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735B1 -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735B1
KR0164735B1 KR1019960014431A KR19960014431A KR0164735B1 KR 0164735 B1 KR0164735 B1 KR 0164735B1 KR 1019960014431 A KR1019960014431 A KR 1019960014431A KR 19960014431 A KR19960014431 A KR 19960014431A KR 0164735 B1 KR0164735 B1 KR 016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data
cap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596A (ko
Inventor
박현정
서문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735B1/ko
Publication of KR97007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령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주변 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스템제어부와,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안테나에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젼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튜너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송출된 자막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디코딩된 부가 정보의 종류를 판별함과 동시에 폰트롬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부가 정보 신호로 처리하는 자막처리부와, 상기 자막 처리부에서 출력된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램과, 상기 자막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자막 비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비디오 신호를 표시구동부에 공급하는 믹서기로 구성되어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어,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 정보를 선택하면 이에 해당된 부가 정보를 페이지별로 디스플레이 하므로 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 정보를 계속적으로 볼 수 있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을 위한 텔레비젼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정보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막 신호의 구성을 나타낸 신호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막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텔레비젼신호에 문자 및 제어 코드를 실어서 송신하면 수신 장치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 정보를 선택하면 이에 해당된 부가 정보를 페이지별로 디스플레이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방송에서 자막 방송 방식은 텔레비젼 신호의 액티브 구간에 자막 신호를 중첩시켜서 시청자의 선택 없이 방송자의 선택에 의해 긴급 뉴스나 알림 사항 등을 나타내는 오픈 캡션(open caption)방식과, 텔레비젼 신호의 넌액티브 구간, 즉 수직 블랭킹 구간에 자막 신호를 실어서 송신하면 시청자의 선택에 의해 텔레비젼 화면과 대사 내용을 자막으로 볼 수 있는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방식이 있다.
클로즈드 캡션 방식의 자막 방송은 수화 없이는 화면의 대사 내용을 알 수 없는 청각 장애인을 위하여 미국에서 1978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외국어 학습에도 매우 유익한 것이다.
1994년 3월에 간행된 미국 특허 USP 5,294,982호에서는 로마자와 음절 문자의 클로즈드 캡션 방송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특히, 한국어의 캡션 방식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설명하고있다. 상기 미국 특허의 발명에서는 한국어를 클로우즈 캐변 방식으로 방송하기 위하여 한글 한문자를 초성, 중성, 종성의 각 음소로 분할하여 각 음소에 대응하는 ASCII 코드를 전송하고 수신 장치에서는 이 ASCII 코드를 디코딩하여 초성, 중성, 종성을 맵핑함으로써 한글 한문자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한글 클로우즈 캡션 방식은 한글 한문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어도 2 내지 3바이트를 사용하게 되므로 전송 속도와 표시 속도가 늦고 디코딩 과정에서 3 내지 4바이트를 조합하여 한 문자의 위치를 찾아야 하므로 디코딩처리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디코딩 처리의 복잡성은 디코더의 코스트를 상승시킨다. 이는 방송국에서만 필요한 인코더에 비해 수백만 시청자가 부담해야 하는 디코더의 코스트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한자, 한글, 일본어의 동시 표시 및 영어,러시아어, 그리스어의 동시 표시가 불가능하고, 특수 기호의 표시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부가 정보 표시 중간에 대사 정보를 표시하고 다시 부가 정보를 표시할 경우에 제어 코드가 필요하므로 대사 정보와 부가 정보의 사이에 독립성이 없고, 대사 정보의 표시 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제어 체계가 전체 전송 효율상 복잡하고, 수신 장치를 작동시키기 시작한 시점에 표시 모드 제어 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 다음 차례의 제어 코드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대사 정보를 표시할 수 없었다.
