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500B1 -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500B1
KR100329500B1 KR1019990036381A KR19990036381A KR100329500B1 KR 100329500 B1 KR100329500 B1 KR 100329500B1 KR 1019990036381 A KR1019990036381 A KR 1019990036381A KR 19990036381 A KR19990036381 A KR 19990036381A KR 100329500 B1 KR100329500 B1 KR 10032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inner container
cooking
lid
porou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19790A (en
Inventor
신이슬
Original Assignee
신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슬 filed Critical 신이슬
Priority to KR101999003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500B1/en
Publication of KR2001001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중에 발생되는 음식냄새를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조리시의 음식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본체(1)를 덮기 위한 것으로 뚜껑(2)에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을 설치하고, 그 위에 형성되는 내부용기(22)에 냉각제를 투입하여 다공성막(8)을 경유하여 증발되어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증기 중 냄새원인물질을 냉각, 응축시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configured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food odors during cooking by collecting and removing food odors generated during cooking,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The cooking utensil equipped with the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the main body 1 into which food to be cooked is installed, and a porous membrane 8 made of water-repellent fibers is installed on the lid 2, and an inner container formed thereon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agent is added to 22) to cool and condense the odor-causing substances in the vapor evaporated through the porous membrane 8 and scattered into the atmosphere, thereby suppressing the release into the atmosphere.

따라서, 본체(1)를 덮는 뚜껑(2)에 구비된 냄새제거장치를 이루는 내부용기(22) 내에 수용된 냉각제에 의하여 수증기와 함께 조리 중 발생되는 냄새원인물질을 냉각시켜 액화 또는 고화시킴으로써 냄새원인물질을 그대로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조리 중 냄새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odor causing substance by cooling and liquefying or solidifying the odor causing substance generated during cooking together with water vapor by the coolant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22 forming the odor removing device provided on the lid 2 covering the main body 1. By suppressing the diffusion into the atmosphere as it 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uppress the smell of cooking.

Description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Cooker with deodorizer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리 중에 발생되는 음식냄새를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조리시의 음식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configur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food odor during cooking by collecting and removing food odor generated during cooking.

조리기구라 함은 일상적인 가사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하여 대량으로 생산되어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한 정도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솥, 냄비 및 주전자 등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리기구는 통상적으로 조리할 내용물의 투입 및 조리후의 조리된 내용물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 밑바닥이 폐쇄된 본체(1)와, 이 본체(1)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뚜껑(2)에는 조리시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증기배출구(3)가 단순한 천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Cooking utensils are widely used in everyday household life, and are widely known by domestic and overseas manufacturers in large quantities and can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It can have shape and size. As shown in FIG. 1, such a cooking appliance is usually provided with a main body 1 having a closed bottom and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put of the contents to be cooked and the withdrawal of the cooked contents after cooking. Consists of a lid (2) to cover the opening formed in the, the lid (2) is formed by a simple punching steam outlet (3) for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during cook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리기구들은 뚜껑(2)과 본체(1) 모두 금속판을 프레스가공 등에 의하여 뚜껑(2)이 본체(1)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뚜껑(2)의 자중에 의하여 얹혀져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금속판 자체의 두께가 얇아 취급 도중에 외력에 의하여 변형될 수 있어 뚜껑(2)이나 본체(1)에 변형이 일어나는 경우 뚜껑(2)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뚜껑(2)을 이루는 금속이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조리후 가열된 상태에서 쉽게 뚜껑(2)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뚜껑(2)의 중심부에 금속판보다 열전도도가 낮은 별도의 플라스틱으로 된 손잡이(4)를 취부시켜야 하므로 뚜껑(2) 자체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oking utensils of the lid 2 and the main body 1 maintain the gap so that the lid 2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main body 1 by pressing a metal plate or the like. It is designed to be placed on its own weight, but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tself can be deformed by external force during handling, so that deformation of the lid 2 or the main body 1 is not easy to attach or detach the lid 2. In addition, since the metal constituting the lid 2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 separate plastic having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etal plate in the center of the lid 2 so that the lid 2 can be easily opened in a heated state after cooking. Since the handle 4 has to be moun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lid 2 itself is lowered.

