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747B1 -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747B1
KR100332747B1 KR1019940034187A KR19940034187A KR100332747B1 KR 100332747 B1 KR100332747 B1 KR 100332747B1 KR 1019940034187 A KR1019940034187 A KR 1019940034187A KR 19940034187 A KR19940034187 A KR 19940034187A KR 100332747 B1 KR100332747 B1 KR 10033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horizontal
defle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402A (ko
Inventor
박만효
박중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747B1/ko
Publication of KR96002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7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2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character code signals, e.g. f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corresponding to a cinematograph film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형태 송신방법 및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방송국에서 16:9신호 소스를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비선형으로 압축하고 수신측에서 수평 압축정도를 비선형으로 확장시켜 화면의 왜곡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입력 비디오신호로부터 광스크린 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수단과;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광스크린 데이타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송형태 검출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문자신호를 디코딩하여 문자색신호를 출력하는 텔레텍스트 디코딩수단과; 상기 휘도/색도 분리수단에서 얻어진 색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구동수단에서 얻어진 편향신호를 비선형으로 확장시켜 상기 칼라수상관의 수평편향을 조정하는 S자보정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동기를 수직편향신호로 변환하여 칼라수상관의 수직편향을 조정하는 수직증폭 주정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송된다.

Description

방송형태 송신 및 수신장치
본 발명은 방송신호의 수직귀선기간 또는 액티브 영상구간을 제외한 부분에 전송중인 신호의 특성에 관련된 실어 송신하고 그 송신된 신호소스(source)의 관련 정보(예로써, 영화정보, 카메라신호 정보, 자막방송 등)를 판단하여 화면을 왜곡없이 확장시켜 주도록 하는 방송형태 송신 및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PAL) 방송방식에서 레터박스 형태는 원래의 액티브 영상구간의 3/4을 영상으로 하여 그 나머지 화면의 상하측을 검게하여, 즉 레터박스 형태로 영상을 전송하게 된다.
이는 영화등 화면비가 16:9인 영상을 화면비가 4:3인 티브이 수상기에서 화면의 찌그러짐이 없이 전송하기 위해서이다.
그런데, 화면비가 16:9인 광폭 티브이 수상기의 개발로 16:9의 영상을 광폭 티브이 수상기에 전화면으로 표시하여 주어야 활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따라서, 광폭 티브이 수상기의 보급이 확산되는 추세에 맞추어 각 방송국에서 4:3 티브이 수상기와 광폭 티브이 수상기의 공존을 위해 4:3 프로그램과 16:9 프로그램들 혼합 편성하여 전송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이 16:9인지 또는 4:3인지를 검출하여 티브이 수상기에 알려줄 필요성이 생겼으며, 또한 각 방송국의 서비스 향상에 대한 상태도 전송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ETSI(유럽 전기통신 표준협회)에서 광스크린신호(WSS : Wide Screen Signalling)에 대한 규정을 표준화 하였으며, 모든 방송국들이 이 규정을 따르고 있다.
상기 광스크린신호(WSS) 표준 규정에 의하면, 광스크린신호(WSS)는 625라인 시스템에서 수직귀선기간의 23번째 라인에 실려 전송되고, 신호의 진폭은 블랙레벨에서 500mV이다.
그리고, 광스크린신호(WSS)는 Sin2의 형태로 필터링되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며, 데이타 비(rate)는 5Mbps(bps : bit per second) 속도로 전송된다.
상기 광스크린신호(WSS)이 다음과 같은 정보가 들어있다.
첫째, 화면비와 관련된 4:3신호 또는 16:9신호 또는 2:1신호 또는 기타 화면비에 관련된 정보가 있으며, 둘째로는 신호의 원본이 필름(영화) 또는 카메라(방송)로 제작된 것인가에 대한 정보, 셋째로는 자막방송의 유무에 대한 정보, 넷째로는 자막방송의 경우 자막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 다섯째로는 자막방송과 동시에 문자 방송의 서브타이틀에 자막내용을 보내는지의 여부, 여섯째로는 광스크린신호 전송에 관련한 추가정보, 일곱째로는 사운드 관련 정보이다.