또한, 상술한 발명에서는 미국의 텔레비젼 송출 환경, 즉 평지가 많은 지리적 환경을 토대로 개발된 것이므로 산지가 70%이상인 한국의 지리적 환경에서는 수신 장치의 수신 상태가 불량하여 자막 표시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 정보만을 계속적으로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한국어의 자막 방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 방법으로 송출되는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 정보를 선택하면 이에 해당된 부가정보를 페이지별로 디스플레이 하는 부가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 방법은 텔레비젼 신호의 매 필드마다 방송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임의의 한 수평 라인에 자막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 방법에 있어서,자막 정보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상용 문자들을 지정하기 위한 2바이트로 구성된 문자 코드 또는 자막 제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2바이트로 구성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상기에서 문자 코드는 바람직하기로는 한글 8비트 완성형 코드(KSC5601)이다.
또한, 방송 방법은 텔레비젼 신호의 매필드마다 방송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임의의 한 수평 라인에 자막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와 함께 대사 자막의 문자 정보 또는 부가 문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제어 정보를 모드제어비트 및 패리티비트와 조합하여 2바이트의 제어 코드로 발생하고, 문자 정보를 모드제어비트 및 패리티비트와 조합하여 한글 완성형 코드로 된 문자 코드로 발생하는 단계; 상기제어 코드 또는 문자 코드를 입력하여 디지탈변조된 자막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자막 신호를 비디오신호의 매 필드의 소정 주사선에 싣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는, 명령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주변 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제어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스템제어부와,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안테나에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중에서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젼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튜너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송출된 자막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디코딩된 부가 정보의 종류를 판별함과 동시에 폰트롬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부가정보 신호로 처리하는 자막처리부와, 상기 자막 처리부에서 출력된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램과,상기 자막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자막 비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비디오 신호를 표시구동부에 공급하는 믹서기로 구성되어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시청자 선택형 캡션 및 부가 정보 자막 방송 기능을 가진 텔레비젼 방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마이크(10)를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처리부(30)에서 믹싱 및 증폭되어 텔레비젼신호 변조부(50)로 전달된다. 비디오 카메라(20)를 통하여 입력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40)에서 증폭되고 편집되어 텔레비젼신호 변조부(50)로 전달된다. 텔레비젼신호 변조부(50)에서는 전달된 음성신호를 FM변조시키고 비디오 신호를 잔류측대파방식의 AM변조시키고 AM변조 신호와 FM변조 신호를 주파수 다중하고 주파수 천이 시켜서 고주파 신호로 고주파 출력부(60)에 전달하고 고주파 출력부(60)에서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텔레비젼신호를 공중에 송출한다.
자막인코딩부(70)에서는 문자 정보 입력부(71)를 통하여 텔레비젼 화면과 관련된 대사 정보 또는 긴급 뉴스나 전달 사항 등의 부가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제어 신호 입력부(72)를 통하여는 자막 제어를 위한 여러가지 제어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문자 정보 입력부(71)는 한글, 영어, 한자,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를 포함하고, 입력된 문자 정보를 2바이트 한글 완성형 코드(KSC5901)로 출력한다. 제어 정보 입력부(72)는 모드 선택키, 기능 선택키 등의 키패드들을 포함하고 입력된 제어 정보를 7비트 2진코드로 출력한다.
문자 코드발생부(73)에서는 입력된 2바이트의 문자 코드의 각 바이트의 MSB를 대사 자막/부가 정보 플래그로 사용하여 부가 정보인 경우에는 MSB를 '0'으로 치환하고 각 바이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총 18비트의 문자 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발생한다.
제어 코드 발생부(74)에서는 입력된 7비트 이진수를 상위 4비트 하위 3비트로 분할하고 상위 4비트에 대한 패리티 비트, 2비트의 제어코드식별비트, 대사/부가 플래그를 추가하여 상위 바이트를 생성하고 하위 3비트에 대한 제1패리티 비트, 제2패리티 비트, 2비트의 제어코드식별비트, 대사 자막/부가 정보 플래그를 추가하여 하위 바이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각 바이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총 18비트의 제어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발생한다. 상술한 데이터 패킷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고자 한다.
