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607B1 - 3상드로틀전류장치 - Google Patents

3상드로틀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607B1
KR100324607B1 KR1019940038794A KR19940038794A KR100324607B1 KR 100324607 B1 KR100324607 B1 KR 100324607B1 KR 1019940038794 A KR1019940038794 A KR 1019940038794A KR 19940038794 A KR19940038794 A KR 19940038794A KR 100324607 B1 KR100324607 B1 KR 10032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ower line
contactor
distribution circui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934A (ko
Inventor
랄프매슨에니스
제임스알란트락스
윤코니키치엔
Original Assignee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6432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46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존 씨. 메티유,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존 씨. 메티유
Publication of KR95002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6Current limitation using PTC resistors, i.e. resistors with a large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25Disconnection after limiting, e.g. when limiting is not sufficient or for facilitating dis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Details Of Resistors (AREA)

Abstract

컨텍터 외부의 전류 드로틀 저항기가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한다. 컨텍터는 부하와 전력선에 직렬 연결되는 전기적으로 스위칭하는 접점, 예를 들어 접점을 개방하기 위한 제어 가능형 스위치를 갖는다. 전류센서가, 배전회로에서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고전류 장애 발생시 접점을 개방시키는 제어가능형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전력선과 부하 사이에서 배전회로에 직렬 연결되는 저항소자는, 고전류 장애중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전압을 강하시킨다. 저항소자는 니크롬 스트립, 또는 이와 유사하게 낮은 냉저항을 갖는 양의 온도계수 저항 장치일 수 있으며, 컨텍터 외부의 저항기 하우징에 설치함으로써 제어가능형 스위치와 단열되어 있다. 저항을 최대화 하고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니크롬 스트립은 컨텍터의 부하측에서 배전회로의 연결을 위해 저항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두 도선 사이에서 타원형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Description

3상 드로틀 전류장치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분야, 특히 단락과 같은 장애발생시 차단기가 전류흐름을 제한하도록 컨텍터 및 부하(load)와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류장애상태로부터 전기회로 및 부하를 보호하는 장치는 흔히 부하를 전력선에 접속시키는 제어가능형 컨텍터(contactor)와 연관된다. 교류모터기기에 있어서, 컨텍터 배열부는 일반적으로 모터 기동장치라 불린다. 일반적인 전력배전망에 있어서, 이는 통상 컨텍터라 불린다. 다상회로에 있어서, 컨텍터는 부하와 전력선을 접속 및 분리시키도록 전자기적으로 작동되는 다수 세트의 관련 접점을 갖는다.
부하와 전력선의 접속 및 분리를 위한 온/오프 제어외에, 감지회로는 여러 접점을 통해 전력선에서 부하로 흐르는 전류도 감시한다. 감지회로는 장애상태 검출시 전력선으로부터의 부하 분리를 개시하는 트립신호를 발생 시킨다.
회로보호장치는 단락으로 인한 단기과전류, 과부하를 나타내는 장기과전류, 접지장애, 위상불균형 또는 그와 유사한 상태와 같은 장애상태에 응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장애검출회로는 컨텍터가 전력선과 분리되도록 하는 개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부 형태의 임계값 응답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최신 컨텍터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의 논리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어서 관련회로에 대한 컨텍터의 작동을 조절한다.
너무 민감하여서 임계값 응답전류 감지소자의 출력상태 변화에 의해 검출되는 어떤 임계값에 전류가 도달할 때, 즉 트립신호상의 최소 펄스에 즉각 트립하는 컨텍터의 트립회로를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펄스는 실제 장애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잡음 스파이크(noise spike)와 같은 비정상신호일 수도 있다. 트립회로는, 이런 비정상신호로 인한 성가신 트립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통상 가능한 것 보다 더 천천히 트립을 개시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컨텍터, 예를 들면 전류임계값 센서와, 연관된 임계값 응답 감지수단은 일정한 타이밍을 고려하여 배열된다. 고전류 임계값 이상의 부하전류를 감지함으로써 검출되는 즉각적인 단락은 보다 신속히 트립을 발생시키며, 소정시간동안 지속되는 저전류 임계값은 열적 과부하를 나타낼 수 있으며 트립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신속한 고전류 임계값 장치의 경우라도, 소정 임계값 이상의 전류 레벨은 감지장치 스위치 상태로 최소시간동안은 지속되며, 필수적 구동신호가 발생하여 접점들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회로를 개방한다.
