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218B1 -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 Google Patents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218B1
KR100194218B1 KR1019960014439A KR19960014439A KR100194218B1 KR 100194218 B1 KR100194218 B1 KR 100194218B1 KR 1019960014439 A KR1019960014439 A KR 1019960014439A KR 19960014439 A KR19960014439 A KR 19960014439A KR 100194218 B1 KR100194218 B1 KR 10019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ption
output
unit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599A (ko
Inventor
배점한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1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218B1/ko
Publication of KR97007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218B1/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는 하나의 화면에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영상 및 캡션과, 부가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튜너부; 튜너부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휘도 및 색처리한 후 RGB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에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분리기;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발생하여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자막 제어부; 한글, 영어, 한자, 및 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의 폰트를 미리 저장하고 출력하는 폰트 롬; 폰트 롬에서 독출된 폰트를 자막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교번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제1 및 제2 램;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RGB 신호에 자막 제어부가 출력하는 캡션 문자정보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 입력부가 입력한 동작 명령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자막 제어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로 음극선관의 화면을 2로 분할하여 혼합부가 출력하는 RGB 신호 및 캡션 문자정보의 혼합신호와 자막 디코딩부가 출력하는 부가정보를 분할한 화면에 각기 표시하는 제1 및 제2 표시 구동부를 구비하여 소정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면서 시청자의 희망에 따라 캡션과 일기예보나 긴급뉴스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므로 시청자가 소정 채널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캡션의 대사 자막과, 일기예보 및 긴급 뉴스 등의 부가정보를 함께 볼 수 있다.

Description

시청자의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본 발명은 하나의 튜너부를 구비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영상 및 캡션과, 부가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는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문자코드 및 제어코드를 실어 송신하고, 텔레비전 수상기가 상기 문자코드 및 제어코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영상 및 캡션과, 부가 정보를 하나의 음극선관의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방송방식에서 자막 방송방식은 시청자가 선택하지 않고,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액티브(active) 구간, 즉 영상신호의 구간에 긴급 뉴스나 알림 사항 등의 자막신호를 방송자의 선택에 따라 중첩시켜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표시되게 하는 오픈 캡션(open caption)방식과, 화면의 대사 내용 및 소정의 부가정보를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넌액티브(non-active) 구간, 즉 수평 블랭킹 구간에 문자코드 및 제어코드 등의 자막신호로 실어 송신하고,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이 자막신호가 실린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자막신호를 표시하여, 시청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방식이 있다.
상기한 캡션방식들 중에서 클로즈드 캡션방식의 자막방송은 수화를 하지 않고서는 화면의 대사내용을 알 수 없는 청각 장애인을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미국에서는 1978년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외국어 학습에도 매우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4년 3월에 간행된 미국특허 USP 5,294,982호에서는 로마자 및 음절문자의 클로즈드 캡션방식을 개시하고 있는 것으로 특히 한국어의 클로즈드 캡션방식에 대하여 매우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상기 미국특허 USP 5,294,982호에서는 한국어를 클로즈드 캡션방식으로 방송하기 위하여, 각각의 한글 문자를 초성, 중성 및 종성의 각 음소로 분할하여, 각 음소에 대응하는 ASCII코드를 전송하고,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이 ASCII코드를 디코딩하여 초성, 중성 및 종성을 맵핑한 후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에 맵핑한 초성, 중성 및 종성의 한글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한글 클로즈드 캡션방식은 하나의 한글 문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적어도 2바이트 내지 3바이트를 사용해야 된다.
즉, 초성 및 중성만을 가지고, 종성인 받침이 없는 한글을 표시할 경우에는 2바이트를 사용하고, 초성, 중성 및 종성을 가지는 한글을 표시할 경우에는 3바이트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자막신호의 전송속도 및 표시속도가 느리고, 디코딩 과정에서 수신된 상기 2바이트 내지 3바이트의 데이터를 3바이트 내지 4바이트로 변환한 후, 하나의 한글 문자의 위치를 찾아야 하므로 디코딩 처리가 매우 복잡하였다.
