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972B1 -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972B1
KR100277972B1 KR1019970006907A KR19970006907A KR100277972B1 KR 100277972 B1 KR100277972 B1 KR 100277972B1 KR 1019970006907 A KR1019970006907 A KR 1019970006907A KR 19970006907 A KR19970006907 A KR 19970006907A KR 100277972 B1 KR100277972 B1 KR 100277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magnets
screen
magnet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2246A (ko
Inventor
이석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9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9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병렬로 부착하여 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과,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해 주는 섀도우 마스크와,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 주는 편향 요크로 구성된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코일 세퍼레이터 외면에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근접하게 병렬로 부착하여 컨버젼스를 보정함으로서 수평 방향과 수직방향 모두 적색 빔과 청색 빔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상하여 더욱 양호한 화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deflection yoke of brown tube}
본 발명은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병렬로 부착하여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마그네트를 부착한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편향 요크가 설치된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편향 요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편향 요크가 설치된 음극선관은 R(Red), G(Green), B(Blue) 3색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1)과, 전자총(11)에서 방출된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12)과, 전자총(11)에서 방출된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해 주는 섀도우 마스크(13)와, 전자총(11)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스크린(12)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14)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자총(11)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14)는 도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141)과,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142)과, 수평·수직 편향 코일(141)(142)에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페라이트 코어(143)와, 수평·수직 편향 코일(141)(142) 및 페라이트 코어(143)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상기 수평 편향 코일(141)과 수직 편향 코일(142) 사이를 절연시켜 주는 코일 세퍼레이터(144)와, 코일 세퍼레이터(144) 외면의 지정된 부위에 부착하여 특정 방향의 외부 자계를 인가하여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한 개의 마그네트(146)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편향 요크가 설치된 음극선관의 동작을 먼저 간략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도 2의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를 부착하기 전의 컨버젼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를 부착한 후의 컨버젼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먼저, 브라운관의 전자총(11)은 R, G, B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고, 이 방출된 빔은 스크린(12)에 부딪혀 빛을 재현한다.
그리고, 섀도우 마스크(13)는 전자총(11)에서 방사된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한 후 편향 요크(14)에 의해 스크린(12)의 정해진 위치로 편향시켜준다.
브라운관내의 편향 요크(14)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편향 요크(14)의 수평 편향 코일(141) 및 수직 편향 코일(142)은 전자총(11)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주고, 이때 페라이트 코아(143)는 수평 편향 코일(141) 및 수직 편향 코일(142)에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준다.
코일 세퍼레이터(144)는 이 페라이트 코아(143)와 수평 편향 코일(141)과 수직 편향 코일(142)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주며, 수평 편향 코일(141) 및 수직 편향 코일(142) 사이를 절연 시킨다.
도 2에서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144) 외면의 지정된 된 부위에 한 개의 마그네트(146)를 부착하여 편향 요크(14)의 특정한 부위에 특정 방향의 외부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한다.
코일 세퍼레이터(144) 외면의 지정된 부위에 한 개의 마그네트(146)를 부착한 편향 요크(14)에서 도 4a와 같이 화면상의 특정부위에 미스컨버젼스가 발생한 요크에 마그네트(146)에 의한 외부 자계는 도 3과 같이 국부적인 수평과 수직 편향 자계를 형성한다.
국부적인 수평과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한 컨버젼스 특성은 수평과 수직 방향의 적색 빔(R)과 청색 빔(B)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상할 수 있게 되어 도 4b와 같이 적색 빔과 청색 빔이 일치하는 컨버젼스 특성을 나타내며, 보정편을 부착함으로서 더욱 양호한 화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편향 요크는 코일 세퍼레이터 외면의 지정된 부위에 한 개의 마그네트를 부착하여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므로 한 개의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에 의해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미스컨버젼스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 동시에 변화하므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미스컨버젼스의 크기가 다른 편향 요크에서는 한 개의 마그네트를 부착함으로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미스컨버젼스는 보정이 가능하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미스컨버젼스는 동시에 보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한 개의 마그네트의 인가 자계에 의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의 컨버젼스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오히려 화면상의 컨버젼스 특성에 문제가 발생되어 고정세용 편향 요크를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병렬로 근접해 놓음으로서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미스컨버젼스를 해결할 수 있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편향 요크가 설치된 음극선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편향 요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를 부착하기 전의 컨버젼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그네트를 부착한 후의 컨버젼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부착 후의 컨버젼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했을때의 외부 자계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 : 코일 세퍼레이터 503 : 마그네트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특징은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과,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해 주는 섀도우 마스크와,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 주는 편향 요크로 구성된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는 코일 세퍼레이터 외면에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근접하게 병렬로 부착하여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부착 후의 컨버젼스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는 도 5와 같이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를 코일 세퍼레이터(501) 외면의 지정된 부위에 자계가 병렬로 같은 자계방향이 되도록 근접해 부착한다.
여기서, 자계가 병렬로 같은 방향이 되도록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를 근접해 부착한 편향 요크에서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는 코일 세퍼레이터(501)의 지정된 부위에 도 6과 같이 자계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도록 병렬로 배치한다.
단, 한 개의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계범위내에 또다른 마그네트를 같은 자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근접해 부착해야 한다.
만약, 도 4a와 같이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미스컨버젼스가 발생한 편향 요크에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를 코일 세퍼레이터(501) 외면의 특정 부위에 부착하면 도 6과 같이 수평 방향 자계는 2개의 마그네트의 자기력선의 반발력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되면서 그 힘은 증가하나 수직방향의 귀환하는 자기력선은 한 개의 마그네트와 동일한 자계가 된다.
그래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미스컨버젼스가 발생할 때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에서 인가되는 국부적인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해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컨버젼스 특성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 적색 빔과 청색빔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모두 적색 빔과 청색빔의 미스컨버젼스가 보상되어 적색 빔과 청색 빔이 일치하는 컨버젼스 특성을 나타내고,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를 코일 세퍼레이터(501) 외면의 특정부위에 부착함으로서 더욱 양호한 화면 특성을 얻을 수 있어 고정세용 편향 요크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임의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했을때의 외부 자계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를 서로 임의의 각도로 형성하여 코일 세퍼레이터(501) 외면의 지정된 부위에 부착시킨다.
이렇게 부착된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는 화면상의 특정 부위의 미스컨버젼스가 여러 형태로 나타날 때 2개 이상의 마그네트(503)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를 조정하면 더욱 양호한 화면 특성을 얻을 수 있어 고정세용 편향 요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는 2개 이상의 마그네트를 코일 세퍼레이터 외면의 특정 부위에 부착함으로서 국부적인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에 의한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의 컨버젼스 특성은 수평 방향과 수직방향 모두 적색 빔과 청색 빔의 미스컨버젼스를 보상하여 더욱 양호한 화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마그네트 부착 위치를 서로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부착시키면 화면상의 특정부위의 미스컨버젼스가 여러 형태로 나타날 때 2개 이상의 마그네트의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를 조정하면 더욱 양호한 화면 특성으로 고정세용 편향 요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빔이 부딪혀 빛을 재현하는 스크린과, 상기 3개의 전자빔을 구분해 주는 새도우 마스크와, 상기 전자빔을 상기 스크린의 정해진 장소로 편향시켜 주는 편향요크를 구비하여 구성된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코일 세퍼레이트 외면의 정해진 복수개의 위치에 한 쌍의 마그네트를 부착된 마그네트의 위치에 따라 마그네트에 대한 외부자계가 조정되도록 임의의 각도로 부착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미스 컨버젼스를 동시에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2개 이상의 마그네트는
    코일 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의 소정영역에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요크의 2개 이상의 마그네트는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부착하여 이 부착된 위치에 따라 마그네트에 의한 외부 자계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19970006907A 1997-03-03 1997-03-03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KR100277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907A KR100277972B1 (ko) 1997-03-03 1997-03-03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907A KR100277972B1 (ko) 1997-03-03 1997-03-03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246A KR19980072246A (ko) 1998-11-05
KR100277972B1 true KR100277972B1 (ko) 2001-02-01

