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720B1 -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720B1
KR100331720B1 KR1019990041335A KR19990041335A KR100331720B1 KR 100331720 B1 KR100331720 B1 KR 100331720B1 KR 1019990041335 A KR1019990041335 A KR 1019990041335A KR 19990041335 A KR19990041335 A KR 19990041335A KR 100331720 B1 KR100331720 B1 KR 10033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pacitance
measuring
measuring electrode
engin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849A (ko
Inventor
이래덕
김한준
윤세원
박해원
조용명
세묘노프유리
Original Assignee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정구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정구,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정명세
Priority to KR101999004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7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6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88Lubricating oil characteristics, e.g. deteri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10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M20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for indicating the necessity to change the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1Oil dilution, i.e. prevention thereof or special controls according theret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는 오일팬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삽입되고, 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오일팬 내부의 오일이 유통될 수 있는 다수의 오일 순환구가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된 몸체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오일펜 내부의 오일과 접촉하여 오일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연결되어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값을 비교판단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전자회로 기판; 및 상기 전자회로 기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하부를 밀폐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실제적인 교환주기를 센서에 의해 판단 및 지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및 경제적 손실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빈번한 오일교환으로 발생된 폐오일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Coil-type Sensor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Car Engine Oil}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엔진의 엔진오일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의 엔진오일은 일반적으로 엔진의 윤활 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이나 마모를 감소시키는 기능 이외에도 냉각, 압력의 분산, 세척 등의 기능도 동시에 한다. 즉, 엔진의 마모 감소에 의한 동력 손실방지, 냉각작용, 세정작용, 충격방지, 진동방지, 밀폐작용 및 부식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엔진이 동작되는 동안 저온 운전, 연료의 불완전 연소, 엔진의 마모 및 부식 등의 이유로 오일 내에 물과 산이 만들어지고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금속 찌꺼기가 발생하여 오일의 점도가 떨어진다. 상기 오일의 점도 감소는 엔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엔진내부의 찌꺼기, 타르, 부식물 및 침전물 등은 엔진내부에 그대로 남게되어 오일펌프, 오일팬, 오일순환통로 등에 침전되어 엔진마모는 물론 출력저하와 함께 엔진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윤활작용을 감소시킨다. 특히 냉각수, 휘발유 및 물 등이 오일에 섞이게 되면 엔진 가스켓트에 손상을 주거나 피스톤링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오일은 주기적으로 새로운 오일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통상 자가용 승용차의 대부분이 평균 주행거리 약 6,111 km 마다 엔진오일을 교환하고 있는 데 이는 영업용 승용차의 교환주기 11,900 km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 심지어 자가용 운전자의 66.3 %가 5,000 km 이내에서엔진오일을 교환하고 있고, 3,000 km 이내에서 교환하는 경우도 전체의 10 %나 차지하고 있다. 이는 주로 정비업소의 권고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 과학 기술적 근거는 없다. 외국 자동차사의 경우 권장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15,000 km에서 20,000 km로 정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 수출용에만 외국 자동차회사와 비슷한 주기를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자가용 승용차 엔진오일 교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엔진오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다. 근래 엔진오일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비뉴턴계 점탄성 차세대 최고급 엔진오일, 무교환 오일, 오일 첨가제 등의 이름으로 상품화되고 있으나 오일의 특성 및 오일의 교환적기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는 전혀 없었다.
각종 차량의 경우, 휘발유 등 연료의 보충시기는 운전석 클러스터의 계기(또는 미터)에 의해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엔진오일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것은 오로지 주행거리 표식 이외에는 없다. 더욱이 종전 오일 교체시의 주행거리를 암기하거나 차계부에 기록해 놓지 않고는 그 교환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었다.