전류장애개시와 회로 차단 사이의 시간동안, 컨텍터, 부하 장치(load device) 및/또는 전력배전선에 대해, 예를들면 저항열 및 아크발생에 따른 손상 발생 가능성이 있게 된다. 또한, 일단 고전류가 흐르게 되면, 보호접점들이 개방됨에 따라 서지 전압을 유도하고, 이것이 양 접점에서 아크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극단의 경우, 접점은 아크발생으로 인해 융착될 수 있으며, 전원에 더욱 가까운 지점에서의 트립을 필요로 하게 된다. 아크는 접점을 부식시키며 연이은 수회의 트립의 경우 서로 인접하는 양 접점은 이 부식에 의해 상태가 변하여 컨텍터의 기계적 작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고전력 배전시스템에 있어서 중대한 문제이다.
컨텍터의 부하쪽에서의 직접적인 단락의 발생시, 여러 전력도선 사이의 병렬저항은 거의 없다. 접점과 부하에 본원 발명의 경우처럼 직렬로 저항을 위치시킴으로써, 단락전류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부하의 저항이 여러 도선의 단락저항보다 몇배 더 큰 반면, 전류제한 직렬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상당량의 전력을 소실시키거나 부하에 실제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부하의 정상 작동시, 전력선 전압의 대부분은 부하를 통하게 된다. 부하전압이 단락에 의해 갈라지면 전력선 전압의 대부분은 전류제한 직렬저항기를 통하게 된다.
따라서, 전류제한 직렬저항기를 사용하면, 단락전류가 감소됨으로써, 장애발생중 접점들이 개방됨에 있어 컨텍터의 접점이 보호된다. 직렬저항은 작다고는 해도, 여러 직렬저항을 통한 전압강하 및 열형태의 에너지 소산(dissipation)이 있게 된다. 물론, 장애가 발생하고 전류레벨이 상승하면 그에 따른 전류제한 직렬저항에 의한 소산열의 증가가 있게 된다. 이 열은 그 자체로 문제가 되며, 컨텍터에 손상을 초래하거나, 컨텍터가 고체상태의 소자 또는 논리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스위치소자 및 논리소자가 통전되지 않아야 할 때 계속 통전되는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직렬저항은, 컨텍터 하우징 외부의 하우징에 배열되며, 니크롬 스트립(nichrome-strip)과 같은 양의 온도계수(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저항을 포함한다. 니크롬 물질은 저항발열체로 알려져 있다. 이런 소자의 저항은 온도가 낮을 때 최소로 된다. 가열, 특히 적열상태로 가열될 때, 저항은 급증한다. 보호저항은 컨텍터의 하우징과 단열되는 저항로(resistive-furnace) 또는 램프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에 배열되는 한편, 여기서 소산된 열은 컨텍터 및 그 제어논리소자로부터 격리되어 부하와 관련 도선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컨텍터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제어 및 스위칭부와 단열되어 있는 하우징내 열을 소산시키는 양의 온도계수 보호저항 소자를 회로보호장치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류 장애시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연관된 전기 부하의 저항보다 상당히 더 작은 냉저항(cool resistance)을 갖는 절연 니크롬 또는 이와 유사한 저항소자를 보호 컨텍터 및 부하와 직렬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균일한 열소산이 최소화되도록, 균일한 단면을 유지하고 칫수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보호저항소자의 저항은 최대화 시키는 것이다.
