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897B1 -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897B1
KR100329897B1 KR1019997002167A KR19997002167A KR100329897B1 KR 100329897 B1 KR100329897 B1 KR 100329897B1 KR 1019997002167 A KR1019997002167 A KR 1019997002167A KR 19997002167 A KR19997002167 A KR 19997002167A KR 100329897 B1 KR100329897 B1 KR 10032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nagement information
access
embedd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6131A (ko
Inventor
미와구니히코
고바야시히로야
모리모토노리시게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7/000957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16926A1/ja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0003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11B20/0076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wherein copy control information is used, e.g. for indicating whether a content may be copied freely, no more, once, or never, by settin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watermark, i.e. a barely perceptible transformation of the original data which can nevertheless be recognised by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1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pulse signal inserted in blanking intervals of the video signal, e.g. pseudo-AGC pulses, pseudo-sync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protection control signal, e.g. a record inhibi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3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고, 데이터의 불법적인 액세스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를 하는 관리 정보를 준비하고,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 내에,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 매립한, 액세스 관리 정보 매립 시스템을 제공한다.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에 있어서는,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가 기억되는 매체의 종류(RAM 또는 ROM)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의 관리를 변경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기록,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기 데이터의 재생, 상기 데이터의 출력 방해, 상기 데이터의 복제 이력, 또는 상기 관리 정보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액세스 관리 방법에 의해, 데이터의 불법 복제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저작물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DATA}
멀티미디어 환경이 보급됨에 따라서,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C(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CS 위성 방송,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정보 처리 시스템이 점점 더 일반화되고 있다. 그리고, 대용량의 다중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전송할 수 있는 장치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장치가 앞으로도 보급될 지 여부는 극장용 영화와 같은 매력적인 콘텐츠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수량에 따라 좌우된다. 아무리 우수한 하드웨어가 존재하더라도, 수요자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콘텐츠가 대량으로 배포되지 않는 한, 그러한 장치를 보급하기가 곤란할 것이다.
이 때 문제시되는 것은 저작물의 보호이다. 예를 들면, DVD는 극장용 영화 등의 배포에 충분한 하드웨어적인 사양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들 콘텐츠의 보호, 특히 불법적인 복제(카피)의 문제에 관해서는, 콘텐츠의 공급자가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사양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디지털 데이터는 데이터 내용의 복제, 변경이 지극히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복제 변경 행위를 막을 유효한 사양이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이들 매체(미디어)를 이용한 다수의 매력적인 콘텐츠의 배포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이러한 저작물의 보호에 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DVC는 카메라 촬영 전용기밖에는 시판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디지털화된 저작물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멀티미디어를 한층 더 보급시키는 데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보호 기술의 개발이나 표준화된 규격의 제정이 기대되고 있다.
종래, 음악 등의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를 제한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로서, DAT(디지털 오디오 테이프)에 있어서의 CGMS 신호(Copy Generation Management System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CGMS 신호는 2 비트의 데이터로, 다음과 같은 복제 조건을 나타내고 있다.
CGMS 신호 복제 조건
11 복제 금지
00 복제의 제한 없음
10 1 회만 복제 가능
이 방식은, 이 2 비트의 데이터를 포맷 중의 소정 장소에 그대로 기입하고 있다. 데이터를 복제할 경우, 이 CGMS 신호는 수신 장치 측에서 검출되며, 그 내용이「복제 금지」이면, 수신 장치는 콘텐츠의 복제를 중지시킨다. 그러나, 이 기입 장소는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어, 그 내용을 간단히 재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이 신호의 내용을 쉽게 재기록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법에서는,
· 데이터와는 별도로 그 관리 정보를 부가하는 방법이라는 점,
· 관리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
등의 결점이 있기 때문에, 콘텐츠의 불법적인 복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가 곤란하였다. 그래서, 디지털 콘텐츠의 액세스를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고, 불법적인 복제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고, 데이터의 불법적인 액세스 등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정보를 준비하고, 데이터의 양이 변하지 않는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 내에 매립하는 액세스 관리 정보 매립 시스템을 제공하고,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시에는, 데이터의 양이 변하지 않는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가 기억되는 RAM(재기록형)/R(일회 기록형) 또는 ROM(판독 전용형)과 같은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의 관리를 변경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기록,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기 데이터의 재생, 상기 데이터의 출력 방해, 상기 데이터의 복제 이력, 또는 상기 관리 정보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CD-ROM 등의 미디어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 그 CD-ROM의 내용을 다른 미디어, 예컨대 DVD 등에 기록 또는 복제하는 것을 허가하거나 혹은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전파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에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 그 데이터를 수신기를 통해 수신하고, 그 데이터가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허가하거나 혹은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매체의 타입이 RAM(재기록형) 또는 R(일회 기록형)인 미디어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 그 데이터의 재생을 허가하거나 혹은 금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의 출력 방해를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매체의 타입이 RAM 또는 R인 미디어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 이 데이터가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허가하거나 또는 금지하거나, 혹은 출력 신호에 노이즈를 중첩하여 출력 방해를 제어하는 등을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의 복제 이력을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데이터에 매립된 관리 정보에 1 회만 복제 가능한 정보가 있을 경우, 복제를 1 회 한 후에는 상기 관리 정보와는 별도로, 복제 금지의 정보를 상기 관리 정보에 부가 정보로서 부가하여, 이후에 상기 관리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사용하여 복제 또는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관리 정보의 변경을 제어한다는 것은, 예컨대 데이터에 매립된 관리 정보에 1 회만 복제 가능한 정보가 있을 경우, 복제를 1회 한 후에는, 상기 관리 정보를 그 자체를 변경하여 이후의 복제를 금지하는 등을 의미한다.