그러나, 상기한 문제점들보다 더 큰 문제점은 조리중에 발생되는 수증기의 배출을 위하여 종래의 뚜껑(2)의 경우 단순히 증기배출구(3)를 뚜껑(2)에 천공하여 형성시켰다는 점이다.However, a problem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tha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id 2, the steam outlet 3 is formed by perforating the lid 2 in order to discharge the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단순천공에 의하여 형성된 종래의 증기배출구(3)는 수증기와 함께 조리하는음식물로부터 냄새가 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steam outlet (3) formed by a simple perforation had a problem that the smell is released from the food cooked with steam.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방출되는 냄새는 그 자체가 저분자량의 물질들의 공기중으로의 비산을 의미하며, 음식물 중의 유효성분들의 손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조리동안의 냄새의 방출로 인하여 조리가 진행되는 공간내의 사람의 후각에 감지되게 된다. 후각은 인체의 감각 중 가장 피로해지기 쉬운 기관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 지속적인 냄새는 후각의 마비를 가져와 어느 정도의 역치 이상에서는 더 이상 냄새를 느낄 수 없게 된다.Odor emitted from the food to be cooked is itself a scattering of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s into the air, a loss of active ingredients in the food, and also in the space in which the cooking proceeds due to the release of odor during cooking It is perceived by the human sense of smell. The sense of smell is known to be the most fatigued organ in the body's senses, and in fact, persistent smells cause numbness of the sense of smell, and you can no longer feel the smell above a certain threshold.

따라서, 조리하는 사람이 조리 후에는 실제로 그 음식의 섭취욕구가 저하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알려져 있다.Therefore, it is empirically known that the cooker actually desires to eat the food after cooking.

특히, 음식물의 조리 중에 발생하는 냄새원인물질은 주로 지방이나 단백질 등의 성분으로서 이들은 대기 중에 떠돌다가 벽면, 바닥, 천장, 의류, 커텐 등 주거환경의 주변 어느곳에나 달라붙어 오염 및 세균서식처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odor-causing substances that occur during cooking of food are mainly components such as fat or protein, and they float in the air and stick to anywhere in the living environment such as walls, floors, ceilings, clothing, curtains, and so on. There was a causal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자는 조리 중에 방출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의 개발에 착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to remove odor emitted during cooking.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중 발생될 수 있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that can remove odors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cooking.

도 1은 종래의 조리기구의 하나의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utensil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의 냄새제거장치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the odor removing device of FIG.

도 4는 도 2의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의 냄새제거장치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부분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odor removing device of the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the odor removing device of FIG. 2.

도 5는 도 2의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의 냄새제거장치에 사용되는 역류방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non-return plate used in an odor removing device of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the odor removing device of FIG.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 본체 2 : 뚜껑1: body 2: lid