데이터 패킷 변조부(75)에서는 문자 코드 발생부(73) 또는 제어 코드 발생부(74)에서 발생된 데이터 패킷을 디지탈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한다.
동기가운터부(76)에서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40)에서 제공되는 동기 신호를 입력하여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수평 동기 신호를 카운팅하여 주사 선수를 계수 한다. 윈도우신호 발생부(77)에서는 동기카운터부(76)의 계수치를 입력하여 윈도우신호를 발생한다. 윈도우신호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미리 정해진 특정 라인상에 자막 신호를 중첩시키기 위해 스위칭수단(78)을 스위칭시키는 구동 신호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시청자 선택형 부가 방송 수신용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튜너부(110)에서는 안테나에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젼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40)에 전달되어 휘도 및 색처리된 다음에 RGB신호로 출력된다. RGB신호는 믹서기(150)를 거쳐서 표시구동부(160)에 전달되고 표시구동부(160)에서는 전달된 RGB신호에 응답하여 CRT(170)를 구동하여서 스크린 상에 텔레비젼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자막디코딩부(200)에서는 A/D변환기(210)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변환하여 디지탈신호를 자막처리부(230)에 전달한다. 또한 동기 분리기(220)에서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자막처리부(230)에 전달한다.
자막처리부(230)에서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40)의 컬러버스트신호에 동기된 클럭신호를 발생하여 디지탈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패킷을 추출한다. 추출된 데이터패킷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제어 코드에 응답하여 폰트롬(240)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종류의 부가 정보 데이터를 해당되는 제1내지 n 디스플레이 램(245)(250)에 교번으로 기입함과 동시에 제1 내지 n 디스플레이 램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RGB신호로 변환하여 믹서기(150)에 전달한다. 그리고, 자막처리부(230)는 세트의 시스템 제어부(180)와 제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시스템 제어부(180)에서는 명령입력부(190)를 통하여 입력되는 자막 관련 명령을 자막처리부(180)에 전달하고 자막처리부(180)로부터 전달된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시스템을 제어한다.
상술한 부가 방송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고자 한 자막 정보의 구체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는 방송 신호로서 525라인, 60필드/초의 M-NTSC TV신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직귀선소거기간을 주사선10에서 주사선20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수직귀선소거기간의 신호 사용에 대하여 정보통신부에서 정한 표준은 아직 없으며, 참고할 만한 것으로는 ITU-R 권고 Rec 473-2와 미국의 FCC Report and Order 83-120이 있다.
자막 신호는 자막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수직귀선소거기간의 주사선들(10-20) 또는 주사선 21 또는 주사선 26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타 전송 량을 늘이거나, 기타의 목적으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막 방송에서 전 필드 데이타 전송은 의미가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는다.
자막 데이터의 전송비트율은 447443.125 bps±125 bps 이어야 하고 장기간 변화율의 최대치는 ±196이내(0.0125 bps)로 하고, 캡션데이타 신호는 반드시 칼라TV신호의 전송에만 사용되고, 전송 비트 율은 색부반송파주파수 fsc(3579545 ± 10 Hz)의 1/8로 정해지며, 컬러버스트에 주파수 동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색부반송파는 주사선과 주사선 사이에서 위상이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면 편집 등의 이유로 색부반송파의 위상이 불연속적일 경우 최소한 해당 주사선의 컬러브스트에 위상 동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데이타 변조 방식으로는 논리값 '1'에 해당하는 것을 위상이 0도이고 fsc/8(447.443 kHz)의 주파수를 갖는 1주기의 정현파로 표시하고, 논리값 '0'에 해당하는 것은 위상이 180도이고 fsc/8(447.443 kHz)의 주파수를 갖는 1주기의 정현파로 표시하는 BPSK(Binary Phasc Shift Keying)또는 PRK(Phase Rcvcrsal Keying)이라 불리는 디지탈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위상 지터의 최대 범위는 ±10도로 한다. 최적의 신호 파형은 TV채널의 주파수 스펙트림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규정되어 질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대역 제한 주파수에 의해 BPSK파형이 논리값 천이가 일어나는 부분에서 심한 왜곡 현상을 겪을 수 있으므로 3.5M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2차 Butterworth 필터를 통과한 후 위상보정이 된 파형을 방송에 사용하기로 한다. 사용되는 Butterworth 필터의 임펄스 응답식은 다음과 같다.