상기 관리 정보는, 데이터의 기록, 복제, 수신, 재생, 복제 이력, 출력 방해 등에 관한 것이지만,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에, 이 매립된 관리 정보의 내용에 근거하여 액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액세스 기기의 한정이나, 액세스 사용자의 한정, 데이터 사용 기한, 인증 정보 등,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한 여타의 관리에도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매립(Embedding)' 이라는 것은, 데이터 은폐(data hiding) 기술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정보를 데이터 자체의 변형을 통해서 은폐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데이터 은폐'라는 것은 어떤 정보를 다른 매체(정지 화상, 음성, 동화상 등)에 매립하기 위한 기술의 총칭으로서, 암호화와 달리 어떻게 정보를은닉시킬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정보를 매립하는 대상의 매체와 일체화할 것인가를 목표로 한 것이다.
데이터 은폐의 주된 특징의 하나로서, 비가시적인 마킹 기법인 점을 들 수 있다. 미디어에 대하여 정보를 매립할 때에, 데이터 비트를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데이터를 인간의 시각으로 검지할 수 없도록 가공(데이터 변형)하여 정보를 매립하기 때문에, 부가 정보의 매립에 의한 총 데이터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텍스트 정보나 음성 정보를 화상으로 매립함으로써, 저장 측에서는 한 종류의 매체만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주된 특징의 하나로서, 매립 정보의 불가분성을 들 수 있다. 데이터 은폐는 부가 정보를 헤더나 별도의 화일이 아니라, 매체의 데이터 구조에 직접 매립하기 때문에, 매체의 플랫폼이나 데이터 포맷이 변하더라도, 원래 데이터의 품질이 보존되어 있는 한, 매립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데이터 은폐 기술 등을 이용해서,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액세스 관리 방법은, 특정한 데이터 은폐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데이터량이 변하지 않는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정보를 매립하는 기술이면, 어떠한 기법도 사용 가능한 것에 유의하길 바란다.
본 발명은,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내에 관리 정보를 매립하고, 데이터의 액세스 시에 이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데이터를 미디어에 기록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PBC(Pixel Block Coding)를 이용한 데이터 은폐 및 추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1 화소를 1개의 픽셀 블럭으로 한 경우의 PCB를 이용한 데이터 은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미디어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고, 출력하는 시스템의 블럭도,
도 6은 MPEG에서의 픽쳐의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B 픽쳐 내에 배치된 매크로 블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DVD-ROM 52 : 판독기
53 : 복조기 54 : 암호 복호화기
55 : MPEG 복호기 56 : 관리 정보 추출기
57 : D/A 컨버터 58 : 관리 정보 변경기
59 : 스위치 60 : 방해 신호 발생기
61 데이터 공급부 62 : 신호 처리 시스템
63 : 출력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순서(authoring)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음성, 소프트웨어 등의 데이터는 다음 순서에 따라서, DVD-ROM 미디어 내에 기록된다.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단계(11)).
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는, 예컨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이용하여 압축된다(단계(12)). 이 압축된 데이터는 다시 부호화, 암호화되고(단계 (13)), 변조됨으로써(단계 (14)) DVD-ROM 미디어에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는 관리 정보를 압축 전 또는 압축 중, 압축 후에 데이터 내에 매립한 다음, DVD-ROM에 기억된다. 이 관리 정보는 시스템이 DVD-ROM에 기억된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에, 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이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시스템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의 복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예로 설명한다. 예컨대, 관리 정보는 각각의 상태를 다음과 같은 2 비트의 데이터로 표현한다.
상태 관리 정보의 내용
복제 금지 11
복제 제한 없음 00(또는, 데이터 없음)
1 회만 복제 가능 10
데이터에 대한 관리 정보의 매립은, 예컨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단계 (11))과 MPEG 압축(단계 (12)) 사이(또는 압축 후)에서 실행된다. 이 매립은 데이터 은폐라고 하는 기술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은폐의 대상이 되는 관리 정보를 어떤 데이터 내에 매립하는 방법 및 반대로 매립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인 픽셀 블럭 코딩(Pixel Block Coding)(이하, PBC라고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PBC를 이용한 경우, 데이터의 은폐 및 추출에 있어서, 데이터는 기설정된 변환 규칙에 따라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어떤 화상에 있어서, 인접한 2개의 화소의 화소값 등의 1차 특성은 서로 높은 상관 관계를 갖고 있다. 예컨대, 화상의 일부에 「숲」의 부분이 존재할 때, 인접한 화소는 지극히 유사한 초록이고, 서로 높은 상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들 화소를 교체하였다고 해도, 시각적으로 이 교체를 인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것이다. 즉, 높은 상관을 갖는 화소값을 어떤 규칙에 따라서 조작하더라도, 시각적인 화질의 열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 성질을 감안하여, 적어도 1개의 화소를 갖는 화상 영역을 픽셀 블럭(매립 영역)으로서 정의하고, 어떤 변환 규칙에 근거하여 의도적으로 인접한 픽셀 블럭의 특성을 조작함으로써, 1 비트의 데이터를 은폐한다. 데이터는 인접하는 픽셀 블럭의 특성의 비교 결과로 표현된다. 또한, 데이터의 추출 시에는, 이 변환 규칙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추출 규칙에 따라서 데이터를 추출한다.
비트 정보는 인접한 2개의 픽셀 블럭의 특성값(예컨대, 휘도값)을 다음의 변환 규칙에 따라서 교체하여 조작함으로써 표현된다.
(변환 규칙)
비트 '1': 한 쪽 픽셀 블럭(PB1)의 특성값이 다른 쪽(PB2)의 특성값보다 큰 경우
비트 '0': 한 쪽 픽셀 블럭(PB1)의 특성값이 다른 쪽(PB2)의 특성값보다 작은 경우
또, 비트 정보는, 상기 변환 규칙에 대응한 이하와 같은 추출 규칙에 따라서, 인접한 2개의 픽셀 블럭의 특성값(예컨대, 휘도값)을 비교함으로써 추출된다.