Family

ID=6598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907A KR100277972B1 (ko) 1997-03-03 1997-03-03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646A (ko) * 2002-06-07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중간부 핀왜 보정 기능을 갖는 편향 요크
KR20040072900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편향요크를 갖는 음극선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48A (ko) * 1992-07-06 1994-02-16 정상문 조립식 경량칸막이 및 천정판넬의 페인팅 방법
KR950002207A (ko) * 1993-06-30 1995-01-04 세끼모또 다다히로 클램핑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948A (ko) * 1992-07-06 1994-02-16 정상문 조립식 경량칸막이 및 천정판넬의 페인팅 방법
KR950002207A (ko) * 1993-06-30 1995-01-04 세끼모또 다다히로 클램핑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246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1922A (en) Coma-error correcting means of CRT
KR100277972B1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
US5719542A (en) Convergence yoke for improving focus characteristics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5514931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mages
KR100209660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6239560B1 (en) System for correcting electron beam from single cathode in color CRT
KR100418039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252975B1 (ko) 음극선관용자계편향장치의페라이트코아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200147265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214313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10054542A (ko) 브라운관용 편향 요크의 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7115656A (ja) 陰極線管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20030067062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30022555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40073077A (ko) 칼라 음극선관
JPH0461588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4000923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00025809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KR19990064459A (ko)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빔로테이션 조정 마그네트
KR19990049943A (ko) 편향요크의 랜딩 조절장치
KR20030009757A (ko) 편향요크
KR20050078482A (ko) 새들-토로이달형 편향 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813

Effective date: 2000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