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411B1 -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411B1
KR100334411B1 KR1019960053695A KR19960053695A KR100334411B1 KR 100334411 B1 KR100334411 B1 KR 100334411B1 KR 1019960053695 A KR1019960053695 A KR 1019960053695A KR 19960053695 A KR19960053695 A KR 19960053695A KR 100334411 B1 KR100334411 B1 KR 100334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active
wheel steering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362A (ko
Inventor
정연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41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계로 조향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5)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6)으로 구성되는 전륜 조향 장치를 포함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의 스티어링 샤프트(21)에 장착되는 전동식 마찰 클러치(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이것에 의해, 전륜 조향 장치에 전동식 마찰 클러치가 구비되므로서 능동 작동 페일(fail)시 수동으로 전환되므로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계로 조향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전동식 마찰 클러치를 장착시킨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륜 조향 장치는 차량의 핸들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통상 이러한 4륜 조향 장치는 사이드 슬립 앵글(Side Slip Angle)을 제로화 하는등 차량의 거동 특성을 변화시키는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후륜 조향만 가지고는 이러한 특성을 완전히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전륜을 구동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가 제안되었다. 즉 상기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이 아닌 기계의 작동에 의해 전륜이 조향된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1)과, 상기 핸들(1)의 조향각을 입력받는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와, 상기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며 앞바퀴를 조향하는 전륜 조향 장치(3)와, 상기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며 뒷바퀴를 조향하는 후륜 조향 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조향 장치(3)는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5)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6)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는 스티어링 샤프트, 조향 기어, 피트먼 암, 타이로드, 너클암 그리고 너클 스핀들 등을 포함한다.
상기 후륜 조향 장치(10)는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12)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12)에 의해 조향되는 후륜(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12)는 리어 스티어링 기어 박스, 섹터 기어, 리어 타이로드, 스티어링 피벗, 스프링, 커넥팅 샤프트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는 전륜 조향 장치에 작동 오류 또는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응할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륜 조향 장치에 작동 오류 또는 작동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의 일예로서,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으로 구성되는 전륜 조향 장치를 포함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의 스티어링 샤프트에 장착되는 전동식 마찰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륜 조향 장치가 능동 작동 페일(fail)시 수동으로 전환된다.
도 1은 종래의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마찰 클러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
3 : 전륜 조향 장치 4 : 모터
5 : 스티어링 링키지 6 : 전륜
10 : 후륜 조향 장치 11 : 모터
12 : 스티어링 링키지 13 : 후륜
20 : 전동식 마찰 클러치 21 : 스티어링 샤프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종래 도면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1)과, 상기 핸들(1)의 조향각을 입력받는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와, 상기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며 앞바퀴를 조향하는 전륜 조향 장치(3)와, 상기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며 뒷바퀴를 조향하는 후륜 조향 장치(10)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 조향 장치(3)는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5)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6)과, 모터(4) 또는 다른 능동 조향 장치에 작동 오류 또는 작동 이상이 발생할 때 수동으로 전륜(6)을 조향할 수 있도록 작동을 전환시키는 전동식 마찰 클러치(20; Electro-mechanical Clutch)로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는 스티어링 샤프트, 조향 기어, 피트먼 암, 타이로드, 너클암 그리고 너클 스핀들 등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동식 마찰 클러치(20)는 스티어링 링키지(5)의 스티어링 샤프트(21)에 구비된다.
상기 후륜 조향 장치(10)는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12)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12)에 의해 조향되는 후륜(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12)는 리어 스티어링 기어 박스, 섹터 기어, 리어 타이로드, 스티어링 피벗, 스프링, 커넥팅 샤프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전동식 마찰 클러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정상인 경우에는 전동식 마찰 클러치(20)가 오프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이 전륜(6)으로 전달되지 않고, 비정상인 경우(즉, 능동 조향 장치에 작동 오류 또는 작동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전동식 마찰 클러치(20)에 내장된 코일에 전기가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한다. 상기 자력에 의해 전동식 마찰 클러치(20)가 온되어,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이 스티어링 링키지(5)를 거쳐 전륜(6)으로 직접 전달된다.
여기서, 전륜 조향 장치(3)의 정상 작동과 비정상 작동의 판별은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서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는 전륜 조향 장치에 전동식 마찰 클러치가 구비되므로서 능동 작동 페일(fail)시 수동으로 전환되므로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4륜 조향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스티어링 컨트롤 컴퓨터(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4)와, 상기 모터(4)의 회전에 따라 작동하는 스티어링 링키지(5)와,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6)으로 구성되는 전륜 조향 장치를 포함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링키지(5)의 스티어링 샤프트(21)에 장착되는 전동식 마찰 클러치(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KR1019960053695A 1996-11-13 1996-11-13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KR10033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695A KR100334411B1 (ko) 1996-11-13 1996-11-13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695A KR100334411B1 (ko) 1996-11-13 1996-11-13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62A KR19980035362A (ko) 1998-08-05
KR100334411B1 true KR100334411B1 (ko) 2002-09-18

Family

ID=3747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695A KR100334411B1 (ko) 1996-11-13 1996-11-13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4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362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41138B (zh) 一种电动轮驱动汽车的多模式转向系统及控制方法
WO2001072571A3 (de) Fahrzeuglenkung und achslenkmodul für eine fahrzeuglenkung
JP2001080530A (ja) 車両のための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JP2824838B2 (ja) 自動車の四輪操舵装置
EP0292566A4 (en) POWER STEERING DRIVEN BY THE ENGINE.
US6450592B1 (en)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US5810108A (en) Fail safe device for rear-wheel steering system
US6617811B2 (en) Protective device for an electric steering system
KR100334411B1 (ko) 능동형 4륜 조향 장치
KR930000648B1 (ko) 모터 구동식 전 후륜 조향장치
JPH04103467A (ja) 電気自動車
JP2000510627A (ja) 少なくとも1つの操作レバーを介して制御可能な少なくとも1つの部分を有する自動車
JPH02189283A (ja) 自動車の後輪用操舵装置
JPH02208B2 (ko)
KR200206514Y1 (ko) 전자석을이용한속도감응형동력조향장치
JP3876143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S5963273A (ja) 自動車の操舵装置
KR100244114B1 (ko) 능동 전륜조향장치의 조향각 제한 시스템
JPH01212668A (ja) 四輪操舵車の後輪転舵装置
KR19980054120A (ko) 스티어링 컬럼의 시미방지장치
JPS63301173A (ja) 電気式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2525414Y2 (ja) 自走車両の操舵装置
KR970020838A (ko) 자동차 4륜 조향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장치
JP2558038Y2 (ja) 作業車輌におけるクイックターン作動スイッチの取付け構造
JPH0248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