(추출 규칙)
한 쪽 픽셀 블럭(PB1)의 특성값이 다른 쪽(PB2)의 특성값보다 큰 경우
: 비트 '1'
한 쪽 픽셀 블럭(PB1)의 특성값이 다른 쪽(PB2)의 특성값보다 작은 경우
: 비트 'O'
도 2는, PBC를 이용한 데이터의 은폐 및 추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픽셀 블럭 PB1, PB2는 예컨대 3×3 화소와 같이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는 집합으로서 정의하여도 무방하고, 1 화소를 1 픽셀 블럭으로 정의하여도 무방하다. 인접하는 픽셀 블럭은 높은 상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들 위치의 교체 조작을 하더라도, 화상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열화되었다고는 느끼지 않을것이다(도 2(a)). 오리지날 화상에서의 픽셀 블럭의 위치가 동일 도면(b)인 경우를 고려하자. 우선, 두 개의 픽셀 블럭의 특성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 PB1의 특성값 쪽이 PB2의 특성값보다도 크다고 하자. 오리지날 화상에 데이터 '1'을 은폐할 경우, 픽셀 블럭의 특성값이 상기 변환 규칙에서의 데이터 '1'의 조건을 이미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블럭의 특성값의 교체가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를 추출할 때는, PB1의 특성값이 클 경우 데이터 '1'이라고 추출 규칙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1'이 추출된다.
또한, 오리지날 화상에 데이터 '0'을 은폐할 경우, 오리지날 화상에서의 픽셀 블럭의 특성값의 관계가, 변환 규칙에서의 데이터 '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픽셀 블럭의 특성값을 교체한다. 그러나, 이 교체는 시각적으로는 인식할 수 없다. 추출시에는, 추출 규칙에 따라서 이들 블럭의 특성값의 관계로부터 데이터 '0'이 추출된다.
특성값은, 상기한 바와 같은 휘도값 외에도, 픽셀 블럭(매립 영역)의 1차 특성에 관한 값 및 2차 특성에 관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1차 특성은, 픽셀 블럭의 휘도나 색도와 같이 화소값의 직접적인 파라미터이다. 또한, 2차 특성은, 상기 파라미터의 평균값 혹은 분산값과 같은 통계적인 성질을 나타내는 값과 같이, 1차 특성을 분해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PBC의 대상이 되는 픽셀 블럭은, 반드시 인접하는 블럭에 한정되지는 않는 점에 유의하길 바란다. 이하, 픽셀 블럭의 특성값으로서, 1차 특성인 휘도값을, 또한 2차 특성인 분산값을 예로 설명한다.
우선, 픽셀 블럭의 특성값을 휘도값으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연 화상에서는 대개의 경우, 인접하는 화소의 상관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그들을 서로 교체하더라도 화질의 열화는 크지 않게 된다. 도 3은, 1 화소를 픽셀 블럭으로 한 경우, PBC를 이용하여 6 비트의 데이터를 6개의 픽셀 블럭 내에 매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의 편집이나 압축에 대한 내성을 높이기 위해서, 비교적 큰 화소수를 포함하는 블럭을 사용할 경우, 블럭 내의 모든 픽셀의 휘도 평균값의 대소(大小)를 블럭간에서 서로 교체하면, 화상 상에 줄무늬 모양이 생기는 등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블럭 내의 픽셀 휘도값의 분산값을 특성값으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픽셀 블럭의 휘도값의 성질을, 평균값 h와 분산값 d로 분해하였을 때, 픽셀 블럭 내에서의 평균값 h는 그대로 분산값 d만을 교체시킨 것이 단순히 평균값을 교체한 경우와 비교해서, 화질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 그래서, 이러한 성질을 고려하여 픽셀 블럭의 특성값을 이 분산값 d로 하고, 이것을 변환 규칙에 따라서 교체함으로써, 데이터량이 변하지 않는 데이터 변형을 통해, 정보를 은폐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96-159330 호(Docket No. JA9-96-044 참조.
도 2(c)와 같이, 픽셀 블럭 PB1이 평균값 h1, 분산값 d1을 갖고, 블럭 PB2가 평균값 h2, 분산값 d2를 갖는 경우를 생각한다. 비트 '1'을 은폐할 경우, d1<d2이기 때문에, 변환 규칙에서의 비트 '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들 픽셀 블럭의 분산값 d만을 교체한다. 이것은, 두 개의 픽셀 블럭간에서, 블럭 내의 화소의 특성값의 평균값 h는 변경하지 않고, 분포 형상의 크기를 교환하는 것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은폐 기술을 이용한 정보의 매립은 우선, 관리 정보를 매립하는 매립 영역을 상기 데이터 내에서 특정한다. 그리고, 매립할 정보의 내용을 매립 영역의 상태(특성)에 대응시킨 변환 규칙을 준비해 두고, 이 규칙을 참조하여 관리 정보에 따라서 매립 영역의 상태(특성)를 직접적으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관리 정보를 데이터 내에 매립할 수 있다. 원래의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원래의 데이터와 일체화한 관리 정보를 매립한다. 따라서, 관리 정보만의 분리, 변경이 곤란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PBC에 관해서는, 일본 특허 출원 96-159330 호(Docket No.JA9-96-044)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망라하여, 데이터 은폐, 전자 워터마크(electronic watermark) 등이라고 불린다.
상기 데이터 은폐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 정보가 매립되고, DVD-ROM 내에 기억된 데이터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액세스된다. 우선, DVD-ROM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판독 데이터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정보가 매립된 데이터를 MPEG 압축하고(단계 (11)), 부호화, 암호화(단계 (12))한 후에 변조한(단계 (14)) 신호이다.
