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848B1 - 분산의보상 - Google Patents

분산의보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848B1
KR100322848B1 KR1019980701137A KR19980701137A KR100322848B1 KR 100322848 B1 KR100322848 B1 KR 100322848B1 KR 1019980701137 A KR1019980701137 A KR 1019980701137A KR 19980701137 A KR19980701137 A KR 19980701137A KR 100322848 B1 KR100322848 B1 KR 10032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ssentially
transmitted
modulated signal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60A (ko
Inventor
안더스 드접스조오박카
Original Assignee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에를링 블로메, 타게 뢰브그렌
Publication of KR1999003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9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 G02B6/29392Controlling dispersion
    • G02B6/29394Compensating wavelength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13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 H04B10/2513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chromatic dispersion using pulse shaping at the transmitter, e.g. pre-chirping or dispersion supported transmission [D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04B10/2572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due to forms of polarisation-dependent distortion other than PM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분산매체에서 광 신호의 송신시에, 신호들은 광섬유에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두 모드로 동시에 송신된다. 신호 중 하나는 진폭 변조기(3)에 의해 변조된 첩 (chirp) 되지 않은 진폭 변조된 신호이고 그리고 다른 신호는 위상 변조기(5)에 의해 변조된 위상 변조된 신호이다. 수신신호는 두 신호의 진폭 변조된 기여의 합으로 형성된다. 광섬유 시스템에서, 동일한 광섬유 내에서 두 개의 직교하는 편파 모드가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높은 비트율과 장거리에 걸친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의 보상{Compensation of Dispersion}
분산매체에서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되는 심볼(symbol)들은 높은 데이터율(date rate)로 왜곡되게 된다. 즉, 송신된 심볼은, 시간이 맞추어진 심볼의 지속시간이 연장되도록, 심볼이 송신되는 매체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높은 데이터율에서는 송신된 심볼이 이전에 송신된 심볼과 후속으로 송신된 심볼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심볼간 간섭으로 인해, 수신기에서 고장결정에 대한 위험율이 허용된 소정값을 초과하지 않을 만큼의 장거리에 대해서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신호가 송신될 수 있는 거리, 또는 신호가 중계기(repeater)에 의해 중계되어야만 하는 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하여, 신호가 분산매체에서 송신될 때 신호에 부과되는 왜곡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로에 직교모드, 특히 직교편과 모드(orthogonal polarization mode)로 관련된 2개의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유럽특허출원 EP-A1 2 312 190호에는 하나의 편파 모드에서 직교편파 모드로광파를 변환시키는 전자-광 변환기(electro-optical converter), 예컨대 TE-TM-변환기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출원의 한 특징에 따른 장치는 두 개의 직교 편파 성분(component)으로 분할되는, 편파된 광파에 의해 반송되는 진폭 변조된 입력신호의 위상을 제어한다. 상기 성분들간의 상대 지연(relative delay)은 진폭 변조된 신호 위상의 시프트(shift)에 따라 유도된다.
영국특허출원 GB-A 2 202 172호는 진폭 변조된 광 신호에 대한 위상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광 TE-TM 변환기는 진폭 변조된 평면 편파광(plane polarized light)을 제어된 진폭비로 직교-평면-편파 부분(orthogonal-plane-polarized portion)으로 분할한다. 복굴절 도파관(birefringent wave guide)은 두 부분 사이의 상대지연이 진폭 변조주기의 1/4 사이클과 같게 되도록 유도한다. 광 검출기는, 두 부분에 의해 반송되는 신호의 백터 조합으로 되는, 상기 진폭비에 따라 위상 시프트된 신호의 위상을 생성한다.
미국특허 US-A 4,750,833호에는 시험될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re)의 송신분산의 측정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색 분산(chromatic dispersion) 및 편파분산(polarization dispersion)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분산이 측정될 수 있었다.
미국특허 US-A 4,793,676호는 직교 편파모드 간의 광을 결합시키는 광섬유, 음향-광 진폭 변조기를 보여준다.
