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780B1 - 일회분의미립물질투여장치및흡입기용교체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일회분의미립물질투여장치및흡입기용교체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780B1
KR100326780B1 KR1019960703208A KR19960703208A KR100326780B1 KR 100326780 B1 KR100326780 B1 KR 100326780B1 KR 1019960703208 A KR1019960703208 A KR 1019960703208A KR 19960703208 A KR19960703208 A KR 19960703208A KR 100326780 B1 KR100326780 B1 KR 10032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ch
container
housing
cartrid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에손 스티븐
패트릭 애쉴리 캐더럴 클라이브
윌리암 클라크 로저
조이 윌슨 도나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GB1994/00271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1648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780B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일회분의 분말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장치는 원통형 용기(20, 158)를 둘러싸는 하우징(12, 10, 10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다수의 나선형으로 배열된 격실(159)을 구비하고, 각각의 격실은 각 일회분의 분말 물질을 보유한다. 격실로부터 물질을 투여하기 위해서, 격실은 인덱싱 장치에 의해 장치내의 공기통로와 함께 이동하며, 사용자는 하우징상의 마우스피스(10, 102)상에서 빨아들이고 상기 마우스피스는 공기통로를 경유하여 공기 입구(34, 180)와 연통한다. 공기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은 일회분의 물질을 주입한다. 용기는 교체가능한 카트리지를 구성한다. 장치는 분말 약제를 투여하기 위한 흡입기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하다.

Description

일호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및 흡입기용 교체 카트리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단 일회분의 미립 물질, 특히 과립상 또는 미세하게 분쇄된 분말 형상체를 투여할 수 있는, 특히 호흡 장애를 경감시키기 위해 흡입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에 의해 자체투여하기 위한 분말 형상체의 단 일회분의 약제로 포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천식과 같은 호흡 장애를 경감시키기 위해 흡입함으로서 자체투여하기 위해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 형상체의 약리학적으로 반응성이 있는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 방법은 미세하게 분쇄된 미립 물질의 저장소를 제공하고, 동일한 소정의 체적으로 분말 물질을 투여하는 것이며, 상기 각 소정의 체적은 천식 발병 동안에 천식 증후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환자에게 필요한 일회분에 대응한다. 이러한 분말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는 영국 특허 공개 명세서 제 GB-A-2 144 997 호에 기술되어 있다,
천식을 치료하기에 특히 적합한 약리학적으로 반응성인 화합물은 습기를 빨아들이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이것은 영국 특허 공개 명세서 제 GB-A-2 144 997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저장소내에서 입자 응집을 야기시킨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WO 91/06333(NOVO NORDISK) 호에는디스펜서(dispenser)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 디스펜서내에는 일회분의 약제가 환형 용기내에 개별적으로 캡슐화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가 저장소가 아닐지라도, 환형용기는 단지 12 회분을 보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우 짧은 주기 동안에 일회분씩 사용할 수 있다. 국제 특허 출원 공개 제 WO 93/24166(GLAXO GROUP LIMITED)호 및 유럽 특허 출원 제 EP-A-547 429 호에는 보다 많은 수의 개별적으로 일회분을 보유하는 디스펜서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디스펜서는 일회분이 투여되는 위치로 연속적인 일회분을 투여하는데 복잡한 인덱싱 장치가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일회분의 미립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하우징내의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 입구와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보유된 원통형 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는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각각의 격실은 각 일회분의 미립 물질을 보유하며, 상기 장치는 연속 격실을 공기통로내로 이동시키도록 공기통로에 대해 용기를 이동시켜서 일회분 약제를 용기로부터 방출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용기의 축과 실제로 동축인 나선형 경로를 규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일정하게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투여 장치가 제공된다.
양호하게, 상기 공기통로의 상기 일부분은 용기내의 축방향 통로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용기의 길다란 축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한다.
양호하게, 상기 유기는 다수의 방사상 보어를 구비한 관형 본체를 포함하며, 보어의 각각은 각 격실을 구성한다.