도 4는, 데이터의 액세스 방법을 관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정보가 매립된 데이터가 액세스 시스템에 공급된다. 데이터의 공급원은, 예컨대, DVD-ROM이나 CD-R과 같은 기억 매체(미디어), 인터넷 등의 통신, 혹은 위성 방송등이다. 공급된 데이터는 복조되고(단계 (41)), 복호화된다(단계 (42)). 데이터가 MPEG 압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 해제한다(단계 (43)).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관리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필요한 변경 만큼 데이터에 다시 매립한다.
레코더에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관리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한 데이터 은폐의 추출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우선, 판독 데이터로부터 관리 정보가 매립된 매립 영역을 특정한다. 다음에, 매립 영역의 상태를 추출하는 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킨 추출 규칙을 참조함으로써, 매립 영역의 상태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된 관리 정보가 데이터「00」이면, 상술한 규칙에 따라서, 데이터의 복제를 인정한다. 또한, 데이터「11」이면, 이것은 데이터의 복제 금지를 의미한다. 이 경우,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하도록 액세스 시스템을 제어한다. 데이터「10」은 데이터의 복제를 조건부(1 회만)로 복제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오리지날 DVD-ROM 내의 데이터에 근거한 복제물의 생성은 인정하지만, 이 복제물에 근거한 더 이상의 복제는 금지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의 복제를 1회만 인정하도록 액세스 시스템을 제어하고, 복제된 데이터를 소스로 하여, 데이터가 더 이상 복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오리지날로부터의 복제물에 근거한 더 이상의 복제를 금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오리지날 복제시에, 오리지날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가 나타내는 복제 조건을 데이터「10」(1 회만 복제 가능)으로부터 데이터「11」(복제 금지)에 재기록한 다음에,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출력 신호로서의 데이터 내에는, 「복제 금지」라는 조건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복제 데이터에 근거한 더 이상의 복제는 할 수 없다. 이밖에도, 1회 복제 이력을 나타내는 비트를 부가하는 옵션도 있는데, 이것은 앞으로의 재생 제어 시에서, 합법적으로 복사된 것인지 위법으로 복사된 것인지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불가결하다.
도 5는, DVD-ROM에 기억된 데이터의 재생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데이터 공급부(61)에 세트된 DVD-ROM(5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은폐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 정보를 매립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데이터 공급부(61) 내의 판독기(52)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신호 처리 시스템(62)을 구성하는 복조기(53), 암호 복호화기(54), MPEG 복호화기(55)에 의해 처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압축 해제된 디지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관리 정보 추출기(56)는, MPEG 복호화기(55)의 출력인 압축 해제된 디지털 데이터(혹은 MPEG의 데이터로부터 직접)로부터 관리 정보가 매립된 매립 영역을 특정함과 동시에, 매립 영역의 상태를 추출하는 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킨 추출 규칙을 참조함으로써, 매립 영역의 상태에 따라서,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MPEG 압축 해제 전이나 압축 해제 후에도 관리 정보는 추출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하길 바란다)
신호 처리 시스템(62) 내의 D/A 컨버터(57)는 관리 정보가 제거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재생 신호(예컨대, NTSC)를 출력한다. 또한, 방해 신호 발생기(60)에 의해 생성된 방해 신호(예컨대, Macrovision Signal 등의 APS:Analogue Protection System)는, 출력부(63) 내의 스위치(59)를 통해 아날로그재생 신호에 선택적으로 중첩된다. 이 스위치(59)는, 관리 정보 추출기(56)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출력부(63)는 아날로그 재생 신호 또는 중첩된 신호를 아날로그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 정보 추출기(56)에 의해 추출된 관리 정보가 데이터의 복제를 인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관리 정보 추출기(56)는 스위치(59)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방해 신호는 아날로그 재생 신호에 중첩되지 않아, 아날로그 재생 신호는 그대로 출력된다.
한편, 관리 정보가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관리 정보 추출기(56)는 스위치(59)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D/A 컨버터(57)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방해 신호 발생기(60)가 발생하는 방해 신호가 중첩된 신호를 출력한다. 방해 신호가 중첩되어 있는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을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한 경우, 모니터의 특성상, 방해 신호의 영향을 받지않고 정상적인 영상을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입력 단자를 갖는 디지털 VTR를 이용하여, 이 영상을 기록하고자 한 경우, 방해 신호의 영향을 받아, 정상적인 영상을 기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방해 신호가 중첩된 신호로부터 영상을 재생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디지털화하여 기록할 수는 없기 때문에, 데이터의 복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레코더 측에 있어서, 관리 정보가 「1 회만 복제 허가」를 나타낸 경우, 관리 정보 변경기(58)는 판독 데이터 내의 관리 정보를 레코더로 기록할 때에 「복제 금지」로 변경하고, 그 정보를 다음 미디어에 기록할 때에 매립한다. 따라서,복제된 데이터에 근거한 이후의 데이터 복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적인 관리 정보와는 별도로, 복사(복제) 및 재생을 더욱 상세히 제어하기 위한 부가적인 정보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기록/재생 미디어의 종류(ROM, RAM 또는 R 타입 등)에 따라 유연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태
재생 미디어 재생 미디어 기록 미디어 관리 부가
ROM 타입 RAM/R RAM/R 정보 정보
재생:OK 재생:NG 복제:NG 11 0
재생:OK 재생:NG 복제:NG 11 1
재생:OK 재생:OK 복제:OK 00 0
재생:OK 재생:OK 복제:OK 00 1
N/A 재생:OK 복제:NG 10 0
N/A 재생:OK 복제:NG 10 1
상기 부가 정보 '0'은 한번도 복제를 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1'은 복제를 한번 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ROM 타입 재생 미디어에서의 N/A라는 것은 이 조합이 없음을 뜻하고 있다. 즉, 데이터 11(무조건 복제 불가), 10(1 회만 복제 가능), 00(무조건 복제 가능)의 정보에 더하여, 한번 복제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부가적인 정보 1 비트를 이용함으로써, 기본적인 관리 정보를 소거/변경하지 않고도, 복제/재생 제어를 보다 상세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부가 정보는 미리 매립된 데이터(관리 정보)와 동일한 매립 방법으로 매립하여도 되고, 보안성(security)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매립 방법으로 매립하여도 된다. 그 밖의 실시예로서 부가 데이터를, 1 비트로 한정하지 않고 다수 비트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제어를 하도록 하여도 된다. 어느 것으로 하더라도, 본 발명의 본질을 일탈하지 않고 마찬가지로 실시 가능하다.