이들 및 그 외의 목적들은,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시키는 전력배전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컨텍터 장치 외부의 전류 드로틀 저항기(current throttle resistor)에 의해 달성된다. 컨텍터는, 부하 및 전력선에 직렬로 배열되는 전기스위칭 접점 및, 예를 들면, 접점을 개방하기 위해 전자기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치를 갖는다. 전류센서는,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배전회로에 고전류 장애발생시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한 제어가능형 스위치에 연결된다. 전력선과 부하 사이의 전력 배전회로에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소자는, 고전류 장애중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전압을 강하시킨다. 저항소자는, 니크롬 스트립(nichrome-strip) 또는 낮은 냉저항을 갖는 양의 온도계수의 저항체일 수 있으며, 접촉기 외부의 저항기 하우징에 설치함으로써 제어 가능형 스위치와 단열된다. 저항을 최대화하고 점유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니크롬 스트립은 저항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도선 사이에서 타원형 원호형태로만곡되며 접촉기의 부하쪽 회로내로 연결되어 들어간다.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측면과 기타의 측면은, 그에 대한 첨부의 설명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시와 실시예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설명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떤 예시적인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의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배전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저항소자에 대한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도.
도 3은 컨텍터 하우징 외부에 부착된 하우징내 저항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우징 및 저항소자의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단말 도선의 스페이서가 장착 절연체인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22 : 부하 24 : 전력선
30 : 컨텍터 34 : 제어스위칭수단
도 1의 개략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부하(22)를 전력선(24)에 연결시키는 전력배전 전기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드로틀장치(20)에는, 부하(22) 및 전력선(24)과 직렬연결된 전기 스위칭 접점(32) 및 접점(32)을 개방시키기 위해 연결된 제어 가능형 스위칭수단(34)이 내장된 컨텍터(30)가 포함된다. 이 컨텍터의 회로는 통상적으로 컨텍터, 모터 기동장치 등에 포함되어 있으며 다소 복잡할 수도 있다. 최소한, 컨텍터 회로에는 배전회로에서 소정의 임계값을 넘는 고전류의 장애 발생시 접점(32)을 개방시키기 위해 제어가능형 스위칭수단(34)에 연결된 전류센서(36)가 포함되어 있다.
컨텍터 회로는, 전류 임계값에 따라 접점을 개방, 즉 트립시키기 위해 다양한 임계값 및 다양한 시간조절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에서 고전류 장애 임계값 검출수단에는 전력선(24)으로부터 부하(22)를 분리시키기 위해 접점(32)을 개방시키도록 배열된 릴레이코일(44)에 전원을 연결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42)를 구동시키도록 배열된 임계값 검출기(40)에 연결된, 전류레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하기위한 전류감지코일(38)이 포함되어 있다. 고전류레벨이 검출되어 접점(32)을 개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지만, 본 장치의 것이 통상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저항소자(5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전력선(24)과 부하(2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배전회로에 직렬로 배치되어 단락 또는 유사한 전류 장애시 통과전류(let-through current)를 감소시킴으로써 컨텍터(30) 및 각 도선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저항소자(50)는 부하(22)와 직렬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어서 정상작동중 저항소자(50)의 저항으로 인해 부하(22)를 흐르는 전압에 약간의 강하를 초래한다. 그러나, 저항소자(50)의 저항은 부하(22)의 저항에 비하면 최소이다. 따라서, 정상상태시 전력선 전압의 대부분이 부하(22)에 인가되므로 저항소자(50)는 가열되지 않는다.
