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045B1 -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045B1
KR100329045B1 KR1019980045463A KR19980045463A KR100329045B1 KR 100329045 B1 KR100329045 B1 KR 100329045B1 KR 1019980045463 A KR1019980045463 A KR 1019980045463A KR 19980045463 A KR19980045463 A KR 19980045463A KR 100329045 B1 KR100329045 B1 KR 10032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node
cathode
voltage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7518A (ko
Inventor
최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4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0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DC panels

Landscapes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셀이 없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내측면 상에 단위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측면 및 내측면 상에는 형광체층이 도포되어 있는 전면기판과, 내측면 상에 양극도트와 저항 및 양극모선으로 구성된 양극이 형성되고, 상기 저항 및 양극모선을 덮도록 내측면 상에는 유전체층이 도포되며, 상기 양극도트와 최대한 이격된 상기 유전체층 부분 상에는 라인 형태로 음극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기판이 합착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한정되는 방전셀 내에는 방전용 가스가 주입되어 있는 구조를 갖으며, 그 구동방법은 상기 유전체층 위에 쌓여있는 벽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제1방전과, 상기 제1방전 후에 이루어지는 주방전인 제2방전, 및 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3방전을 순차적으로 반복·수행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방전시에는 양극모선에 (-) 전압을, 그리고, 음극에는 (+)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방전시에는 양극모선에 (+) 전압을, 그리고, 음극에는 (-) 전압을 각각 인가하되, 상기 제1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각각 인가된 전압들간의 전압차 보다 더 큰 전압차를 갖도록 인가하며, 상기 제3방전시에는 상기 양극모선 및 음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제2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인가된 전압들의 전압차 보다 낮은 전압차를 갖도록 인가한다.

Description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셀이 없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은 가스 방전 현상을 화상표시에 이용하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PDP는 전체적인 두께를 10cm 이하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총을 사용하는 브라운관 표시장치에 비해 그 두께 및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아울러, 액정 표시장치의 취약점인 시야각의 협소함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 때문에 차세대 표시장치로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직류형 PDP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형 PDP는 양극(2) 및 격벽(6)이 형성된 배면기판(10)과, 라인 형태의 음극(12)이 형성된 전면기판(20)이 상기한 전극들(2, 12)이 서로 교차 대향하도록 봉합되고, 격벽(6)에 의해 한정된 각 화소내에는 형광체(8)가 도포됨은 물론 방전용 가스(도시되지 않음)가 주입되어 있는 것을 그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PDP는 두 전극들(2, 12)간의 전압차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 방전이 방전셀 내에 도포된 형광체(8)를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2)은 도트 형태로된 양극도트(2a)와, 라인 형태로된 양극모선(2c), 및, 이들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가스 방전시에 상기한 양극모선(2c)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2b)으로 구성되며, 이때, 저항(2b) 및 양극모선(2c)은 반사막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웃하는 양극들간을 절연시키는 위하여 형성되는 유전체층(4)에 의해 피복되고, 양극도트(2a)의 상부 표면은 방전셀내에 노출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직류형 PDP는 방전개시가 보다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즉, 보다 낮은 구동전압으로도 방전개시 및 유지가 가능하게 되도록, 인접된 방전셀들(C1) 사이에 보조셀(C2)이 배치되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가스 방전은 보조셀(C2)에서 먼저 일어나게 되고, 이때, 보조셀(C2)에서 생성된 프라이밍 파티클(Priming Particle)이 인접된 방전셀들(C1) 내에 제공됨으로써 방전셀에서의 방전개시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류형 PDP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로, 방전셀들(C1) 사이에 보조셀(C2)을 구비시켜야 하기 때문에 한정된 크기의 표시 영역에 보다 많은 수의 방전셀들(C1)을 디자인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PDP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데 그 한계가 있다.
둘째로, 보조셀(C2)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셀(C2) 내에 별도의 보조전극(Z)을 구비시켜야 함은 물론 이러한 보조전극(Z)에 소정의 구동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회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시켜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PDP의 제조 단가가 상승된다.