또한, 관리 정보는 복제의 제한에 관한 정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다양한 관리 정보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예컨대, 미디어 타입의 판별 결과와 조합하여, 이하와 같은 재생 허가 정보이어도 된다.
(미디어 타입 = RAM의 경우)
상태 관리 정보의 내용
재생 금지 11
재생의 제한 없음 00
1 회만 재생 가능 10
재생 허가 정보가 데이터의 재생을 인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재생을 인정하고, 데이터의 재생을 금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관리 정보는, 그 외에도, 데이터를 재생 또는 기록할 수 있는 기간을 정한 사용 기한이나, 매체 콘텐츠 재생을 위한 인증 정보, 디스크키나 타이틀 키 등이어도 된다. 어떠한 정보도 데이터에 액세스할 때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이다.
다른 데이터 은폐 기술을 제 2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정보의 매립은 MPEG 부호화시에 실행되고, 그 추출은 MPEG의 데이터로부터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점이 상술한 실시예와 상위하다는 점에 유의하길 바란다.
이하, 일본 특허 출원 96-272721호(Dokect No.JA9-96-074)의 데이터 은폐 방법을 예로 들어, MPEG에서의 관리 정보의 매립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간단히 설명한다.
MPEG에서는, 과거 재생 화상으로부터의 전방 예측과, 미래 재생 화상으로부터의 후방 예측과, 전방 예측 및 후방 예측의 양쪽을 이용한 양방향 예측이 이용되고 있다.
도 6은 MPEG에서의 픽쳐의 배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과 같이, 양방향 예측을 실현하기 위해서, MPEG에서는, 프레임에 I픽쳐, P 픽쳐, 및 B 픽쳐라고 하는 3가지 타입을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I 픽쳐는 프레임내 부호화(인트라 부호화)된 화상이고, 이 픽쳐 내의 모든 매크로 블럭은 인트라 부호화(프레임내 예측 부호화)되어 있다. P 픽쳐는 프레임간 전방 예측 부호화된 화상인데, 이 픽쳐 내의 일부 매크로 블럭은 인트라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B 픽쳐는 프레임간 양방향 예측 부호화된 화상이다. B 픽쳐 내의 매크로 블럭은 기본적으로, 전방 예측, 후방 예측, 또는 양방향 예측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지만, 인트라 부호화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모든 화면을 인트라 부호화하는 화면이 I 픽쳐이고, I 픽쳐 및 P 픽쳐는 원래 동화상과 같은 순서로 부호화된다. 이에 대하여, B 픽쳐는 I 픽쳐 및 P 픽쳐를 처리한 후에, 이들 사이에 삽입되는 B 픽쳐를 부호화한다.
관리 정보를 매립하는 매립 영역은 B 픽쳐의 매크로 블럭이고, 1개의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1 비트의 정보를 매립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가 다중 비트인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개수의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매립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B 픽쳐 내에 배치된 매크로 블럭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매크로 블럭은 부호화되는 단위이다. 각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16 화소×16 화소의 휘도 블럭에 대한 움직임 보상을 행하고, 매크로 블럭 단위의 움직임 보상 프레임간 예측 방식으로 하여, 시간적 화면 상관에 근거한 정보 압축을 수행한다.
B 픽쳐내의 매크로 블럭은, 예측 타입으로서 다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인트라 매크로 블럭(프레임내 예측 매크로 블럭)
프레임간 예측을 하지 않고, 그 화면 자체의 정보만으로 부호화되는 매크로 블럭이다.
·전방 예측 매크로 블럭
과거의 I 픽쳐 또는 P 픽쳐(참조 프레임)를 참조함으로써, 전방 예측 부호화되는 매크로 블럭이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의 참조 프레임 중에서 가장 유사한 16 화소×16 화소의 정방형의 영역을 탐색하여, 그 정방형 영역과의 차분인 예측오차(ΔP) 및 공간적인 상대 위치(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여기서 예측 오차 ΔP는 16 화소×16 화소분의 휘도, 색차의 차분으로서 표현된다. 또한, 유사한 정방형의 영역을 선택하는 기준은 부호화기에 따라 다르다.