한편, 컨텍터(30)에 대해 전력회로의 부하쪽에 단락 또는 그와 유사한 장애가 발생되면, 전력선(24)은 훨씬 작은 부하저항을 받는다.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컨텍터(30)가 작동하여 접점(32)을 개방할 때까지 크게 증가한다. 이 시간동안 보호저항소자(50)의 저항은, 전력선(24)에서 보이는 저항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나머지는 도선에 대한 직렬저항 및 단락이나 기타의 전류장애와 관련된 저항이다. 전력선의 전체전압이 보호저항소자(50)에 상당히 인가된다. 비록 전류가 상당하다고 해도, 보호저항소자를 삽입하면 장애전류의 레벨이 감소되어 전력선, 컨텍터(30) 및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접점(32)과 단락 또는 기타의 장애지점 사이의 도선들이 보호된다. 고전류 장애시 전류를 제한 또는 억제함(throttling)으로써, 저항소자(50)는, 발화의 가능성과, 아크발생으로 인한 접점(32)의 심한 부식 가능성, 및접점(32)이 서로 융착되어 전원에 더욱 가깝게 위치한 회로차단소자(도시하지 않음)의 트립을 일으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항소자(50)는 컨텍터(30), 특히 그속에서 제어가능형 스위칭수단(34)과 단열된다. 저항소자(50)는, 도 2의 선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이 온도에 따라 증가하도록 양의 온도계수를 가질 수 있으며, 컨텍터(30)용 하우징(53)의 외측에 배열시켜 저항소자(50)에서 저항열에 의해 소산되는 임의의 열에너지가 온도 증가로 인해 손상 또는 작동하지 않게 될 수 있거나, 열로 인해 녹을 수 있는 컨텍터(30) 및 컨텍터 부분품 또는 그 하우징(55)으로부터 항상 격리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소자(50)는, 도 1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자세히 도시한 것처럼, 그 자체에 대한 별도의 하우징(55)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소자(50)용 하우징(55)은 컨텍터 하우징(53) 외측에 있으며, 둘중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접촉되는 정도에 맞추어 열에 의해 손상받을 가능성이 없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또한, 전기적으로는 비전도성이나 열적으로는 전도성인 열전달 겔(heat transfer gel)을 발생열의 분산을 위해 하우징(55) 내에 둘 수 있다.
양의 온도계수를 갖는 적절한 저항소자는 니켈-크롬 합금, 즉 " 니크롬 "으로 된 스트립(strip)으로 구성된다. 이 재질은 저항로등에 가장 흔히 사용되나 전류 드로틀 장치에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니크롬 재질은, 이 재질이 가열로 인해 적외선 에너지를 방사하는 온도까지 저항을 상당히 증대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니켈-크롬 합금은 중량으로 30% 까지의 크롬에서 고용체를 형성한다. 니켈에 크롬을첨가하는 것은 설명한 바람직한 양의 온도계수 저항특성 뿐만 아니라 강도, 내식성, 내산화성 및 내고온부식성을 증가시켰다. Reychem 사의 POLYSWITCH 재질을 포함하는 중합체 재질 같은 다른 양의 온도계수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니크롬 스트립의 저항소자(50)는 원호 형상으로 구부려진 길이 또는 원호(56)를 따라 균일한 단면적을 갖는다. 도 3∼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크롬 스트립 저항소자(50)는 여러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각 경우에 있어서 저항소자(50)는 상기 길이를 따라 균일한 단면적을 가지며 균등질의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손상받기 쉬운 부분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저항소자를 원호형상으로 하여 길게 연장시킴으로써, 동일재질의 직선형상에 비해 저항의 양이 증가하고 발열면적이 확대 된다.
저항소자의 원호(56)는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두 도선(58)사이에 배치되어 이 두 도선에 전기 접속된다. 특히, 도선(58)을 지지하기 위해 저항소자 및 그 하우징(55)을 조립하는 도중에 전기절연 스페이서(62)를 두 도선(58) 사이에 넣어서 두 도선(58)을 눌러서 하우징(55)에 대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 도 5의 실시예에서, 저항소자의 원호(56)는 직각으로 구부러진 리드선(58)의 내향측부(64)를 따라 U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붙어 있다. 이 배열은, 저항소자(50)와 도선(58) 사이의 접촉면적(66)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거나 저항소자가 U자 형상의 양쪽 다리부(legs)를 따라 두 도선의 기둥(post)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저항소자(50)로부터 도선(58)내로 전달됨으로써 드로틀장치(20)가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도선(도시하지 않음) 내로 전달되는 어떤 열전달이 있게 된다.또한, 도선(58)의 상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나 있는 어떤 영역을 따라 저항소자(50)와 도선(58) 사이에 전기접촉이 있을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드로틀장치(20)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모두 저항소자(50)의 전길이를 통해 흐르게 되는 것은 아니다. 도선(58)에 대한 저항소자(50)의 밀착접촉은 도 5에서처럼 U자 형상을 다소 사각형화 함으로써 증가되어, 이로 인해 저항소자(50)를 최대로 사용하지는 않지만, 저항소자(50)로부터 전도에 의해 열은 최대로 추출된다. 택일적으로, 저항소자(50)가 도선(5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저항소자(50)의 전길이를 사용하면서 열전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저항소자(50)는 도선(58) 양단부의 내향만곡부(68)에서 도선(58)에 부착되어 연결 탭(tabs)(72)을 형성한다. 이 배열에서, 길쭉한 U자 형상이 가능하며, 저항소자(50)는 도선(58)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진 채로 양 극단부에서만 부착된다. 이 부착은 납땜(brazing)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 스크류 또는 리벳, 또는 열에 견디며 양호한 전기 및 기계적 연결을 적절히 할 수 있는 기술에 의해서도 역시 가능하다.