셋째로, 양극(2) 및 음극(12)이 배면기판(10) 및 전면기판(20)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후속 공정인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의 합착시에 상기한 양극(2)과 음극(12)간의 정렬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셀을 삭제시킴과 동시에 양극 및 음극을 배면기판 상에 형성시킴으로써 해상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아울러, 배면기판 및 전면기판의 합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직류형 PDP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방전없이 주방전만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형 PDP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압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방전셀에서의 방전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 : 양극도트 22b : 저항
22c : 양극모선 24 : 유전체층
26 : 제2형광체층 28 : 음극
30 : 배면기판 32 : 격벽
34 : 제1형광체층 40 : 전면기판
A,B : 방전영역 X : 양극모선전압파형
Y1,Y2 : 음극전압파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합착된 배면 및 전면기판과, 상기 기판들 사이의 방전셀내에 주입된 방전용 가스를 포함하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있어서, 본 발명의 직류형 PDP는 전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단위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격벽의 측면 및 전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형광체층이 도포되어 있으며,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양극도트와 저항 및 양극모선으로 구성된 양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극도트는 방전셀 내에서 단축의 일측 격벽에 인접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전체층상에는 양극도트와 이격되며, 방전셀 내에서 타측 격벽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라인 형태를 음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단위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양극도트와 저항 및 양극모선으로 구성된 양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도트는 상기 방전셀 내에서 단축의 일측 격벽에 인접딘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 및 양극모선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유전체층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층 상에는 상기 양극도트와 이격되며, 상기 방전셀내에서 타측 격벽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라인 형태를 갖는 음극이 형성되어 있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은, 유전체층 위해 쌓여있는 벽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제 1방전과, 상기 제1방전 후에 이루어지는 주방전인 제 2방전, 및 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3방전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며, 상기 제1방전시에는 양극모선에(-) 전압을, 그리고, 음극에는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방전시에는 양극모선에(+)전압을 그리고, 음극에는(-) 전압을 각각 인가하되, 상기 제1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각각 인가된 전압들간의 전압차 보다 더 큰 전압차를 갖도록 인가하며, 상기 제3방전시에는 상기 양극모선 및 음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제2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인가된 전압들의 전압차 보다 낮은 전압차를 갖도록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셀의 설치를 삭제시키기 때문에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조셀의 삭제로 인한 보조전극과 보조방전을 위한 구동회로의 설치도 삭제시키기 때문에 제조 단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 및 음극 모두를 배면기판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배면 및 전면기판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충분한 방전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것에 기인하여 양광주 방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방전 효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PDP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셀들은 격벽(32)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방전셀들 내에는 양극(22) 및 음극(28)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셀은 없으며, 특히, 단위 방전셀은 직사각 형태이고, 종래와 비교해서 그 가로 폭은 넓고, 세로 폭은 좁다.
또한, 상기한 양극(22)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양극도트(22a) 및 양극모선(22c)과 이들을 연결시키는 저항(22b)으로 구성되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도트(22a)는 각 방전셀내에서 좌측에 배치된 격벽(32A)의 중심부에 인접된 부분에 배치되고, 양극모선(22c)은 하측에 배치된 격벽(32B)에 인접하여 그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양극도트(22a)는 방전셀들마다 각각 구비되지만, 양극모선(22c)은 방전셀의 행 배열마다 하나씩 구비되고, 아울러, 저항(22b)은 각 방전셀내에서 상기 양극도트(22a)와 양극모선(22c)간을 연결시키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라인 형태로된 음극(28)은 방전셀의 열 배열마다 하나씩 구비되며, 각 방전셀내에서는 양극모선(22c)과는 직교함과 동시에 양극도트(22a)와는 최대 거리로 이격된 부분, 예컨데, 우측에 배치된 격벽(32C)에 인접하여 그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저항(22b) 및 양극모선(22c)은 유전체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양극모선(22c)과 음극(28)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Ⅲ-Ⅲ′의 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PDP의 단위 방전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면기판(40)의 경우, 그 내측면 상에 단위 방전셀을 한정하기 위한 격벽(32)이 형성되며, 이러한 격벽(32)의 측면 및 전면기판(40)의 내측면 상에는 컬러화를 실현하기 위한 제1형광체층(3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배면기판(30)의 경우에는 그 내측면 상에 양극(22), 즉, 양극도트(22a)와 저항(22b) 및 양극모선(22c)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양극도트(22a)의 상부면을 완전히 덮지 않는 범위에서 소정 두께의 유전체층(24)이 도포되고, 또한, 유전체층(24) 상에는 제2형광체층(26)이 넓은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양극도트(22a)와 최대한 이격된 유전체층(24) 부분 상에는 음극라인(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배면기판(30) 및 전면기판(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기판(40) 상에 형성된 격벽(32)의 개재하에 합착되며, 격벽(32)에 의해 한정된 방전셀 내에는 방전용 가스(도시되지 않음)가 봉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PDP의 단위 방전셀에서는 방전개시가 종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양극모선(22c)과 음극(28)의 교차 부분에서 일어나게 되고, 연속되는 방전유지는 멀리 떨어져 있는 양극도트(22a)와 음극(28)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방전개시전압은 종래 보다낮으면서도 방전 효율은 향상된다.
