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311B1 -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311B1
KR100330311B1 KR1019980018812A KR19980018812A KR100330311B1 KR 100330311 B1 KR100330311 B1 KR 100330311B1 KR 1019980018812 A KR1019980018812 A KR 1019980018812A KR 19980018812 A KR19980018812 A KR 19980018812A KR 100330311 B1 KR100330311 B1 KR 10033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protein
monoclonal antibody
hybridoma cell
ce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030A (ko
Inventor
용 경 최
최인성
갬재화
강호범
오은숙
홍윤미
이인애
이영희
홍미휘
최용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8001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3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3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from tumour cells
    • C07K16/303Liver or Panc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10Cell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 C12N5/12Fused cells, e.g. hybridomas
    • C12N5/16Animal cells
    • C12N5/163Animal cells one of the fusion partners being a B or a T lymphoc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38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iver, pancreas or kid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92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localized on the membrane of tumor or cancer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monoclonal antibodies binding reaction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noclonal antibodies; monoclonal antibodies per se are classified with their corresponding antig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8Hepato-biliairy disorders other than hepatitis
    • G01N2800/085Liver diseases, e.g. portal hypertension, fibrosis, cirrhosis, bilirub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조직 및 암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인체 S-100A6 단백질에만 높은 결합력을 가지는 생쥐 유래의 단일클론 항체와 이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그 세포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일클론항체는 서로 다른 수종의 암환자로부터 절제된 암조직에 존재하는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므로서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또 정상세포와 명확히 구분하여 선명하게 면역조직염색을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체 에스-100에이6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체에 발생하는 수종의 암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인체 S-100A6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와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간암 조직 특히 다른 부위의 암조직으로부터 전이되어온 간암 조직과 간의 콜란지오 암조직(cholangio carcinoma)에서 그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인체 S-100A6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와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암의 진전 표식자로 추정되는 단백질중의 하나인 인체 S-100A6 단백질의 재조합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대량 생산하여 수종의 암 특히, 흑색종양, 대장암, 전이된 간암 등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체 S-100A6 단백질에 대한 생쥐 유래의 단일클론 항체와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S-100A6 단백질은 세포질과 핵내에 존재하는 칼슘 결합단백질로서 한 개의 분자에 2개의 칼슘 결합부위가 존재하며 세포 내부에서 칼슘이온의 항상성 유지와 칼슘관련 신호전달 및 세포의 성장, 분화와 관련이 있어 흑색종, 뇌종양, 유방암의 진전을 나타내는 표식자(marker)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은 핵내 신호전달 관련물질인 아넥신 IV(annexin Ⅳ)와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세포의 성장 주기와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 세포질내의 다른 단백질들과 결합하므로써 세포의 구조 변형을 유도할 수 있어 세포의 형태 결정에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체 S-100A6 단백질의 기능은 아직 잘 밝혀져 있지 않지만 혈청내의 PD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또는 EGF(epidermal growth factor) 등과 같은 성장인자에 의하여 이 단백질의 발현이 유도되며 세포내의 칼슘 또는 아연이온과 결합하는 능력이 있어 세포내에서 신호전달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인간 골수성 백혈병과 흑색종 환자의 암세포에서 그 발현정도가 현격히 증가되는 것이 발표되어 있고 발암유전자의 하나인 라스(ras)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NIH/3T3 세포주에서도 역시 인체 S-100A6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된다고 알려져 있다. 인체 S-100A6 단백질은 현재 흑색종 암의 진전을 나타내는 표식자로 알려져 있지만 흑색종 세포주중에서도 특히 전이성이 높은 세포주에서 그 발현정도가 한층 더 높아 암세포의 전이과정에도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단백질은 칼슘이온이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아넥신 일족(annexin family), 글라이세르알데히드-3'-인산기 가수분해효소(glyceraldehyde-3'-phosphatase) 및 사이알릭산(sialic acid)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 세포내의 대사 및 성장과 관련된 기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S-100A6 단백질이 인체 조직내에서 발현되는 특성은 주로 mRNA 수준에서 노던 블럿을 통하여 그 발현특성을 확인하여 왔으나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정상세포와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단일클론항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수종의 암환자로부터 절제된 암조직에 존재하는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진 단일클론항체를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암세포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정상세포와 명확히 구분되며 선명하게 면역조직염색을 할 수 있는 단일클론항체를 제공하므로서 이를 사용하여 암이나 간질환 진단 및/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대장균에서 대량 생산하고 이 단백질을 생쥐에 면역주사하여 인체 S-100A6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 및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생산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인체 S-100A6 단백질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핵산 염기서열로서, 오픈리딩후레임 부분으로부터 발현되는 재조합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밑줄은 단백질의 전사가 시작되는 코돈을 나타내고, 상자로 표시된 부분은 이 단백질이 칼슘이온과 결합할 때 사용되는 부위이다.