저항소자(50)에 부착된 도선(58)은 저항소자 하우징(55)의 벽을 따라 위치한다. 따라서, 하우징(55)은 금속 또는 고온수지, 예를 들면 페놀수지와 같은 비교적 고온의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소자 하우징(55)은 컨텍터 하우징(53) 외측에 있게 되며, 컨텍터(30)의 부하쪽에서 배전회로에 연결되고, 도선(58)은 저항소자 하우징(55)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각각 컨텍터(30) 및 부하(22)로 연결되는 하우징(55)의 외측수단을 형성한다.
배전회로의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예를들면 15∼150 암페어의 전류 임계값에서 트립시키기 위해, 니크롬 소자는 0.020∼0.078 인치의 두께 및 0.375∼0.50 인치의 폭을 갖는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수가 비교적 작으면 비교적 작은 전류 임계값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스트립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상으로 만곡되어 원하는 드로틀 저항에 대해 필요한 길이를 제공한다. 앞에서의 여러 변형 및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또 다른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당업자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언급된 여러 변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타적 권리가 주장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앞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보호 저항이 컨텍터의 하우징과 단열되는 외부 하우징에 배열되는 한편, 이 보호 저항에서 소산된 열은 컨텍터 및 그 제어논리소자로부터 격리되어 부하와 관련도선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컨텍터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저항소자를 컨텍터 및 부하와 직렬 연결시켜 고전류 장애시 전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저항 소자가 원호 형상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단면적을 갖게 함으로써 집중적으로 가열되어 손상받기 쉬운 부분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제한된 공간내에서 원호 형상의 저항소자를 설치함으로써 저항 재료에 대한 전류제한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비교적 더 긴 길이의 저항재료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전체배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상기 부하 및 전력선과 직렬로 연결된 전기 스위칭 접점을 갖는 컨텍터와, 상기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접점을 개방시키는 제어가능형 스위칭 수단과,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류가 배전회로에서 발생할때, 상기 접점을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가능형 스위칭 수단에 연결된 전류센서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전력선과 부하사이에서 배전회로에 직렬 연결되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류가 발생되는 동안 이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전압을 강하시키며, 열을 균일하게 소산시키기 위한 열소산 수단을 포함하는 저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소산 수단은 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소산 수단은 균일한 단면을 갖는,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소산 수단은,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두 도선 사이에서 이 두 도선에 전기적으로 부착되며, 전기 절연 스페이서가 상기 두 도선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소산 수단은, 0.020∼0.078 인치의 두께 및 0.375∼0.50 인치의 폭을 갖는 스트립(strip)을 포함하며 소정의 임계값이 15∼150 암페어인 니크롬 소자를 포함하는,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이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부하를 전력선에 연결하는 배전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KR1019940038794A 1993-12-30 1994-12-29 3상드로틀전류장치 KR100324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157 1993-12-30
US08/176,157 US5519558A (en) 1993-12-30 1993-12-30 Three phase throttle current tech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34A KR950021934A (ko) 1995-07-26
KR100324607B1 true KR100324607B1 (ko) 2002-06-26

Family

ID=2264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94A KR100324607B1 (ko) 1993-12-30 1994-12-29 3상드로틀전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19558A (ko)
EP (1) EP0661790B2 (ko)
JP (1) JPH07274377A (ko)
