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474B1 -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474B1
KR100333474B1 KR1019990052363A KR19990052363A KR100333474B1 KR 100333474 B1 KR100333474 B1 KR 100333474B1 KR 1019990052363 A KR1019990052363 A KR 1019990052363A KR 19990052363 A KR19990052363 A KR 19990052363A KR 100333474 B1 KR100333474 B1 KR 10033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metal substrate
antenna
dielectric resonator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050A (ko
Inventor
박성욱
문정익
Original Assignee
안병엽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엽,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filed Critical 안병엽
Priority to KR101999005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47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안테나는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의 유전율보다 높은 유전체 세라믹을 그의 한면 또는 양면에 부착시키고, 부착된 유전체 세라믹의 타 측면에 커넥터의 프로우브 내심이 접촉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테나는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의 일측면에 금속 박막을 도포하고, 금속박막에 커넥터의 프로우브 내심이 접촉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용이하게 낮출 수 있으며, 대역폭의 급격한 감소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CERAMIC DIELECTRIC ANTENNA ATTACHING HIGH PERMITTIVITY MATERIAL}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기기 등에 사용되는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전체를 부착한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중계기 및 단말기용 안테나는 부피가 크고 외장형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 유전체를 이용한 안테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가 낮은 주파수(L-Band)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유전체의 비유전율을 높여야 하거나 비유전율을 그대로 하는 경우에는 부피를 늘려야한다. 전자의 경우와 같이 유전체의 비유전율을 높이게되면 대역폭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와 같이 안테나의 부피가 증가하면 중계기와 단말기 전체에 대한 크기도 동시에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1996년 11월 7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 제 052492 호 및 제 052493 호에는 고유전율을 갖는 세라믹 유전체상에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을 형성하여 안테나 기능을 실현한 유전체 세라믹 패치 안테나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 개시된 유전체 세라믹 패치 안테나는 급전을 위한 구성으로 프로우브를 사용하며, 프로우브의 내심이 고유전체 세라믹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유형의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는 일본 무라타(Murata)사에서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평8-15710, 평6-16945 평6-184934, 평8-187423가 있다. 무라타사의 특허출원에 개시된 안테나는 세라믹 표면에 여러 가지 모양의 금속박막을 도포하여 공진 특성을 조절하며, 방사전극과 접지면사이에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접속시켜 바이어스를 거는 급전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 다른 유형의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는 일본 무라타(Murata)사에서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평8-149368가 있다. 이 출원에는 여러 유전체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로 만든 유전체 안테나가 개시되어 있다.
그 외에, 개구(aperature)와 슬롯(slot)을 사용한 급전법과 프로우브를 사용한 급전법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동작시키는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가 미국 특허 제 5,952,972 호(A. Petosa, A. Ittipiboon, Y.M.M Antar, D. Roscoe, et al, "Recent Advances in Dielectric-Resonator Antenna", IEEE Antennas and Propagation Magazine, Vol. 40, No. 3, June 1998 PP. 35-38 참조)와 미국특허 제 5,940,036 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Mongia가 제안한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는 프로우브를 사용하는 급전방식으로, 프로우브 내심이 유전체 세라믹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체 표면의 한면 또는 두면을 금속으로 코팅하여 세라믹 유전체의 크기를 줄이고 있지만, 대역폭이 좁고 교차 분극(cross-polarization)의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R. K. Mongia "Reduced Size Metalliz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s", Antennas and Propagation Society International Symmposium, 1997 IEEE Digest, pp. 2202-2205)