특허 US-A 4,893,352호는 변조된 신호용 광 송신기가 기술되어 있다. 공통 도파관상의 직교 광 신호들은 분할 도파관(split wave guide)에서 광을 분할시키고, 분할된 신호중 적어도 하나를 변조시키고 신호들을 재 조합시킴으로써 구해진다. 신호중 하나는 주파수, 위상 또는 진폭 변조될 것이다.
미국특허 US-A 5,078,464호에는 광 논리 장치가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는 출력이 솔피톤 전파(soliton propagation)를 지원할 수 있는 분산 소자에 입력되는 비선형 시프트 또는 "칩(chip)"소자에 적절한 신호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디지털 논리기능이 구현된다. 두 개의 직각으로 편파된 펄스들이 비선형 칩장치로서 작동하는 알맞은 복굴절 광섬유의 조합에 공급된다.
선행기술에 따라 제공된 기술로, STM-16 레벨(Synchronous Transfer Mode Level 16, 즉 약 2.5Gbit/s)에서의 성능은 직접변조 레이저에 대해 60킬로미터의 중계거리를 가지고, 프레첩된(prechirped) 외부변조기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성능은 STM-64레벨(Synchronous Transfer Mode Level 64, 즉 약 10Gbit/s)에서 약 75킬로미터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한에 대한 이유 중 하나는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펄스분산이다.
광섬유망에서 송신된 신호들에 부과된 왜곡을 감소시키는 다른 방법들로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주목할 만한 두 개의 주된 카테고리가 있다.
1. 송신 레이저를 주파수 변조시킨 다음 외부변조기에서 진폭 변조를 하거나 또는 외부변조기에서 주파수와 진폭 변조를 동시에 하는, 송신기의 프리처핑 (prechirping).
2. 신호경로를 따라 분산 보상섬유(dispersion compensating fibres)를 유도함으로써 거의 분산이 없는 광섬유 라인의 생성.
상기 제안된 방법에 따라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은 실험실에서 테스트가 이루어졌지만,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오늘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가장 무난한 방법들이다.
본 발명은 광섬유와 같은 분산매체(dispersive medias)에서 광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광섬유 링크에서 송신을 위한 송신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정방형 공동 도파관(quadratic cavity wave guide)에서 두 개의 우세한 직교편파 모드의 개략도.
도 3a 및 3b는 진폭 변조와 위상 변조를 각각 나타내는 위상 벡터도.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매체, 특히 광섬유 케이블에서 장거리 데이터송신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광섬유 라인에서 높은 비트율과, 현재 기술로 가능한 거리를 넘는 거리로 송신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은 본 발명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청구범위에 주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매체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신호가 분산매체를 통해 전파될 때 신호에 부과될 왜곡을 보상을 하기 위하여 선 왜곡(predistorted)된다.
선 왜곡은, 송신되는 신호가 첩(chirp)이 없이 진폭 변조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할 수 있고, 동시에 선 왜곡은 송신된 신호가 위상 변조도 된다는 사실에 의해 생성된다. 그 후에 이들 두 신호, 즉 진폭 변조된 신호와 대응하는 위상 변조된 신호들은, 동등하게 큰 전파속도(propagation velocity)를 가지는 상이한 모드에서 송신된다. 위상 변조된 신호는, 매체에서 송신 중에 진폭 변조된 신호에 부과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사용된다. 보상은, 위상 변조된 신호로부터의 진폭 변조 기여(amplitude modulated contribution)를 진폭 변조된 신호의 진폭 변조된 기여에 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신기 내에서 두 신호의 진폭 기여의 합이 형성된다.
특히, 예를 들어 단일모드 형태의 광섬유에서, 사용된 두 모드는 두 개의 직교편파 모드일 수가 있어서, 사용된 광섬유가 충분히 작은 편파모드 분산을 가지게 한다. 게다가, 이 특별한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 사용된 검출기가 강도에는 작용하는 반면 편파와 위상 변조에는 감응하지 않는 검출기일 수 있기 때문에, 수신기는 지극히 단순하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수신기는 현재 강도 변조된 신호에 사용되는 표준 수신기이다.