무선국 검사 항목 중 번호 I-7(TV 방송국) 항목4(문자 다중 방송) 나항(데이타라인의 중첩 위치 및 문자 신호의 진폭)에 검사 방법 및 근거가 정의되어 있는데, 캡션 신호의 파형은 NRZ가 아니고 순수한 정현파이므로 위 기준을 적용할 필요는 없지만 한국과 같이 산지가 70%이상인 지역 특성상 수신 가능 지역을 넓히기 위해 정현파의 최대치를 90±5 IRE로 하기로 한다. 정규 데이타 신호의 최대 진폭을 정의하였으나 필터 통과 대역 특성 등에 의해 오버슈트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오버슈트의 절대값 최대치를 5 IRE로 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자막 신호의 데이타 라인은 6주기의 비트클럭 동기 신호(302)와 위드시작신호(304) 및 18비트의 데이타열(306)로 구성된다.
비트클럭 동기 신호(302)는 6주기의 정현파신호로 자막디코딩부에서 이 신호를 추출하여 18비트 데이타의 비트 주기를 판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데 주파수는 fsc/4(894.886kHz)이다. 해당 주사선의 색부반송파의 위상이 0도인 경우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엣지(Falling Edge)중간 지점(0H)으로부터 9.5usec(컬러 버스트 34주기)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되며, 해당 주사선의 색부반송파의 위상이 180도인 경우 수평 동기 신호의 하강엣지(Falling Edge) 중간 지점(0H)으로부터 9.64usec(컬러버스트 34.5주기)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된다. 이 신호는 해당 라인의 컬러버스트와 주파수 동기가 되어 있으므로 컬러버스트로부터 비트클럭 동기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워드 시작 신호(304)는 fsc/16(223.722kHz)이고 위상이 180도인 정현파신호 1주기로서 18비트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데이타열(306)은 18비트로 구성되고, 비트 율은 fsc/8(447.443kHz)이며 BPSK방식으로 변조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데이타 패킷은 위드단위의 피리티(p), 대사자막/부가 정보 플래그(C/T), 코드 값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D0∼D8은 하위 워드, D9∼D17은 상위 워드로 부르기로 한다. D17은 D0∼D16에 대한 짝수 패리티를 나타낸다. 이 패리티 비트는 전송상의 에러를 우선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D7과 D16은 대사 자막/부가 정보 플래그인 데, 대사 자막시에는 0, 부가정보시는 1이며, D7과 D16의 값은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이 플래그는 워드 단위의 우선 순위를 유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D0∼D6과 D9 ∼D15는 함께 코드 값을 나타낸다. 코드 값은 D5, D6, D14, D15가 모두 0이면 제어 코드로 해석하고, 그렇지 않으면 문자 코드로 해석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정보 표시 장치의 작동 과정을 제5도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인용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제2도에 도시된 명령 입력부(190)에 부가 정보 모드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면 시스템제어부(180)는 입력된 데이터를 스캔하여 자막처리부(230)의 작동 모드를 부가 정보 검출 모드로 절환한다.