이러한 디코딩 처리의 복잡함은 디코더의 생산 원가를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방송국에서만 필요한 인코더에 비해 많은 시청자가 사용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내의 디코더의 가격을 상승시켜 사용자에게 많은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또한, 한자, 한글 및 일본어의 동시 표시와, 영어, 러시아어 및 그리스어의 동시 표시가 불가능하고, 특수기호의 표시가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중간에 대사정보를 표시하고, 다시 부가정보를 표시할 경우에 제어코드가 필요하므로 대사정보와 부가정보의 사이에 독립성이 없고, 대사정보의 표시모드를 구별하기 위한 제어 체계가 전체 시스템의 전송 효율상 매우 복잡하고, 수신장치를 작동시키기 시작한 시점에 표시모드 제어코드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에 다음 차례의 제어코드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대사정보를 표시할 수 없었다.
또한, 상술한 미국특허 USP 5,294,982호는 미국의 텔레비전 방송의 송출환경 즉, 평지가 많은 지리적 환경을 토대로 개발된 것이므로, 산지가 70%이상인 한국의 지리적 환경에서는 수신장치의 수신상태가 불량하여, 자막표시의 품질이 나쁘고, 하나의 화면에, 수신되는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영상 및 대사 자막과, 부가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전 방송신호에 중첩되어 전송되는 문자코드 및 제어코드를 수신하고, 음극선관의 화면을 2로 분할하여 음극선관의 일측의 화면에는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영상 및 캡션을 표시하고, 타측의 화면에는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자막 정보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상용 문자들을 지정하기 위한 2바이트로 구성된 문자 코드 또는 자막 제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2바이트로 구성된 제어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정보와 함께 대사 자막의 문자 정보 또는 부가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정보를 모드 제어 비트 및 패리티 비트와 조합하여 2바이트의 제어 코드로 발생함과 아울러 문자정보를 모드 제어 비트 및 패러티 비트와 조합하여 한글 완성형 코드로 된 문자코드로 발생하며, 상기 제어 코드 또는 문자 코드를 입력하여 디지털 변조된 자막 신호로 출력하고, 자막 신호를 비디오 신호의 매 필드의 소정 주사선에 싣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의 복조하여 출력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휘도 및 색처리한 후 RGB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에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분리기;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발생하여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자막 제어부; 한글, 영어, 한자 및 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의 폰트를 미리 저장하고, 출력하는 폰트 롬; 상기 폰트 롬에서 독출된 폰트를 상기 자막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교번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제1 및 제2 램;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RGB 신호에 상기 자막 제어부가 출력하는 캡션 문자정보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 입력부가 입력한 동작명령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자막 제어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로 음극선관의 화면을 2로 분할하여, 상기 혼합부가 출력하는 RGB 신호 및 캡션 문자정보의 혼합신호와 상기 자막 디코딩부가 출력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분할한 화면에 각기 표시하는 제1 및 제2 표시 구동부를 구비하여 소정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면서 시청자의 희망에 따라 캡션과 일기예보나 긴급뉴스 등과 같은 부가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므로 시청자가 소정 채널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캡션의 대사 자막과, 일기예보 및 긴급 뉴스 등의 부가정보를 함께 볼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막 신호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막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구성을 보인 도면.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를 채용한 광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 표시 상태를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10 : 튜너부
140 : 영상신호 처리부 150 : 혼합부
160, 165 : 제1 및 제2 표시구동부 168 : 텔레비전 신호 제어부
170 : 음극선관 180 : 시스템 제어부
190 : 명령 입력부 200 : 자막 디코딩부
210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220 : 동기 분리기
230 : 자막 제어부 240 : 폰트 롬
245, 250 : 제1 및 제2 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정보 디스플레이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자막 방송을 송신 및 수신하는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막 정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텔레비전 방송신호로서 525라인 및 60필드/초의 NTSC-M 방식을 사용하고, 수직 귀선 소거기간을 주사선 10에서 주사선 20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사용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부에서 정한 표준은 없고, 참고할 만한 것으로는 'ITU-R 권고 Rec 473-2'와 미국의 'FCC Report and Order 83-120'이 있다.
자막신호는 자막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주사선들 중에서 주사선 10 내지 주사선 20, 주사선 21 또는 주사선 26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데이터의 전송량을 늘이거나, 기타의 목적으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막방송에서 전체 필드의 데이터 전송은 의미가 없으므로 고려하지 않는다.