상기 용기는 하우징내의 내외부의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동축 튜브와,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튜브사이의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은 나선형 경로상에 위치된 포켓을 규정하도록 분할되어 있으며, 각 공간은 각각의 일회분 분말 약제를 보유하며, 상기 내외부 튜브의 벽은 공기 통로용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은 공기 입구로부터 마우스피스까지 연장하는 공기통로의 경로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약제를 필요로할 때, 작동 수단을 작동시켜 소정의 일회분 약제를 입으로 빨아들이기 위한 마우스피스상에서 흡입하기만 하면된다. 흡입 작용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쇄도는 입내로 빨아들인 공기내에 분산되어 포켓이 약제가 없이 깨끗해지게 한다. 포켓의 나선형 배열은 많은 수의 일회분 약제가 상대적으로 조밀한 장치내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각 일회분의 분말 약제는 그 내부에 자체 보유하기 위해 각 포켓내에 충분하게 단단히 포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말 일회분은 대응 포켓내에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장치는 대응하는 포켓내에 일회분 물질을 보유하기 위한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수단은 포켓을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박막(예를 들면, 박판)을 포함하며, 장치는 상기 또는 각각의 박막을 파열시켜서 선택된 포켓으로부터 분말 물질이 투여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수단은 공동의 상호 작동가능한 작동기 부재를 포함하여, 이 부재의 운동은 시일을 파열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과 관통 수단을 작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수단은 동축 튜브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외부 튜브를 구동시키는 하우징의 회전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나선형으로 연장한 플랫폼은 내외부 튜브의 접촉면내의 나선형 홈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켓은 하나의 튜브, 바람직하게는 외부 튜브가 다른 튜브에 대해 회전함으로서 인덱스된다.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공기 통로가 각 튜브의 벽내에 제공되는데, 이는 이들 장치가 작동 수단의 각 인덱싱 작동에 따라 정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 수단은 인덱싱 스트로크 및 리턴 스트로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래칫 수단은 리턴 스트로크 동안에 어떠한 포켓 인덱싱 작용도 없이 하나의 튜브, 바람직하게는 외부 튜브가 다른 튜브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합체된다.
유리하게, 실시예에서 한번의 감지로 하우징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는 것은 외부 튜브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은 포켓을 인덱스하도록 래칫 수단에 의해 야기되며, 반대의 감지로 용기의 일부분을 회전시키는 것은 역으로 외부 튜브를 회전시키지만, 포켓의 반대 인덱싱은 래칫 수단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내부 튜브는 하우징의 고정부에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인덱싱 및 리턴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회전하는 범위는 내외부 튜브상에 조합되어 제공된 정지 수단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 인덱싱 스트로크의 길이는 분말 약제의 포켓사이의 공간과 일치하며, 이러한 포켓은 나선형 경로 둘레에서 서로 인접한 연속체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마우스피스는 하우징의 고정부의 단부상에 피팅을 구성하며, 제거가능한 캡이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 공기 입구는 이러한 피팅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양호하게 마우스내로 일회분의 약제를 흡입하기 위해 사용된 공기통로는 내부 튜브의 내부를 통해 공기 입구로부터 그리고 용기내의 외부 튜브의 외측상의 마우스피스까지 다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내외부 튜브와 이들 튜브사이에 수단을 형성하는 포켓은 장치용 교체 카트리지를 구성하며, 이 장치는 흡입기라 한다. 이를 위해서, 용기의 회전 가능한 부분은 끼워맞춰질 때 인덱싱할 수 있도록 외부 튜브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거가능한 커버를 구성한다. 그러나, 커버가 제거될 때 소비한 카트리지는 제거되어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고 그 사이에서 각기 소정의 일회분의 자체 지지 압축된 분말 약제를 보유하는 포켓을 형성하도록 분할된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플랫폼을 지지하는 내외부 동축 튜브와, 포켓과 정열시키기 위해 튜브의 벽내의 구멍과, 카트리지가 삽입될 흡입기에 의해 제공된 외부 회전 드라이브에 튜브중 하나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 흡입기용 교체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튜브의 벽내의 구멍은 제거가능한 또는 벗겨지는 태브에 의해 초기에 밀봉될 수 있다. 이들 태브는 흡입기내에 카트리지를 끼워맞추기 바로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흡입기내에 끼워맞춰질 때, 내부 튜브는 연속적으로 끼워진 회전가능한 커버가 외부 튜브에 회전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동안에 용기의 고정부에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된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일회분의 분말 약제를 보유한 교체가능한 카트리지를 구체화하고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두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의 방법으로 설명한다.