상기 정보의 전송은 디지털신호 형태로 할 때 인코딩은 영비복귀변조(NRZ : non-return-to-zero modulation), 또는 영복귀변조(RZ) 쌍위상등 어떤 형태로도 할 수 있으며, 정보의 전송을 아날로그신호 형태로 할 때는 변조방법중 하나를 택하여 보낼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을 디지털형태로 하고 인코딩은 영비복귀 변조를 사용할 경우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수직귀선기간의 23번째 라인에 실린 광스크린 데이타의 위치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1㎲부터 27.4㎲ 구간에는 제 2 도와 같은 광스크린신호 (WSS)가 실려있다.
그리고,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광스크린 데이타의 구성은 제 2 도와 같다.
여기서, 클럭 런인(Run-ln)은 비트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이며, 비트동기는 바이트씩 처리하기 위해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이다.
이후에 나오는 데이타는 보호를 위해서 8.4 해밍코드로 처리하여 1바이트중 4개 비트는 정보이고 4개 비트는 신호용으로 1비트의 오류일 경우는 정정 가능하다.
상기 해밍 코드의 데이타 구조는 제 3 도와 같으며, 방송신호 형태에 대한 정보 제 4 도의 (가) 내지 (마)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 5 도는 제 4 도의 (가)와 같이, 전송되는 정보에 의해 액티브 화면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제 5 도의 (나) 및 (다)의 빗금 밖의 영역은 액티브화면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즉, 다시말해서 제 4 도의 (가)에서 방송국으로부터 액티브 화면비가 4:3으로 전송되면, 즉 데이타(D03)(D02)가 모두 "0"로 전송되면 수상기측의 액티브 화면은 제 5 도의 (가)와 같이 표시되고, 방송국으로부터 액티브 화면비가 16:9로 전송되면, 즉 데이타(D03)(D02)가 "0", "1"로 전송되면 수상기측의 액티브 화면은 제 5 도의 (나)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며, 액티브 화면비가 2:1로 전송되면 제 5 도의 (다)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프로그램이 4:3 프로그램인지 또는 16:9 프그램인지를 알리는 광스크린신호를 수신측에서 검출하여 자동으로 광스크린 티브이 수상기에 화면을 확장시켜 주어야 하거나 또는 원래의 화면대로 표시해주어야 하는데, 현재의 4:3 티브이 수상기 또는 16:9의 광폭 티브이 수상기에 있어서는 상기의 광스크린 신호를 검출하는 시스템이 없이 단순하게 시청자가 4:3 신호 또는 16:9 신호 인지를 화면상태를 보고 판단하여 수동으로 절환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16:9 영상을 전화면으로 표시하여 주지 못하고 16:9의 광폭티브이 수상기의 화면 상하측에 검은 부분의 레터박스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수직측의 해상도 저하는 물론 방송국으로부터 신호의 압축상태에 따라 화면의 중앙 부분에 왜곡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방송국에서 16:9 신호 소스를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비선형으로 압축 송출하여 4:3 수신기에서의 화면왜곡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팔플러스 시스템의 방송형태 송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비선형 압축에 대한 형태를 감지하여 역으로 비선형 확장함으로써 원래의 16:9 신호소스와 같은 선형성을 얻도록 하는 방송형태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신호소스로 부터의 화면비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화면을 확장시킬 때 자막이 화면의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그 자막을 보호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화 또는 방송소스를 인지하여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분리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문자방송내의 자막정보의 유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자막을 문자방송으로부터 탐색하도록 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송방법으로는 수직귀선기간의 n번째 수평라인의 액티브구간에 실려있는 16:9 신호소스를 4:3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수평방향의 비선형으로 압축정도를 변화시켜 비다오신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수신수단으로는 입력 비디오신호로부터 광스크린 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수단과;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광스크린 데이타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송형태 검출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문자신호를 디코딩하여 문자색신호를 출력하는 텔레텍스트 디코딩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입력 비디오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는 휘도/색도 분리수단과; 상기 휘도/색도 분리수단에서 얻어진 색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수단과; 상기 휘도/색도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휘도신호와 복조수단의 색신호를 혼합하여 색차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수단과; 상기 텔레텍스트 디코딩수단에서 디코딩된 문자색신호와 매트릭스수단의 색차신호를 선택하여 증폭수단을 통해 칼라수상관에 표시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구동수단에서 얻어진 편향신호를 비선형으로 확장시켜 상기 칼라수상관의 수평편향을 조정하는 S자보정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동기를 수직편향신호로 변환하여 칼라수상관의 수직편향을 조정하는 수직증폭. 