도2a는 대장균 세포내에서 발현되는 GST-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전기영동한 결과이며, 도2b는 아가로스 겔상에서 전기영동을 하여 분리한 단백질들을 나이트로 셀룰로우즈 막으로 옮긴 후 인체 S-100A6에 대한 항체로 웨스턴 블라팅을 한 결과이다.
도3은 인체 S-100A6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가 생산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면역글로블린의 아형(subtype)을 검정하기 위해 2중 확산법(double diffusion)을 시행한 결과이다.
도4는 여러 암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염색법을 실시한 결과로, 도4a는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가 대장암 환자에게서 얻은 대장 조직 중에서 암세포의 핵 주변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암세포가 면역염색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4b는 갑상선 암 환자로부터 얻은 조직에서도 암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면역염색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인체 S-100A6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대장균내에서 배양하여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분리 및 정제하여 항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로 생쥐를 면역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로부터 상기 인체 S-100A6 단백질 항원에 특이적으로 높은 결합력을 가지는 단일클론 항체를 선별하여 대량생산 하는 단계; 및 상기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일클론항체와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과의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그 특이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생산에 필요한 면역화된 생쥐를 얻기위해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과 동량의 완전 보조항원(complete Freund adjuvant)을 유상화 될 때까지 잘 혼합하여 생쥐의 복강내에 주사하고, 다시 2주후부터 불완전 보조 항원(Freund's incomplete adjuvant, FIA)과 혼합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추가로 3회에 걸쳐 부스터 주사(booster injection)한다. 세포융합을 실시하기 위하여 항원을 주사한 생쥐로부터 적출한 비장세포와 SP2/0 마이엘로마 세포(myeloma cell)를 세포수를 기준으로 10:1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1,450, 시그마사 제품)을 넣어 세포융합 반응을 시킨 다음 배양용 배지 (RPMI 1640)를 가하여 희석시킨다. 다음에 융합된 세포들을 선별용 배지(HAT 배지)에 옮겨 배양한 후 하이브리도마 세포군들의 성장이 명확히 확인되는 시점에서 배양용 배지를 HT 배지로 바꾸어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도록 한다.
HT 배지에서 성장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군중 인체 S-100A6 단백질 항원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군을 간접효소결합 면역흡착검사(indirect ELISA) 분석방법을 사용해 선별하였다. 효소결합 면역흡착검사 판독기(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제된 인체 S-100A6 단백질과 높은 결합력을 갖는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선별하고, 선별된 세포가 단일클론이 되도록 제한 희석법(limiting dilution)을 사용해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희석한 후 하나의 세포로부터 자라나온 세포들로 이루어진 세포주를 확립하였으며 확립된 세포주가 분비하는 인체 S-100A6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는 항체의 아형이 면역글로블린 엠타입(IgM)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중 활성도가 가장 높은 KO2C12-1을 한국 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생명공학연구소의 유전자은행에 수탁번호 KCTC 0447B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의 인체 S-100A6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특성은 효소결합 면역흡착검사법 외에도 웨스턴 블랏팅 방법을 사용하여 이 항체가 항원인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항원-항체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이 본 발명에서 제작한 항 인체 S-100A6 단일클론 항체에 대한 항원으로 작용하여 항원-항체 결합반응을 하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항원의 제조
실시예 1.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
인체 S-100A6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벡터(expression vector : pET22)를 대장균 내에서 배양하여 인체 S-100A6 단백질을 재조합 단백질의 형태로 생산하였다. 이 재조합 단백질을 디이에이-세파셀 분액법(DEAE-Sephacel fractionation : 0∼0.3M NaCl)과 세파크릴 에스-200 젤 필트레이션법(Sephacryl S-200 : gel filtration), 그리고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법(10% PAGE)을 사용해 순수하게 분리, 정제하여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에스디에스를 포함한 젤에서 전기영동법(SDS-PAGE)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상기 인체 S-100A6 단백질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핵산을 분석한 결과 도1과 같이 총 407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S-100A6 단백질을 코딩하는 오픈리딩후레임 부분이 270개의 핵산염기로 이루어진 염기서열임을 밝혀내었다. 