로셀 방식의 무선통신방식이 도입된다면, 본 발명은 더욱 세밀하게 자신이 원하는 지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리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예를 들면 자동차를 몰고 특정 지역에 가는 경우에 그 지역의 셀 코드를 입력하고 휴대폰이 그 셀로 진입하게 되면 경보를 울리도록 하면, 그 지역의 지리를 잘 모르더라도 그 지역에 가까이 다가왔음을 알게 되어 원하는 곳에 쉽게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목적지역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주는 방식으로는 링을 울리는 방법 뿐만 아니라, 진동 방식, 불빛을 깜박거리는 방식 등 여러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경보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을 사용하여 목적지 역을 등록하여 두고, 그 역 근처에 도달하게 되면 경보를 울리므로 사용자가 목적지 역을 놓칠 염려가 없으며, 휴대폰을 사용하므로 별도의 장치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는 편의성이 있다. 게다가 기존의 휴대폰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을 새로 설계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휴대형 무선기기를 사용하여 정차역 경보 서비스 코드를 다이알한 후 목적지 역을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입력된 목적지 역을 저장하는 단계와,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형 무선기기가 새로 진입하는 셀이 상기 입력된 목적지 역으로부터 소정의 영역 이내에 속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의 결과 새로 진입하는 셀이 상기 입력된 목적지 역으로부터 소정의 영역 이내에 속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형 무선기기로 경보를 주는 단계
    를 구비하는 휴대형 무선기기를 이용한 정차역 안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역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지 역의 명칭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기기를 이용한 정차역 안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역을 입력하는 단계는, 시스템으로부터 역의 리스트를 받아서 그중에서 목적지 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기기를 이용한 정차역 안내방법.
KR1019980055842A 1998-12-17 1998-12-17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KR10033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42A KR100336442B1 (ko) 1998-12-17 1998-12-17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5842A KR100336442B1 (ko) 1998-12-17 1998-12-17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59A KR20000040259A (ko) 2000-07-05
KR100336442B1 true KR100336442B1 (ko) 2002-09-25

Family

ID=1956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842A KR100336442B1 (ko) 1998-12-17 1998-12-17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232A (ko) * 1997-01-21 1998-10-15 구자홍 공조기용 냉매분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232A (ko) * 1997-01-21 1998-10-15 구자홍 공조기용 냉매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0259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688B1 (ko) 실시간 버스 정보를 이용한 승객 하차 지점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939070A (zh) 用于在通信网络中发送基于移动用户位置的消息的方法
US20060009905A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alerting passengers of their destination
JPH1146164A (ja) 移動物体呼び出しシステム
KR20070047878A (ko) 버스용 정류소 알람장치 및 알람방법
KR101592861B1 (ko) 교통적 약자를 위한 버스 승하차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18091A (ko) 버스 하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81107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EA010642B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заказа таксомоторных услуг
KR100336442B1 (ko) 휴대형무선기기를이용한정차역안내방법
KR100779313B1 (ko) Uwb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객 목적지알림시스템 및 그 알림방법
JP2001241964A (ja) 目的位置通知方法並びに目的位置通知システム、携帯型無線端末、位置情報送信端末
JP2000242892A (ja) 位置報知方法及び位置報知装置及び位置報知システム
KR100726623B1 (ko) 목적지 도착 알람 서비스 제공 이동통신 시스템과 목적지도착 알람 서비스 제공방법
CA2270324A1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KR20000061089A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알림 방법
JP3920589B2 (ja) バス到着管理システム
KR100690456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정장소 도착 알람 서비스방법
KR100658769B1 (ko) Cbs 통신을 이용한 택시 배차 방법
JP200407247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装置、通信装置、固定通信装置、及び、車両
KR20090041270A (ko) 대중 교통 이용시 목적지 알람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01569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90048097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기반 대중교통정보 안내시스템
KR200500155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정거장 도착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53928A (ko) 지정 영역 도착/이탈시의 자동 통보 방법 및 그 방법을채택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