조정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6 도는 본 발명 방송형태 인식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서 광스크린 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부(101)와; 상기 데이타 검출부(101)에서 검출한 광스크린 데이타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수직조정신호(Va)(Vb), 수평조정신호(Sa)(Sb), 휘도/색도 분리신호(Ya), 서브타이틀 인식신호(Ta)를 발생하는 방송형태 검출부(102)와;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발생된 서브타이틀 인식신호(Ta)에 의해 상기 데이타 검출부(101)에서 검출된 광스크린 데이타에서 문자데이타만을 디코딩 하여 문자 색신호(R', G', B')와 스위칭신호(SW)를 출력하는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와;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발생된 휘도/색도분리신호(Ya)에 의해 상기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에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하는 휘도/색도 분리부(104)와; 상기 휘도/색도 분리부(104)에서 분리된 색신호(C)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동상성분신호(U)와 직교성분신호(V)를 출력하는 복조부(105)와; 상기 휘도/색도 분리부(104)에서 분리된 휘도신호(Y)와 복조부 (105)에서 복조된 색신호의 동상성분신호(U), 직교성분신호(V)를 혼합하여 R", G", B"의 색신호를 출력하는 매트릭스부(106)와; 상기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에서 발생된 스위칭신호(SW)에 의해 디코딩된 문자색신호(R', G', B')와 매트릭스부 (10b)의 색신호(R", G", B")를 선택하여 증폭부(112)를 통해 칼라수상관(113)에 표시하는 선택부(107)와; 상기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신호에서 수평동기(Ho)와 수직동기(Vo)를 검출하여 분리 출력하는 동기분리부(108)와; 상기 동기분리부(108)에서 분리된 수평동기(Ho)를 수평편향신호(HA)로 변환하는 수평구동부 (109)와: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발생된 수평조정신호(Sa)(Sb)에 의해 수평구동부(109)에서 입력되는 수평편향신호(HA)를 비선형으로 확장시켜 상기 칼라수상관(13)의 편향요크(114)를 조정하는 S자보정부(110)와;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 (102)에서 발생된 수직조정신호(Va)(Vb)에 의해 상기 동기분리부(108)에서 분리되어 입력되는 수직동기(Vo)를 수직편향신호로 변환하여 칼라수상관(113)의 편향요크 (114)를 조정하는 수직증폭 조정부(111)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 4 도 내지 제 9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제 1 도 내지 제 5 도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국에서 수직귀선기간의 23번째 라인에 실리는 광스크린 데이타를 디지털 형태로, 그리고 인코딩은 영비복귀 변조방식으로 하고 수평압축은 이후에 설명될 비선형 방식으로 압축하여 비디오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수신측에서는 상기 송출되는 비디오신호에서 광스크린 데이타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정보에 따라 방송형태를 인식하여 비선형 압축에 대한 정보를 비선형으로 확장하고 화면비를 인지하여 화면을 자동으로 확장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서, 이를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단자(100)를 통해 비디오신호가 입력되어 데이타 검출부(101), 휘도/색도 분리부(104) 및 동기분리부(108)에 입력되면, 상기 데이타 검출부(101)는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로부터 제 3 도, 즉 제 4 도의 (가) 내지 (마)와 같은 정보가 들어 있는 광스크린 데이타를 검출하여 방송형태 검출부 (102) 및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동기분리부(108)는 입력된 비디오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수평동기(Ho)와 수직동기(Vo)를 분리한 후 이를 각각 수평구동부(109)와 수직증폭 조정부 (111)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는 상기 데이타 검출부(101)에서 검출되어 입력되는 광스크린 데이타에서 제 4 도의 (가) 내지 (마)와 같은 액티브 화면비, 수평압축정도, 비디오신호가 영화인지 카메라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소스, 자막 유무 및 위치, 서브타이틀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결과에 따라 수직조정신호 (Va)(Vb), 수평조정신호(Sa)(Sb), 휘도/색도분리신호(Ya) 및 서브타이틀 인식신호 (Ta)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발생된 수직조정신호(Ya)(Vb)는 수직증폭 조정부(111)에 입력되고 수평조정신호(Sa)(Sb)는 S자보정부(110)에 입력되며, 휘도/색도분리신호(Ya)와 서브타이틀 인식신호(Ta)는 각각 휘도/색도 분리부(104) 및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에 입력된다.