또한, 선 왜곡의 반대유형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수신된 신호가 두 개의 상이한 모드로 송신된 신호들의 위상 변조 기여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 진폭 변조 선 왜곡을 가지는 위상 변조된 신호의 선 왜곡이다.
이 방법을 기초로 한 송신시스템은 수행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라, STM-64 레벨에서 약 125킬로미터의 성능, 즉 10 Gbit/s의 성능에 도달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최신 기술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것보다 50% 이상 길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신호는 광섬유 라인 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위한 도파관, 특히 공동(空洞) 도파관과 같은 분산매체에서 송신되고, 또한 동시에 두 직교모드에서 병렬로 송신된다. 이때 한 모드의 신호는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되고 다른 모드의 신호는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 된다. 이것은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의 변조측대역(modulation side band)과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의 변조측대역간의 각도가 90°와 동일한 경우이다.
송신된 신호를 안전하게 복호화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는 대응하는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 전 또는 후에 비트 간격(bit interval)의 1/10 보다 작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위한, 광섬유 라인 또는 도파관에서 송신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송신을 위한 송신기는 광원, 전형적으로 레이저,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용 발진회로로부터의 반송파를 수신하도록 연결된, 진폭 변조기와 위상 변조기를 포함한다. 변조기들은 송신될 신호를 변조신호로서 수신하고, 동시에 이 신호를 반송파로 변조하여,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가 송신기에서 송신 라인(transmission line)에 동시에 송신되게 한다. 따라서, 진폭변조기와 위상 변조기는 송신된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와 위상 변조된 신호의 각각의 변조측대역 사이의 위상차가 90°와 동일하게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강도 변조 시스템(intensity modulated system)을 위해 설계된 수신기가 송신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은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송신기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의 송신기는, 고정된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는 광 빔(light beam)을 방출하는 레이저(1)를 포함한다. 이 빔은 빔 분할기(beam splitter)(23)에서 두 개의 평행한 빔으로 분할된다. 빔 분할기(23)로부터 두 빔들은 각각 진폭 변조기(3)와 위상 변조기(5)로 안내된다.
두 개의 변조기(3 및 5)들은 라인(line)(7)상의 전기적 신호를 병렬로 변조하여, 송신될 정보신호를 반송한다. 라인(7)상의 신호는 라인(19 및 21)을 통해 각 변조기, 즉 진폭 변조기(3)와 위상 변조기(5)로 각각 송신되기 위하여 17에서 분할된다. 진폭 변조기(3)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편파 보존(polarization preserving) 광섬유(9)를 통해 광 수집기(beam collector) 역할을 하는 편파 빔 분할기(11)의 일측으로 간다. 위상 변조기(5)로부터의 편파된 출력신호는, 편파 빔 분할기(11)에서 신호가 진폭 변조기(3)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신호에 대해 수직인 편파를 가지도록, 편파 빔 분할기(11)로 송신된다. 