자세하게, 가스 방전은 통상 음극 근처에서 네가티브 글로우(Negative Glow)에 의해 일어나는 방전과, 방전공간의 중심부인 포지티브 컬럼(Positive Column) 영역에서 일어나는 방전(양광주 방전)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양광주 방전은 네가티브 글로우에 의해 발생되는 방전 보다 그 방전 효율 및 휘도가 매우 우수하다.
그런데, 종래 직류형 PDP의 방전셀에서는 양극과 음극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즉, 양광주 방전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전극 간격이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주로 네가티브 글로우에 의한 방전만이 일어나게 되고, 이 결과, 방전 효율은 우수하지 못하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PDP의 단위 방전셀 구조에서는 양극(22)과 음극(28)이 단일 기판, 예컨데, 배면기판(30) 상에 형성되고, 특히, 숫치적으로는 한정하지는 않았으나, 유지방전을 일으키게 되는 양극도트(22a)와 음극(28) 사이의 거리가 양광주 방전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거리로 이격·배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양광주 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 보다 낮은 방전개시전압으로도 방전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방전 효율 및 휘도는 향상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PDP의 구동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서 X는 양극모선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이고, Y1은 제1음극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이며, Y2는 제1음극에 이웃하는 제2음극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이다.
통상, 직류형 PDP의 방전은 방전셀내에 노출되어지는 양극도트와 음극에 인가된 전압에 기인하여, 그들간의 전압차에 의해 방전개시 및 방전유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양극도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양극모선에 인가된 전압이 전달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류형 PDP의 단위 방전셀에서는 양극모선과 음극이 유전체층의 개재하에 교차되는 것에 기인하여 개시 방전 및 유지 방전은 물론 교류형 PDP의 구동방식과 유사하게 유전체층 위에 쌓여있는 벽전하를 소거시키기 위한 표면전하소거 방전이 추가된다.
따라서, 개시 방전은 유전체층 상에 쌓여있는 벽전하들을 제거하는 표면전하소거 방전(이하, 제1방전이라 칭함)과 통상의 직류형 PDP와 마찬가지로 양극도트와 음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주 방전(이하, 제2방전이라 칭함)으로 이루어지며, 제2방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방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 방전(이하, 제3방전이라 칭함)이 이루어진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즉, 유전체층 위에 쌓여있는 벽전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양극모선에는 (-) 전압인 Vai를 인가하고, 이와 동시에 음극에 (+) 전압인 Vci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전셀은 온(On) 상태가 되고, 이때, 제1방전을 통해 유전체층 위에 쌓여있는 벽전하들은 제거된다.(a 영역)
한편, 데이터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즉, 양극모선에 인가되는 Vai가 0 인 경우에는 제1방전이 일어날 수 없도록 음극에 인가되는 Vci는 방전전압 이하 로 둔다.
다음으로, 제2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양극모선 및 음극에 소정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되, 제1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인가한 전압과는 각각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아울러, 그들간의 전압차, 즉, 방전전압은 제1방전시의 방전전압(Vci-Vai) 보다 더 큰 방전전압(Vaf-Vcf)이 되도록 한다.(b 영역)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은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양극모선(22c)과 음극(28)의 교차점 부근(A)에서 시작되지만, 이후, 실질적인 방전은 방전셀내에 노출되어진 양극도트(22a)와 음극(28)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즉, 방전 개시는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가운 양극모선(22c)과 음극의 교차점에서 시작되지만, 이러한 상태로 방전이 지속되면, 유전체층(도시되지 않음) 위에는 표면전하가 쌓이게 되고, 이러한 표면전하가 양극모선(22c)의 전위를 차폐시킴으로써, 이 결과로, 양극모선(22c)과 음극(28)간에는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방전은 표면전하가 쌓이지 않는 양극도트(22a)와 음극(28) 사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방전영역은 B와 같이 확대된다.