한편 폐 엔진오일은 연료, 도로포장 또는 건축현장에서의 지지물의 부식방지용으로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어떤 경우라 하더라도 중요한 환경공해물질의 하나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 엔진오일의 노화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최적의 오일의 교환시기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예고해 주는 장치가 있으면 엔진오일의 교환계획을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엔진오일을 교환해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분야에 대한 종래의 기술로서, 국내에서는 공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폐 엔진오일 소각기 개발(한국폐기물학회지 v.12, n.4, 421-428, 1995)연구가 수행되었고, 국내 각 자동차 생산업체에서는 엔진오일의 교환 일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를 계수하여 미리 지정해 놓은 주행거리가 되면 램프 또는 소리로서 오일 교환시기를 알리는 방법과 오일팬에 설치된 팬의 회전속도를 가속도 센서와 결합하여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여 적당한 시기에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엔진오일 레벨 점검 게이지에 묻혀진 엔진오일의 색깔과 점도를 손끝의 감각으로 판단하는 고전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오일의 실질적인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개발 연구는 없었다. 국외에서는 magneto resistor sensor를 이용하여 sensor head에 부착되는 부스러기에 의한 flux 경로의 변화를 측정하거나, 엔진의 점도, total base number(TBN), total acid number(TAN) 등을 분석하여 판단하고 있다. 또한 오일 내에 포함된 부스러기를 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측정코자 하는 오일을 반드시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채집하여 분석하는 방법이므로 엔진의 가동상태에서의 직접 측정이 불가능하다. 한편 엔진구조에 별도로 설치된 오일 파이프 주변에 한 쌍의 권선된 코일을 장착하여 오일 내에 포함된금속 부스러기 양에 따른 유도전압출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발표되었으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엔진의 구조를 변경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오일의 노화에 따라 오일의 유전상수가 증가되는 것을 DC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센서(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 5.540.086, 1996)를 제작하였으나 오일의 종류에 따라 출력에 큰 차이가 발생되며, 온도변화 및 주파수 변화에 따라 손실계수가 크게 변화되는 현상을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측정 대상 오일의 종류에 따른 오차를 감소하기 위하여 센서 내부 회로에서 교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모든 센서를 개별적으로 교정한다는 것도 비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엔진오일의 실제적인 열화상태를 전기용량 특성의 변화로서 측정하여 운전자가 엔진오일의 최적의 교환시기를 사전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의 운전 중에도 엔진오일의 성능저하를 판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센서의 삽입부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의 전극 실린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3의 IV - IV'선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의 전자회로 기판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6은 엔진오일의 온도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7은 전극에 대한 인가 주파수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전극에 대한 인가 주파수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정센서 2 ; 오일팬
3 ; 오일 유입구 10 ; 하우징
11 ; 삽입부 12 ; 몸체
12 a ; 나선부 12 b ; 고정돌기
13 ; 오일 순환구 14 ; 외측벽
15 ; 제 1 오링 16 ; 제 2 오링
20 ; 측정전극 21 ; 원통봉
22 ;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 23 ; 제 1 도선
24 ; 제 2 도선 25 ; 돌출부
26 ;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 27 ; 제 3 도선
28 ; 제 4 도선 29 ; 리드선
30 ; 지지대 31 ; 체결링
40 ; 전자회로 기판 41 ; 정전압장치
42 ; 오실레이터 43 ; 제 1 시그널변환기
44 ; 제 2 시그널변환기 45 ; 비교 회로부
46 ; 래치회로 47 ; 열센서
48 ; 프리셋장치 50 ; 고정부재
51 ; 출력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는 오일팬의 벽체 일 측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오일팬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삽입되고, 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오일팬 내부의 오일이 유통될 수 있는 다수의 오일 순환구가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된 몸체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오일펜 내부의 오일과 접촉하여 오일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설치된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오일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 상기 몸체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연결되어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값을 비교판단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전자회로 기판; 및 상기 전자회로 기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하부를 밀폐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상단부는 밀폐되고 하단부는 개방된 절연재질의 원통봉의 상부영역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선(導線)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원통봉의 하부영역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선(導線)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통봉상에는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을 서로 분리하는 원형의 돌출부가 상기 원통봉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내부에는 상기 돌출부를 지지하며 상기 일체형의 정전용량 측정전극을 고정시키는 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 및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각각 독립적인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절연재질의 봉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선(導線)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에 대한 도선의 권선비는 1 : 1.5 내지 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도선의 단부는 상기 봉 및 원통봉의 내부로 몰딩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영역은 락카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회로 기판은 하이브리드 회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브리드 회로는 정전압장치;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오실레이터; 상기 오실레이터가 인가한 교류전원에 의해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이 측정한 오일의 정전용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제 1 시그널변환기; 상기 오실레이터가 인가한 교류전원에 의해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이 측정한 공기의 정전용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제 2 시그널변환기;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변환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 회로부; 및 상기 비교 회로부에서 발생시키는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여 외부로 표현하는 래치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전압장치는 특정 온도 범위에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열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장치는 열센서에 의해 10 ℃ 내지 70 ℃ 온도 범위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오실레이터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는 8 kHz 내지 12 kHz 일 수 있다.