이것은 광학적으로 회전하는 몇몇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편파 보존 광섬유(13)를 통해 출력신호를 편파 빔 분할기(11)의 타측으로 송신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이 광섬유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다수의 개별부품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장점이 될 수 있는, 유사한 송신기를 집적화된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실현은 예컨대LiNbO3또는 InP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편파 빔 분할기(11)에서 나가는 신호는, 서로에 대해 직교 편파되어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링크를 형성하는 광 단일모드 섬유(15)에서 서로에 대해 두 개의 직교 모드로 전파되는, 두 개의 부신호(subsignal)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가정된 완전히 진폭 변조된 변조기는 실제로는 얻기가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변조기들은 신호에 작은 위상 변조 기여를 부과한다. 이러한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진폭 변조된 신호의 위상 변조 기여에 상응하는 진폭 기여를 얻을 수 있는 위상 변조기가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위상 벡터도인 도 3a와 3b에 설명되어 있다. 도 3a에서는 1에서 진폭변조된 반송파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서는 3에서 위상 변조된 반송파가 도시되어 있다. 진폭 변조된 신호의 측대역(side band)이 7에 도시되어 있고, 위상 변조된 신호의 측대역이 9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소스(source)에서부터 발생된 두 반송파의 위상은 동일한 각 주파수(angle frequency)를 가지게 된다. 11에 도시된 각(a), 즉 반송파와 변조측대역간의 각도는 0°와 동일한 경우, 순순한 진폭 변조를 얻을 것이다. 만일 반대로 이 각도가 90°이면, 순수한 위상 변조를 얻을 것이다. 후자는 13의 경우로서 각도(b)가 90°이다. 만일 불완전한 변조로 인해, 11에서의 각도가 정확히 0°가 아니고 더 크거나 또는 작다면, 예컨대 c°(c는 작은 수)라면, 이것은 차이각(b-a)이 여전히 필수적으로 90°가 되도록, 작은 에러,즉 c°로 악화된 위상 변조된 신호를 진폭 변조된 신호로 둠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그러나 이 차이각에서 작은 에러는 성능을 상당히 감소시키지는 않지만, 이 차이각이 90°이면 최적이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 수신기(23)는, 입력신호로서 진폭 변조된 신호와 위상 변조된 신호 각각의 합을 사용하는, 강도 변조된 직접 검출시스템을 위한 표준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것을 만족스럽게 작동시키기 위하여, 각 직교 모드에서 송신된 신호들이 정시에 반드시 분리되어 도달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신호들이 전파되는 신호경로에 요구조건을 붙인다. 이러한 관점에서,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공통 단일 모드 섬유(15)는, 각 직교신호들이 이 섬유를 통해 동일 속도로 전파되기 때문에 어떠한 문제점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신호들이 편파 빔 분할기(11)내에서 함께 합쳐지고 그리고 그 안에서 다른 경로(17-19-3-9-11 및 17-21-5-13-11)로 이동하기 전까지는, 17에 전기적 신호가 분할되는 지점으로부터의 전자-광 경로에 대한 요구조건이 발생한다.
게다가, 레이저빔이 편파 빔 분할기(11)에서 다시 하나의 동일한 라인을 통해 통과할 때까지, 23에서의 레이저빔의 분할로부터의 광 경로, 즉 광학적 통로 (23-3-9-11 및 25-5-13-11)에 대한 요구조건이 발생한다. 따라서, 신호경로에서의 전체적인 차이는, 비트 간격의 1/10의 크기보다 본질적으로 큰, 단일모드 섬유에서 송신된 진폭 변조된 신호와 위상 변조된 신호 사이의 차이를 제공해서는 안된다.
만일 송신기의 대부분이 집적형태로 제조된다면, 이러한 요구조건들은 달성하기에 어렵지 않다. 그러나, 상기 예에서와 같이, 만일 송신기를 다수의 개별 부품을 조립하여 제조한다면, 송신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전자-광 신호경로에 몇몇 형태의 조정가능한 지연소자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정가능한 전기적 지연부품들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기 때문에 어떠한 어려움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상이한 부신호들의 두 변조지수(modulation index),즉 위상 변조된 신호용 변조지수/진폭 변조된 신호용 변조지수 사이의 비율은 대략 0.8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행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또한 상기 비율이 간격 0.4-1.0에서는 민감하지 않다는 것도 나타났다.
