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832B1 -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832B1
KR100329832B1 KR1019990020668A KR19990020668A KR100329832B1 KR 100329832 B1 KR100329832 B1 KR 100329832B1 KR 1019990020668 A KR1019990020668 A KR 1019990020668A KR 19990020668 A KR19990020668 A KR 19990020668A KR 100329832 B1 KR100329832 B1 KR 10032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k
present
media
odo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446A (ko
Inventor
권성현
권대용
성준용
조경이
윤운영
Original Assignee
신현주
엘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주, 엘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현주
Priority to KR101999002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8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0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01D53/85Biological processes with gas-sol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유발 폐수중의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코르크를 분쇄하고, 분쇄된 코르크에 미생물 영양분 함유 용액을 주입하고, 영양분이 분배된 코르크를 건조하고, 건조된 코르크를 압축가공한 후 절단함으로써 제조된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여재보다 현저히 증대된 제거 효율로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분해제거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METHOD OF REMOVING ODOR AND ORGANIC VOLATILE COMPOUNDS USING CORK MEDIUM}
본 발명은 악취유발 폐수에서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한 코르크에 영양분 함유 용액을 주입한 후 압축가공하여 코르크의 표면적을 증대시킨 다음 적절한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되는 미생물 담지된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에 대한법 규제의 강화로 인해 오염 물질 배출시설에 의무적으로 그의 처리시설을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현재 이용되고 있는 처리기술로는 주로 소각로와 촉매산화법, 활성탄 흡착법, 흡수법 등과 같은 기타 물리화학적 처리법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시설비가 많이 들고 운전비용 또한 높아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고 대부분의 배출시설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 기술인데, 이 기술은 대부분의 악취 및 저농도의 VOC 처리에 매우 적합하다. 미생물 공정의 핵심 기술은 여과 담체에 있는데, 국내에서는 아직 적절한 미생물 공정이 초기 단계에 있어 나무껍질이나 토양 등을 담체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처리 방법은 처리 효율이 낮고 시스템의 부피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유럽이나 미국에서 생물학적 공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담체로는 제올라이트나 활성탄을 많이 쓰고 있으나, 이들 담체는 오래 사용하면 pH가 낮아져 자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은 처리 가스가 상대 습도가 낮아 반응기 내에서 분해활성화가 낮아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악취 및 VOC 처리를 위한 미생물 공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고효율적인 여과 담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여과 담체보다 처리 효율이 높아 처리 시스템의 부피와 시설 설치비 및 운전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여과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르크 여재를 60일 동안 BTX 처리에 사용한 후의 여재 표면에 대한 SEM(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분쇄된 코르크에 미생물에 대한 영양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주입하고, 영양분이 분배된 코르크를 건조하고, 건조된 코르크를 압축가공한 후 절단하여 제조된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여 악취유발 폐수에서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르크는 기존의 담체로 사용되던 활성탄에 비해 밀도가 1/8배이고 표면적이 8배인 다공성 경량 담체로서, 미생물 담지시 악취유발 폐수 중의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는 다음과 같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천연 코르크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한 다음, 분쇄된 코르크에 미생물이 증식하는데 바람직한 영양분 용액을 주입하며, 영양분의 주입은 영양분 용액과 코르크 분쇄물을 혼합교반하여 코르크 분쇄물에 영양분이 고루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영양분 용액은, 물에 미생물 증식에 적절한 농도의 미네랄 영양 성분을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담체에 담지되는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히고 난분해성 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미네랄 영양분 물질의 예로는 KH2PO4, K2HPO4, KNO3, NaCl, MgSO4, CaCl2, FeCl2, 및 기타 미량 원소 화합물, 예를 들면 H3BO3, MnCl2, CoCl2, ZnCl2, NiCl2, CuCl2, NaMoO4등이 있다. 이들 영양분 물질은 담지되는 미생물에 따라 적절한 농도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양분 용액의 pH는 4.2 내지 5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H의 조정은 산 또는 알칼리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영양분이 코르크에 적절히 분배된 다음, 코르크를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코르크를 압축가공한 후 직경 2 내지 10 mm의 크기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는 코르크를 주요 매질로 사용하므로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여 미생물 적응도(acclimation)가 빠를 뿐 아니라 미생물 대사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에 대해 내산성이 강해 빈번한 교체가 필요없어 (교체주기가 대략 5 내지 8년 정도) 매우 경제적이다.