자막 데이터의 전송 비트율은 447,443.125 ±125 bps이어야 하고 전송 비트율의 변화율의 최대치는 ±196(±0.0125 bps) 이내로 해야 된다.
자막 데이터 신호는 반드시 컬러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전송에만 사용되고, 전송 비트율은 색부 반송파 주파수 fsc(357,9545 ±10㎐)의 1/8로 정해지며, 컬러 버스트 신호에 주파수 동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색부 반송파는 주사선과 주사선의 사이에서 위상이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면편집 등의 이유로 색부 반송파의 위상이 불연속적일 경우에는 최소한 해당 주사선의 컬러 버스트에 위상동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데이터 변조방식으로는, 논리값 '1'에 해당하는 것을 위상이 0도이고, fsc/8(447.443㎑)의 주파수를 갖는 1주기의 정현파로 표시하고, 논리값 '0'에 해당하는 것은 위상이 180도이고, fsc/8의 주파수를 갖는 1주기의 정현파로 표시하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또는 PRK(Phase Reversal Keying)이라 불리는 디지털 변조 방식을 사용해야 되며, 위상 지터의 최대 범위는 ±10도로 한다.
최적의 신호 파형은 텔레비전 채널의 주파수 스텍트럼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앞으로 규정될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대역 제한 주파수에 의해 BPSK 파형이 논리 값 천이가 일어나는 부분에서 심한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3.5㎒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2차 버터워스(Butter worth) 필터를 통과한 후 위상 보정이 된 파형을 방송에 사용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버터워스 필터의 임펄스 응답식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fc는3.5㎒이다.
무선국 검사항목 중에서 번호 I-7(텔레비전 방송국), 항목 4(문자다중방송) 나항(데이터 라인의 중첩위치 및 문자신호의 진폭)에 검사방법 및 근거가 정의되어 있는데, 자막신호의 파형은 NRZ(None Return to Zero)가 아니고 순수한 정현파이므로 상기의 기준을 적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같이 산지가 70%이상인 지역은 지역 특성상 수신 가능지역을 넓히기 위하여 정현파의 최대치를 90 ±5IRE로 하기로 한다.
정규 데이터 신호의 최대 진폭을 정의하였으나, 필터통과 대역특성 등에 의해 오버슈트(overshoot)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오버슈트의 절대값 최대치를 5IRE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신호의 데이터 라인은 6주기의 비트 클럭 동기신호(302), 위드 시작신호(304) 및 18비트의 데이터 열(306)로 구성된다.
상기 비트 클럭 동기신호(302)는, 6주기의 정현파 신호로 자막 디코딩부에서 상기 정현파 신호를 추출하여 18비트 데이터의 비트 주기를 판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비트 클럭 동기신호(302)의 주파수는 fsc/4(894.886㎑)이다.
그리고 상기 비트 클럭 동기신호(302)는, 해당 주사선의 색부 반송파의 위상이 0도일 경우에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 에지(Falling Edge)의 중간지점(0H)으로부터 9.50㎲ec(컬러 버스터 34주기)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되고, 해당 주사선의 색부 반송파의 위상이 180도인 경우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 에지의 중간지점(0H)로부터 9.64㎲ec(컬러 버스트 34.5주기)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된다.
상기 비트 클럭 동기신호(302)는, 해당 라인의 컬러 버스트와 주파수 동기가 되어 있으므로 컬러 버스트로부터 비트 클럭 동기신호(302)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워드 시작신호(304)는, fsc/16(223.733㎑)이고, 위상이 180도인 1주기의 정현파 신호로서 18비트 데이터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 열(306)은, 18비트로 구성되고, 비트율은 fsc/8(447.443㎑)이며, BPSK방식으로 변조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은 워드단위의 패리티(p), 대사자막/부가정보 플래그(C/T) 및 코드 값(c)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D0∼D8은 하위 워드로 약칭하고, D9∼D17은 상위 워드로 약칭한다.
상기 D17은 D0∼D16에 대한 짝수 패리티를 나타낸다. 이 D17의 패리티 비트(p)는 전송사의 에러를 우선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D7과 D16은 대사자막/부가정보 플래그로서 대사자막일 경우에 0, 부가정보일 경우에 1이며, D7과 D16의 값은 반드시 일치해야 된다. 또한 상기 대사자막/부가정보 플래그는 워드 단위의 우선 순위를 유지하는 데 이용된다.