상기 제 2 시그널변환기에는 정전용량값을 사전에 지정하는 프리셋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회로는 정전압 장치가 10 ℃ 내지 70 ℃ 이외의 온도 범위에서 차단이 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비교 회로부에서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전자회로에 의해 비교판단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2는 도1의 센서의 삽입부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전극 실린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4는 3의 IV - IV'선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의 전자회로 기판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6은 엔진오일의 온도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7은 전극에 대한 인가 주파수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8은 전극에 대한 인가 주파수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1)는 자동차의 오일팬(2) 측벽의 오일 유입구(3)을 통하여 삽입 고정되어 있다.
물론 상기 센서(1)는 상기 오일팬(2)의 임의의 측벽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삽입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1)는 삽입부(11)와 몸체(12)로 이루어진 하우징(10), 상기 오일팬(12) 내부의 오일과 접촉하여 오일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22)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공기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26)을 구비하는 측정전극(20), 상기 몸체(12)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22)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26)과연결되어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값을 비교판단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전자회로 기판(40) 및 상기 전자회로 기판(4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 하부를 밀폐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삽입부(11)는 오일팬(2)의 하부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오일 유입구(3)을 통해 상기 오일팬(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삽입되고, 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상기 오일팬(2) 내부의 오일이 자유롭게 유통되어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22)과 접촉되도록 하고 동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측정센서(1)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의 오일 순환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1)는 외측벽(14)과 상기 오일 유입구(3)의 내벽은 나사형상으로 되어 서로 맞물려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오일 유입구(3)과 상기 삽입부(11)사이에는 상기 오일팬(2) 내부의 오일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오링(1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는 표면이 4각 내지 6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공구를 사용하여 쉽게 상기 측정센서(1)를 상기 오일팬(2)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외부의 불필요한 전기장을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은 상기 하우징(10)의 삽입부(11)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순환구(13)와 통하여 순환되는 오일과 자유롭게 접촉하며,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은 상기하우징(10)내벽과 상기 돌출부(25)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오링(16)에 의해 분리되어 오일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측정전극(20)은 상단부는 밀폐되고 하단부는 개방되고 하단부로부터 전체길이의 2/3 지점에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재질의 원통봉(21), 제 1 도선(23)과 제 2 도선(24)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상기 돌출부(25)의 상부를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진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 제 3 도선(27)과 제 4 도선(28)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상기 돌출부(25)의 하부를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진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통봉(21)은 주변온도에 의한 영향이 적으면서 약 150 ℃ 정도에서 견디는 폴리피닐렌 설파이드(PPS)가 바람직하다.
상기 각 도선(23, 24, 27, 28)들의 단부는 진동 및 열팽창에 의해서 상기 원통봉(21)으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오일 순환구(13)를 통과한 오일이 상기 원통봉(21)내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내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봉(25)의 내부로 몰딩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도선들을 배선한 후 상기 원통봉(21)내부로 몰딩재료를 채워넣은 후 응고시킨다.
상기 측정전극(20)은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슴은 당연하다.