상기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는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검출된 제 4 도의 (마)와 같은 서브타이틀 인식신호(Ta)에 의해 상기 데이타 검출부(101)에서 검출된 광스크린 데이타에서 문자데이타를 디코딩하여 문자색신호(R', G', B')와 스위칭신호(SW)를 선택부(107)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휘도/색도 분리부(104)는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발생된 휘도/색도분리신호(Ya)에 의해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신호에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하여 색신호(C)는 복조부(105)에 입력하고 휘도신호 (Y)는 매트릭스부(1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복조부(105)는 입력된 색신호(C)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여 동상성분신호(U)와 직교성분신호(V)를 상기 매트릭스부(106)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매트릭스부(106)는 복조부(105)에서 입력된 동상성분신호(U)와 직교성분신호(V) 및 휘도/색도 분리부(104)에서 분리되어 입력되는 휘도신호(Y)를 합성하여 R", G", B"색신호를 선택부(1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선택부(107)는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에서 출력된 스위칭신호(SW)에 의해 문자색신호(R', G', B')와 매트릭스부(106)의 R", G", B"를 스위칭시켜 증폭부(112)를 통해 칼라수상관(113)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기분리부(108)는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서 수평동기(Ho)와 수직동기(Vo)를 분리하여 각각 수평구동부(109)와 수직증폭 조정부(111)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수평구동부(109)는 입력된 수평동기(Ho)를 수평편향신호(HA)로 변환하여 S자보정부(110)에 입력하게 되고, 수직증폭조정부(111)는 상기 방송형태 검출부 (102)에서 발생된 수직조정신호(Va)(Vb)에 의해 입력된 수직동기(Vo)를 수직편향신호(HA)로 변환하고 이를 조정하여 칼라수상관(113)의 편향요크(114)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S자보정부(110)는 수평구동부(109)에서 입력되는 수평편향신호 (HA)를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검출되어 입력되는 방송형태, 즉 수평조정신호 (Sa)(Sb)에 의해 제 7 도의 점선과 같이, 비선형으로 확장시킨 수평편향신호(HA)를칼라수상관(113)의 편향요크(114)에 제공하게 된다.
즉, 이를 제 4 도의 (나) 및 제 7 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7 도의 (가) 내지 (마)는 제 4 도의 (나)에 대한 수평 압축정보(A 내지 D)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16:9 원래 신호로 수평방향의 선형성이 일정하다.
방송국에서 송출시에는 4:3 신호 형태로 보내야 하므로 수평방향 압축이 필요하므로 제 4 도의 (나)에서 수평압축정도 A, B, C, D중 하나를 선택하여 압축하는데 이는 제 7도의 (나) 내지 (마)의 실선에 해당되며, 이 수평 압축정도를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검출하여 그에 해당하는 수평조정신호(Sa)(Sb)를 S자보정부 (110)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상기 S자보정부(110)가 제 7 도의 (나) 내지 (마)의 점선과 같이, 비선형으로 신장시켜 편향요크(114)에 제공하게 되므로 이를 4:3 디스플레이장치, 즉 칼라수상관(113)에 그대로 표시할 경우 제 8 도의 (나) 내지 (마)와 같이 디스플레이 된다.
즉 4:3 모니터에서 보면 제 7 도의 (마)와 같이 선형압축되어 전송되어 올 경우 제 8 도의 (마)와 같이 화면이 수직으로 길어진 것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시청각도를 볼 때 시야가 주로 화면의 중앙부에 집중되며 특히 스포츠 등에서는 두드러 지므로 프로그램 성격 또는 기타 상황에 따라 화면 중앙부의 왜곡을 거의 없도록 제 7 도의 (라)(다)(나)와 같은 비선형 압축으로 수평압축하면 제 8 도의 (라)(다)(나)와 같은 순서대로 화면 중앙부의 왜곡을 덜심하게 하여 보낼수가 있어 정확한 압축 정도에 의해 4:3 수상기에서도 화면을 왜곡이 없는 것 처럼 시청할 수 가 있다.
