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342B1 -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 Google Patents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342B1
KR100332342B1 KR1020000004946A KR20000004946A KR100332342B1 KR 100332342 B1 KR100332342 B1 KR 100332342B1 KR 1020000004946 A KR1020000004946 A KR 1020000004946A KR 20000004946 A KR20000004946 A KR 20000004946A KR 100332342 B1 KR100332342 B1 KR 10033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fixing
tongs
legs
mandi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4253A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이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00000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34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253A/ko
Priority to PCT/KR2000/001194 priority patent/WO2001050973A1/en
Priority to JP2001551397A priority patent/JP395098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342B1/ko
Priority to US11/019,988 priority patent/US20050107825A1/en
Priority to US11/019,895 priority patent/US20050155613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부위에 금속판을 대고 나사로 고정할 때 금속판 및 나사의 정확한 셋팅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잡아주는 집게를 새로이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얇은 금속판을 집게 형태로 가공하여서 된 몸통부(1)와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90°내외의 각도로 비틀어 넓은 면이 평면이 되도록 형성한 양다리(2)와, 양다리 끝의 집게 이(3)부에 형성한 나사머리 삽입홈(4)과, 양다리 끝부분의 단면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금속판끼움홈(5)으로 이루어지는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와 상기 구성에 외부조임장치등을 결합한 구성의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를 새로이 제시한다.
본 발명은 시야확보가 용이하고 금속판등의 고정 조작을 쉽게 할 수 있어 수술노력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것으로 구강의 하악각 외측 절개부에 의해 얻어지는 공간을 활용한 골절부 금속판 고정술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FORCEPS FOR METAL-PLATE FIXING AT A MANDIBULAR ANGLE FRACTURE }
본 발명은 하악각 골절시 금속판이나 나사를 잡아 주기 위한 집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골절부위에 금속판을 대고 나사로 고정할 때 금속판 및 나사의 정확한 셋팅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잡아주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하악각의 골절시 상하 골절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골표면에 금속판을 대고 나사를 심어 고정하는 수술이 행하여 지고 있으며, 안면에 행하는 외부절개에 의하지 않고 하악각측면 절개를 통하여 얻어지는 공간을 활용하여 드릴을 위한 나사공의 천공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한 나사조임을 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시술법을 시행할 경우 뿐만 아니라 외부절개부를 통하여 드라이버등을 삽입하는 종래 시술법을 적용할 경우에도 시야확보가 곤란한 좁은 공간에서의 금속판 초기 셋팅과 고정은 매우 어렵고 숙련된 기술을 요하고 있다.
즉, 금속판 고정의 전단계로 골표면에 나사공을 천공한 후 그위치에 금속판을 대고 나사를 조이기 위해서는 금속판이 정확한 위치에 놓여져야 하고 나사를 조이기 전까지 금속판등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어야 하는데 종래 이를 위해 사용하는 핀셋의 경우 금속판의 고정은 가능하나 나사와 금속판을 함께 고정하기가 곤란하여 나사가 드라이버 팁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갖게 되며, 금속판등의 고정시 시야가 방해 되고 좁은 공간에서의 드라이버의 사용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으며, 손으로 힘을 가하여 금속판 등을 잡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수술이 힘이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금속판과 나사를 함께 고정할 수 있도 있고 금속판만을 고정할 수도 있도록 한 집게를 새로이 제시 하고, 외부조임장치의 조임압에 의해 금속판등을 잡아 주도록 함으로서 시술자가 별도로 힘을 가하여 잡아주는데 따른 노력을 절감하며, 무엇보다도 시술자의 시야가 원할하게 확보됨으로서 정확한 위치셋팅과 드라이버등의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절개에 의하지 않고 하악각의 측면절개만을 통하여 확보된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고정이나 드릴링 또는 사전조치로서 하악각의 견인 절단 작업등을 행하는 시술방법의 사용시에 금속판등을 고정한 상태에서 드라이버등의 사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집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의 집게 양측다리 중간부위를 비틀어 양측 다리가 짝을 이루는 평면이 되게 하고 양측다리 끝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평면부에 반원형 홈과 단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게 한 홈을 낸 구조의 집게를 새로이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3a 및 도3b는 집게부의 나사 고정상태도
도4는 본 발명의 집게 이 부의 실시례도
도5는 금속판 끼움홈에 스톱퍼를 형성한 구성의 사용 상태도
도6은 집게 이 부분을 절곡시킨 구조의 실시례도
도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주요 부호의 설명
1.몸통부 2.다리 3.집게 이
4.나사머리삽입홈 5.금속판 끼움홈 6.스톱퍼
7.외부조임장치 7a.나사봉 7b.조임너트
도1 및 은 본 발명의 기본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얇은 금속판을 집게 형태로 가공하여서 된 몸통부(1)와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90°내외의 각도로 비틀어 넓은 면이 평면이 되도록 형성한 양다리(2)와, 양다리 끝의 집게 이(3)부에 형성한 나사머리 삽입홈(4)과, 양다리 끝부분의 단면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금속판끼움홈(5)으로 구성된다.