상기 측정전극(20)은 상기 지지대(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내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돌출부(25)를 지지함과 동시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10)내벽과 상기 돌출부(25)사이에는 제 2 오링(16)이 삽입되어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몸체(12)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나선부(12a)에 체결링(31)을 끼워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링(12b)의 내측은 6각형으로 형성되어 렌치를 사용하여 손쉽게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선(23)과 상기 제 2 도선(24)이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규칙적으로 상기 원통봉(25)을 권선하면 상기 제 1 도선(23)과 상기 제 2 도선(24) 사이에는 정전용량이 형성되며 상기 정전용량의 크기는 상기 도선의 감긴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은 오일팬 내부의 상기 오일 순환구(13)를 통과한 오일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오일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은 밀폐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정전용량 비교 측정회로에서의 기준용 커패시터로서의 역할을 한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오일의 유전상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구한 결과 유전상수의 평균값이 2.23 이었다. 이것은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을 동일한 도선으로 동일하게 권선비로 권선했을 때 오일의 정전용량이 공기의 정전용량에 비해 약 2.23배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전용량 비교측정회로를 1 :1 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의 도선의 권선비 1 : 1.5 내지 2.5 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서는 2배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22)영역은 락카로 코팅되어 있어 도선과 상기 원통봉(25)사이의 틈을 메운다. 즉, 도선과 상기 원통봉(25)사이의 V자형 틈에 락카가 메워져 오일 찌꺼기가 오일의 교환후에도 상기 틈새에 계속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용량 측정의 신뢰도를 높인다.
상기 전자회로 기판(40)은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과 리드선(29)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측정전극(22, 26)에 의해 측정된 상기 오일팬(2)내부의 오일과 상기 하우징(10)내부의 공기에 대한 두 정전용량을 비교판단하여 상기 오일팬(10)내부의 오일의 불량여부를 결정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회로 기판(40)은 하이브리드 회로로 구성되며 그 구성은 정전압장치(41), 상기 측정전극(22, 26)에 교류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오실레이터(42), 상기 오실레이터(42)가 인가한 교류전원에 의해 오일팬(2)내부의 오일에 대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의 정전용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제 1 시그널변환기(43), 상기 오실레이터(42)가 인가한 교류전원에 의해 공기에 의한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의 정전용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제 2 시그널변환기(44), 상기 제 1 시그널변환기(43) 및 제 2 시그널변환기(44)로 부터 받은 신호를 비교하는비교 회로부(45) 및 상기 오일팬(2)내부의 오일의 불량여부에 따라 상기 비교 회로부(45)에서 발생시키는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여 외부로 표현하는 래치회로(4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전압장치(41)는 특정 온도 범위에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열센서(4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열센서(47)는 엔진의 하부에 있는 상기 오일팬(2)에 설치하되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엔진의 동작온도의 영향이나 자동차의 운행지역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자동차 엔진의 온도가 10 ℃ ∼ 70 ℃ 이내에서만 상기 정전압장치(41)가 작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정전압장치(41)는 안정된 +5 Vdc를 공급하며, 이것은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12 Vdc 전압을 공급받아 열센서(47)에 의해 엔진의 온도가 70 ℃ 이하일 때에만 전자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상기 열센서(47)를 통해 공급된 +12 Vdc 전압은 정전압장치(41)를 통해 +5 Vdc의 안정된 직류전압이 발생되고 이 전압은 모든 회로의 전원이 된다.