·후방 예측 매크로 블럭
디스플레이 순서로 미래의 참조 프레임을 참조함으로써, 후방 예측 부호화되는 매크로 블럭이다. 미래의 참조 프레임 중에서 가장 유사한 영역을 탐색하여, 그 영역과의 차분인 예측 오차(ΔN) 및 공간적인 상대 위치(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양방향 예측 매크로 블럭
과거 및 미래의 참조 프레임을 참조함으로써, 양방향 예측 부호화되는 매크로 블럭이다. 과거의 참조 프레임 중에서 가장 유사한 영역 및 미래의 참조 프레임 중에서 가장 유사한 영역을 탐색하여, 이들 영역과의 평균(화소마다 평균된다)과의 차분인 예측 오차((ΔN+ΔP)/2) 및 그들과의 공간적인 상대 위치(2개의 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메시지 데이터를 매립하기 위해서, 우선, 매립 처리를 실시하는 적어도 1개의 매크로 블럭을 B 픽쳐 중에서 특정하여야 한다. 이것은, 예컨대, B 픽쳐의 1라인째로부터 3라인째까지 존재하는 각각의 매크로 블럭(매립 영역)으로서 정의하여도 되고, 어떤 프레임 중의 매크로 블럭 전체로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포맷으로서 미리 정의해 놓는 것 외에, 위치 계열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계열의 생성 알고리즘은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제 96-159330호(Docket No.JA9-96-044)에 개시되어 있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매립 처리의 대상으로서 특정된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매립 규칙에 근거하여, 1개의 매크로 블럭에 대하여 1 비트의 데이터를 매립해 간다. 이 매립 규칙은, 비트 정보를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에 대응시킨 것으로, 예컨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들 수 있다.
(매립 규칙)
매립할 비트 정보 매크로 블럭의 프레임간 예측 타입
비트 '1' 양방향 예측 매크로 블럭(B로 표시)
비트 'O' 전방 예측(P로 표시), 또는
후방 예측 매크로 블럭(N으로 표시)
예컨대, 관리 정보「l010」을 매립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4 비트의 데이터를, 도 7에 나타내는 제 1 라인의 좌측 첫번째에서 네번째까지의 4개의 매립 영역(매크로 블럭)에 순서대로 매립한다. 우선, 최초의 데이터는 비트 '1'이기 때문에, 매립 규칙에 따라서 가장 왼쪽의 매크로 블럭(제 1 매립 영역)의 예측 타입은 양방향 예측 (B)로 결정된다. 이 경우의 예측 오차는, 과거의 참조 프레임 중에서가장 유사한 영역 및 미래의 참조 프레임 중에서 가장 유사한 영역의 평균과의 차분인 예측 오차로 된다. 다음 데이터는 비트 '0'이다.
따라서, 매립 규칙에 따르면, 두번째의 매크로 블럭(제 2 매립 영역)의 예측 타입은, 전방 예측(P) 또는 후방 예측 매크로 블럭(N) 중의 어느 하나이다. 이 경우, 화상의 품질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전방 예측에서의 예측 오차와 후방 예측에서의 예측 오차를 비교하여, 예측 오차가 작은 타입을 선택한다. 도 3의 예에서는, 두번째의 매크로 블럭은, 전방 예측에서의 예측 오차가 후방 예측에서의 예측 오차보다 작기 때문에, 전방 예측(P)이 선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순서로 제 3 및 제 4 매립 영역에 대해서 반복하여 적용한다.
즉, 좌측에서 세번째의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은 양방향 예측 (B)가 되고, 네번째의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은 후방 예측에서의 예측 오차가 작기 때문에, 후방 예측 (N)으로 결정된다. 이렇게 해서, 제 1 매립 영역에서 제 4 매립 영역의 프레임간 예측 타입을 각각「BPBN]으로 함으로써, 관리 정보「1010」이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이들 영역 내에 매립되었다. 상기한 것은 일본 특허 출원제 96-272721 호(Docket No.JA9-96-074)의 데이터 은폐 방법을 이용한 MPEG에서의 관리 정보의 매립 방법의 예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순서에 따라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관리 정보를 추출할 경우, 우선,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매크로 블럭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부여되어야 한다. 이것은, 정보로서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경우나, 데이터 자체 내에 미리 매립해 놓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에도,매립 영역의 위치가 표준화되어 있는 경우나, 위치 계열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알고 있으면, 메시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 위치 계열을 이용한 메시지 데이터의 추출 방법에 관해서는, 예컨대, 상기한 일본 특허 출원 제 96-15933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음에, 특정된 매립 영역에서의 예측 타입으로부터, 추출 규칙을 참조하여, 매립 영역에 매립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이 추출 규칙은,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을 비트 정보에 대응시킨 것으로, 추출시에 정보로서 부여되어야 한다. 이 규칙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규칙을 들 수 있다. 또, 이 추출 규칙에서의 예측 타입과 비트 정보를 대응시키는 것은, 상술한 매립 규칙의 그것과 대응하고 있는 점에 유의하길 바란다.
(추출 규칙)
매크로 블럭의 프레임간 예측의 타입 추출될 비트 정보
양방향 예측 매크로 블럭(B) 비트 '1'
전방 예측(P로 표시함), 또는 비트 '0'
후방 예측 매크로 블럭
도 7과 같이 관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제로서, 관리 정보는 동일 도면의 제 1 라인에서 좌측으로부터 첫번째에서 네번째까지의 매크로 블럭에 매립되어 있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것으로 한다. 가장 좌측의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은 양방향 예측 (B)이므로, 추출 규칙을 참조하여, 비트 '1'이 추출된다. 두번째의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은 전방 예측 (P)이므로, 추출 규칙에 따라서, 비트 'O'이 추출된다. 마찬가지의 순서로 다른 매크로 블럭에 대해서도 반복하여 적용함으로써, 순차적으로 비트 '1', '0'이 추출된다. 그 결과, 관리 정보「1010」이 이들 영역 내에서 추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화상을 부호화할 때에, 매크로 블럭의 예측 타입과 매립할 비트를 관련지워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동화상의 압축 효율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화질의 열화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화상 내에 관리 정보를 매립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동화상 중에서 제거하기는 대단히 곤란하다. 또한, 매립할 정보량은 화상의 내용과 거의 관계가 없으므로, 메시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매립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데이터를 매립하는 데이터 은폐 방법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내에 관리 정보를 매립하고, 데이터의 액세스시(재생·기록시 등)에, 이 관리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시스템을 제어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 개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 은폐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특히 유의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나타낸 데이터의 액세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관리 정보는, 2 비트로 3 가지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지만, 여기서 서술하는 실시예는, 1 비트의 관리 정보로, 실질적으로 3가지의 상태를 시스템에 부여하고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데이터가 어떠한 상태로 시스템에 공급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상태에 따라 시스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기(81)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데이터 공급기(82)는, 관리 정보가 매립된 데이터를 액세스 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DVD-ROM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학 시스템, 인터넷 상의 데이터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정보는, 다음의 정보를 각각 나타내는 1 비트의 데이터로 표현되어 있다.