만약 16:9 수상기를 갖고 방송신호 형태 인식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면 압축정도와 반대되는 압축곡선을 이용하여 제 8 도의 (가)와 같이 원래의 16:9 소스와 같은 선형성을 복원하여 시청할 수 있다.
검출한 바와같이, 방송형태 검출부(102)와 S자보정부(110)에 의해서 S자 보정된 수평편향신호(HA)와 수직증폭 조정부(111)의 수직편향신호(VA)에 따라 상기한 칼라수상관(113)은 증폭부(112)를 통해 증폭된 색신호(R, G, B)를 화면에 왜곡없이 표시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제 9 도와 같이, 자막이 있을 경우에는 방송형태 검출부(102)에 의해 텔레텍스트 디코딩부(103)에서 검출되어 출력되는 문자색신호를 선택부(107), 증폭부(112)를 통해 칼라수상관(113)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9 도에서 (가)는 액티브 화면내에 자막이 있는 경우이고, (나)는 액티브 화면밖에 자막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방송형태 검출부(102)에서 제 4 도의 (라)와 같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광스크린 데이타로부터 자막 유무와 위치를 검출하여 자막이 있을 경우와 그 자막의 위치에 따라, 즉 제 9 도의 (가) 및 (나)와 같이 자막이 위치하였을 경우 제 9 도의 (다) 및 (라)와 같이 적절한 형태로 화면을 확장하여 자막을 보호하게 되고 아울러 문자방송내의 자막 정보의 유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자막을 문자방송에서 찾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국에서 16:9 신호 소스를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비선형으로 압축하고 수신측에서 수평 압축정도를다시 비선형으로 확장시켜 줌으로써, 4:3 수신기에서의 화면왜곡이 나타나지 않을 뿐 아니라 원래의 16:9 신호소스와 같은 선형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입력되는 신호 소스로 부터의 화면비와 자막의 유무, 위치등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화면을 확장하여 주고 자막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수직귀선기간의 n번째 라인에 실린 광스크린 데이타의 위상상태를 보인도.
제2도는 제1도의 광스크린 데이타의 포맷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해밍 코드로 된 데이타의 구성도.
제4도의 (가)내지 (마)는 제 3 도의 방송신호 형태에 대한 정보를 보인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가)에 대한 화면상태도로서,
(가)는 4:3 액티브 화면 표시상태를 보인 것이고,
(나)는 16:9 액티브 화면 표시상태를 보인 것이며,
(다)는 2:1 액티브 화면 표시상태를 보인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 팔플러스 시스템의 방송형태 인식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제4도의 (나)에 따른 본 발명의 신호소스를 비선형 수평압축 및 신장상태를 보인 도.
제8도는 제7도에 따른 화명상태를 보인 도.
제9도은 제4도의 (라)에 따른 자막의 위치상태를 보인도로서,
(가)는 액티브 화면내에 자막이 있는 경우를 보인 것이고,
(나)는 액티브 화면내에 자막이 있는 경우를 보인 것이며,
(다)는 (가)도의 자막을 훼손하지 않고 확장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라)는 (나)도의 자막을 훼손하지 않고 확장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데이타 검출부 102 : 방송형태 검출부
103 : 텔레텍스트 디코딩부 104 : 휘도/색도 분리부
105 : 복조부 108 : 동기분리부
109 : 수평구동부 110 : S자 보정부
111 : 수직증폭 조정부

Claims (3)

  1. 수직귀선기간의 n번째 수평라인의 액티브구간에 실려있는 16:9 신호소스를 4:3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게 수평방향의 비선형으로 압축정도를 변화시켜 비디오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 입력받은 입력 비디오신호로부터 광스크린 데이타를 검출하는 데이타 검출수단과;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광스크린 데이타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여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방송형태 검출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구동수단에서 얻어진 편향신호를 비선형으로 확장시켜 칼라수상관의 수평편향을 조정하는 S자보정수단과;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동기를 수직편향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칼라수상관의 수직편향을 조정하는 수직증폭 조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형태 및 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태 검출수단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타 검출수단의 문자신호를 디코딩하여 문자색신호를 출력하는 텔레텍스트 디코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형태 송신 및 수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형태 검출수단에서 검출되어 출력된 제어신호는 수평편향의 S자보정을 위한 수평조정신호와; 액티브 화면비와 자막 유무 및 위치에 따라서 자막을 보호하는 수직조정신호와; 휘도/색도분리를 위한 신호와; 텔레텍스트디코딩수단에 서브타이틀 유무를 알리는 서브타이틀 인식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형태 송신 및 수신장치.