상술한 종래기술의 안테나 구성에 있어서, 개구와 슬롯을 사용한 급전방식은광대역특성을 가지는 안테나를 설계하는데 유리하지만, 사용 주파수가 낮아지면 급전선의 길이를 늘여야 하므로 안테나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개구와 슬롯의 크기, 사용기판의 특성에 따라 안테나의 공진특성이 달라지므로 설계시 어려움이 있고 사용기판에 따라서 제품의 생산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급전방식으로서 프로우브를 사용하는 안테나 구성은 유전체와 접하는 프로우브의 내심의 길이에 따라 공진특성이 민감하게 변화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심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최적의 공진상태를 만들어주어야 하므로 내심을 정밀하게 가공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프로우브의 내심이 유전체내에 삽입되는 경우 유전체의 면에 구멍을 내는 작업이 필요하고 구멍의 크기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온도변화에 따른 내심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서 내심과 유전체간에 발생하는 공극과 구멍의 위치가 세라믹 안테나의 공진특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생산가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하나의 유전체를 사용하는 세라믹 안테나의 구성에 있어서, 공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유전체 표면상의 금속박막을 변화시키거나 크기를 조정하여, 방사유전체의 비유전율을 조정하는 정도이며, 여러 유전체를 사용하여 다층구조를 형성하는 안테나 구성은 공진주파수의 변화보다는 광대역 특성을 가지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방사유전체의 크기와 비유전율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방사유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두께가 얇은 고유전체를 부착시켜 공진주파수를 낮추면서 대역폭의 감소를 막아주는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 구조와 유전체와 콘넥터의 내심이 접하는 부분에 금속박막을 유전체 상에 입혀 급전하는 개선된 급전구조를 갖는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는: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접지로서 사용되는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의 개구를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하는 프로우브를 갖는 내심과 상기 내심을 둘러싸는 외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급전용 커넥터; 상기 금속 기판상에 배치되는 유전체 공진기;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상기 돌출된 프로우브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는: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접지로서 사용되는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의 개구를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하는 프로우브를 갖는 내심과 상기 내심을 둘러싸는 외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급전용 커넥터; 상기 금속 기판상에 배치되는 유전체 공진기;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양측면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샌드위치 형상으로 마주하여 배치된 한쌍의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유전체 세라믹중의 하나는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돌출된 상기 프로우브와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는: 개구를 가지고있으며, 접지로서 사용되는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의 개구를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하는 프로우브를 갖는 내심과 상기 내심을 둘러싸는 외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급전용 커넥터; 상기 금속 기판상에 배치된 유전체 공진기로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일측면에는 금속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된 프로우브는 상기 금속물질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들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세라믹들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유전율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안테나 모델과 종래기술의 안테나 모델과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안테나 모델과 종래기술의 안테나 모델과의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금속 기판 120 : 급전용 커넥터
122 : 프로우브 내심 130 : 고정 부재
140 :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150, 160 : 유전체 세라믹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시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100)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100)는 금속 기판(110), 급전용 커넥터(120), 고정 부재(130),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 및 유전체 세라믹(150)을 포함한다.
금속 기판(110)은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100)에서 접지면으로서 작용하며, 급전용 커넥터(120)를 수용하는 관통 개구(115)를 가지고 있다. 이와 달리, 금속기판(110)은 부도체상에 금속박막을 도포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급전용 커넥터(120)는 그의 일측이 주파수 신호가 송수신되는 동축 케이블(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에너지를 급전하는 수단으로, 금속 기판(110)의 관통 개구(115)를 통하여 돌출하는 프로우브 내심(122)과 내심(122)을 둘러싸는 외심(124)으로 구성된다.
고정 부재(130)는 급전용 커넥터(120)의 프로우브 내심(122)을 둘러싸는 원통형 구성으로 관통 개구(115)의 크기와 동일하게 맞추어지는 외곽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130)는 급전용 커넥터(120)가 금속 기판(110)의 관통 개구(115)에 삽입될 때, 금속 기판(110)과 동평면을 이루게 되며, 급전용 커넥터(120)의 프로우브(122)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유전체로 구성된다.
유전체 공진기(14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의 일면(142)이 유전체 세라믹(150)과 부착되어 금속 기판(110)상에 배치된다. 유전체 공진기(140)는 급전용 커넥터(120)의 프로우브 내심(122)을 통하여 제공되는 에너지에 의해 발진됨으로써 필요로 하는 공진 주파수를 발생한다.