3 : 증기배출구 4 : 손잡이3: steam outlet 4: handle

6 : 격자상홈 7 : 원형리브6: lattice groove 7: round rib

8 : 다공성막 9 : 막고정구8: porous membrane 9: membrane fixture

10 : 이탈방지구 11 : 오-링10: escape stop 11: O-ring

12 : 손잡이 13 : 고무패킹12: handle 13: rubber packing

14 : 나사산 15 : 나사홈14: thread 15: screw groove

16 : 역류방지판 17 : 절개선16: backflow prevention plate 17: incision line

18 : 연결부 21 : 외부용기18: connecting portion 21: outer container

22 : 내부용기 23 : 덮개22: inner container 23: cover

24 : 통기구 25 : 고무패킹24: vent 25: rubber packing

26 : 원추상체 27 : 구슬26 conical body 27 beads

28 : 미세그물망 29 : 망고정구28: fine mesh net 29: mango tennis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본체를 덮기 위한 뚜껑의 일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격자상홈을 갖는 원형리브와, 상기 원형리브내의 격자상홈 상에 막고정구와 함께 적층되어 조리시 외부로 배출되는 물질을 여과하는 발수가공섬유로 된 다공성막과, 상기 원형리브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공성막과 막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와, 상기 원형리브의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는 외부용기와, 역시 상기 외부용기와 마찬가지로 원형리브의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외부용기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내부용기와,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함께 덮어주는 덮개와, 상기 내부용기내에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응축시켜 포집하기 위한 냉각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cooking utensil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ircular shape having a plurality of lattice grooves therein, protruding upward while having an inner space penetrating up and down to a part of a lid for covering a main body into which food is to be cooked. Rib, a porous membrane made of a water-repellent fiber laminated on the lattice-shaped groove in the circular ribs and filtering the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cooking,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circular ribs, the porous membrane and the membrane fixture A separation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integral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r ribs, and the inner container fixed to be located in the outer container integral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r ribs, like the outer container; A ven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By a condensed material that is causing the odor in the cover and the interior of the vessel, which together cover comprises a coolant for trapping.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는 조리되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본체(1)를 덮기 위한 것으로 뚜껑(2)에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을 설치하고, 그 위에 형성되는 내부용기(22)에 냉각제를 투입하여 다공성막(8)을 경유하여 증발되어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증기 중 냄새원인물질을 냉각, 응축시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chematically shown in Figure 2, the cooking appliance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the main body 1 to which the food to be cooked is a porous membrane made of water-repellent fibers in the lid (2) ( 8), the coolant is put into the inner container 22 formed thereon to cool and condense the odor-causing substances in the vapor evaporated and scattered into the atmosphere via the porous membrane 8 to suppress the release into the atmospher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음식물이 투입되는 본체(1)는 종래의 조리기구의 본체(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주로 금속으로 이루어져 열원에 직접 올려져서 직접 가열되어 그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본체(1)를 덮기 위한 것으로 주로 금속으로 성형된 뚜껑(2)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2)에는 냄새제거장치가 장착된다.The main body 1 into which the food is put may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in body 1 of the conventional cooking utensil. The main body 1 is mainly made of metal and is directly placed on a heat source to directly heat and cook the food contained therein. . Covering the main body (1) includes a lid (2) mainly formed of metal, the lid (2) is equipped with an odor removing device.

상기 냄새제거장치는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뚜껑(2)에 구비될 수 있다.The odor remov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lid 2 i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상기 뚜껑(2)의 일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격자상홈(6)을 갖는 원형리브(7)가 형성된다. 상기 원형리브(7)는 상기 뚜껑(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원형리브(7)내에는 다수의 격자상홈(6)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자상홈(6)은 후술되는 다공성막(8)이 얹혀지게 된다.A circular rib 7 having a plurality of lattice-shaped grooves 6 formed therei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while having an inner space penetrating vertically in a part of the lid 2. The circular rib 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id 2, and a plurality of lattice grooves 6 are formed in the circular rib 7. The grid-shaped groove 6 is placed on the porous membrane 8 described later.

상기 다공성막(8)은 원형리브(7)내의 격자상홈(6) 상에 막고정구(9)와 함께 적층되어 조리시 외부로 배출되는 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하며,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수가공섬유는 직포 또는 부직포의 막형상으로 가공한 것으로서 약 0.2㎛ 정도의 증기관통구가 1평방센티미터당 약 15억개 정도 형성된 것으로서, 기공율은 약 82% 정도이며, 내수압은 4 내지 7kg/cm2이고, 투습도(24시간 기준)는 2g/cm2, 물에 대한 접촉각은 118°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발수가공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은 입자의 크기가 큰 물방울 등은 투과시키지 않으면서동시에 분자상태의 수증기 등은 쉽게 통과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물에 대한 접촉각이 커서 수증기가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에 물방울로 맺혀 달라붙지 아니하고, 다공성막(8)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잔류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들 다공성막을 구성하는 발수가공섬유의 원료로는 불소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으로서의 발수가공섬유로서는 '고어텍스(Gore Tex)'나 '자이텍스(Zitex)' 등의 상표명으로 상용적으로 거래되는 것들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고어텍스나 자이텍스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발수가공섬유들이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하여 대량 생산되어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들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The porous membrane (8) is laminated on the lattice groove (6) in the circular rib (7) with the membrane fastener (9) to function to filter the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cooking, it is made of water-repellent fibers. The water-repellent fiber is processed into a membrane of woven or nonwoven fabric, and about 0.2 μm of vapor through holes are formed at about 1.5 billion per square centimeter, porosity of about 82%, and water pressure of 4 to 7 kg / cm 2. The moisture permeability (based on 24 hours) is 2g / cm 2 ,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water can be preferably used to about 118 degrees. The porous membrane 8 made of a water-repellent fiber material has a property of easily passing molecular water vapor at the same time without permeating water droplets having large particle sizes, and having water repellency due to a large contact angle with water. It does not stick to the porous membrane 8 made of processed fibers with water droplets, an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porous membrane 8 and does not remain. As a raw material of the water-repellent fibers constituting these porous membranes, a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oresin, polyvinyl chloride, polypropylene, polyvinyl alcohol, polycarbonate, and the like may be used. The water-repellent fibers as the porous membrane 8 made of the water-repellent fibers can be selected and used among those commercially traded under trade names such as 'Gore Tex' or 'Zitex'. In addition to Gore-Tex and Zytex, water-repellent fibe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mass-produced and commercially supplied by leading manufacturers,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s easily understood.