상기와 같이 자막 처리부(230)의 작동 모드가 부가 정보 검출 모드로 절환되며 제5도의 스텝 S1과 같이 부가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부가정보의 종류(긴급 뉴스, 증권 뉴스, 스포츠뉴스)를 디코딩한 후 스텝 S3으로 나아가서 디코딩된 부가 정보가 제1종류인 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제1종류이면 제1디스플레이 램(245)에 저장하고, 제1종류의 부가 정보가 아니면 스텝 S5에서 제2종류의 부가 정보인 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5에서 판단한 결과 제2종류이면 스텝 S6과 같이 제2디스플레이 램에 저장하고, 제2종류의 부가 정보가 아니면 스텝 S7에서 제 n-1 종류의 부가 정보인 가를 판단하여 제n-1 종류의 부가 정보이면 제 n-1 디스플레이 램에 저장한다.
상기 스텝 S7에서 판단한 결과 제 n-1 종류의 부가 정보가 아니면 제 n1 종류의 부가정보로 판단하여 제 n 디스플레이 램(250)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각 저장한 상태에서 명령입력부(190)에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모드와 부가 정보의 종류에 해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스텝 S10에서 선택된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램에 저장되므로 부가 정보를 시청자의 희망에 따라 페이지별로 업/다운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정보를 선택하면 이에 해당된 부가정보를 페이지별로 디스플레이 하므로시청자가 희망하는 부가 정보를 계속적으로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명령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주변 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시스템제어부와, 상기 시스템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안테나에 수신되는 고주파신호중에서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젼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 공급하는 튜너부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송출된 자막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에서 디코딩된 부가 정보의 종류를 판별함과 동시에 폰트롬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부가 정보 신호로 처리하는 자막처리부와, 상기 자막 처리부에서 출력된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램과, 상기 자막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자막 비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비디오 신호를 표시구동부에 공급하는 믹서기로 구성되어 시청자가 선택한 부가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장치.
  2. 명령 입력부에 부가 정보 기록 모드에 해당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신된 부가 정보를 검출하고 부가 정보의 종류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스텝과, 상기 디코딩 스텝에서 디코딩된 부가 정보의 종류가 제1종류인 가를 판단하는 제1판단 스텝과, 상기 제1판단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제1종류의 부가 정보이면 부가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 램에 저장하는 제1저장 스텝과, 상기 제1저장 스텝에서 부가 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명령 입력부에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모드 및 부가 정보의 종류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입력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제2판단 스텝과, 상기 제2판단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부가 정보 디스플레이 모드이면 선택된 부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프러레이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 스텝에서 판단한 결과 제1종류의 부가 정보가 아니면 부가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여 이에 해당되는 램에 저장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정보 표시 방법.
KR1019960014431A 1996-05-03 1996-05-03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016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431A KR0164735B1 (ko) 1996-05-03 1996-05-03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431A KR0164735B1 (ko) 1996-05-03 1996-05-03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596A KR970078596A (ko) 1997-12-12
KR0164735B1 true KR0164735B1 (ko) 1999-03-20

Family

ID=1945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431A KR0164735B1 (ko) 1996-05-03 1996-05-03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975A (ko) * 1999-08-24 2001-03-15 구자홍 티브이의 텔레텍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596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093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5963265A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6256072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6208383B1 (en) Soft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of closed-caption words
US6130722A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5995159A (en) Closed-caption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KR0169230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KR0164735B1 (ko)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8099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자막신호 포맷
KR10019422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및 수신방법
KR100194223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194215B1 (ko) 음성 및 문자 다중 출력 장치
KR100188275B1 (ko) 2개언어 동시 표시가 가능한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및방법
KR100194218B1 (ko)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KR100188279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188286B1 (ko) 시청자 선택 자막방송의 자막신호포맷
KR100188277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방법
KR0181899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의 데이타 오류 검출 방법
KR100188271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188276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 표시방법
KR100194226B1 (ko) 시청자 선택형 멀티 화면 및 캡션 표시 회로
KR100206117B1 (ko) 시청자 선택형 다중 문자 캡션 디스플레이 회로
KR018189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아이콘 표시방법
KR100188278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표시의 스크롤방법
KR100194213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수신시 제어코드 유효판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