악취유발 폐수에서 악취 또는 VOC의 제거를 위해 본 발명의 코르크 담체에 담지되는 미생물은, 당해 분야에서 그러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모든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악취 또는 VOC의 대표적인 예로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과 같은 방향족 성분과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알콜 성분, 황 화합물, 질소 화합물 등이 있으며, 이들에 대한 본 발명 코르크 여재의 처리 효율은 대략 85% 이상으로 매우 높다.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는 수질 처리 공정의 적절한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수 처리장, 산업체 폐수처리장 등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르크 담체는 상용화된 세라믹 담체의 60 내지 30 %의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통기성, 내구성, 내산성, 보습성 등이 탁월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며,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생물이 담지된 코르크 여재의 제조
물에 KH2PO41.0 내지 1.3 g/L, K2HPO41.0 내지 1.5 g/L, KNO31.0 내지 1.5 g/L, NaCl 0.2 내지 0.5 g/L, MgSO40.02 내지 0.05 g/L, CaCl20.02 내지 0.05 g/L 및 기타 미량 원소 화합물로서 FeCl24H2O 1.5 g/L, H3BO30.06 g/L, MnCl24H2O0.1 g/L, CoCl26H2O 0.12 g/L, ZnCl20.07 g/L, NiCl26H2O 0.025 g/L, CuCl22H2O 0.015 g/L, NaMoO42H2O 0.025 g/L 및 EDTA 약 26 g/L가 용해되어 있고 pH가 4.2로 조정된 수용액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된 천연 코르크에 상기 수용액과 상기 코르크 분쇄물의 중량비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생성된 코르크 혼합액을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건조하고, 건조된 코르크 분쇄물을 압축가공한 후 직경 2 내지 10 mm의 크기로 절단하여, 본 발명의 코르크 담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코르크 담체에 하수 슬러지를 1 L/m3의 양으로 흡착시켜 슬러지에 존재하는 혼합 미생물이 담지된 코르크 여재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BTX 제거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미생물 담지된 코르크 여재의 BTX(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에 대한 제거 효율을 선행 기술에 따른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과 비교하기 위해, BTX를 150 ppmv 함유하는 수용액을 2.5 내지 10 L/분의 유속으로 각 담체에 60일 동안 통과시킴으로써 처리(온도 26 ℃ 및 pH 7)하여 60일 후의 제거능(elimination capacity) 및 제거 효율(removal efficiency)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가공 코르크 제올라이트 활성탄
BTX 제거능 30-35g/m3/hr 18g/m3/hr 18-20g/m3/hr
BTX 제거효율 98% 이상 65-70% 70-75%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를 사용하면 선행 기술의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 여재에 비해 BTX 처리 효율이 약 20% 이상 높으며, 제거능 또한 현저히 높아, 적은 양으로도 많은 오염 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0일 동안의 BTX 처리에 사용한 후 코르크 여재의 표면을 SEM(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생물이 담지된 코르크 표면에 BTX에 순양된 많은 미생물이 성장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알콜 제거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여재의 알콜에 대한 제거 효율을 선행 기술에 따른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과 비교하기 위해, 이소프로필 알콜(IPA)을 50 ppmv 함유하는 수용액을 10 L/분의 유속으로 각 담체에 60일 동안 통과시켜 처리(온도 26 ℃ 및 pH 7)하였으며, 60일 후의 제거 효율(removal efficiency)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가공 코르크 제올라이트 활성탄
IPN 제거효율 99% 이상 80-85% 85%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코르크 여재는 선행 기술의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 여재 보다 현저히 높은 IPA 제거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코르크 담체는 미생물 담지시 악취 및 VOC의 제거에 매우 높은 제거 효율과 제거능으로 사용할 수 있어, 악취유발 폐수 처리 시스템의 부피와 시설 설치비 및 운전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분쇄된 코르크에 미생물에 대한 영양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주입하고, 영양분이 분배된 코르크를 건조하고, 건조된 코르크를 압축가공한 후 절단하여 제조된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여 악취유발 폐수에서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영양분 용액이 pH 4.2 내지 5로 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코르크의 건조를 50 내지 60 ℃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직경 2 내지 10 mm의 크기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KR1019990020668A 1999-06-04 1999-06-04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KR10032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68A KR100329832B1 (ko) 1999-06-04 1999-06-04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0668A KR100329832B1 (ko) 1999-06-04 1999-06-04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46A KR20010001446A (ko) 2001-01-05
