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809B1 -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 Google Patents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809B1
KR100331809B1 KR1019990048618A KR19990048618A KR100331809B1 KR 100331809 B1 KR100331809 B1 KR 100331809B1 KR 1019990048618 A KR1019990048618 A KR 1019990048618A KR 19990048618 A KR19990048618 A KR 19990048618A KR 100331809 B1 KR100331809 B1 KR 10033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humidity sensor
absolute humidity
resist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356A (ko
Inventor
이돈희
홍형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8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5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 G01N27/126Composition of the body, e.g. the composition of its sensitive layer comprising organ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저항계수를 갖는 저항형 박막을 멤브레인막 상에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열용량을 작게하고 습도 발생에 의한 소자의 온도변화를 크게하여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응답 시간이 빠른 절대습도 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2 개의 단일소자를 이용하여 감습소자와 보상소자를 패키지한 절대습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단일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멤브레인막과, 상기 멤브레인막 위에 형성되고 온도 저항 계수를 갖는 저항체 박막과, 상기 기판 양측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저항체 박막 양측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와, 상기 전극패드 양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 박막과 전극패드 위에 형성된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위에 상기 저항체 박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열전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thin film type absolute humidity sensor}
본 발명은 습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저항계수를 갖는 저항체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에 관한 것이다.
습도 센서는 작게는 습도계에서부터 크게는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요리를 위한 습도센서까지 그 사용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습도센서의 종류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물의 유전율 변화를 이용한 정전용량형 상대 습도센서와, MgCr2O4와 같은 반도체 세라믹의 저항 변화를 이용한 상대 습도센서와, 그리고 세라믹 써미스터를 이용하는 절대 습도센서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조리를 위한 습도센서로 두 개의 써미스터를 이용한 절대습도센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절대습도센서는 주위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된 습도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레인지에서 절대습도 센서의 감습 원리는 음식물 조리시 음식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써미스터의 열을 빼앗아 감에 의해 써미스터에 온도 변화가 발생하며, 그에 의한 저항 변화를 이용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대습도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1을 보면 유리막과 같은 보호막으로 도포된 세라믹 제 1, 2 써미스터(1)(2)와, 상기 제 1, 2 써미스터(1)(2)가 백금과 같은 귀금속 도선(3)에 의해 지지대(4)에 연결되어 공중에 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는 두 개의 제 1, 2 써미스터(1)(2)를 격리시키는 금속 실드 케이스(shield case)(5)에 의해 패키지 되어 있다.
그 중 제 1 써미스터(1)는 상기 금속케이스(5)에 미세한 구멍(hole)이 있어 수증기가 제 1 써미스터(1) 표면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써미스터(2)는 금속패키지(5)에 의해 드라이(dry) N2로 밀폐되어 수증기가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제 1, 2 써미스터(1)(2)와 외부저항으로 브릿지회로를 구성하면 음식물 조리에 의한 수증기 발생 시 발생된 수증기가 대기 중에 노출된 제 1 써미스터(1)의 열을 빼앗아 감으로써 노출된 제 1 써미스터(1)에서만 저항 변화가 발생하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한 출력변화가 발생하고 그에 따라 습도를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절대습도 센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절대습도센서는 소자를 세라믹 써미스터로 사용하기 때문에 열용량이 커서 감도가 낮으며 응답 시간이 늦고 센서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둘째, 써미스터 소자를 도 1과 같이 도선(3)과 지지대(4)를 이용하여 공중에 띄우고 상기 귀금속 도선(3)과 지지대(4)를 스폿 웰딩(spot welding) 하기 때문에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수가 많게 되어 가격이 비싸고 대량 생산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온도저항계수를 갖는 저항형 박막을 멤브레인막 상에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열용량을 작게하고 습도 발생에 의한 소자의 온도변화를 크게하여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응답 시간이 빠른 절대습도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절대습도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의 단일소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의 단면도