KR (1) KR100324607B1 (ko)
AU (1) AU689161B2 (ko)
DE (1) DE69406902T3 (ko)
ZA (1) ZA9410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4438A1 (de) * 1996-04-12 1997-12-11 Abb Patent Gmbh Elektrisches Installationsschaltgerät
AU3597997A (en) 1996-07-16 1998-02-09 Ewd L.L.C.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s
US6349022B1 (en) 1998-09-18 2002-02-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atching protection circuit
DE29909206U1 (de) 1999-05-28 2000-10-05 Ellenberger & Poensgen Schutzeinrichtung
DE10108548A1 (de) * 2001-02-22 2002-09-26 Siemens Ag Stellvorrichtung für einen Motor
US7128446B2 (en) * 2003-09-11 2006-10-31 Lsi Industries, Inc. Luminaire reflector
CN107332573B (zh) * 2017-07-25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射频电路、天线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618A (en) * 1974-04-29 1979-12-11 Square D Company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
US4475138A (en) * 1980-04-21 1984-10-02 Raychem Corporation Circuit protection devices comprising PTC element
IT8153530V0 (it) * 1981-08-07 1981-08-07 Aspera Spa Gruppo di alimentazione e protezione di un compressore ermetico di una macchina frigorifera con regolazione termostatica
DE3686851D1 (de) * 1985-07-15 1992-11-05 Siemens Ag Elektrische installationsverteilung.
US4683515A (en) * 1985-11-20 1987-07-28 Eaton Corporation Modular PTC thermistor overload protection system
KR910001317B1 (ko) * 1985-12-23 1991-03-02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반도체소자의 보호회로
FR2653593B1 (fr) * 1989-10-20 1995-11-24 Merlin Gerin Telerupteur a dispositif de limitation de courant ref. 17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9558A (en) 1996-05-21
DE69406902T2 (de) 1998-06-18
DE69406902T3 (de) 2002-01-03
ZA9410330B (en) 1995-09-13
EP0661790B1 (en) 1997-11-19
KR950021934A (ko) 1995-07-26
JPH07274377A (ja) 1995-10-20
EP0661790A2 (en) 1995-07-05
EP0661790B2 (en) 2001-05-23
AU689161B2 (en) 1998-03-26
EP0661790A3 (en) 1995-11-22
AU8173794A (en) 1995-07-06
DE69406902D1 (de) 199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0227B1 (en) Flexible heating panel and control unit
US5801914A (en) Electrical safety circuit with a breakable conductive element
US5510946A (en) Circuit breaker protection against "arc short circuit" hazards
EP0270370B1 (en) Electrical heaters
KR101116087B1 (ko) 보호 장치
US5473495A (en) Combination load controller
US4459632A (en) Voltage-limiting circuit
US20150270086A1 (en) Surge protector with safety mechanism
EP0809267A2 (en) Circuit breaker incorporating trip coil as shunt resistor in parallel with current limiting polymer
US4278874A (en) Heating circuits
KR100324607B1 (ko) 3상드로틀전류장치
JP2000516798A (ja) 回路保護装置
GB1604111A (en) Overload prevention circuit for an electric motor
CA1156300A (en) Electric blanket safety circuit
US20030043519A1 (en) Over-voltage protection and disconnect circuit apparatus and method
CN110785822A (zh) 具有保险元件的电器件
JPS628419A (ja) 過熱防止装置付回路遮断器
GB2028608A (en) Heating circuits
JPH1197215A (ja) バリスタおよびバリスタ内蔵電源装置
JP4146063B2 (ja) 配線用遮断器
JPH10285790A (ja) 過電流保護装置
US20020196120A1 (en) Non-energy limiting class 2 transformer with positive temperature protection
GB2157514A (en) Electrical heating circuits
KR200327364Y1 (ko) 테스트용 단자를 구비한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IE47536B1 (en) Heating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