(관리 정보)
상태 관리 정보의 내용
복제 금지 1
복제 허가 0
데이터 공급기(8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는, 복조, 암호 복합화, D/A 변환 등을 행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83)에서 처리된다. 관리 정보 추출부(84)는, 신호 처리 시스템(83)에 의해 처리되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관리 정보가 매립된 매립 영역을 특정함과 동시에, 매립 영역의 상태를 추출하는 데이터의 내용에 대응시킨 추출 규칙을 참조함으로써, 매립 영역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관리 정보를 추출한다. 관리 정보 추출기(84)는, 추출된 정보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 신호는, 출력기(85)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용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방해신호 발생기(86)에 의해 생성된 방해 신호를 출력 신호에 중첩하여 출력한다. 즉, 관리 정보가 비트 '0'(복제 허가)인 경우에는, 출력기(85) 내의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관리 정보가 비트 'l'(복제 금지)인 경우에는,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여, 데이터에 방해 신호를 중첩하여 출력한다. 또, 이 점에 대해서는, 도 5의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동작과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더 이상 자세하게는 설명하지 않는다.
제어기(81)는, 데이터 공급기(82)에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가 어떠한 상태로 액세스 시스템에 공급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그리고, 관리 정보가 비트 '0', 즉, 데이터의 복제 허가를 나타내는 경우이어도, 이 공급 상태의 결과에 따라서, 출력기(85) 내의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여, 중첩된 신호가 출력되도록 출력기(85)를 제어한다. 즉, 관리 정보 자체가 데이터의 복제를 허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으로 데이터의 복제를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데이터의 공급 상태는, 예컨대, 「데이터가 기록 매체를 거쳐서 액세스 시스템에 기록될 경우, 복제시에, 세트되어 있는 기록 매체가, 판독 전용 타입인지 재기록 가능한 타입인지」를 모니터링한다. 기록 매체의 타입은, 기록 매체의 무단 변경 불가능한(untamperable) 영역(리드 인 에어리어(lead-in area))에서, 시스템이 하드웨어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데이터가 판독 전용 타입인 기록 매체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상태로 데이터 복제를 실행하려고 했을 경우, 제어기(81)는 스위치를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추출된 관리 정보대로, 액세스 시스템은 동작하고, 관리 정보가 복제를 허가하는 한은 데이터를 복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가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공급되어 있는 상태로 데이터를 복제하려고 했을 경우에는, 관리 정보의 내용에 관계 없이, 제어기(81)는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다. 따라서, 재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는 데이터를 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저명한 또는 중요한 콘텐츠가 부정한 복제나 무단 변경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 콘텐츠의 공급원은, 그것을 ROM에 기억하여 배포한다. 따라서, 공급 상태가 R0M 형식이라고 한 것은, 그 데이터는 복제물이 아닌 오리지날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가 RAM 또는 R에서 공급되어 있는 경우, 그 데이터는 ROM 내에 기억된 오리지날 데이터를 이미 이 RAM 또는 R 내에 복제한 복제물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ROM에 기억된 데이터는 오리지날이라고 간주하고, 또한 RAM 또는 R 내의 그것은 복제물이라고 간주하는 한, 이러한 기능을 시스템 내에 마련함으로써, 복제물이 더 이상의 복제, 즉 불법적으로 복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제 허가의 유무」라는 2개의 상태밖에 나타낼 수 없는 1 비트의 관리 정보이더라도, 데이터가 오리지날인지 아닌지를, 그 공급 상태에 따라 시스템이 판단하기 때문에, 「1 회만 복제 허가」라는 제 3 상태를 시스템에 실질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매립되는 관리 정보를 2 비트 대신에 1 비트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관리 정보의 크기의 문제보다도, 비트 나열의 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관리 정보가 2 비트일 때, 비트의 나열이 '01'과 '10'에서는 정보의 내용이 다를 경우에는, 정보의 추출에 있어서 그 순서를 고려할 필요가 있었지만, 1 비트인 경우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관리 정보의 추출 정밀도가 상당히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모니터링될 공급 상태는, 상기 예 이외에도, 「데이터가 통신, 방송 등을 통해서 입력될 경우, 복제시에, 액세스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지 아닌지」가 고려된다. 이 경우, 복제시에,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면, 오리지날 데이터라고 간주할 수 있다. 그러나, 복제시에,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네트워크 이외의 장소(예컨대, 자기 시스템 내의 ROM 등)에 기억된 복제물의 복제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한 복제에 있어서는, 그것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복제를 인정하면 된다. 또한, 데이터가 공급되고 있는 시간의 모니터링을 포함해, 다양한 방법이 고려된다.
이와 같이, 공급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입수자의 액세스 조건을, 관리 정보로서 콘텐츠 자체 내에 매립한 다음, 공급자는 콘텐츠를 일반 대중에게 배포한다. 콘텐츠를 수취한 액세스 시스템은, 콘텐츠 내에 매립되어 있는 관리 정보를 추출함과 동시에, 그것이 정하는 액세스 조건에 따라서, 콘텐츠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시스템 자체가 갖고 있다. 따라서, 입수자에 의한 콘텐츠의 액세스, 특히 입수자에 의한 콘텐츠의 불법적인 복제를 입수자의 시스템으로 효과적으로 금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데이터 내에,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그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액세스 관리 방법.