또한 도2a에서 볼 수 있듯이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에스디에스를 포함한 젤에서 전기영동법(SDS-PAGE)을 시행한 결과 재조합 단백질이 순수하게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아가로즈 겔상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분리된 단백질들을 나이트로셀룰로우즈 막으로 옮긴후 인체 S-100A6에 대한 항체로 웨스턴 블랏팅을 시행한 결과는 도2b와 같다. 도2a와 도2b에서 보듯이 각각 6번 레인에서 S-100A6 단백질이 순수하게 정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최종 시료를 대상으로 브레드포드법(Bradford method)에 의해 측정한 단백질의 농도는 1㎎/mL이었으며 분리·정제된 재조합 단백질은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선별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효소결합 면역흡착검사법을 위한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II. 인간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생산
실시예 2. 생쥐의 면역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생산에 필요한 면역화된 생쥐를 얻기 위하여, 위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과 동량의 완전 보조항원(complete Freund adjuvant)을 유상화 될 때까지 잘 혼합한 후 생후 6-8주가 된 Balb/c 생쥐의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2주 후에 처음 면역주사한 것과 같은 양의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불완전 보조 항원(Freund's incomplete adjuvant, FIA)과 혼합한 후 생쥐의 동일 부위에 주사하였다. 그 후 3-4일 지난 뒤에 생쥐의 꼬리 부위 혈관에서 소량의 피를 뽑아내어 항체의 역가를 확인하고 세포융합 실험을 실시하기 3∼4일 전에 0.85% 생리식염수에 녹인 10㎍의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정맥 및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시예 3. 세포 융합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생산에 필요한 세포융합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원을 주사하여 얻은 생쥐의 비장세포 108개와 골수종 세포(myeloma cell, SP2/0) 107개를 50mL의 시험관에 모았다. 세포융합의 모세포(parent cell)로는 SP2/0ㆍAg14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이 모세포는 10% FBS를 함유하는 RPMI 배지에서 배양하는 동안 최대 밀도를 5×105/mL 정도로 유지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면역화 된 생쥐를 에테르(ether)로 마취시킨 후 몸통의 좌측에 위치한 비장(spleen)을 꺼내서 조직 파쇄기(tissue homogenizer)로 곱게 갈아서 한스완충액(Hans' buffered saline solution, HBSS)을 이용하여 현탁액을 만들고, 이 때 얻어진 비장세포를 15mL의 원심분리관에 넣어서 원심분리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여 비장세포를 충분히 세척하였다. 한편 모세포인 SP2/0ㆍAg14도 HBSS를 이용하여 2회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다. 비장세포와 모세포를 각각 10mL가 되도록 다시 현탁시킨 후 각 현탁액 내의 세포수를 세어서 비장세포와 모세포의 수가 10 : 1의 비율이 되도록 하고 이 두 용액을 50mL의 원심분리관에서 섞은 다음 다시 원심분리하여 침전시켰다. 원심분리관내의 침전물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려서 분산시키고, 37℃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한스완충액에 들어있는 45% 폴리에틸 글라이콜(polyethylglycol, PEG)-5% 디엠에스오(DMSO)의 fusogen1mL를 1분간에 걸쳐서 천천히 가하고 또 다시 1분간 약간 흔들어 주었다. 그 후 배양용 배지 (RPMI) 9mL을 3분간에 걸쳐 천천히 첨가하고, 다시 가볍게 흔들어 주면서 서서히 배양용 배지 (RPMI)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현탁액의 용적이 50mL이 되도록 하였다. 이 현탁액을 다시 원심분리한 후 세포 침전물을 분리용 배지(HAT 배지)에 1∼2×105/mL 정도로 재현탁시키고, 96웰(well) 마이크로 타이터 플레이트에 0.2mL씩 분주한 후 37℃로 유지된 가습 이산화탄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4.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선별
상기 실시예 3 에서 제조한 하이브리도마 세포군 중에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 항원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들을 선별하기 위해 정제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해 ELISA 분석 방법으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에 인간 S-100A6 재조합 단백질을 한 웰당 각각 50㎕(2㎍/mL)씩을 가하여 플레이트 표면에 부착시키고, 반응하지 않은 항원은 세척하여 제거하였다. 이 플레이트에 하이브리도마 세포의 배양액을 한 웰에 50㎕씩을 가한 다음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인산 완충용액-트윈 20(PBST) 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하여 반응하지 않은 배양액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염소에서 분리된 항-마우스 IgG-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goat anti-mouse IgG-HRP)를 가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PBST 용액으로 충분히 세척하였다. 