제 1A 도는 제 1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제 1B도는 제 1 실시예에 대한 교체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C 도는 흡입기의 제 1 실시예로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2 도는 흡입기의 제 1 실시예로서 부분적으로 절단한 상세도이다.
제 3 도는 하우징내에 장착된 카트리지 조립체(원통형 용기를 포함함)를 구비한 흡입기의 제 2 실시예로서 부분 절단한 등거리 도법의 도면이다.
제 4 도 내지 제 7 도는 제 2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각종 콤포넌트의 등거리 도법의 분해도이다.
제 8 도는 조립될 때의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9 도는 제 2 실시예의 하우징 및 카트리지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도이다.
제 10A 도 내지 제 10F 도는 흡입기의 다양한 작동 싸이클의 단계에서 흡입기의 제 2 실시예의 부품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단면 평면도이다.
제 11A 도 내지 제 11F 도는 작동 싸이클내의 대응 단계에서 제 2 실시예의 다른 부품의 작동을 도시하는 부분단면 평면도이다.
제 12 도 및 제 13 도는 제 2 실시예의 카트리지의 콤포넌트중 하나의 많은 상이한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4A 도 내지 제 14H 도는 흡입기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관형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예의 각종 단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아그램이다.
제 15A 도 내지 제 15E 도는 제 14A 도 내지 제 14F 도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관형 용기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콤포넌트를 도시한 것이며, 제 15E 도는 조립될 때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제 16 도는 방법의 한 단계에서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도시된 용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의 하나의 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 17 도는 연속적인 방법 단계에 따라 용기의 하나의 측면을 밀봉하는데 사용될 때 제 14 도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중 먼저 제 1A 도를 참조하면, 흡입기는 마우스피스 피팅(10)과, 끼워맞춰질 때 피팅(10)에 대해 회전가능한 커버(12)와, 끼워맞춰진 커버(12)를 구비하고 피팅(10)에 의해 이루어진 완전한 하우징내에 수용된 약품 이송 카트리지(14)를 포함한다. 제거가능한 캡(15)은 마우스피스용으로 제공된다.
소비될 때 일회용인 카트리지(14)의 콤포넌트 부품은 제 1B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내부 튜브(16)와, 외부 튜브(18)와, 이들 사이의요소(20)를 포함하며, 상기 요소(20)는 분말 약제의 소정 일회분을 자급식으로 각기 보유하는 캐비티의 연속체를 형성하도록 분할된 나선형으로 연장한 공간을 형성하는 나선형으로 연장한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은 내외부 튜브의 접촉면내의 나선형 홈내에 활주식으로 위치된 나선형으로 연장한 스트립이다.
내부 튜브(16)는 원통형 벽내에 공기 통로용 구멍(22)을 갖고 있으며, 외부튜브(18)는 공기 통로용 구멍(24)을 갖고 있다. 부가적으로 튜브는 두개의 각진 탱(tangs), 즉 내부 튜브(16)상의 탱(26)과, 외부 튜브(18)상의 탱(28)을 지지한다. 상기 탱(26, 28)은 래칫 작용 장치를 제공하도록 캐비티사이에 격벽을 결합하도록 작동하며, 이에 의해 튜브(16, 18)의 상대 회전 운동은 단지 한점에서 카트리지(14)를 회전시킨다. 두개의 튜브의 상대 회전은 두개의 튜브의 상단부에 제공된 정지 수단(30, 32)에 의해 결정된 전후방 상대 운동으로 제한된다.
제 1C 도 및 제 2 도는 내측에서 일회분을 보유한 카트리지와 결합될 때 완전한 흡입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우스피스 피팅은 마우스피스 출구로부터 분할된 공기 입구(34)를 가지는데 이는 장치내에서 내부 튜브(16)를 통해 공기 입구(34)로부터 구멍(22)까지 그리고 일회분을 보유한 캐비티 및 구멍(24)을 통해 외부 튜브(18)의 외측상의 마우스피스(10)의 출구까지 하방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표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은 공기통로가 존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시에, 일회분의 약제가 필요한 사람은 마우스피스상에서 빨아들이고 흡입 작용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진행에 의해 동반되어 마우스내로 분말 약제가 들어가게 한다. 도면부호(36)는 마우스피스 피팅(10)내에 제공된 격자를 나타낸다.