상기 다공성막(8)은 막고정구(9)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막고정구(9)는 수증기압에 의하여 상기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이 상기 원형리브(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상기 격자상홈(6)과 유사하게 통상 마름모꼴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막대상리브를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나, 역시 상기 격자상홈(6)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상기한 바와 같은 마름모꼴의 구멍의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유사한 변형예들을 사용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The porous membrane 8 may be fixed by the membrane fastener (9). The membrane fastener 9 is for preventing the porous membrane 8 made of the water-repellent fi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ircular ribs 7 by water vapor pressure, and also similar to the lattice groove 6, and is generally lozenge-shaped.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so as to cross the rod-like ribs with each other, but like the lattice grooves 6, they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of the rhombic hole a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imilar variations can be used to achieve the same purpose.

상기 다공성막(8)과 막고정구(9)는 상기 이탈방지구(10)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 이탈방지구(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융착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원형리브(7)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The porous membrane 8 and the membrane fastener 9 may be fixed to prevent the separation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10).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1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ircular rib 7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ultrasonic fusion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과 상기 격자상홈(6) 간에는 내열성의 오-링(11)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발수가공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성막(8)의 지지를 보다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격자상홈(6)과 다공성막(8) 간의 밀폐성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오-링(11)은 실리콘수지와 같은 내열성의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A heat resistant o-ring 1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rous membrane 8 made of the water-repellent fiber and the lattice groove 6, which smoothly supports the porous membrane 8 made of the water-repellent fiber. At the same time it serves to increase the sealing between the lattice groove 6 and the porous membrane (8). The O-ring 11 may be manufactured using a heat resistant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esin.

상기 외부용기(21)는 냉각제가 담겨지는 내부용기(22)를 대기와 단열시켜 냉각제의 냉기를 장기간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형리브(7)의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다.The outer container 21 is to insulate the inner container 22 containing the coolant from the atmosphere to maintain the cool air for a long time, and is integral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r rib 7.

상기 내부용기(22)는 역시 상기 외부용기(21)와 마찬가지로 원형리브(7)의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외부용기(21)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며, 그 내부에 냉각제가 수용되어 이를 통하여 방출되는 증기로부터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원인물질을 냉각시켜 냄새원인물질이 대기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냄새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The inner container 22 is also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r rib (7) as well as the outer container 21 is fixed to be located in the outer container 21, the coolant is received therein and discharged through Cooling of the odor causing substances generated during cooking of the food from the vapor to prevent the odor causing substances to be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thus the odor can be removed.

상기 내부용기(22)내에 수용되는 냉각제로는 물, 얼음, 소금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얼음물의 경우에서 냉기를 더 낮추고, 오랫동안 냉기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해질로서 소금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제는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coolant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22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ice, salt, and the like, and in the case of ice water, to further reduce cold air and to add salt as an electrolyte to maintain cold air for a long tim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oolants are also known to the extent that they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상기 내부용기(22)와 외부용기(21)는 하나의 덮개(23)에 의하여 덮여져서 밀폐될 수 있으며, 이 덮개(23)의 중앙에는 통기구(24)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1)내에서의 음식의 조리 동안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증기압을 대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inner container 22 and the outer container 21 may be covered by a single cover 23 to be sealed, and a vent 2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23, so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vapor pressure due to the heat applied during cooking of the food into the atmosphere.