몸통부(1)는 집게의 끝 부분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판자체의 탄력에 의해 몸통부분을 눌렀을 때 양다리 끝부분이 오무려져 나사등을 집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다리와 연속성을 이루는 고탄력성의 단일금속판으로 구성되며, 다리에 대하여 90°내외의 각도로 비틀어져 넓은 면이 세워지는 형태를 갖는다.
다리(2)는 각각의 몸통부에 연속된 부분으로 넓은 면이 세워진 상태의 몸통부에 대하여 90°범위로 뒤틀어 형성함으로서 넓은 부분이 수평으로 뉘여지게 되며, 몸통부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다리의 끝부분에 형성된 집게 이(3)가 오무려 지거나 넓어 지게 된다.
양다리 끝 부분 집게 이(3)에 형성한 나사머리 삽입홈(4)은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다리를 오무렸을 때 나사를 물어 고정하는 부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나사 머리의 반경과 거의 일치하는 반경을 갖는다.
다리의 끝부분 집게 이(3)의 단면부에 형성하는 금속판 끼움홈(5)는 골절고정을 위한 금속판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나사가 끼워진 금속판의 경우에는 나사머리 삽입홈에 나사머리가 걸리고 금속판은 그 내부로 관통하는 금속판 끼움홈에 끼워진 형태로 집게 이에 물리게 된다.
상기한 나사머리 삽입홈과 금속판 끼움홈은 집게의 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구강내부의 하악각 측면 절개를 통하여 형성되는 좁은 공간에서 금속판등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고 원할한 시야확보가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리의 폭은 3mm내외로 하고, 두께는 2mm내외로 하며, 금속판이 삽입되는 홈의 높이가 1mm 내외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집게 이 구조는 드라이버 팁에 나사가 삽입되지 않는 형태의 나사조임시 금속판에 나사를 끼운 상태에서 나사와 금속판을 함께 고정할 때 매우 유용한 것이나 드라이버 팁에 삽입되는 형태의 나사일 경우에는 금속판만 고정하여 주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속판 끼움홈(5)의 외측으로 스톱퍼(6)를 형성하여 나사를 결합하지 않는 상태의 금속판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아울러 제시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 삽입을 위해 다리 끝의 집게 이(3) 단면부에 형성하는 금속판 끼움홈(5)의 양쪽 외측 일부가 막히도록 한 구조의 스톱퍼(6)를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으로 금속판(10)만 고정할 경우에는 금속판의 양단이 스톱퍼에 걸리도록 깊게 삽입하여 고정하고, 금속판에 나사(11)를 끼운 경우에는 금속판(10)이 스톱퍼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금속판 끼움홈에 삽입하여 나사와 함께 고정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은 손끝으로 가하는 힘에 의하지 않고서도 금속판등을 일정한 힘으로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양 몸통부에 외부조임장치(7)를 부가한 구성과,구강내 삽입시의 몸통부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리의 양 끝부분을 일정한 각도로 절곡시킨 구성을 아울러 제시한다.
외부조임장치(7)는 집게를 누르는 힘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몸통부에 고정시킨 나사봉(7a)이 타측몸통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나사봉에 조임너트(7b)를 채워주는 구성으로 하여 조임너트를 조여줌으로서 집게이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조임너트를 풀어줌으로서 몸통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집게이의 고정이 풀리도록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외부조임장치는 시술자가 손끝으로 몸통부를 눌러 금속판등을 잡아 고정시킬 때 오는 피로감을 완화시킬 수 있고, 금속판이나 나사의 셋팅 및 나사고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술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다리의 양 끝 집게 이(3) 부분을 일정한 각도로 절곡시킨 구성은 골절부의 금속판에 접하는 골표면과 집게의 손잡이를 이루는 몸통부가 서로 약간의 경사를 갖도록 함으로서 골절표면의 형태에 따라 몸통부를 조작하여 금속판등의 위치선정과 셋팅이 보다 용이 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12)을 통하여 삽입되는 집게의 몸통부와 다리를 일직선 형태로 한 집게의 경우(b) 골표면(16)의 각도에 맞게 집게 이 부분을 골표면에 접촉시킬 때 집게의 몸통부분이 아랫입술에 닿아(도면상 p점) 활동에 제약을 가하는 부분이 발생하나 다리 끝부분을 약간 절곡시킨 형태로 집게를 구성할 경우(a)에 동일 조건하에서 몸통부가 구강에 닿지 않기 때문에 보다 자유롭게활동할 수 있게 된다.