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의 온도가 70 ℃ 이상에서는 엔진오일의 종류에 따라 유전상수가 크게 변화되어 측정된 정전용량값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온영역에서 엔진오일의 종류에 따른 오일 특성의 차이에 의한 오차를 배제하기 위하여 엔진 시동 후 수분 동안에 형성되는 10 ℃ ∼ 70 ℃에서만 측정되도록 함으로서 오일의 종류에 따른 측정 불확도를 크게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엔진오일의 온도가 -40 ℃ 내지 150 ℃의 범위에서 변화되더라도 온도보상을 위한 별도의 전자회로가 불필요하고 측정오차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오실레이터(42)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는 전자회로가 가장 안정되게 동작되기 위하여 8 kHz 내지 12 kHz 임이 바람직하다.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전상수는 1 kHz 내지 100 kHz 범위에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손실계수는 도8과 같이 1 kHz에서의 손실계수는 10 kHz에서의 손실계수 값의 약 50 ∼ 80 배 정도로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측정 주파수를 10 kHz로 선정함으로서 콘덕턴스 및 손실계수에 의한 오차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상기 제 2 시그널변환기(44)에는 바람직하게 정전용량 값을 사전에 지정하는 프리셋장치(48)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래치회로(46)는 전원 공급장치가 10 ℃ 내지 70 ℃ 이외의 온도 범위에서 차단이 되더라도 오일의 불량여부를 일정시간 동안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래치회로(46)는 자동차의 클러스터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의 부족상태를 표시해주는 표시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오일의 부족상태와 구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색깔의 램프를 사용하든지 또는 램프가 깜빡거리게 하여 구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클러스터의 형태를 변경할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엔진오일의 불량여부를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 기판(40)하부에는 상기 전자회로 기판(40)을 지지하며, 상기 전자회로에 의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51)가 내장된 고정부재(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측정센서(1)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고정부재(50)가 가압 결합되어 일체형을 이룬다. 즉, 상기 고정부재(50)를 상기 하우징(10)내부로 가압시킨 후 상기 상기 몸체(12)의 고정돌기(12b)를 내측으로 구부려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술한 측정센서(1)에 의한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오실레이터(41)에 의해 생성된 10 kHz의 교류 전압이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전극(22)이 이루는 피측정 커패시터()와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전극(26)이 이루는 기준 커패시터()에 동시에 인가된다. 다음 상기 두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이 측정되어 비교 회로부(45)로 전달되고, 상기 비교 회로부(45)는 수학식 1로 표현되는 두 커패시터의 비교결과가 직류전압의 출력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k는 전기용량 비교 결과와 출력 직류전압()과의 비례상수이다.
즉, 엔진오일의 사용기간에 따른 열화정도가의 리액턴스 변화로 나타나고 이것이 제 1 시그널변환기(43)를 통하여 생성된 신호와 프리셋장치(48)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의 제 2 시그널변환기(44)의 신호가 비교회로부(45)에 보내면 설정된 정전용량 변화 한계 값보다 크면 디지털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디지털 신호는 상기 래치회로(46)를 사용하여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엔진오일의 불량상태를 클러스터에 표시한다. 즉, 엔진오일이 불량일 때는 Hi 출력, 양호일 때에는 Lo 출력이 발생되어 클러스터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엔진오일의 교환시기를 인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센서를 자동차의 오일팬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자동차 엔진오일의 실제적인 교환주기를 센서에 의해 판단 및 지시되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에너지 및 경제적 손실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기존차량에도 쉽게 장착이 용이하고, 새 차에 적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하며, 새로운 자동차 부품의 양산 및 기업화가 가능하다.