따라서, 본체(1)내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고, 상기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뚜껑(2)을 덮은 후, 본체(1)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가열 동안 수증기 및 냄새원인물질이 본체(1)내의 음식물로부터 방출되며, 동시에 가열에 의하여 팽창된 공기가 함께 배출되게 된다. 이 수증기와 냄새원인물질은 상기 원형리브(7)내에 고정되는 다공성막(8)을 경유하여 상기 내부용기(22)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22)내에는 냉각제가 들어있어 수증기와 냄새원인물질을 냉각시켜 액화 또는 고화시킨다. 액화 또는 고화된 물방울이나 냄새원인물질은 다공성막(8)에 의하여 다시 본체(1)내로 유입되지 않으며, 그대로 내부용기(22) 내에 잔류하게 된다. 다만, 냉각제에 의하여 액화 또는 고화되지 않는 공기만이 상기 덮개(23)의 중앙에 형성된 통기구(24)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ood to be cooked is placed in the main body 1, the lid 2 provided with the odor removing device is covered, and the main body 1 is heated to cook the food, steam and odor causing substances are heated during the heating. It is discharged from the food in (1), and at the same time, the expanded air by heating is discharged together. The water vapor and the odor causing substance are introduced into the inner container 22 via the porous membrane 8 fixed in the circular rib 7. The inner container 22 contains a coolant to liquefy or solidify water vapor and odor causing substances. The liquefied or solidified water droplets or odor causing substances are not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 again by the porous membrane 8, and remain in the inner container 22 as they are. However, only air that is not liquefied or solidified by the coolant may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air vent 24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23.

예를 들면, 냄새원인물질의 대표적인 성분으로서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성분의 비등점은 약 124℃이고, 용융점은 35℃이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 중에 가열되어 대기 중으로 확산될 수 있으나, 대략 0 내지 영하 25℃를 유지하는 냉각제와의 접촉에 의하여 고화될 수 있으며, 일단 고화되면 대기중으로 확산될 수 없게 된다. 특히 튀김의 경우 등에서는 180 내지 20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냄새발생이 심화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냉각제에 의하여 고화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rimethylamine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component of the odor causing substance, the boiling point of this component is about 124 ° C and the melting point is 35 ° C. Thus, the food may be heated during cooking and diffused into the atmosphere, but may be solidified by contact with a coolant maintained at approximately 0 to minus 25 ° C., and once solidified, may not diffuse into the atmosphe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rying, since the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of about 180 to 200 ℃ may be intensifie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solidify and remove it by the coolant.

특히, 상기 내부용기(22)의 상단에는 고무패킹(25)이 더 취부될 수 있으며, 이 고무패킹(25)은 상기 내부용기(22)가 상기 덮개(23)에 의하여 덮일 때 기밀을 유지토록 하여 상기 내부용기(22)내에 수용된 냉각제, 수증기 또는 냄새원인물질들의 외부로의 방출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In particular, a rubber packing 25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22, and the rubber packing 25 may maintain airtightness when the inner container 22 is covered by the cover 23. It serves to suppress the release of the coolant, water vapor or odor causing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22 to the outside.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막고정구(9) 대신에 탄성재질의 역류방지판(16)을 취부시킬 수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역류방지판(16)은 탄성재질의 원판을 일측에 연결부(18)가 형성되도록 하여 원형으로 절개선(17)을 형성시킨 것으로서, 통상의 프레스가공 등에 의하여 칼날을 사용하여 원형으로 절개시켜 절개된 내측부분이 가장자리부분에 대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탄성재질의 역류방지판(16)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고,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non-return plate 16 of the elastic material in place of the membrane fastener 9, as shown in Figure 5, the non-return plate 16 is connected to the disc of the elastic material on one side (18) is formed to form a cut line 17 in a circular shape, which can be formed so that the inner portion can be varied with respect to the edge portion by making a circular cut using a blade by a conventional press working or the like. As such, the non-return plate 16 of the elastic material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may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구(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에 하방으로 향하여 돌출된 나사산(14)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원형리브(7)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15)과 나사결합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preventing device 10 may be formed to have a thread 14 protruding downward toward the bottom thereof, as shown in FIG. The screw groove 15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7 may be detachably mounted by screwing.