  2.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액세스 관리 시스템.
  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를 관리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가 기억되는 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의 관리를 변경하는 수단을 더 갖는 데이터 액세스 관리 시스템.
  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종류는 ROM, RAM 또는 R인 데이터 액세스 관리 시스템.
  5. 제 6 항 내지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기록,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기 데이터의 재생, 상기 데이터의 출력 방해, 상기 데이터의 복제 이력, 또는 상기 관리 정보의 변경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액세스 관리 시스템.
  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를 관리하는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관리를 행한 후, 상기 관리 정보와는 별도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매립하는 수단과,
    상기 관리 정보 및 해당 부가 정보에 따라서, 그 후의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액세스 관리 시스템.
  7. 데이터의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미디어에 대한 기록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8. 데이터의 복제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미디어에 대한 복제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복제 시스템.
  9. 데이터의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를 수신기를 통해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 외부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수신 시스템.
  10. 데이터의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1. 데이터의 출력 방해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출력 방해를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출력 방해 시스템.
  12. 데이터의 복제 이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관리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 및 부가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복제를 제어하는 수단과,
    부가 정보가 상기 데이터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의 복제 제어의 결과에 따라서, 부가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매립하는 수단과,
    부가 정보가 상기 데이터에 존재할 경우, 상기 데이터의 복제 제어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부가 정보를 변경하여 상기 데이터에 매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복제 이력 관리 시스템.
  13.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정보 변경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된,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수단과,
    추출한 상기 액세스 관리 정보에 따라서, 상기 데이터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의 액세스 제어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액세스 관리 정보를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데이터 액세스 관리 정보 변경 시스템.
  14. 제 11 항 내지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수단이, 상기 데이터가 포함되는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그 제어를 변경하는 수단을 더 갖는 시스템.
  15. 데이터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정보를, 해당 데이터 내에 매립하는 액세스 관리 정보 매립 시스템에 있어서,
    매립할 관리 정보를 준비하는 수단과,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 내에,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매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액세스 관리 정보 매립 시스템.
  16.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 내에 매립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매립할 관리 정보를 준비하는 기능과,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데이터 내에 매립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내장 매체.
  17.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데이터량 불변의 데이터 변형을 통해서, 데이터 내에 매립된 관리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과,
    추출한 상기 관리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내장 매체.
KR1019997002167A 1996-10-16 1997-08-12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329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73551 1996-10-16
JP27355196 1996-10-16
PCT/JP1997/000957 WO1998016926A1 (fr) 1996-10-16 1997-03-21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dans des supports d'enregistrement,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d'acceder a des donnees memorisees dans des supports d'enregistrement
WOPCT/JP97/00957 1997-03-21
WOPCT/JP97/02286 1997-06-30
PCT/JP1997/002286 WO1998016927A1 (fr) 1996-10-16 1997-06-30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de support sur un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cede et systeme permettant d'acceder aux donnees de support enregistrees sur ledit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131A KR20000036131A (ko) 2000-06-26
KR100329897B1 true KR100329897B1 (ko) 2002-03-22

Family

ID=2643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167A KR100329897B1 (ko) 1996-10-16 1997-08-12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9897B1 (ko)
WO (1) WO1998016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15567T3 (de) 1996-11-26 2016-08-04 Saint-Gobain Glass France S.A. Verwendung einer Verbundglasscheibe zur Dämmung von durch Festkörper geleiteten Schwingungen in einem Fahrzeug
JP3327389B2 (ja) 1998-12-28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製システム、複製方法、書き込み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746018B1 (ko) * 1999-03-10 2007-08-06 디지맥 코포레이션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신호 프로세싱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응용들
JP2002140077A (ja) * 2000-10-30 2002-05-17 Sony Corp データ伝送方法、記録制限方法、再生制限方法、記録装置、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0594249B1 (ko) 2004-02-13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서의 적응적 데이터 액세스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3135B2 (ja) * 1993-11-10 2003-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情報伝送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131A (ko) 2000-06-26
WO1998016927A1 (fr) 199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4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data through data transformation
JP4456185B2 (ja) コピー防止機能を持つ見える透かし入り動画像記録媒体とその作成・検出および録画・再生装置
KR100572497B1 (ko) 복제 세대 관리 방법, 정보 신호 재생 방법, 정보 신호 재생장치 및 정보 신호 기록 장치
US6865553B2 (en)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8307212B2 (en) Steganographic techniques for securely delivering electronic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rol information over in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JP4083302B2 (ja) 動画像スクランブル/デスクランブル装置
US65300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playback of broadcasted digital data streams
EP0969462B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copy protection function
KR100617888B1 (ko) 정보신호 재생 및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2745B1 (ko) 기록매체, 기록장치, 판독장치, 및 그 방법
CN100544418C (zh) 跨越模拟视频接口传递权限的方法与装置
EP1291870A1 (en) Contents data,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US20020188570A1 (en) Partial protection of content
MXPA00003337A (es) Metodo y aparato para marca de agua de una sola copia en grabaciones de video.
KR19980702124A (ko)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의 마킹
EP1005040A1 (en) Information signal copvright protection method,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method and device, and information signal output method and device
JP2002538685A (ja) 透かし及び付随データによる改良型オーディオ/ビデオサービスの方法及び装置
US7116893B2 (en) Data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Miller et al. Watermarking in the real world: An application to DVD
CA2288585A1 (en) Copy gener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signal output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100329897B1 (ko) 데이터의 액세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1998016928A1 (fr) Procede et systeme de gestion d&#39;acces a des donnees
Linnartz et al. MPEG PTY-marks: Cheap detection of embedded copyright data in DVD-video
US20090119781A1 (en) Digital data reproducing device
JPH064026A (ja) 許可情報記述方法およびコピーガード付きデータ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