상기한 송신방법은 또한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에서도 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정방형 동공 도파관 내의 TE10및 TE01모드는 두 부신호가 전파되는 직교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모드들은 도 2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기들은 광 시스템과 같이 단순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용 수신기들은 편파에 민감하다는 사실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방식으로 신호크기(signal magnitude)를 더하고 출력신호로서 합을 사용하기 위하여, 상이한 각 편파모드에서 신호크기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비슷한 수신기와 같이 수신기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Claims (21)

  1. 신호가 두 개의 직교모드에서 병렬로 송신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에 있어서, 한 모드의 신호는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되고 다른 모드의 신호는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는 광섬유 라인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용 도파관, 특히 공동 도파관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3. 제1 및 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의 변조측 대역과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의 변조측대역 사이의 각도는 필수적으로 90°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4.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는 대응 하는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 전 또는 후에 비트 간격의 1/10보다 작은, 송신라인, 특히 광섬유 라인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용 도파관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5. 제1 내지 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의 변조 지수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의 변조지수 사이의 비율은 간격 0.4-1.0에 있고, 특히 0.8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6. 신호가 두 직교모드에서 병렬로 송신되는, 분산매체에서 반송파로 변조된 신호송신 방법에 있어서, 두 모드에서 전파된 신호들의 변조측대역은 필수적으로 90°와 동일한 각도로 서로에 대해 위상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광섬유 라인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용 도파관, 특히 공동 도파관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에서의 신호송신 방법.
  8. 제6 내지 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한 모드의 신호는 다른 모드의 신호 전 또는 후에 송신될 신호의 비트 간격의 1/10보다 작은, 송신라인, 특히 광섬유 라인 또는 마이크로웨이브용 도파관에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매체서의 신호송신 방법.
  9. 하나 또는 다수의 변조기를 포함하는, 반송파로 변조되고 송신될 신호를 위한 송신기에 있어서, 진폭 변조기(3)와 위상 변조기(5)는 반송파와 변조신호로서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송신기로부터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가 동시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0. 광섬유상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9항의 송신기에 있어서, 광원에서 방출된 광은 반송파를 구성하고, 변조신호로서 송신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치된 진폭 변조기(3)와 위상 변조기(5)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두 변조기(3 및 5)에 반송파를 제공하는 레이저(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진폭 변조기와 위상 변조기들은, 송신기에서부터 송신된,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와 위상 변조된 신호 각각의 변조측대역 사이의 위상차가 필수적으로 90°와 같게 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3.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가 송신되기 전 또는 후에, 송신될 신호의 비트 간격의 1/10보다 작은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4. 제9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송신기는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 된 신호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의 변조지수 사이의 비율이 간격 0.4-1.0내에 있도록, 특히 필수적으로 0.8과 같게 되도록, 상기 진폭 변조된 신호와 위상변조된 신호를 변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5. 하나 또는 다수의 변조기를 포함하는, 송신될 변조 신호용 송신기에 있어서, 송신기는 변조측 대역이 서로에 대해 90°로 변위되는 대응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6. 광섬유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5항의 송신기에 있어서, 광원은, 이로부터 방출된 광이 반송파를 구성하며, 변조된 신호로서 송신될 신호를 수신하는 진폭변조기(3)와 위상 변조기(5)를 포함하는 광 변조기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7. 제16항에 있어서, 광원은 두 변조기(3 및 5)에 반송파를 제공하는 레이저(1)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8. 제15 내지 1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송신기는 진폭 변조된 신호와 위상 변조된 신호의 변조지수간의 비율이 간격 0.4-1.0 내에 있도록, 특히 0.8과 같게 되도록,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된 신호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를 변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19. 하나는 필수적으로 진폭 변조되고 또한 다른 하나는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되는, 두 개의 동시에 존재하는 부 신호를 수신하는 강도 변조된 시스템용 수신기의 사용법.
  20. 반송파용 발생기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변조기, 변조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된 송신 라인 및 송신 라인으로 송신된 신호의 검출을 위해 송신 라인에 연결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반송파상에 변조된 신호 송신용 장치에 있어서,
    변조기는 진폭 변조기(3)와 위상 변조기(5)를 포함하며, 상기 두 변조기는 반송파를 수신하기 위해 발생기에 연결되고, 변조신호로서 송신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결되고, 또한 송신라인에 연결되어, 송신 라인으로 필수적 진폭 변조된 신호와 필수적으로 위상 변조된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된 신호 송신용 장치.