일회분의 약제를 수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비사용된 일회분을 보유한 캐비티가 공기통로와 정렬되도록 흡입기를 먼저 표시해야 한다. 이것은 커버(12)의 회전하는 전후방 운동에 의해 성취되며, 상기 커버는 회전으로 끼워맞춰질 때 외부튜브(18)에 로크된다[상기 내부 튜브(16)는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마우스피스 피팅(10)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외부 튜브(18)가 한번 회전될 때, 래칫 탱(28S)은 일회분을 보유한 요소(20)와 결합되는 위치로 새로운 일회분을 보유한 캐비티를 이동시키며, 외부 튜브가 구멍(24)이 구멍(22)과 정렬되어 후방으로 정렬되도록 역으로 회전되어 래칫 탱(26)이 일회분을 보유한 요소의 역회전을 방지한다. 요소(20)는 축방향의 길이가 튜브보다 짧은데, 이는 약제의 일회분이 사용될 때 흡입기를 통해 요소가 상승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교체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흡입기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내외부 튜브 및 이들 사이의 나선형의 일회분을 보유한 요소의 조립체가 제조 동안에 이뤄질 수 있는 일회용 흡입기와도 관련되어 있다. 다음에, 커버는 폐쇄된 비개방 하우징의 회전가능한 부분으로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대체로 원통형 본체를 구비하고, 하우징(100)의 본체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마우스피스(102)에 그 하단부에서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대향 단부는 하우징(100)의 나머지에 회전식으로 장착된 캡(104)의 형태인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캡(104)은 윈도우(106)를 포함하며, 이윈도우(106)를 통해 본체(100)내에 보유된 카트리지(108)를 볼 수 있다.
제 4 도 내지 제 7 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08)는 감소된 직경의 상부 부분(112)을 구비한 중공 원통형 코어(110)를 포함하며, 상기 부분(112)에는 상부 구멍(114) 및 일체식 탱(116)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코어(110)는 하부 부분(118)을 포함하며, 이 부분(118)은 상기 부분(112)보다 직경이 크며 상기 부부(112)과 만나는 환형 숄더(120)를 규정한다. 상기 부분(118)은 외접나사산(122), 상부 영역내의 방사상 구멍(124), 두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러그(126, 128)를 포함한다.
코어(110)는 수직 샤프트(130)를 수용하며, 샤프트의 상부 부분은 구멍(114)을 통해 돌출하여 있다. 샤프트(130)의 상부는 샤프트(130)와 캡(104)사이의 회전 키이를 제공하도록 캡(104)의 상부의 하측상의 돌기(136)를 결합하기 위한 슬롯(132)을 포함한다. 샤프트(130)의 바닥에는 플레이트(146)상에 위치된 핀(144)에 결합되어 있는 보스(142)를 활주식으로 결합하는 방사상 슬롯(140)을 구비한 방사상 크랭크 아암(138)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핀은 구멍(124)으로부터 일정하게 이격된 코어(110)내에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플레이트(146)는 조립된 카트리지와 함께 적당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코어의 내부에 부착되며, 핀(144) 및 플레이트(146)는 가이드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며, 이 가이드 수단은 샤프트(130)의 회전이 핀(144)의 축방향 운동을 야기시키도록 설치된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숄더(120)는 코어(110)상에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상부 부분(112)을 둘러싸는 슬리브(150)를 지지한다.
상기 슬리브(150)는 종방향 톱니(152)와, 두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세트의 외부의 종방향 리브(154, 156)를 포함한다.
제 6 도를 참조하면, 투입할 약제는 도면부호(159)(제 3 도 및 제 11 도)와 같은 다수의 나선형으로 배열된 방사상 관통 보어를 포함한 측벽을 구비한 원통형용기(158)내에 보유되며, 이들 각각은 각 일회분의 재료를 수납한다. 측벽의 내외 부 표면은 각 보어 양단부를 밀봉하는 박판의 대응 시트로 피복된다.
코어(110)는 용기(158)의 중심부를 통해 연장하며, 상기 용기(158)는 나사산(122)을 결합하기 위한 부분 나선형 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하단부 캡(160)과, 슬리브(150)와 용기(158)사이에 회전 키이를 제공하도록 리브(154, 156) 세트와 결합하는 두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세트의 슬롯(164, 166)을 포함한 상부 캡(162)을 포함한다.