하악(13)의 골표면형태를 고려하였을 때 다리의 끝부분 절곡각은 대략 20°내외가 가장 바람직하며, 그와 같은 각도에서 집게의 활동폭이 가장 양호한 결과를 갖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판(10)과 나사(11)를 함께 물어 고정한 상태에서 골절부(15)에 드릴로 이미 뚫어 놓은 나사공에 위치하도록 나사와 금속판을 셋팅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드라이버(14)를 사용하여 하나의 나사를 약간만 조여 주면 금속판이 골표면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며, 그 상태에서 집게를 풀고 집게의 끝부분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위치를 바로 잡아 나머지 나사를 조여줌으로서 금속판의 나사고정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은 금속판등을 고정한 상태에서 집게의 몸통부분과 다리부분이 90 °로 뒤틀려져 다리부분은 골표면과 평행으로 접촉됨으로서 구강내부를 통한 시야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며, 다리의 끝부분이 평편하게 골표면에 접촉됨으로 집게의 끝부분이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드라이버등의 활동공간이 충분함으로 수술에 따르는 시간과 노력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몸통부를 조여주는 외부조임장치에 의해 금속판등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줌으로 수술자의 피로를 절감할 수 있고 금속판의 정확한 고정을 위해 노력을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하악각 골절시 종래 시행되었던 외부절개부를 통한 금속판의 고정방식을 탈피하여 하악각 외측의 절개로 부터 얻어지는 공간을 활용하여 드릴이나 드라이버의 구강삽입에 의한 금속판 고정시술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나사와 금속판을 함께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판만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탄성력을 갖는 얇은 금속판을 집게 형태로 가공하여서 된 몸통부(1)와 상기 몸통부에 대하여 90°내외의 각도로 비틀어 넓은 면이 평면이 되도록 형성한 양다리(2)와, 양다리 끝의 집게 이(3)부에 형성한 나사머리 삽입홈(4)과, 양다리 끝부분의 단면부에 양측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금속판끼움홈(5)으로 이루어지는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각 다리의 폭은 3mm내외로 하고, 두께는 2mm내외로 하며, 금속판이 삽입되는 홈의 높이가 1mm 내외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3. 제1항에 있어서, 집게 이(3) 단면부에 형성하는 금속판 끼움홈(5)의 양쪽 외측 일부가 막히도록 한 구조의 스톱퍼(6)를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4. 제1항에 있어서, 양다리 끝의 집게 이(3) 부분을 다리에 대하여 20°내외의 각도로 절곡시킨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5. 제1항,제2항,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일측몸통부에 고정시킨 나사봉(7a)이 타측몸통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돌출된 나사봉에 조임너트(7b)를 채워주는 구성의 외부조임장치(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KR1020000004946A 1999-12-24 2000-02-01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KR10033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946A KR100332342B1 (ko) 2000-02-01 2000-02-01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PCT/KR2000/001194 WO2001050973A1 (en) 1999-12-24 2000-10-23 Mandibular angle fracture operating method and its devices
JP2001551397A JP3950989B2 (ja) 1999-12-24 2000-10-23 下あご等の顔面骨の手術器具
US11/019,988 US20050107825A1 (en) 1999-12-24 2004-12-21 Surgical method for mandibular angle fracture operation and devices therefor
US11/019,895 US20050155613A1 (en) 1999-12-24 2004-12-21 Surgical method for mandibular angle fracture operation and device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946A KR100332342B1 (ko) 2000-02-01 2000-02-01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253A KR20000024253A (ko) 2000-05-06
KR100332342B1 true KR100332342B1 (ko) 2002-04-12

Family

ID=1964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946A KR100332342B1 (ko) 1999-12-24 2000-02-01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20Y1 (ko) 2007-06-29 2010-01-06 강태현 치과용 교합지 홀더
KR101437153B1 (ko) 2013-07-24 2014-09-0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를 파지하기 위한 포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15B1 (ko) * 2006-12-29 2008-06-1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쥐안구 받침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220Y1 (ko) 2007-06-29 2010-01-06 강태현 치과용 교합지 홀더
KR101437153B1 (ko) 2013-07-24 2014-09-02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의료용 스크류를 파지하기 위한 포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253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2825A (en) Hip fixation device
EP1044653B1 (en) Bone clamp for dynamic and non-dynamic compression of fractures
JP5138587B2 (ja) 調節可能な固定用クランプおよび方法
US10219838B2 (en) Pedicle screw fix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8628533B2 (en) Bone plate with reduction a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333014B2 (en) Bone fixation and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ixation and reduction of a distal bone fracture and malunion
JP2007533415A (ja) インプラントの挿入、位置決めおよび取出し器具および方法
US20080097447A1 (en) Orthopedic plate system
US20230310049A1 (en) Surgical forceps for holding two bone parts
KR100332342B1 (ko) 하악각 골절부의 금속판고정용 집게
CN217611271U (zh) 一种颌面钢板折弯钳
JP3752146B2 (ja) 創外固定器
US20040006371A1 (en) Method for reducing mandibular angle fractures and forceps used for the method
JP3740640B2 (ja) 創外固定器
JP2010503498A (ja) 整形外科用プレート装置
CN218165359U (zh) 一种可钳夹的断钉取出器
KR100332343B1 (ko) 고정 및 절단이 가능한 하악각 견인기
CN212788669U (zh) 一种新型复位钳
KR102167114B1 (ko) 최소침습성 골절 수술용 강선 벤딩장치
CN110353792B (zh) 一种多功能脊柱内固定工具
CN219109700U (zh) 一种颌骨牵引器
US9456854B1 (en) Spinous process clamp and fixation device
JP7221661B2 (ja) 片開き式頸椎椎弓形成術用骨固定器具
JPH0450013Y2 (ko)
JP4950579B2 (ja) 髄内釘及び整形外科手術器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