또한,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 등의 사용 등과 같은 통상의 결합방법을 적용하여 상 이탈방지구(10)와 원형리브(7)를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구(10)와 원형리브(7) 간의 결합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여타의 결합방법 등의 적용에 의하여도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들 이탈방지구(10)와 원형리브(7)간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by applying a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such as the use of a separate fastener such as a screw, it is also possible to couple the phase departure prevention tool 10 and the circular rib 7 to each other, the departure prevention tool 10 and the circular The coupling between the ribs 7 is also possible by the application of other coupling methods and the like,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s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s 10 and circular ribs. It is obvious that it is not limited by the method of joining (7).

상기 손잡이(12)는 단지 파지 및 취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andle 12 is merely for ease of gripping and handling.

또한, 상기 뚜껑(2)의 가장자리에는 고무패킹(13)이 취부될 수 있으며, 이 고무패킹(13)은 상기 오-링(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서, 실리콘수지와 같은 내열성의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rubber packing 13 may be attached to an edge of the lid 2, and the rubber packing 13 may b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e O-ring 11, and may be made of a heat-resistant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resin. It can be produced using.

상기 고무패킹(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뚜껑(2)과 본체(1) 사이를 긴밀하게 밀봉하여 음식물의 조리냄새를 포함하는 수증기가 다른 곳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rubber packing 13 serves to tightly seal between the lid 2 and the main body 1 of the cooking utens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water vapor containing a cooking smell of food is not discharged elsewhe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성막(8) 대신에 원추상체(26), 그 내부에 수용되는 구슬(27) 및 미세그물망(28)으로 이루어진 역지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역지밸브 역시 상방으로의 기체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면서 반대로 액체 또는 고체상의 냉각제 등의 하방으로의 이동은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슬(27)의 원추상체(26)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기체를 미세한 기포로 만들기 위한 미세그물망(28)이 망고정구(29)에 의하여 상기 원추상체(26)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instead of the porous membrane 8, the conical body 26, the beads 27 and the fine mesh net 28 accommodated therein. A check valve made can be us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check valve also has a function of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gas upwards and, on the contrary, suppress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iquid or solid phase coolant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fine mesh net 28 for preventing separation from the conical body 26 of the beads 27 and making gas into a fine bubbl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ical body 26 by the mantle fixture 29. Can b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1)를 덮는 뚜껑(2)에 구비된 냄새제거장치를 이루는 내부용기(22) 내에 수용된 냉각제에 의하여 수증기와 함께 조리 중 발생되는 냄새원인물질을 냉각시켜 액화 또는 고화시킴으로써 냄새원인물질일 그대로 대기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여 조리 중 냄새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dor causing substance generated during cooking together with water vapor is cooled by the coolant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22 constituting the odor removing device provided in the lid 2 covering the main body 1 to liquefy or solidify. By suppressing the diffusion of the substance as the odor as it is to the atmosphe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uppress the smell during cook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4)