샤프트(130)의 상부 부분은 샤프트(130)에 대해 회전가능한 래칫 부재(168)를 지지하는 숄더(133)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부재(168)는 캡(104)과 래칫 부재(168)사이를 공전 결합시키기 위해 캡(104)의 하부측내의 아치형 트랙(172 ; 제 9도)내에서 결합하는 상부 보스(170)를 포함한다.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4)은, 코어(110)의 하부 러그(126, 128)가 코어(110)와 하우징(100)사이에 회전 키이를 제공하도록 하우징(100)의 바닥에서 대응 소켓(174, 176 ; 제 3 도 참조)에 결합될 때까지 조립된 카트리지(108 ;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음)가 하우징(100)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나머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 9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나머지에 대해캡(104)이 회전 운동할 수 있는 한계를 규정하는 정지부를 제공하도록 캡(104)내의 하방으로 돌출한 러그(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 상부 리베이트(178)를 포함한다.
러그(126, 128)는 하우징(100)으로부터 코어(110)의 하단부를 이격시켜서, 코어(110)의 내부가 입구(180)로부터 분할된 공기 출구(182)를 포함한 마우스피스(102)의 하부내에 제공된 공기 입구(180)와 연통된다. 용기(158)는 출구(182)로 안내하는 통로를 한정하기 위한 수직 내부 리브(182, 184 ; 제 11 도)를 포함한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기는 코어(110)를 통해, 구멍(124) 및 이들이 구비된 일회분을 보유한 관통 보어를 통해, 그리고 출구 통로를 통해 공기 입구(180)로부터 출구(182)까지 연장한 화살표로 표시한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흡입기로부터 일회분의 약제를 취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말단 위치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까지 그리고 다시 역으로 캡(104)을 회전시켜서, 핀(144)이 관통 보어용 박판 시일을 파열시키게 하고 관통 보어가 출구 통로내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동은 제 10A 도내지 제 10F도와, 제 11A도 내지 제 11F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0A 도는 핀(144)이 후퇴되고 모든 격실이 밀봉되어 있는 초기 상태의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0B 도의 화살표(184)로 표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의 노브(104)의 회전은 대응하는 샤프트(130)의 회전을 야기시키며, 다음에 캐비티(186 ; 제 10B 도)의 내부 시일이 관통될 때까지 핀(144)을 연장시키도록 크랭크 아암(138)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공정중, 핀(170)이 슬롯(172)의 후단과 맞물릴 때까지 래칫 부재(168)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슬롯(172)이 핀(170)쪽으로 이동한다. 그런 후 동일한 방향으로 노브(104)가 더 회전하면 슬리브(15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부재(168)의 대응 회전을 야기한다. 이러한 것이 발생하면, 슬리브(150)의 톱니형 내측 에지와 탱(116)의 맞물림은 슬리브(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허용가능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의 제한이 이루어지면, 부재(168)는 제 10C 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으며 핀(144)은 제 11C 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그 곳에서 내외측 밀봉부를 관통하도록 보어(186)를 관통및 지나 연장한다.
그런 후, 노브(104)는 제 10D 도에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핀(144)이 보어(186)로부터 후퇴되도록 한다. 핀(144)의 후퇴 동안에, 슬롯(172)은 핀(144)이 완전히 후퇴될 때까지 슬리브[150 ; 및 그에 따른 용기(158)]의 대응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스(170)에 대해 이동한다. 더우기, 노브(104)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보스(117)와 슬롯(172)의 결합을 통해 부재(168)를 회전시키며, 다음에 슬리브(150)를 회전시킨다. 슬리브가 용기(158)에 회전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운동은 용기(158)가 코어(110)의 하부(118)상에서 회전하도록 하며, 나사산(122)과 캡(160)의 결합에 의해 부분 나선형 경로를 따라 보어(186)를 포함한 관통보어를 이동시킨다. 이때에, 노브(104)는 제 10F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능한 반시계방향 회전이 한계에 도달하머, 보이(186)에는 출구 통로(제 11F 도)가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2)의 출구(182)를 통해 흡입하면, 장치를 통한 연속적인 공기 흐름은 보어(186)로부터 출구(182)를 통해 출구 챔버내로 약제를배출한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마우스피스(102)는 또한 흡입 동안에 벗어나는 밀봉 박판의 느슨한 부분을 포착하기 위해 격자(190)를 포함한다.