세척이 끝난 각각의 웰에 퍼옥시다제의 기질용액(OPD)을 넣어 반응시키고, 그 반응된 정도를 효소결합 면역흡착검사 판독기를 사용해 파장 4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측정결과에 따라,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 항원에 특이적으로 높은 결합력을 갖는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들을 우선 선별한 후 선별된 세포들을 대상으로 여러번 반복 실험을 시행해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 항원에만 높은 결합력을 갖고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 집단을 재선별한 다음 이 세포들의 집합을 단일클론이 되게 제한 희석법으로 희석하여 우수한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나의 세포로부터 유래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이때 최종적으로 2개의 클론을 얻었으며 이 2개의 클론들을 순수하게 클로닝한 다음 동결보존하였다. 세포를 배양한 상등액은 효소면역법으로 역가를 측정하고 이들을 2중 면역확산법으로 면역글로블린의 아형을 결정하였다. 실험결과,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분리된 클론의 아형은 2개 모두 IgM으로 판명되었다. IgM으로 판명된 2개의 클론중 한층 더 높은 항체의 역가를 보이는 1개의 클론(K02C12-1)을 선별하고 이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생쥐의 복강에 주사하여 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복수액을 얻었다.
실시예 5. 단일클론 항체의 대량 생산
상기 실시예 4 에서 확립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로부터 인체 S-100A6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우선 생쥐(Balb/c) 한 마리당 0.5㎖의 프리스텐(pristane)을 복강내로 주사하였다. 1주일이 지난 다음 하아브리도마 세포들을 생쥐 1마리당 5×106씩 주사하고, 복강이 부풀어 오른 생쥐에서 복수액을 채취하였다. 이 복수액은 높은 농도로 자란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포함하고있으므로, 채취된 복수액을 10,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침전시킨 후 상층액만을 취하였다. 이 채취된 상층액은 항체 단백질을 정제할 때까지 섭씨 영하 20도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6.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일클론항체와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 항원-항체 반응 확인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효소면역 분석방법 외에도 웨스턴 블랏팅 방법을 사용하여 항원과의 반응성을 확인하였다.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은 10%의 SDS-PAGE로 전기영동한 다음 막필터에 전기적인 방법으로 옮겼다. 막필터에 옮긴 다른 단백질들이 보이는 비특이적인 반응을 줄이기 위해 3%의 소에서 얻은 혈청 알부민 용액으로 12-14시간 동안 막을 차단시켰다.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1차 항체로 본 발명에서 생산한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 막필터를 0.5%의 소 혈청 알부민이 포함된 인산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다음 2차 항체로는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가 결합된 항-마우스 면역글로블린(anti-mouse-IgG)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반응시키고 다시 0.5% 트윈이 포함된 인산 완충액으로 세척한 후 0.018%(v/v) 4-클로로-1-나프톨과 0.045%(v/v) 과산화수소(H2O2)가 인산 완충용액과 메탄올에 녹아 있는 기질을 이용하여 발색반응을 시켰다. 실험결과,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에 대해서만 반응하고 다른 항체인 항-GST 항체와는 반응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는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클론항체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암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염색법을 실시한 결과, 도4a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클론항체가 대장암 환자에게서 얻은 조직중에서 암세포의 핵주변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면역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4b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클론항체가 갑상선 암환자로부터 얻은 조직에서도 암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면역염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와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이용하면 인체 S-100A6 단백질을 발현하는 암세포를 쉽게 검색할 수 있어 인체 S-100A6 단백질의 발암과정에 대한 관련성 연구 및 간암 또는 갑상선암의 진단에 유용하다. 또한 인체 S-100A6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혈액내의 S-100A6 단백질을 측정하므로써 간질환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서로 다른 수종의 암환자로부터 절제된 암조직에 존재하는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우수한 특성을 가진 단일클론항체를 제조하므로써 암세포를 특이적으로 또 정상세포와 명확히 구분하여 선명한 면역조직염색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일클론항체를 사용하면 인체 S-100A6 재조합 단백질이 인체의 각종 조직에서 어느 정도로 발현되며 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명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정확한 병변의 확인에 따른 체계적인 연구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암을 진단하기 위한 정확하고 유용한 표식자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생물의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KCTC 기탁번호가 0447BP인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고, 인체 S-100A6 단백질에 특이적인 모노클로날 항체.