  21. 반송파용 발생기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변조기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된 송신 라인 및 송신 라인으로 송신된 신호의 검출을 위해 송신 라인에 연결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반송파상에 변조된 신호 송신용 장치에 있어서,
    변조기는 두 출력신호들을 송신라인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두 출력신호는 송신될 신호로 변조되고, 그 변조측 대역이 서로에 대해90°로 필수적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된 신호 송신용 장치.
KR1019980701137A 1995-08-16 1996-08-02 분산의보상 KR100322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2855A SE515536C2 (sv) 1995-08-16 1995-08-16 Kompensation av dispersion
SE9502855-1 1995-08-16
PCT/SE1996/000986 WO1997007605A1 (en) 1995-08-16 1996-08-02 Compensation of disper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60A KR19990037660A (ko) 1999-05-25
KR100322848B1 true KR100322848B1 (ko) 2002-06-20

Family

ID=2039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37A KR100322848B1 (ko) 1995-08-16 1996-08-02 분산의보상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22086A (ko)
EP (1) EP0845175B1 (ko)
JP (1) JP3886147B2 (ko)
KR (1) KR100322848B1 (ko)
CN (1) CN1169318C (ko)
AU (1) AU6759596A (ko)
CA (1) CA2229516C (ko)
DE (1) DE69632733T2 (ko)
HK (1) HK1015573A1 (ko)
SE (1) SE515536C2 (ko)
WO (1) WO19970076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9240B2 (en) 2010-11-30 2013-04-16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8757841B2 (en) 2010-11-08 2014-06-24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515A (en) * 1999-02-01 2000-08-15 Ote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igh-order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ion using temporal imaging
US6590683B1 (en) * 1999-02-04 2003-07-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Bandwidth efficient phase shift keyed modulation over nonlinear distortion limited optical fiber links
US6607313B1 (en) * 1999-06-23 2003-08-19 Jds Fitel Inc. Micro-optic delay element for use in a polarization multiplexed system
US6819872B2 (en) 1999-06-23 2004-11-16 Jds Uniphase Corporation Micro-optic delay element for use in a time division multiplexed system
JP2001036476A (ja) * 1999-07-16 2001-02-09 Sony Corp 光通信システム、光送信装置、光受信装置及び光通信方法
US6594055B2 (en) 2001-01-17 2003-07-15 Oyster Optics, Inc. Secure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6665500B2 (en) 2001-01-29 2003-12-16 Oyster Optics, Inc. Dual-mode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20020131106A1 (en) 2001-03-16 2002-09-19 Peter Snawerdt Secure wave-division multiplexing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EP1405444B1 (en) * 2001-07-09 2013-01-23 TQ Gamma, LLC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s card with security detection
US20040208436A1 (en) * 2002-01-16 2004-10-21 Teraphase Technologies, Inc. Forming optical signals having soliton pulses with certain spectral band characteristics
US20040208651A1 (en) * 2002-05-23 2004-10-21 Farhad Hakimi Optical signal receiver
US20030228095A1 (en) * 2002-06-10 2003-12-11 Farhad Hakimi System for and method of replicating optical pulses
US20040208627A1 (en) * 2002-08-02 2004-10-21 Farhad Hakimi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JP3829198B2 (ja) * 2003-12-01 2006-10-04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光伝送方法及びシステム
US7349636B2 (en) * 2003-12-11 2008-03-25 Mario Zitelli Optical phase and intensity modulation with improved transmitters
US20060210283A1 (en) * 2004-09-20 2006-09-21 Arasor Corporation Transmitters for inversely dispersed optical signals
WO2007080950A1 (ja) * 2006-01-13 2007-07-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角度変調装置
CN102932063B (zh) * 2012-11-09 2015-07-08 西南交通大学 一种基于双边带调制的模拟链路色散补偿方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2970A (en) * 1977-01-31 1980-03-11 Kahn Leonard R Reduction of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US4793676A (en) * 1985-08-21 1988-12-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Optical fiber acousto-optic amplitude modulator
US4750833A (en) * 1985-12-03 1988-06-14 Princeton Applied Research Corp. Fiber optic dispersion method and apparatus
GB2205172B (en) * 1987-05-23 1991-01-30 Gen Electric Plc Delaying an amplitude-modulated optical signal
US4893352A (en) * 1987-06-30 1990-01-0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Optical transmitter of modulated signals
GB8723873D0 (en) * 1987-10-10 1987-11-11 Gen Electric Electro-optic converter
US5126998A (en) * 1990-05-16 1992-06-30 U.V. Satellite Resour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arrier signal which is simultaneously frequency and phase modulated
US5078464A (en) * 1990-11-07 1992-01-07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logic device
FR2685834B1 (fr) * 1991-12-31 1995-03-31 France Telecom Systeme de transmission numerique longue distance sur fibre optique a compensation a l'emission des distorsions.