핀(144)은 제 12 도에서 PIN No 1 로서 표시한 형태이다. 제 12 도 및 제 13 도에 도시된 PIN Nos 2 내지 17은 PIN No 1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펀칭 부재이다.
이들 부재(예를 들면, Nos 5 내지 11)의 일부분은 박판 시일내에 플랩을 형성하면서 삽입 동안에 격실로부터 방출된 물질의 양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되도록 전방 절단 에지(측면에서 오른쪽)를 가진다. 이들 플랩은 이동하여 물질이 방출될 수 있지만, 흡입 동안에 박편의 부분 절단이 발생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박판의 나머지에 결합되어 있다.
물질이 사용자가 흡입할 때 출구 통로내로만 방출되고 통로가 있는 보어로부터만 방출되기 때문에 흡입하기 전에 캡을 여러번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과잉 투여하는 위험성이 방지된다.
용기(158)가 제조될 수 있는 한 방법의 예를 후술한다.
제 14A 도 내지 제 14H도를 참조하면, 용기는 약제의 각 투입량을 보유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 보어, 예를 들면 도면부호(202)를 포함한 본체(201)를 구비한다. 명료함을 위해서, 제 14A 도 내지 제 14H 도에 도시된 본체는 이러한 관통 보어를 단지 16개 가지지만, 실제로 많은 수의 관통 보어가 본체(201)내에 있을 수 있다.
용기가 조립되면, 본체(201)는 대체로 원통형상이며, 보어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관통 보어는 본체(201)에 부착된 박판의 외부 시트(204) 및 내부 시트(206)에 의해 밀봉된다.
제 14A 도를 참조하면, 본체(201)는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고 도면부호(201)로 또한 표시한 장방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그 하면은 일정하게 평행한 어레이내에 설치된 다수의 홈(208)을 포함한다. 홈(208)은 플레이트의 폭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스트립(210)과 같은 다수의 평행한 강성 스트립으로 플레이트(201)를 분할하며, 이 스트립의 인접한 쌍은 부분(212)과 같은 대응하는 감소된 두께의 부분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들 부분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물질의 두께는 인접한 스트립이 서로에 인접해 힌지가능할 정도이다. 본체(201)의 관통 보어는 스트립내에 모두 제공되어 있다.
제 14B 도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01)는 다공성 물질의 베드(214)상에 위치되며 대부분 플레이트 상부의 홈이 없는 면을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트(201)의 상부면은 플레이트(201)내의 관통 보어의 각각의 한 단부를 커버하는 한층의 분말 약제(216)로 피복된다.
제 14C 도를 참조하면, 가압된 공기는 각각의 관통 보어내로 물질(216)을 추진하는데 사용되며, 그 동안에 공기는 베드(214)를 통해 보어를 단계적으로 빠져나간다. 베드(214)는 다공성이지만, 물질(216)은 스며들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베드(214)는 물질(216)이 관통 보어로부터 그 하단부까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통 보어가 물질(216)로 충전될 때, 관통 보어내로 통과하지 않은 과잉 물질은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을 가로질러 탄성적으로 가요성인 블레이드(218)를 당김으로서 제거된다. 다음에, 시트(204)는 플레이트(201 ; 제 14E 도)의 상부면상에 가열 밀봉되며, 다음에 시트(206)가 플레이트(201 ; 제 14F 도)의 대향면에 유사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반전된다.