따라서, 숫치적으로 한정하지는 않았으나, 종래에는 양극도트와 음극간의 거리가 짧은 것에 기인하여 네가티브 글로우에 의한 방전이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보다 양극도트와 음극간의 거리, 즉, 방전경로가 길어지기 때문에 양광주 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 결과로 방전 효율 및 휘도는 향상되며, 아울러, 보다 낮은 전압에서 방전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방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3방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양극모선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음극에는 제2방전시에 인가한 전압 보다는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결론적으로 제2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인가된 방전개시전압 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한다.(c 영역)
이후, 음극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방전은 종료시킨다.(d 영역)
한편, 양극모선전압파형(X)에 도시한 점선과 음극전압파형2(Y2)는 선택된 방전셀에 대한 유지 방전이 실시되는 동안, 이웃하는 방전셀에서의 개시 방전 및 유지 방전에 대한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직류형 PDP는 보조셀의 설치를 삭제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더 많은 방전셀을 집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셀에 구비되는 보조전극과 보조방전을 위한 별도의 구동회로의 설치도 삭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PDP의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양극 및 음극 모두를 배면기판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배면기판과 전면기판의 합착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양극도토와 음극간의 간격을 최대한 이격시킴과 동시에 충분한 방전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고휘도를 달성함은 물론 양광주 방전을 가능하게 하여 방전 효율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극모선과 음극간의 거리가 짧은 것에 기인하여 종래 보다 방전개시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방전셀에 대한 온(On)/오프(Off)의 반응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이에 대한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한 모든 수정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4)

  1.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합착된 배면 및 전면기판과, 상기 기판들 사이의 방전셀내에 주입된 방전용 가스를 포함하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단위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측면 및 전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형광체층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양극도트와 저항 및 양극모선으로 구성된 양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도트는 상기 방전셀 내에서 단축의 일측 격벽에 인접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 및 양극모선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유전체층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층 상에는 상기 양극도트와 이격되며, 상기 방전셀 내에서 타측 격벽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라인 형태를 갖는 음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단위 방전셀이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전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단위 방전셀을 한정하는 격벽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양극도트와 저항 및 양극모선으로 구성된 양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도트는 상기 상기 방전셀 내에서 단축의 일측 격벽에 인접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저항 및 양극모선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의 내측면 상에는 유전체층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체층 상에는 상기 양극도트와 이격되며, 상기 방전셀 내에서 타측 격벽에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어 라인 형태를 갖는 음극이 형성되어 있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은,
    상기 유전체층 위에 쌓여있는 벽전하를 제거하기 위한 제1방전과, 상기 제1방전 후에 이루어지는 주방전인 제2방전, 및 방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3방전을 순차적으로 반복·수행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방전시에는 양극모선에 (-) 전압을, 그리고, 음극에는 (+)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방전시에는 양극모선에 (+) 전압을, 그리고, 음극에는 (-) 전압을 각각 인가하되, 상기 제1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각각 인가된 전압들간의 전압차 보다 더 큰 전압차를 갖도록 인가하며, 상기 제3방전시에는 상기 양극모선 및 음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제2방전시에 양극모선 및 음극에 인가된 전압들의 전압차 보다 낮은 전압차를 갖도록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19980045463A 1998-10-28 1998-10-28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KR100329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463A KR100329045B1 (ko) 1998-10-28 1998-10-28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463A KR100329045B1 (ko) 1998-10-28 1998-10-28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18A KR20000027518A (ko) 2000-05-15
KR100329045B1 true KR100329045B1 (ko) 2002-09-05

Family

ID=1955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463A KR100329045B1 (ko) 1998-10-28 1998-10-28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0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518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742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9990073886A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JP3318424B2 (ja)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エージング方法及び装置
KR19990067694A (ko) 플라즈마표시방전관 및 그 구동방법
JPH10241577A (ja) プラズマデスプレイ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329045B1 (ko) 직류형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그구동방법
US20040251847A1 (en) Plasma display panel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930011646B1 (ko) 플라즈마 표시소자
KR20010010400A (ko)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6380677B1 (en) Plasma display panel electrode
KR1003518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1143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전면기판
KR1003258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242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20010049129A (ko) 교류형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구조
KR100644982B1 (ko) 플라즈마 어드레스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39313A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JPH0121394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910009632B1 (ko) 트리거전극을 갖는 면방전형 플라즈마 평면 표시판
KR100474881B1 (ko) 칼라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421679B1 (ko) 고주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3974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9227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269396B1 (ko)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9700097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