KR1019940034187A 1994-12-14 1994-12-14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KR10033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187A KR100332747B1 (ko) 1994-12-14 1994-12-14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187A KR100332747B1 (ko) 1994-12-14 1994-12-14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02A KR960028402A (ko) 1996-07-22
KR100332747B1 true KR100332747B1 (ko) 2002-11-13

Family

ID=3747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187A KR100332747B1 (ko) 1994-12-14 1994-12-14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74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980A (ja) * 1989-07-24 1991-03-08 Sharp Corp ワイドアスペクト画像信号受信装置
US5045939A (en) * 1989-07-06 1991-09-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utilizing motion detector for converting a maximum motion portion of a wide screen tv signal to a normal screen tv signal
JPH03218192A (ja) * 1990-01-24 1991-09-25 Hitachi Ltd ワイド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
JPH0583745A (ja) * 1991-09-24 1993-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5283653A (en) * 1992-05-22 1994-02-01 Zenith Electronics Corp. Dual HDTV/NTSC receiver using sequentially synthesized HDTV and NTSC co-channel carrier frequencies
US5309234A (en) * 1991-05-29 1994-05-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Adaptive letterbox detector
KR100284399B1 (ko) * 1992-02-21 2001-03-02 제이 엘. 차스킨 텔레비젼 이미지 포맷 변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5939A (en) * 1989-07-06 1991-09-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utilizing motion detector for converting a maximum motion portion of a wide screen tv signal to a normal screen tv signal
JPH0354980A (ja) * 1989-07-24 1991-03-08 Sharp Corp ワイドアスペクト画像信号受信装置
JPH03218192A (ja) * 1990-01-24 1991-09-25 Hitachi Ltd ワイド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
US5309234A (en) * 1991-05-29 1994-05-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Adaptive letterbox detector
JPH0583745A (ja) * 1991-09-24 1993-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100284399B1 (ko) * 1992-02-21 2001-03-02 제이 엘. 차스킨 텔레비젼 이미지 포맷 변환 시스템
US5283653A (en) * 1992-05-22 1994-02-01 Zenith Electronics Corp. Dual HDTV/NTSC receiver using sequentially synthesized HDTV and NTSC co-channel carrier frequen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402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3623A (ko) 보조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EP0472572B1 (en) Data transmission in the active picture period
US783045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332747B1 (ko) 방송형태송신및수신장치
KR0169230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KR100308298B1 (ko)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5452008A (en) Broadcast receiving system
KR100218099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자막신호 포맷
EP1099342B1 (en) Use of on-screen display (osd) for supplying control and auxiliary information to external devices
JP2001313911A (ja) テレビジョン送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194223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188275B1 (ko) 2개언어 동시 표시가 가능한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및방법
GB2254977A (en) Receiver for letterbox television signals
KR100284893B1 (ko) 디지털텔레비전의 문자 줌장치
KR10030987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 포맷 변환장치
KR0164735B1 (ko)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188279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206117B1 (ko) 시청자 선택형 다중 문자 캡션 디스플레이 회로
KR10019422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및 수신방법
KR0162351B1 (ko) 팔플러스 텔레비젼수상기와 브이씨알의 인터페이스 회로
KR100242334B1 (ko) 문자 다중 방송 수신기의 수신신호 레벨 표시장치
KR100188286B1 (ko) 시청자 선택 자막방송의 자막신호포맷
KR20010038013A (ko) 영상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JPH06276498A (ja) 文書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00003779A (ko) 영상신호 보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