플레이트(201)의 스트립사이의 감소된 두께의 부분에 의해 제공된 신축성은 플레이트가 대체로 원통형상으로 감겨질 수 있게 하며, 스트립은 실린더와, 그 내부면상의 홈(208)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본체(201)가 상기 롤링에 의해 일단 형성되면, 두개의 링형 단부 캡(220, 222)은 실린더의 각 단부에서 하나에 적용된다. 각 캡은 트랙(224)과 같은 환형 트랙을 포함하며, 스트립은 트랙내로 연장되며, 스트립은 이 트랙내에 단단히 끼워 맞춰진다. 따라서, 캡(220, 222)은 본체(201)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가 안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 15A 도 내지 제 15E 도에 도시된 콤포넌트는 제 14A 도 내지 제 14H 도에 도시된 콤포넌트와 일치하며, 대응하는 콤포넌트는 동일한 참조부호에 숫자 30을 더하여 표시했다. 따라서, 용기는 플레이트(231)로부터 형성된 원통형 본체(23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31)는,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 약제가 충전되고 박판(234)의 제 1 시트에 의한 한쪽 측면상에 그리고 반전된 후에 플레이트(231)에 접착된 박판(236)의 제 2 시트에 의한 다른 측면상에서 밀봉된 다수의 관통 보어(232)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31)는 본체(201)의 갯수보다 많은 수의 관통 보어(232)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본체(201)보다 많은 수의 약제 일회분을 보유할 수 있다. 플레이트(231)내의 홈의 각각에 부가하여, 흠(238)은 본체(231)의 롤링을 용이하게하도록 그 원통형 형상체로 테이펴져 있다. 캡(250, 252)은 각각 예를 들면 도면부호(256, 258)와 같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내부 슬롯 장치를 포함하여, 용기 또는 용기가 사용될 흡입기가 회전 코어에 회전식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제 15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보어는 용기가 조립될 때 본체(231)상의 나선형 경로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제 16 도를 참조하면, 용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장치는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이 충전 스테이션에는 원통형 본체를 구성하도록 플레이트(264)에 대응하는 치수를 가진 장방형 상부 플레이트(262)를 포함한 충전 헤드(260)가 제공되어 있다. 직립 외주연 벽(266)은 플레이트(262)로부터 플레이트(264)까지 연장되어, 헤드(260) 및 플레이트(264)가 충전 챔버(268)를 형성하게 한다. 플레이트(262)는 공기 입구(272)와 연통하는 중심 구멍(270)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268)는 구멍(270)과 플레이트(264)사이에 위치된 화산기(274)를 보유하고 있다. 헤드는 입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분말 물질은 상기 입구를 통해 확산기(274)와 플레이트(264)사이의 챔버(268)내로 도입된다.
사용시에, 공기는 구멍(270)을 통해 챔버(268)내로 도입되고, 챔버(268)내의 분말 물질을 유체화시키며, 챔버내의 공기 압력을 증가시킨다. 공기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서 플레이트(264)내의 관통 보어를 통해 그리고 다공성 베드(216)를 통해 챔버를 벗어나 유동하게 하며, 플레이트(264)는 상기 다공성 베드(216)상에 지지된다.
이러한 공기 유동은 관통 보어내로 물질을 추출하여 관통 보어를 충전시킨다.
확산기(274)는 분말 베드상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여, 도입 공기가 분말 형태로 구멍으로 분출되는 경향을 방지한다. 확산기(274) 및 베드(276)는 유사한 다공성 물질이다.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260)는 플레이트(264)로부터 멀리 측방으로 이동되며, 박판 밀봉 물질의 시트(280)는 박판 공급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264)상에 위치되며, 상부 히터 블럭(282)은 또한 플레이트(264)와 함께 이동하며, 다음에 플레이트상에 박판(280)을 밀봉하도록 박판(280) 및 플레이트(264)상으로 수직으로 하강한다.
본 장치는 박판 시트가 동일한 방법으로 대향 측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264)를 반전시키기 위한 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원통형 형태로 플레이트를 감기 위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Claims (16)

  1. 일회분의 미립 물질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하우징내의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 입구와 연통하는 마우스피스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보유된 원통형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며, 각각의 격실은 각 일회분의 미립 물질을 보유하며,
    상기 장치는 연속 격실을 공기통로내로 이동시키도록 공기통로에 대해 용기를 이동시켜서 일회분 약제를 용기로부터 방출할 수 있게 하는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실은 용기의 축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나선형 경로를 규정하도록 서로 일정하게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일부분은 용기내의 축방향 통로를 따라 연장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일부분은 용기의 길다란 축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다수의 방사상 보어를 구비한 원통형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어의 각각은 각 격실을 구성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하우징내에서 각기 회전가능한 내외부 동축 튜브와,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공간을 규정하는 튜브사이의 나선형으로 연장하는 플랫폼과, 상기 내외부 튜브의 벽에 공기의 통로를 위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은 나선형 경로상에 위치한 상기 격실을 규정하도록 분할되어 있으며 각기 개별적인 일회분의 분말 약제를 보유하며, 상기 구멍은 공기통로의 경로에 위치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대응하는 격실내에 일회분 물질을 보유하기 위한 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수단은 격실을 커버하는 하나 이상의 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분말 