KR100329832B1 true KR100329832B1 (ko) 2002-03-25

Family

ID=1959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0668A KR100329832B1 (ko) 1999-06-04 1999-06-04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66A (ko) * 2001-06-21 2002-12-31 성준용 미생물 담지 코르크 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916A (ko) * 2001-08-10 2003-02-15 권성현 악취제거를 위한 탄화코르크를 이용한 바이오필터용여과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700027A (ko) * 1984-12-22 1987-02-28 한스-홀러 서이버리히, 한스-디이터 뮬러 스틸렌으로 오염된 폐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E4235591A1 (de) * 1992-10-22 1993-11-04 Daimler Benz Ag Biofilter zum reinigen von organisch belasteter abluft
KR950016788A (ko) * 1993-12-29 1995-07-20 김충세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KR0138050B1 (ko) * 1994-07-20 1998-04-27 탁현기 폐기가스의 생물학적 탈취방법 및 장치
KR19990046483A (ko) * 1999-03-19 1999-07-05 이현재 악취및휘발성유기화합물의생물학적처리용담체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700027A (ko) * 1984-12-22 1987-02-28 한스-홀러 서이버리히, 한스-디이터 뮬러 스틸렌으로 오염된 폐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E4235591A1 (de) * 1992-10-22 1993-11-04 Daimler Benz Ag Biofilter zum reinigen von organisch belasteter abluft
KR950016788A (ko) * 1993-12-29 1995-07-20 김충세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제
KR0138050B1 (ko) * 1994-07-20 1998-04-27 탁현기 폐기가스의 생물학적 탈취방법 및 장치
KR19990046483A (ko) * 1999-03-19 1999-07-05 이현재 악취및휘발성유기화합물의생물학적처리용담체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66A (ko) * 2001-06-21 2002-12-31 성준용 미생물 담지 코르크 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446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NEVIN et al. Biofiltration as an odour abatement strategy
Nanda et al. Microbial biofiltration technology for odour abatement: An introductory review
Kibazohi et al. Removal of hexane in biofilters packed with perlite and a peat–perlite mixture
KR100276156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쌍방향 흐름형 생물학적 제거장치
Barbusiński et al. Use of biological methods for removal of H2S from bioga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a review
Arulneyam et al. Biodegradation of ethanol vapour in a biofilter
EP2767585A1 (en) Microbiological method of H2S removal from biogas
EP0669155B1 (en) Method for biologically purifying gas streams
EP0186925B1 (en) Method for the biological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gases
KR100329832B1 (ko) 코르크 여재를 이용하는 악취 및 유기 휘발성 화합물 제거방법
KR100821780B1 (ko) Voc 및 악취 제거용 미생물 고정화 복합 고분자 담체 및그 제조 방법
KR100320742B1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물질(VOCs)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
CN1194796C (zh) 低浓度有机物废气的生物净化方法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US20030085174A1 (en) On-site biological treatment of contaminated fluids
CN113101800A (zh) 一种挥发性有机物处理反应系统及其应用
KR102063332B1 (ko) 유기휘발성 화합물인 대기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바이오 필터용 조성물 제조방법
Nanda et al. Microbial biofiltration technology for odour abatement
Wang et al. Review of biofiltration-effect of support media on biofilter performance
Lebrero et al. Air biofiltration applied to odor treatment
Miller et al. Application of biological deodorization methods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KR100337657B1 (ko) 가스 정화에 사용되는 바이오필터용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6566A (ko) 미생물 담지 코르크 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
RU202794U1 (ru) Био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загрязняющих и неприятно пахнущих летучих веществ
CN215233298U (zh) 一种挥发性有机物处理反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