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999B1 - 편향요크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999B1
KR100330999B1 KR1020000008136A KR20000008136A KR100330999B1 KR 100330999 B1 KR100330999 B1 KR 100330999B1 KR 1020000008136 A KR1020000008136 A KR 1020000008136A KR 20000008136 A KR20000008136 A KR 20000008136A KR 100330999 B1 KR100330999 B1 KR 10033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creen
adhesive
deflection yok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806A (ko
Inventor
박명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2000000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999B1/ko
Publication of KR2001008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화면상의 왜곡(distortion) 및 정컨버젼스(static convergence)의 조정을 위해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에 복수개로 구비하게 되는 마그네트가 고정구내에서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코일세퍼레이터(100)의 스크린부(110)에 화면상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마그네트(200)가 구비되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200)와 상기 마그네트(200)가 안착되는 박스형상인 고정구(120)간 대향하는 적어도 일측의 대향면으로 체크 무늬의 요철면(300)이 형성되도록 하여 대향면간 접착제의 접착면적이 확장되게 하므로서 접합력이 증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고정구(120)에서의 보다 견고한 마그네트(200)의 접착으로 마그네트(200)를 통한 화면 왜곡 보정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향요크{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화면상의 왜곡(distortion) 및 정컨버젼스(static convergence)의 조정을 위해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에 복수개로 구비하게 되는 마그네트가 고정구내에서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하는 편향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 또는 모니터에는 음극선관(CRT)의 전자총으로부터 주사되는 3색빔을 음극선관의 스크린면에 도포된 형광막으로 정확히 편향시키도록 하기 위해 편향요크가 구비된다.
도 1에서와 같이 편향요크는 크게 좌,우 대칭형으로 되어 하나로 합체되는 한쌍의 코일세퍼레이터(10)와 수평편향자계와 수직편향자계를 각각 형성하는 수평편향코일(20)과 수직편향코일(30) 및 수직편향코일(30)을 통한 수직자계를 강화시키는 페라이트코어(40)로 이루어진다.
코일세퍼레이터(10)는 다시 크게 음극선관(1)의 스크린면(1a)측으로 구비되는 스크린부(11)와, 음극선관(1)의 전자총부(1b)에 결합되는 네크부(1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코일세퍼레이터(10)의 내주면에는 수평편향코일(20)이 그리고 외주면에는 수직편향코일(30)이 각각 마련된다.
한편 코일세퍼레이터(10)에는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화면상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크린부(11)의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보정용 마그네트(5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즉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1)에 구비되는 마그네트(50)는 수평편향코일(20)과 수직편향코일(30)에 의해 편향시키게 되는 빔이 화면상에서 왜곡되는 현상을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1)에 마련되는 마그네트(50)는 통상 스크린부(11)로부터 외측으로 주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한 고정구(11a)에 상부로부터 안착되면서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의 고정구(11a)는 기도시한 바와같이 스크린부(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박스형상이며, 내부에는 마그네트(5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이 개방면을 통해 마그네트(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고정구(11a)의 바닥면에 일단 접착제를 도포한 후 마그네트(50)를 삽입시켜 견고하게 부착하므로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고정구(11a)의 삽입 단면적과 마그네트(50)의 단면적은 거의 일치하므로 접착제 위로 마그네트(50)를 삽입시키게 되면 그 단면적을 커버하는 이상의 접착제가 고정구(11a)와 마그네트(50)간 미세한 간극을 통해 밖으로 밀려 나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마그네트(50)의 접착력이 약화되기도 하고, 고정구(11a) 내에서 마그네트(50)가 미세하게 유동되면서 정위치를 벗어나 보정 특성이 변화되는 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면의 왜곡 보정을 위해 구비하게 되는 마그네트가 고정구와 접착제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접합되게 하므로서 안정된 조립성과 보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편향요크가 채용된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편향요크에서 코일세퍼레이터에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코일세퍼레이터 110 : 스크린부
120 : 고정구 200 : 마그네트
300 : 요철면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에 화면상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안착되는 고정구의 대향면으로 체크 무늬의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접착제가 접착제는 접합면적이 확장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부호 10은 코일세퍼레이터이다.
코일세퍼레이터(100)의 스크린부(110)에는 종전과 마찬가지로 화면 왜곡 즉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그네트(200)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구비된다.