상기 D0∼D6과 D9∼D15는 함께 코드 값을 나타낸다. 코드 값은 D5, D6, D14 및 D15가 모두 0이면 제어코드로 해석하고, 그렇지 않으면 문자코드로 해석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청자 선택형 자막 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 부호 10은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이고, 부호 20은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카메라이다.
상기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제어부(30)에서 믹싱 및 증폭되어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로 입력되고, 상기 영상 카메라(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처리부(40)에서 증폭되고 편집된 후 후술하는 자막 인코딩부(70)의 스위칭수단(78)을 통해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로 입력된다.
상기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의 출력신호는 고주파 출력부(60)를 통하고, 안테나(80)를 통해 무선으로 공중에 송출된다.
부호 70은 클로즈드 캡션방식으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의 출력신호에 소정의 부가정보 및 제어정보를 혼합하는 자막 인코딩부이다.
상기 자막 인코딩부(70)는, 방송자의 조작에 따라 텔레비전 화면과 관련된 대사정보, 긴급뉴스 및 전달사항 등의 부가정보를 입력시키는 문자정보 입력부(71)와, 자막제어를 위한 여러 가지 제어정보를 입력시키는 제어신호 입력부(72)와, 상기 문자정보 입력부(7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문자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발생하는 문자코드 발생부(73)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72)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제어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발생하는 제어코드 발생부(74)와, 상기 문자코드 발생부(73) 및 제어코드 발생부(74)에서 발생된 데이터 패킷을 변조하는 데이터 패킷 변조부(75)와, 상기 영상신호 발생부(40)에서 출력되는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리세트되고, 수평 동기신호를 카운트하는 동기 카운터부(76)와, 상기 동기 카운터부(76)의 카운트 값에 따라 윈도우신호를 발생하는 윈도우 신호 발생부(77)와, 상기 윈도우 신호 발생부(77)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 및 상기 데이터 패킷 변조부(75)의 출력신호를 스위칭 시켜 상기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60)로 입력시키는 스위칭 수단(78)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자정보 입력부(71)는, 한글, 영어, 한자 및 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포함하고, 입력된 문자정보를 2바이트 한글 완성형 코드(KSC590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정보 입력부(72)는, 모드 선택키 및 기능 선택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포함하고, 입력된 상기 키패드의 키신호에 따른 제어정보를 7비트 2진 코드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을 위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은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음성신호가 음성신호 제어부(30)에서 다른 소정의 음성신호와 믹싱 및 증폭되어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로 입력된다.
그리고 영상 카메라(20)가 촬영하여 출력하는 소정의 피사체의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처리부(40)에서 증폭되고 편집된 후 자막 인코딩부(70)의 스위칭 수단(78)을 통해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로 입력된다.
그러면,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는, 음성신호 제어부(3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는 FM 변조시키고, 영상신호 처리부(40)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는 잔류 측파대 방식으로 AM 변조시킨 후, FM 변조신호 및 AM 변조신호를 주파수 다중하고 주파수 천이시켜 고주파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고주파 출력부(60)에서 증폭된 후 안테나(80)를 통하여 텔레비전 방송신호로 공중에 송출된다.
방송자가 자막 인코딩부(70)의 문자정보 입력부(71)에 구비된 키보드를 조작하여 소정의 한글, 영어, 한자 및 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의 문자정보를 입력하면, 문자정보 입력부(71)는 입력된 소정의 문자정보를 2바이트 한글 완성형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방송자가 상기 제어정보 입력부(72)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모드 선택키 및 기능 선택키 등의 제어정보를 입력시키면, 제어정보 입력부(72)는 입력된 소정의 제어정보를 7비트 2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문자정보 입력부(71)가 출력하는 소정의 문자정보에 따른 2바이트 한글 완성형 코드는 문자코드 발생부(73)로 입력되어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되는 것으로서 문자코드 발생부(73)는 입력된 2바이트 한글 완성형 코드의 각 바이트의 MSB(Most Signification Bit)를 대사자막/부가정보 플래그로 사용하여, 대사자막일 경우에 MSB를 '0'으로 치환하고, 부가정보일 경우에는 MSB를 '1'로 치환한 후 각 바이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총 18비트의 문자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발생한다.