도 4 는 제작한 절대습도 센서를 이용한 습도 검출 회로의 실시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기판 7 : 멤브레인막
8 : 저항체 박막 9 : 전극패드
10 : 보호막 11 : 열전도막
12 : 감습소자 13 : 보상소자
14 : 지지대 15 : 금속 케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의 특징은 2 개의 단일소자를 이용하여 감습소자와 보상소자를 패키지한 절대습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단일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멤브레인막과, 상기 멤브레인막 위에 형성되고 온도 저항 계수를 갖는 저항체 박막과, 상기 기판 양측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저항체 박막 양측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와, 상기 전극패드 양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 박막과 전극패드 위에 형성된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위에 상기 저항체 박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열전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온도저항계수(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ance : TCR)를 갖는 Ti, Pt, VO2와 같은 저항체 박막의 형성을 실리콘 마이크로 머시닝(micromachinning) 기술을 이용하여 멤브레인막 상에 형성함으로써 소자의 열용량을 작게하고 습도 발생에 의한 소자의 온도 변화를 크게하여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고 응답 시간이 빠른 절대습도 센서를 제작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의 단일소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보면 실리콘 기판(6)상에 저응력 Si3N4, SiOxNy또는 SiO2/Si3N4/SiO2로 형성된 멤브레인막(7)과, 상기 멤브레인막(7) 위에 형성되고 Ti, Pt, VO2와 같은 온도 저항 계수를 갖는 저항체 박막(8)과, 상기 기판(6) 양측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저항체 박막(8) 양측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9)와, 상기 전극패드(9) 양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 박막과 전극패드 위에 형성된 보호막(10)과, 상기 보호막(10) 위에 상기 저항체 박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부에서 수증기에 의해 일어나는 열손실을 저항체 박막(8)에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Al, Au와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열전도막(1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막(10)은 절연 특성이 우수하며 Si3N4, SiO2, SiOxNy, PSG 또는 폴리이미드 박막을 증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일소자로 절대습도 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주위 습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보상(reference) 소자와, 주위의 습도변화를 감지하는 감습소자가 필요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의 단면도로써, 도 3을 보면 똑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단일소자 2 개를 이용하여 1 개는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감습소자(12)로 다른 하나는 습도변화에 반응하지 않는 보상소자를 패키지한 절대습도 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절대습도 센서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같은 소자구조를 갖는 감습소자(12)와 보상소자(13)가 지지대(14)에 도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드라이(dir) N2에서 금속으로 된 실드 케이스(shield case)(15)로 패키지 한다.
상기 패키지의 구조는 감습소자(12)와 보상소자(13)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 구조를 갖으며 감습소자(12)가 위치하는 부분의 금속케이스(15)에는 구멍(hole)이 형성되어 패키지 내부와 외부가 서로 통해 있어 수분이 패키지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보상소자는 금속 케이스(15)에 의해 외부와 단절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 는 제작한 절대습도 센서를 이용한 습도 검출 회로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회로는 감습소자(12), 보상소자(13), 고정저항(R1), 가변저항(VR)으로 이루어진 브릿지회로와, 상기 브릿지회로에 인가되는 전원(V)으로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전자레인지에 절대습도 센서와 상기 회로를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시 음식물로부터 발생한 수증기에 의한 습도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면 수증기가 발생하고 발생한 수증기는 센서 금속 케이스(15)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감습소자(12)가 위치한 패키지 내부로 들어가 바이어스 전원에 의해 자체 가열(self-heating)되어 있는 감습소자(12)에 접촉하여 감습소자의 열을 빼앗아 가게된다.
따라서 감습소자에 열손실이 발생하여 그에 상당하는 만큼의 온도 감소가 발생하여 결국 감습소자의 저항체(8)만 온도를 감소시키게 한다.
이러한 저항체(8)의 온도 감소로 저항체(8)의 저항이 변화하여 브릿지회로의 출력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습도변화를 검출한다.