조리되는 음식물이 투입되는 본체를 덮기 위한 뚜껑의 일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격자상홈을 갖는 원형리브와, 상기 원형리브내의 격자상홈 상에 막고정구와 함께 적층되어 조리시 외부로 배출되는 물질을 여과하는 발수가공섬유로 된 다공성막과, 상기 원형리브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다공성막과 막고정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와, 상기 원형리브의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는 외부용기와, 역시 상기 외부용기와 마찬가지로 원형리브의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외부용기 내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내부용기와, 중앙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함께 덮어주는 덮개와, 상기 내부용기내에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응축시켜 포집하기 위한 냉각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A circular rib having a plurality of lattice grooves therein and having a plurality of lattice grooves therein, having an inner space penetrating up and down in a portion of the lid for covering the main body into which the food to be cooked is introduced; A porous membrane made of a water-repellent fiber, which is stacked together to filter material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cooking,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ircular rib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porous membrane and the membrane fixture, and an outer wall of the circular rib. An outer container fixedly integrated in the inner container and an inner container fixed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ircular rib like the outer container and positioned in the outer container, and a vent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Cover and cover together, the smell in the inner container The yirueoji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olant for collecting the condensed matter causing odor remov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cooking utensil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용기내에 수용되는 냉각제가 물, 얼음, 소금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냄새제거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구.And a coolant contained in the inner contain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ice, salt, and the lik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19990036381A 1999-08-30 1999-08-30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KR100329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81A KR100329500B1 (en) 1999-08-30 1999-08-30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81A KR100329500B1 (en) 1999-08-30 1999-08-30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90A KR20010019790A (en) 2001-03-15
KR100329500B1 true KR100329500B1 (en) 2002-03-23

Family

ID=1960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381A KR100329500B1 (en) 1999-08-30 1999-08-30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50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4318A1 (en) * 2005-03-30 2006-10-05 Sun Ja Seo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smell in the lid of cooking receptacle
KR101592245B1 (en) * 2014-06-24 2016-02-05 신창근 Cookware with Smell Trapping Device
WO2019235763A1 (en) 2018-06-07 2019-12-12 Lee Younghee Cooking smoke venting apparatus
KR102056024B1 (en) 2019-03-26 2019-12-13 이영희 Exhaust apparatus for cooking fum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051B1 (en) * 1999-12-14 2002-04-09 한종필 Deodorizing apparatus
KR101945149B1 (en) * 2018-06-14 2019-02-01 이영희 Cooking apparatus having a deodorization function
KR102590144B1 (en) * 2021-10-10 2023-10-17 류운형 Food container lid with odor and smoke protection
KR102489850B1 (en) * 2022-10-25 2023-01-19 주식회사 한성이엔지 gearbox for agricultural machinery
KR102528649B1 (en) * 2022-10-25 2023-05-04 주식회사 한성이엔지 gearbox for agricultural machiner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4318A1 (en) * 2005-03-30 2006-10-05 Sun Ja Seo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smell in the lid of cooking receptacle
KR101592245B1 (en) * 2014-06-24 2016-02-05 신창근 Cookware with Smell Trapping Device
WO2019235763A1 (en) 2018-06-07 2019-12-12 Lee Younghee Cooking smoke venting apparatus
KR102056024B1 (en) 2019-03-26 2019-12-13 이영희 Exhaust apparatus for cooking fu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90A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00B1 (en) Cooker having deodorizing apparatus
CN101378976B (en) Pouch for steaming vegetables
US6365214B1 (en) Cooking oil sponge
KR20090051001A (en) Vacuum generating device for sealing perishable products and method of use
JP2004209253A (en) Pressure control valve safety cap for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using the same
ZA200403266B (en) Deep fryer.
JP4572253B2 (en) Cooking container lid odor discharger
JP2014009936A (en) Filter for kitchen
US7244915B2 (en) Microwavable flexible sheets for draping over food during microwave heating
US20070095839A1 (en) Garbage can liner
CN207666437U (en) A kind of pressure relief device of micro-pressure electric rice cooker
US6444963B1 (en) Microwave deodorizer
EP1024333A2 (en) Diffuser
KR100187474B1 (en) Lid for preventing food from overflowing of a cooking vessel
WO2006104318A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the smell in the lid of cooking receptacle
JPH0822309B2 (en) Sterilizer
US2527395A (en) Kitchen utensil
JP4839787B2 (en)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sheet mounting structure
GB2295308A (en) Grill pan liner
KR102515514B1 (en) A heat conversion type cookware comprising an inhalation flow path
KR200444820Y1 (en) A untensil for cooking
CN215777399U (en) Food box for cooker
JP2004242714A (en) Cooking vessel
CN217565690U (en) Cooking pot
US20200222571A1 (en) Aromatherap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