물질이 선택된 격실로부터 투여될 수 있도록 상기 또는 각각의 박막을 파열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공동으로 상호 작동 가능한 작동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의 운동은 시일을 파열시키기 위해 작동 수단 및 관통 수단을 작동시키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부재는 하우징의 회전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부재는 인덱싱 스트로크 및 리턴 스트로크를 가지며, 작동기가 리턴 스트로크 동안에 어떠한 인덱싱 작동이 발생함이 없이 용기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래칫 작동 수단을 작동기 부재가 구비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다른 부분에 대해 하우징의 일부분이 회전할 수 있는 허용가능한 범위는 정지 수단에 의해 제한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스트로크의 길이가 분말 약제의 격실사이의 공간의 길이에 대응하며, 상기 격실은 상기 나선형 경로 둘레에서 서로 인접한 연속체로 배열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하우징의 고정부의 단부상의 피팅(fitting)을 구성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입구가 상기 피팅상에 또한 제공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장치용의 교체 카트리지를 구성하며, 하우징의 회전가능한 부분은 제거가능한 커버를 구성하며, 이 커버는 끼워맞춰질 때 인덱싱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상에 회전식으로 위치되지만, 제거될 때 소비한 카트리지를 제거 및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일회분의 미립 물질 투여 장치.
  16. 제 1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한 흡입기용 교체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다수의 개별 격실을 구비한 원통형 용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격실은 나선형 경로내에 설치된 소정의 일회분 분말 약제와,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흡입기에 의해 제공된 외부 회전형 드라이브에 용기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보유하는 흡입기용 교체 카트리지.
KR1019960703208A 1993-12-18 1994-12-09 일회분의미립물질투여장치및흡입기용교체카트리지 KR100326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9325835A GB9325835D0 (en) 1993-12-18 1993-12-18 Device for administering single doses of a medicament
GB9325835.8 1993-12-18
GB9409841A GB9409841D0 (en) 1993-12-18 1994-05-17 Device for administering single doses of a particulate material
GB9409841.5 1994-05-17
PCT/GB1994/002716 WO1995016483A1 (en) 1993-12-18 1994-12-09 Powder inha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6780B1 true KR100326780B1 (ko) 2002-07-22

Family

ID=1074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208A KR100326780B1 (ko) 1993-12-18 1994-12-09 일회분의미립물질투여장치및흡입기용교체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326780B1 (ko)
GB (2) GB9325835D0 (ko)
RO (1) RO117070B1 (ko)
RU (1) RU2139104C1 (ko)
UA (1) UA5071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2111398A (ru) * 2002-04-29 2003-12-10 Алина В чеславовна Червинс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сухого аэрозоля и сменный патрон для него
UA102123C2 (uk) * 2008-11-06 2013-06-10 Медіспрей Леборетеріз Пвт. Лтд Інгаляційний пристрій (варіанти)
EP2719420A1 (en) * 2012-10-12 2014-04-16 Becton Dickinson France Adaptor for a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said adaptor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409841D0 (en) 1994-07-06
RO117070B1 (ro) 2001-10-30
RU2139104C1 (ru) 1999-10-10
UA50712C2 (uk) 2002-11-15
GB9325835D0 (en) 199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7489B2 (en) Powder inhalator
KR100347467B1 (ko) 개선된입상물질용용기
JP3317823B2 (ja) 投薬器
KR100244690B1 (ko) 분말상 약제 멀티도스 시약장치
US9974909B2 (en)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RU2332240C2 (ru) Магазин-дозатор с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м отмериванием для ингалятора сухого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средства
EP0928618B1 (en) Powder inhaler
EP1207926B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AU2001260379B2 (en) Inhaler with a dose counter
US5301666A (en) Powder inhaler
KR100352514B1 (ko) 분말흡입기
HU225186B1 (hu) Porinhaláló eszköz és eljárás
KR100326780B1 (ko) 일회분의미립물질투여장치및흡입기용교체카트리지
US20040060557A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doses of particulate material
RU2533727C1 (ru) Ингалятор
US20040177848A1 (en) Multi-compartment inhaler
RU9611504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однократных (разовых) доз вещества в виде твердых частиц
CN115835849A (zh) 口服剂型的递送装置
HU210758B (en) Device for dosing powdered medicament and inha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