유전체 세라믹(150)은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금속 기판(110)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 세라믹(150)은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와 프로우브(122) 사이에서 샌드위치 형태로 배열되도록, 그의 일측면이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의 일면(142)에 부착되고, 그의 타측면이 돌출된 프로우브(12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유전체세라믹(150)은 커넥터(120)를 통하여 에너지가 제공될 때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과 함께 공진 구성을 이루게 되어 상술한 공진 주파수를 발생한다.
유전체 세라믹(150)과 고정부재(130)는 서로 동일한 유전율을 갖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유전율을 가지며, 유전체 세라믹(150)의 유전율은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의 유전율보다 높은 물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구성에 따라 커넥터(120)의 프로우브 내심(122)과 저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간에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150)이 삽입됨으로써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가 단독으로 존재할 경우에 가지는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면서 대역폭의 감소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 동작에 있어서, 먼저 본 발명의 안테나(100)에서 송신을 하는 경우, 커넥터(120)를 통하여 안테나로 사용되는 저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와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150)으로 전자계가 전달되고 유전체가 가지는 비유전율과 크기에 따라서 일정한 주파수에서 공진을 일으키게 되어, 커넥터(120)를 통하여 전달된 에너지가 외부로 최대로 방사된다. 이와 반대로, 안테나(100)가 외부의 전파를 수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파가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150)과 유전체 공진기(140)로 침투하여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150)과 유전체(140)내에 공진 조건을 만족하면 커넥터(120)를 통하여 공진 주파수 신호가 전달된다.
이때, 저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의 한면에 부착된 비율전율이 높은 유전체 세라믹(150)에 의해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와 유전체 세라믹(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진 구성에서 공진을 일으키는 주파수가 낮아지게 한다. 물론,유전체 세라믹(150)의 비유전율이 높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주파수의 변화정도는 커질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2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200)의 구성에 있어서, 제 2 유전체 세라믹(160)이 제 1 유전체 세라믹(150)과 마주하는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의 타측면(144)에 부착되어,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140)가 제 1 및 제 2 유전체 세라믹(160)사이에서 샌드위치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100)의 구성과 동작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구성된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200)에 있어서, 제 2 유전체 세라믹(160)은 세라믹 공진기(140)에 비하여 높은 유전율을 가지며, 고정부재(130)와 제 1 유전체 세라믹(150)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유전율을 갖는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3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300)는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에서 제 1 유전체 세라믹(150) 대신에 세라믹 공진기(140)의 일면(142)의 중심부에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공진조건을 만족하도록 적당한 너비와 길이를 갖는 금속박막(170)을 도포하고, 도포된 금속 박막(170)에 커넥터(120)의 내심(122)이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유전체 세라믹 공진기 안테나의 구성과 동작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금속박막(170)은 고정부재(130)의 외경보다 큰 경우에는 접지면으로 사용되는 금속기판(110)과 접촉하여 단락을 일으키므로, 고정부재(130)의 외경보다 적은 가로폭을 갖거나 또는 접지면으로 사용되는 금속기판(110)보다 높게 부착하여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커넥터(120)의 내심(122)의 길이, 위치 및 반경이 다소 변경되더라도 세라믹 유전체 안테나(300)의 공진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기 표 1은 도 1에 예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유전체 세라믹(150)의 두께를 변화시킬 때 공진주파수와 반사손실, 그리고 대역폭의 변화를 나타낸다. 하기 표에서, εlow는 유전체 공진기(140)의 유전율, εhigh는 제 1 유전체 세라믹(150)의 유전율, f0는 공진주파수, Δf0는 공진주파수의 변화폭을 나타내며, εlow=1.0 의 경우는 일반적인 안테나 모델의 유전체 공진기가 단독으로 접지(110)면상에 배치하여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εlow εhigh a[mm] b[mm] d[mm] t[mm] f0[GHz] Δf0[MHz] Δf0[%] 대역폭[%](VSWR<2)
9.3 1.0 10.5 10.5 20 - 5.32 0 0 14.2 일반모델
9.3 21 10.5 10.5 20 0.7 4.87 -450 -8.45 13.8 종래모델
9.3 38 10.5 10.5 20 0.7 4.60 -720 -13.5 12.3
9.3 21 10.5 10.5 20 0.7 4.96 -360 -6.76 19.0 제 1 실시예의 모델