따라서 센서 주변의 습도 변화를 상기 절대습도 센서와 상기 회로로부터 쉽게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레인지와 같은 조리기기에서 음식물 요리시 가열에 의해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검출하여 음식물의 자동요리 등에 응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Ti, Pt, VO2와 같은 온도저항계수를 갖는 저항체 박막을 열용량이 작은 멤브레인막 상에 형성함하여 센서의 감도가 크며 응답속도를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센서 소자의 상부에 Al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박막을 형성하여 수증기의 접촉에 의한 소자의 열손실을 크게하여 저항체의 저항변화를 크게 함으로써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Ti, Pt, VO2저항 박막을 마이크로 크기로 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줄이고 센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넷째, 실리콘 공정을 이용하여 센서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2 개의 단일소자를 이용하여 감습소자와 보상소자를 패키지한 절대습도 센서에 있어서, 상기 단일소자는
    기판 위에 형성된 멤브레인막과,
    상기 멤브레인막 위에 형성되고 온도 저항 계수를 갖는 저항체 박막과,
    상기 기판 양측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저항체 박막 양측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패드와,
    상기 전극패드 양측이 노출되도록 상기 저항체 박막과 전극패드 위에 형성된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위에 상기 저항체 박막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열전도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막은 Si3N4, SiO2, SiOxNy, 또는 SiO2/Si3N4/SiO2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 박막은 Ti, Pt, 또는 VO2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막은 Al, Au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KR1019990048618A 1999-11-04 1999-11-04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KR100331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18A KR100331809B1 (ko) 1999-11-04 1999-11-04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618A KR100331809B1 (ko) 1999-11-04 1999-11-04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356A KR20010045356A (ko) 2001-06-05
KR100331809B1 true KR100331809B1 (ko) 2002-04-09

Family

ID=1961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618A KR100331809B1 (ko) 1999-11-04 1999-11-04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6612A (zh) * 2018-09-13 2018-11-27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微型湿度传感器
GB2587812B (en) * 2019-10-02 2022-09-21 Univ Oxford Brookes Sens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704A (en) * 1990-03-23 1991-08-06 Gas Research Institute Moisture sensor
JPH08240552A (ja) * 1995-03-03 1996-09-17 Ooizumi Seisakusho:Kk 湿度センサ
JPH09304323A (ja) * 1996-05-20 1997-11-28 Ooizumi Seisakusho:Kk 絶対湿度センサ
JPH10239264A (ja) * 1997-02-25 1998-09-11 Sanriki Kogyo Kk 電気抵抗式湿度センサ
KR19990036806A (ko) * 1997-10-07 1999-05-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704A (en) * 1990-03-23 1991-08-06 Gas Research Institute Moisture sensor
JPH08240552A (ja) * 1995-03-03 1996-09-17 Ooizumi Seisakusho:Kk 湿度センサ
JPH09304323A (ja) * 1996-05-20 1997-11-28 Ooizumi Seisakusho:Kk 絶対湿度センサ
JPH10239264A (ja) * 1997-02-25 1998-09-11 Sanriki Kogyo Kk 電気抵抗式湿度センサ
KR19990036806A (ko) * 1997-10-07 1999-05-25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356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471B1 (ko) 절대습도센서 및 이를 이용한 온/습도 검출 회로
KR100351810B1 (ko) 절대습도센서
EP0376721B1 (en) Moisture-sensitive device
JP3335860B2 (ja) 熱式空気流量計用測定素子及び熱式空気流量計
AU20072923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ensitivity and value of a capacitive humidity sensor
WO2009055355A2 (en) Improved structure for capacitive balancing of integrated relative humidity sensor
KR100523516B1 (ko) 박막형 이산화탄소 가스 센서
KR100331809B1 (ko) 박막형 절대습도 센서
JP3083901B2 (ja) 雰囲気センサ
JP3112180B2 (ja) 湿度センサ
KR100370066B1 (ko) 마이크로 절대 습도 센서 및 제조 방법
KR100606545B1 (ko) 박막형 습도센서
KR100504783B1 (ko) 히터 내장형 습도센서 및 이를 이용한 습도 측정 방법
JP3358684B2 (ja) 熱依存性検出装置
KR100396656B1 (ko) 마이크로 절대 습도 센서 제조 방법
KR100628196B1 (ko) 절대습도센서 패키지
JPH04235338A (ja) 湿度センサ
JP2793615B2 (ja) 赤外線センサ
KR100486497B1 (ko) 히터 내장형 감습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3118667B2 (ja) 絶対湿度センサ
KR100329807B1 (ko) 반도체식 가스 센서의 전극 구조
KR20060106458A (ko) 저항 변화형 습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H10132957A (ja) マイクロセンサ
JP2008039431A (ja) 湿度検出装置
JPS62124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