상기 제어정보 입력부(72)가 출력하는 7비트 2진 코드는 제어코드 발생부(74)로 입력되어 제어코드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되는 것으로서 제어코드 발생부(74)는 입력된 7비트 2진 코드를 상위 4비트 및 하위 3비트로 분할한 후 상위 4비트에 대해서는 상위 4비트에 대한 1비트의 패리티 비트, 2비트의 제어코드 식별비트 및 1비트의 대사자막/부가정보 플래그를 추가하여 8비트의 상위 바이트를 생성하고, 하위 3비트에 대해서는 1비트의 제1 패리티 비트, 1비트의 제2 패리티 비트, 2비트의 제어코드 식별비트, 1비트의 대사자막/부가정보 플래그를 추가하여 8비트의 하위 바이트를 생성하며, 생성한 상위 바이트 및 하위 바이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총 18비트의 제어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문자코드 발생부(73)가 발생한 총 18비트의 문자코드의 데이터 패킷과 제어코드 발생부(74)가 발생한 총 18비트의 제어코드의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 변조부(75)에서 디지털 변조방식으로 변조되어 스위칭부(78)로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가 출력하는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가 카운터부(76)로 입력되는 것으로 동기 카운터부(76)는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리세트되면서 수평 동기신호를 카운트 및 주사선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하고, 동기 카운터부(76)가 출력하는 수평 동기신호의 카운터 값에 따라 윈도우 신호 발생부(77)가 윈도우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윈도우 신호 발생부(77)가 발생하는 스위칭 신호는 스위칭 수단(78)에 제어신호로 인가되어 스위칭 수단(78)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스위칭 수단(78)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40)의 출력신호의 미리 정해진 특정 라인 상에 상기 데이터 패킷 변조부(75)가 출력하는 자막신호에 따른 문자코드 및 제어코드의 데이터 패킷을 중첩시키고, 그 중첩시킨 신호는 텔레비전 신호 변조부(50), 고주파 출력부(60) 및 안테나(80)를 통해 송출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정보 디스플레이회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도는 고주파 신호 중에서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튜너부(110)와, 상기 튜너부(110)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휘도 및 색처리한 후 RGB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14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40)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에서 자막신호 및 부가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부가정보를 표시할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자막 디코딩부(20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40)가 출력하는 RGB 신호에 상기 자막 디코딩부(200)가 출력하는 캡션 문자정보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15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 명령을 입력시키는 명령 입력부(190)와, 상기 명령 입력부(190)가 입력한 동작 명령에 따라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자막 디코딩부(200)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180)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180)의 제어로 상기 혼합부(150)가 출력하는 RGB 신호 및 캡션 문자정보의 혼합신호와 상기 자막 디코딩부(200)가 출력하는 부가정보를 음극선관(170)에 표시하는 제1 및 제2 표시 구동부(160),(165)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자막 디코딩부(200)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40)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40)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에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분리기(220)와, 상기 시스템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발생하여 캡션 문자정보를 상기 혼합부(150)로 출력하고, 부가정보를 상기 제2 표시 구동부(165)로 출력하는 자막 제어부(230)와, 한글, 영어, 한자 및 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의 폰트를 미리 저장하고, 출력하는 폰트 롬(240)과, 상기 폰트 롬(240)에서 독출된 폰트를 상기 자막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교번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제1 및 제2 램(245)(25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정보 디스플레이회로는 튜너부(110)가 안테나(100)로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 중에서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튜닝하고, 복조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튜너부(110)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되어 휘도 및 색처리된 후 RGB 신호가 혼합부(150)로 출력됨과 아울러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40)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는 자막 디코딩부(200)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자막 제어부(23)로 입력됨과 아울러 동기 분리기(220)에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가 분리되어 자막 제어부(230)로 입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시청자가 명령 입력부(190)를 조작하여 음극선관(170)의 화면에 캡션 및 부가정보의 표시를 명령하면, 시스템 제어부(180)가 이 캡션 및 부가정보의 표시명령을 입력하여 텔레비전 수상기의 동작 모드를 캡션 및 부가정보의 표시모드로 절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캡션/부가정보 표시모드로 절환되면, 자막 제어부(230)는 컬러버스트신호에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0)로 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에서 자막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여 추출한 자막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자막 데이터 패킷을 디코딩한 제어코드에 응답하여 자막 처리를 제어하고, 디코딩한 문자코드에 응답하여 폰트 롬(240)으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 및 제2램(245)(250)에 교번으로 기입 및 독출한다.