이밖에도 이 센서를 동작시키는 전자회로에서의 간단한 조절만으로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 이외에도 기어오일, 브레이크오일 및 파워 핸들용 오일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그 용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빈번한 오일교환으로 발생된 폐오일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5)

  1. 오일팬의 벽체 일 측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오일팬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삽입되고, 단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오일팬 내부의 오일이 유통될 수 있는 다수의 오일 순환구가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된 몸체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오일펜 내부의 오일과 접촉하여 오일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 설치된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에 대한 정전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상기 오일과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
    상기 몸체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연결되어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측정된 정전용량값을 비교판단하기 위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전자회로 기판; 및
    상기 전자회로 기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하부를 밀폐하는 고정부재;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재질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상단부는 밀폐되고 하단부는 개방된 절연재질의 원통봉의 상부영역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선(導線)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원통봉의 하부영역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선(導線)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 및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은 각각 독립적인 소정의 직경과 높이를 갖는 절연재질의 봉을 서로 다른 두 개의 도선(導線)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나선형으로 권선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에 대한 도선의 권선비는 1 : 1.5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도선의 단부는 상기 봉 및 원통봉의 내부로 몰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영역은 락카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 기판은 하이브리드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회로는
    정전압장치;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과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오실레이터;
    상기 오실레이터가 인가한 교류전원에 의해 상기 오일 정전용량 측정 전극이 측정한 오일의 정전용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제 1 시그널변환기;
    상기 오실레이터가 인가한 교류전원에 의해 상기 공기 정전용량 측정 전극이 측정한 공기의 정전용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제 2 시그널변환기;
    상기 제 1 및 제 2 시그널변환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 회로부; 및
    상기 비교 회로부에서 발생시키는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여 외부로 표현하는 래치회로;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장치는 특정 온도 범위에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열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장치는 열센서에 의해 10 ℃ 내지 70 ℃ 온도 범위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실레이터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는 8 kHz 내지 12 kHz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그널변환기에는 정전용량값을 사전에 지정하는 프리셋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정전압 장치가 10 ℃ 내지 70 ℃ 이외의 온도 범위에서 차단이 되더라도 일정시간 동안 비교 회로부에서 발생시키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KR1019990041335A 1999-09-27 1999-09-27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KR10033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335A KR100331720B1 (ko) 1999-09-27 1999-09-27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335A KR100331720B1 (ko) 1999-09-27 1999-09-27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849A KR20010028849A (ko) 2001-04-06
KR100331720B1 true KR100331720B1 (ko) 2002-04-09

Family

ID=1961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335A KR100331720B1 (ko) 1999-09-27 1999-09-27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95B1 (ko) * 2004-12-20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오일 열화감지 및 경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436B1 (ko) * 2000-06-29 2002-07-26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KR100842038B1 (ko) * 2006-11-16 2008-06-30 주식회사 에스앤에스레볼루션 오일의 전산가 측정장치 및 수명산출장치, 이를 이용한오일의 전산가 및 오일센서 측정방법
KR100865940B1 (ko) * 2007-03-28 2008-10-30 키스트 유럽 에프게엠베하 브레이크 오일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브레이크오일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95B1 (ko) * 2004-12-20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오일 열화감지 및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849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07850B (zh) 监测发动机油状态的装置和测量传感器
US4675662A (en) Machine oil deterioration detection
US8340928B2 (en)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oil deterioration and oil level
JP2001524682A (ja) 高感度容量性オイル劣化およびレベルセンサ
US7523646B2 (en) Filtering and measuring apparatus for oils
US4741204A (en) Measurement of the depletion of basic additives in lubricating oil
EP1098196B1 (en) Spiral electrode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luid
EP0399824B1 (en) An electrical liquid level sens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59575B2 (en) Method for on-line fuel-dilution monitoring of engine lubricant
WO1998039631A1 (en) Capacitive oil deterioration and contamination sensor
KR101225824B1 (ko) 비-수성 유체의 상태를 온-라인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010060244A (ko) 개구를 통한 유체 조건 모니터링
KR100331720B1 (ko)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US6923056B2 (en) Resonant network fluid level sensor assembly
KR100302643B1 (ko)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센서
CN101868699A (zh) 用于确定容器液位的传感器装置及其制造方法
US6237411B1 (en) Limit-level sensor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undershooting or overshooting of an intended level of liquid in a container
US5001927A (en) Full sensing unit
CN110470699B (zh) 用于确定油的品质的方法和分析系统
KR20050048746A (ko) 디젤 커먼레일식 자동차의 연료사용량 산출방법 및 그산출방법을 이용한 윤활오일 및 부품 교환시기 감지장치
CN207761746U (zh) 一种传感器以及柴油机
KR100345436B1 (ko) 차량용 엔진오일의 열화상태 측정용 코일형 센서
KR101259533B1 (ko) 엔진오일센서
KR101231547B1 (ko) 오일의 열화, 레벨 및 온도 측정을 위한 일체형 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점검방법
KR100518212B1 (ko) 자동차의 연료소모량에 의한 윤활오일 및 부품 교환시기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