이때 마그네트(200)는 스크린부(110)에 일체로 형성한 박스형상인 고정구(120)의 내부로 직접 접착제를 도포하고, 이 고정구(120)에 상부로부터 안착시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해 고정구(120)에 삽입시켜 구비하게 되는 마그네트(200)와 이 마그네트(200)가 안착되는 고정구(120)의 서로 대향하는 면으로 체크 무늬의 요철면(300)이 형성되게 하므로서 접착제의 도포면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서 고정구(120)와 마그네트(200)간 접합력이 증강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마그네트(200)가 삽입되면서 서로 마주보게 되는 마그네트(200)와 고정구(120)의 내주면간 적어도 일측의 면으로 도 4에서와 같은 요철면(300)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요철면(300)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구(120)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이와는 반대로 마그네트(200)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고정구(120)와 마그네트(200)에 동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철면(300)은 평면에 비해서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결국 고정구(120)와 마그네트(200)간 미세하게 형성되는 대향면간 간극 사이로 도포되는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시키게 되는 작용을 한다.
이와같은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확장시키는 작용은 접착제가 접합되는 면적의 증대를 초래하게 되면서 결국 고정구(120)내에서의 마그네트(200)의 접합력을 증강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합면적이 증대되면서 종전에는 보다 많은 양의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더라도 평면을 커버하는 면적만큼의 접합력만을 갖게 되는데 반해 본 발명과 같이 적어도 일측의 접합면을 요철면(300)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보다 적은 양의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보다 큰 접합력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즉 종전과 같은 접합면이 평면인 구조에서는 아무리 많은 양의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더라도 평면의 면적을 커버하는 그 이상의 접착제는 마그네트(200)와 고정구(120)의 내주면간 미세한 간극을 통해 밖으로 밀려나오면서 불필요하게 소모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그보다는 작은 양의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더라도요철면(300)으로 접착제가 골고루 분포되면서 대향면간 미세한 간극을 통한 접착제의 불필요한 소모를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를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하면서 접착력은 더욱 증강되도록 하여 고정구(120)내에 안착되는 마그네트(200)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동시에 외부로 접착제가 밀려나가는 현상을 방지시켜 마그네트(200)를 부착시킴에 따라 작업 환경이 접착제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는 코일세퍼레이터(100)의 스크린부(110)에 구비하게 되는 화면 왜곡 보정용 마그네트(200)와 고정구(120)간 접합이 대향면간으로 형성한 요철면(300)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접합면적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보다 접합력이 증강되게 하므로서 마그네트(200)를 통한 화면 왜곡 보정의 변화가 제거되어 정확하고 안정된 보정 성능이 발휘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고정구(120)에서의 마그네트(200)를 조립하는 작업성이 향상되면서 편향요크의 제작성이 더욱 좋아지게 되며, 균일한 성능의 발휘를 통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코일세퍼레이터(100)의 스크린부(110)에 화면상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마그네트(200)가 구비되는 편향요크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200)와 상기 마그네트(200)가 안착되는 박스형상인 고정구(120)간 대향하는 적어도 일측의 대향면으로 체크 무늬의 요철면(300)이 형성되도록 하여 대향면간 접착제의 접착면적이 확장되게 하므로서 접합력이 증강되도록 하는 편향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면(300)은 대향하는 상기 고정구(120)와 마그네트(200)에 동시에 형성되는 편향요크.
KR1020000008136A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 KR10033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36A KR100330999B1 (ko)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136A KR100330999B1 (ko)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806A KR20010082806A (ko) 2001-08-31
KR100330999B1 true KR100330999B1 (ko) 2002-04-01

Family

ID=1964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136A KR100330999B1 (ko) 2000-02-21 2000-02-21 편향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5612B2 (ja) * 2008-08-21 2013-11-06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性部材の取付構造、ならびにピ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806A (ko) 200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0136B2 (ja) シヤドウマスク組立体
KR100330999B1 (ko) 편향요크
JPH07249383A (ja) 電子銃とその組立て方法
KR100331001B1 (ko) 편향요크
KR10027797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US20040012323A1 (en) Deflection yoke with vertical deflection coil fixing structure
KR100330997B1 (ko) 편향요크
KR100331002B1 (ko) 편향요크
KR100422054B1 (ko) 편향요크
KR100356289B1 (ko) 편향요크
KR100422053B1 (ko) 편향요크
KR200149254Y1 (ko) 음극선관용 벌브 고정 구조
JPH0945256A (ja) シャドウマスク構体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KR20050109326A (ko) 비진동 보정편을 구비한 편향요크조립체
KR100431265B1 (ko) 편향요크
KR200310256Y1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코어 고정구조
KR100422047B1 (ko) 편향요크
KR100422051B1 (ko) 편향 요크
KR200144627Y1 (ko) 편향요크의 수평코일 유동 방지구조
JP333467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216037Y1 (ko) 편향요크의 퍼멀로이 보정편 결합구조
KR200289354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KR20030005147A (ko) 편향요크
KR20040013774A (ko) 편향요크
KR20020055730A (ko) 편향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