9.3 21 10.5 10.5 20 1.4 4.60 -720 -13.5 15.8
9.3 21 10.5 10.5 20 2.8 4.42 -900 -16.9 7.18
9.3 38 10.5 10.5 20 0.7 4.82 -500 -9.61 24.1
상기 표 1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유전체 세라믹(15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공진주파수는 낮아지지만, 그 두께가 1.4mm 이상 되면서 대역폭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안테나(실선으로 표시)와 종래기술의 M.Cooper의 안테나 모델(점선으로 표시)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εhigh는 38인 경우를 비교 하였다.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을 사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안테나에 비하여 종래기술의 안테나 모델은 공진주파수가 5.32 GHz에서 4.60GHz로 감소되는 반면, 본 발명의 안테나 모델은 공진주파수가 5.32 GHz에서 4.82GHz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비록 종래기술의 안테나 모델이 공진주파수의 감소변화정도가 본 발명의 모델에 비하여 크지만, 대역폭의 측면에서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대역폭은 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2 정도에서 결정되고, 이를 반사 손실로 바꾸어보면 약 -10 dB 정도이고 -10dB 이하의 반사 손실을 만족하는 구간을 사용주파수 대역으로 보기 때문에 공진주파수의 변화정도가 4% 차이가 나는 반면 대역폭에서는 6%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공진주파수의 변화정도에서 보이는 차이는 무시될 수 있다.
따라서, 표 1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모델의 대역폭은 εhigh이 38인 경우 24.1%로서 종래기술의 모델보다 2배 정도(즉, 12.3×2=24.6)의 광대역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고유전율의 유전체 세라믹을 사용하지 않는 일반 안테나 모델의 대역폭 14.2%를 능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표 2와 도 4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안테나와 관련하여 εhigh이 38이고, t가 1.4 그리고, t1이 0.7, t2가 0.7 이라는 동일 조건하에서 종래모델(실선 표시)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모델(점선 표시) 및 제 2 실시예의 모델(쇄선 표시)간의 공진주파수, 반사손실 및 대역폭의 관계의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εlow εhigh a[mm] b[mm] d[mm] t[mm] t1[mm] t2[mm] f0[GHz] Δf0[MHz] Δf0[%] 대역폭[%](VSWR<2)
9.3 1.0 10.5 10.5 20 - - - 5.32 0 0 14.2 일반모델
9.3 38 10.5 10.5 20 1.4 - - 4.60 -720 -13.5 9.64 종래모델
9.3 38 10.5 10.5 20 1.4 - - 4.42 -900 -16.9 9.16 제1실시예
9.3 38 10.5 10.5 20 - 0.7 0.7 4.10 -1220 -22.9 14.9 제2실시예
이들 데이터로부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안테나 모델은 타 모델들에 비하여 공진주파수의 변화정도가 4.10 GHz 로서 가장 크고 대역폭 역시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유전체보다 비유전율이 높은 유전체를 유전체 공진기의 한면 또는 양면에 부착시킴으로써 공진주파수를 쉽게 낮추면서 대역폭의 급격한 감소현상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착된 유전체 세라믹의 비유전율에 따라서 공진점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라믹 유전체를 사용한 안테나가 저주파수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소형화가 가능하며 방사유전체상의 금속박막을 변화시켜 공진주파수를 낮추는 어려운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급전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내심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유전체 공진기의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접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에 있어서,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접지로서 사용되는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의 개구를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하는 프로우브를 갖는 내심과 상기 내심을 둘러싸는 외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급전용 커넥터;
    상기 금속 기판상에 배치되는 유전체 공진기;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상기 돌출된 프로우브와 상기 유전체 공진기 사이에서 이들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유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유전체 세라믹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유전율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3.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에 있어서,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접지로서 사용되는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의 개구를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하는 프로우브를 갖는 내심과 상기 내심을 둘러싸는 외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급전용 커넥터;