  2. 제1항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질환 진단 및 간질환 치료제용 조성물.
  3. 제1항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암세포 진단 및 암치료제용 조성물.
  4. 제1항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K02C12-1(KCTC 0447BP).
KR1019980018812A 1998-05-25 1998-05-25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KR10033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812A KR100330311B1 (ko) 1998-05-25 1998-05-25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812A KR100330311B1 (ko) 1998-05-25 1998-05-25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030A KR19990086030A (ko) 1999-12-15
KR100330311B1 true KR100330311B1 (ko) 2002-08-14

Family

ID=3747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812A KR100330311B1 (ko) 1998-05-25 1998-05-25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311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ybridoma vol.1(1) pp27-36 (1981) *
J Oral Pathol Med vol.25(10) pp547-555 (1996.11.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030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122A (en) Purified human prostate antigen
USRE33405E (en) Purified human prostate antigen
JPH0565155B2 (ko)
EP0344134B1 (en) Monoclonal antibody specific to a fibronectin sequence expressed in transformed cells, hybridoma secreting said antibody and use of said monoclonal antibody in the diagnosis of tumors
JPS61500068A (ja) 蛋白質リガンドに対するポリペプチド誘導モノクロ−ナル受容体
US5084380A (en) Monoclonal antibodies reactive with activated and oncogenic ras p21 proteins
CN108794630A (zh) 鼠抗人tim3蛋白单克隆抗体制备及其免疫组化用途
CN109251249A (zh) 鼠抗人cmtm6蛋白单克隆抗体制备及用途
US4898932A (en) Monoclonal antibodies reactive with activated and oncogenic ras p21 proteins
EP0190033B1 (en) Monoclonal antibody against a ras oncogene p21 related dodecapeptide
EP0154550A2 (en) Monoclonal antibodies capable of binding to pancreatic carcinoma of ductal origin
CN102124100A (zh) 特异结合vegf的单克隆抗体及分泌它的杂交瘤细胞系与用途
EP0245520B1 (en) Monoclonal antibody against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its use in the diagnosis of cancer
KR100330311B1 (ko) 인체에스-100에이6단백질에대한단일클론항체,하이브리도마세포주및그의제조방법
EP0328578B1 (en) Antigen recognized by mca 16-88
JPWO2009044561A1 (ja) 抗proNT/NMNモノクローナル抗体
CN108623683B (zh) 抗Pax-5蛋白的单克隆抗体及其细胞株、制备方法和应用
JP2888587B2 (ja) 癌関連ヒト由来ガラクトース転移酵素に特異的なモノクローナル抗体、それを産生するハイブリドーマ及びそれを用いた検体中の癌関連ヒト由来ガラクトース転移酵素の測定方法
CN108997502A (zh) 鼠抗人ros1蛋白单克隆抗体制备及其免疫组化用途
CN114213542B (zh) Cps-i抗体及其用途
CN108864284A (zh) 兔抗人pd-l1蛋白单克隆抗体制备及其免疫组化用途
CN113621064B (zh) 抗cd117蛋白单克隆抗体及其细胞株、制备方法和应用
CN114516916B (zh) 一种抗gpr65的单克隆抗体、分泌该抗体的杂交瘤细胞株及应用
CN109776679B (zh) 一种丝氨酸蛋白酶抑制因子spink1的抗体、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659128B (zh) 抗cd19蛋白的单克隆抗体及其细胞株、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