US5491576A (en) * 1993-12-23 1996-02-13 At&T Corp. Dual-wavelength data transmitter for reducing fading in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R2745451B1 (fr) * 1996-02-23 1998-04-17 Cit Alcatel Procede de transmission optique de donnees numeriques
US5705959A (en) * 1996-10-08 1998-01-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High efficiency low distortion amplification
US5940196A (en) * 1997-05-16 1999-08-17 Harmonic Lightwaves, Inc.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with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US5970185A (en) * 1997-10-31 1999-10-19 Northern Telecom Limited Optical switches, modulators and transmitt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7841B2 (en) 2010-11-08 2014-06-24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9039242B2 (en) 2010-11-08 2015-05-26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8419240B2 (en) 2010-11-30 2013-04-16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10974A (ja) 1999-09-21
HK1015573A1 (en) 1999-10-15
CN1169318C (zh) 2004-09-29
CN1198858A (zh) 1998-11-11
AU6759596A (en) 1997-03-12
JP3886147B2 (ja) 2007-02-28
CA2229516A1 (en) 1997-02-27
DE69632733D1 (de) 2004-07-22
CA2229516C (en) 2008-04-29
DE69632733T2 (de) 2005-06-30
SE9502855L (sv) 1997-02-17
WO1997007605A1 (en) 1997-02-27
SE515536C2 (sv) 2001-08-27
EP0845175B1 (en) 2004-06-16
EP0845175A1 (en) 1998-06-03
KR19990037660A (ko) 1999-05-25
SE9502855D0 (sv) 1995-08-16
US6122086A (en) 200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848B1 (ko) 분산의보상
US7382985B2 (en) Electrical domain mitigation of polarization dependent effects in a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US5625479A (en) Solito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receiver therefor
US5424863A (en) Dual-polarization fiber optic communications link
US5127066A (en) Coherent optical-fiber communication system using polarization diversity transmission
US7155071B2 (en) Device for Mach-Zehnder modulator bias control for duobinary optical transmission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JPH0799478A (ja) ファイバオプティック送信システムの分散補償装置と方法
US7796897B2 (en) WDM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WDM optical transmission method
JP2000081597A (ja) 光デ―タ送信装置
US6052496A (en) Integrated optical modulators
US20020089718A1 (en) Adjustable differential group delay generator and a polarization dispersion compensator incorporating it
Saito et al. Prechirp technique for dispersion compensation for a high-speed long-span transmission
Bae et al. A cost-effective 2-channel OTDM system implemented with sinusoidally modulated light source
KR20050096145A (ko) 광전송 방법 및 광전송 장치
US6148122A (en) High speed lithium niobate polarization independent modulators
US7260332B1 (en) Asynchronous chirped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Badraoui et al. Crosstalk reduction in fiber links using double polarization
CA2057572C (en) Optical transmitter
EP1554822B1 (en) Electrical domain mitigation of polarization dependent effects in an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Manohari et al. Analysis and reduction of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in an optical fiber
US20020057478A1 (en) System and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optical data
EP0982883A2 (en)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Hui et al. PMD-insensitive SCM optical receiver using polarization diversity
RAJESH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Dispersion Compensation Using Fiber Bragg Grating (Fbg) And Dispersion Compensation Fiber (Dcf) Techniques
EP1109051A1 (en) Polarisation independent optical phase mod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