    상기 금속 기판상에 배치되는 유전체 공진기;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양측면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샌드위치 형상으로 마주하여 배치된 한쌍의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유전체 세라믹중의 하나는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돌출된 상기 프로우브와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유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유전체 세라믹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유전율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5.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에 있어서,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접지로서 사용되는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의 개구를 통하여 관통되어 돌출하는 프로우브를 갖는 내심과 상기 내심을 둘러싸는 외심으로 구성된 에너지 급전용 커넥터;
    상기 금속 기판상에 배치된 유전체 공진기로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일측면에는 금속박막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된 프로우브는 상기 금속물질에 접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 기판상에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유전체로 구성되며, 상기 유전체 세라믹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유전율보다 높은 유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막은 상기 금속기판과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기판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KR1019990052363A 1999-11-24 1999-11-24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KR10033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363A KR100333474B1 (ko) 1999-11-24 1999-11-24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363A KR100333474B1 (ko) 1999-11-24 1999-11-24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50A KR20010000050A (ko) 2001-01-05
KR100333474B1 true KR100333474B1 (ko) 2002-04-25

Family

ID=1962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363A KR100333474B1 (ko) 1999-11-24 1999-11-24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994B1 (ko) 2009-10-16 2011-11-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CN109560385A (zh) * 2018-11-26 2019-04-02 广东三水合肥工业大学研究院 一种具有无缝金属套筒的宽频带陶瓷天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084B1 (ko) 2011-11-18 2018-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전체 캐비티 안테나
US10910722B2 (en) * 2018-01-15 2021-02-02 Rogers Corporatio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having first and second dielectric portions
CN110323554B (zh) * 2019-07-04 2020-12-08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内嵌金属柱的宽波束介质谐振器天线
CN111600117B (zh) * 2020-05-12 2023-05-02 中天宽带技术有限公司 介质谐振器天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994B1 (ko) 2009-10-16 2011-11-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CN109560385A (zh) * 2018-11-26 2019-04-02 广东三水合肥工业大学研究院 一种具有无缝金属套筒的宽频带陶瓷天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050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408A (en) Window mounted mobile antenna system using annular ring aperture coupling
US6133880A (en) Short-circuit microstrip antenna and device including that antenna
US5565877A (en) Ultra-high frequency, slot coupled, low-cost antenna system
US6700539B2 (en) Dielectric-patch resonator antenna
EP1090438B1 (en) Dual embedded antenna for an rf data communications device
EP1118138B1 (en) Circularly polarize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US6404394B1 (en) Dual polarization slot antenna assembly
US5945959A (en) Surface mounting antenna having a dielectric base and a radiating conductor film
US20040017315A1 (en) Dual-band antenna apparatus
US5471222A (en) Ultrahigh frequency mobile antenna system using dielectric resonators for coupling RF signals from feed line to antenna
KR10067745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삼중 대역 안테나
JP3178764B2 (ja) スロットアンテナの給電回路
KR100333474B1 (ko)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US6359593B1 (en) Non-radiating single slotline coupler
JP3006399B2 (ja) デュアルバンドアンテナ
KR100479383B1 (ko) 급전 슬롯 루프 안테나
KR20050098910A (ko) 광대역 콤비네이션 민더라인 및 패치 안테나
JPH04170803A (ja) 平面アンテナ
JP3237604B2 (ja) アンテナ装置
KR100424051B1 (ko) 마이크로 칩 안테나
KR100406284B1 (ko) 벌크(Bulk) 형태의 유전체를 이용한아이엠티-2000(IMT-2000) 단말기용 소형 안테나 장치
KR100395267B1 (ko)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0424050B1 (ko) 마이크로 칩 안테나
JPH11112221A (ja) アンテナ装置
JP2022133082A (ja) 伝送線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