상기 제1 및 제2램(245)(250)에 교번으로 저장된 문자 데이터는 RGB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데, 디코딩된 캡션 문자정보는 출력포트(P1)를 통해 혼합부(150)로 출력되어 영상신호 처리부(140)에서 출력하는 영상신호의 RGB 신호와 혼합된 후 제1 표시 구동부(160)로 출력되고, 디코딩된 부가 정보는 출력포트(P2)를 통해 제2 표시 구동부로 출력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 표시 구동부(160),(165)은 혼합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RGB 신호 및 캡션 문자정보와, 자막 디코딩부(200)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165)에 따라 음극선관(170)을 구동시켜 음극선관(170)에는 수신한 채널의 영상 및 캡션과 부가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즉,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170)의 화면을 2로 분할하여 일측의 화면에는 수신한 채널의 영상과 캡션이 대사 자막이 표시되고, 타측의 화면에는 부가정보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정보 디스플레이회로는 소정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면서 시청자의 희망에 따라 캡션과 일기예보나 긴급뉴스 등과 같은 부가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므로 시청자가 소정 채널의 영상을 시청하면서 캡션의 대사 자막과, 일기예보 및 긴급 뉴스 등의 부가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다.

Claims (1)

  1. 선택된 채널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튜너부; 상기 튜너부가 출력하는 영상신호를 휘도 및 색처리한 후 RGB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수직 귀선 소거기간의 신호에서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분리기; 컬러 버스트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발생하여 캡션 문자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자막 제어부; 한글, 영어, 한자 및 일어 등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의 폰트를 미리 저장하고 출력하는 폰트 롬; 상기 폰트 롬에서 독출된 폰트를 상기 자막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교번하여 저장 및 출력하는 제1 및 제2 램;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출력하는 RGB 신호에 상기 자막 제어부가 출력하는 캡션 문자정보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 입력부가 입력한 동작 명령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자막 제어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 및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로 음극선관의 화면을 2로 분할하여 상기 혼합부가 출력하는 RGB 신호 및 캡션 문자정보의 혼합신호와 상기 자막 디코딩부가 출력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분할한 화면에 각기 표시하는 제1 및 제2 표시 구동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정보 디스플레이회로.
KR1019960014439A 1996-05-03 1996-05-03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KR10019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439A KR100194218B1 (ko) 1996-05-03 1996-05-03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4439A KR100194218B1 (ko) 1996-05-03 1996-05-03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599A KR970078599A (ko) 1997-12-12
KR100194218B1 true KR100194218B1 (ko) 1999-06-15

Family

ID=6621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439A KR100194218B1 (ko) 1996-05-03 1996-05-03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14B1 (ko) 2005-11-07 200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14B1 (ko) 2005-11-07 2007-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599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5093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5963265A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6208383B1 (en) Soft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of closed-caption words
US6256072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JP2011004422A (ja) サブタイトル送信システム
US6130722A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US5995159A (en) Closed-caption scroll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KR0169230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KR100194218B1 (ko) 시청자 선택형 한 화면 캡션/부가 정보 디스플레이회로
KR100194223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8099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자막신호 포맷
KR100206117B1 (ko) 시청자 선택형 다중 문자 캡션 디스플레이 회로
KR100194226B1 (ko) 시청자 선택형 멀티 화면 및 캡션 표시 회로
KR10019422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및 수신방법
KR0164735B1 (ko)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194215B1 (ko) 음성 및 문자 다중 출력 장치
KR100188275B1 (ko) 2개언어 동시 표시가 가능한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및방법
KR018189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아이콘 표시방법
KR100188286B1 (ko) 시청자 선택 자막방송의 자막신호포맷
KR100188279B1 (ko) 듀얼 대사자막 전송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188277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방법
KR100188276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신호의 부채널 언어판별 표시방법
KR100188278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표시의 스크롤방법
KR19980020291A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 위치 이동방법
KR10023295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팝온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