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706B1 -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 Google Patents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706B1
KR100321706B1 KR1019980052652A KR19980052652A KR100321706B1 KR 100321706 B1 KR100321706 B1 KR 100321706B1 KR 1019980052652 A KR1019980052652 A KR 1019980052652A KR 19980052652 A KR19980052652 A KR 19980052652A KR 100321706 B1 KR100321706 B1 KR 10032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mage
title
word processor
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7864A (ko
Inventor
박진수
정현민
김준철
이숭복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5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7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윈도우즈 운용체계(operating system)를 따르지 않는 응용프로그램들의 이미지와 텍스트 출력 결과를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하여 운용체계를 따르는 문서로 통합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객체 연결 및 내장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윈도우즈 시스템에 적용되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Pipe)를 통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생성하여 클립보드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문서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워드프로세서의 머리글과 바닥글 형태로 작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클립보드로 전송된 이미지를 워드프로세서로 복사하고, 입력된 그림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3 단계; 및 상기 GIS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워드프로세서의 표(table) 형태로 작성하고, 입력된 표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윈도우즈 시스템에서의 문서 작성에 이용됨.

Description

객체 연결 및 내장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Method for ducument composition using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scheme}
본 발명은 객체 연결 및 내장(OLE :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방식을 활용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먼저,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이라는 것은 윈도우즈에서 개체가 다른 개체에 포함될 수 있고, 포함할 수 있는 기능을 뜻한다.
OLE 버전 1은 1991년에 개발되었다. 그 당시의 제목은 "Object Linking and Embeding"이었다. 그것은 정확히 복합문서(compound document) 통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OLE 버전 2는 처음에는 버전 1의 기능을 강화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되었지만, 복합문서의 경계를 넘어 더욱더 일반적인 서비스 구조로 성장하게 되었다.
현재의 OLE는 버전이 없다. 왜냐하면 광범위한 서비스 구조로서, 새로운 특징과 기술은 기존의 틀을 변화시키지 않고 존재하는 틀 내에의 OLE에 추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OLE 구조에서 대대적으로 추가된 OLE 컨트롤은 OLE2가 발표된지 1년 후에 발표되었지만, 그것은 원래의 기술에 어떠한 변화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은 컴포넌트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고 편하게 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은 세 가지 측면에서 객체(Object)에 기여한다.
첫째,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은 컴포넌트{하나 또는 그 이상의객체(Object)의 패키지}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C++과 같은 객체 지향 언어(OOL : Object Oriented Language)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둘째,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은 바이너리 표준을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에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그럼으로써, 예전의 코드가 새로운 객체 지향 코드와 컴포넌트로서 통합될 수 있게 한다.
셋째, 객체 연결 및 내장(OLE)에서 객체는 모든 객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은닉성(encapsulation), 다형성(polymorphism), 그리고 재사용성(reusability)을 가지고 있다.(참고로, 다형성과 재사용성을 이용하여 상속성(inheritance)를 구현하게 된다.)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은 객체를 통해서 접근하는 컴포넌트 서비스의 집합이다. 여기에서 객체는 특유의 인터페이스를 노출시킨다.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은 언어와 장소에 독립적인 COM(Component Object Model)이라는 기반 위에서 만들어진다.
오늘날, 점점 크고 복잡해지는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중앙 집중적인 단일적인 방법으로는 개발, 유지, 업그레이드가 어렵다. 더구나, 다른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나 다른 프로세스나 별개의 머신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통합하기가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분산된 컴포넌트 환경의 필요성에 의해 객체 지향의 개념을 가지고, 기존의 코드도 이용 가능한 객체 연결 및 내장(OLE)이 등장하게 되었다.
윈도우 클립보드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Drop)이 번성하기 이전에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서 제시되었는데,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위치시키거나, 그 데이터들을 모든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윈32(Win32)의 시설이라고 볼 수 있다.
윈도우즈(Windows)가 등장하고, 워드프로세서가 발전함에 따라 각종 문서의 작성에 있어 텍스트(Text)뿐만 아니라, 문서의 내용을 파악하기 쉽게 하기 위해 그림, 차트, 표 등을 삽입하게 되었으나, GIS 응용프로그램과 같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운용체계(Windows operating system)를 따르지 않는 응용프로그램들의 경우 문서가 아스키(ASCII)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되거나, 프린트 또는 플로터를 통해 출력되었다.
그러므로, 그림과 텍스트가 분리되어 있어, 하나의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형태로 저장된 자료를 워드프로세서로 삽입하고 텍스트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윈도우즈 운용체계(operating system)를 따르지 않는 응용프로그램들의 이미지와 텍스트 출력 결과를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하여 운용체계를 따르는 문서로 통합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객체 연결 및 내장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과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윈도우즈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의 개략적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GIS 응용프로그램 302 : 파이프
303 : 윈도우즈 클립보드 304 : 워드 프로세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윈도우즈 시스템에 적용되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Pipe)를 통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생성하여 클립보드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문서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워드프로세서의 머리글과 바닥글 형태로 작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클립보드로 전송된 이미지를 워드프로세서로 복사하고, 입력된 그림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3 단계; 및 상기 GIS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워드프로세서의 표(table) 형태로 작성하고, 입력된 표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윈도우즈 시스템에, 파이프(Pipe)를 통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생성하여 클립보드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문서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워드프로세서의 머리글과 바닥글 형태로 작성하는 제 2 기능; 상기 클립보드로 전송된 이미지를 워드프로세서로 복사하고, 입력된 그림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3 기능; 및 상기 GIS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워드프로세서의 표(table) 형태로 작성하고, 입력된 표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예시도이다.
먼저, 입력장치(101)로는 마우스, 키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101)를 통해 이미지로 생성할 화면을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프로그램에서 선택하고, 일련의 정보(작성자, 문서 제목 등)를 입력받는다. 선택된 화면 및 일련의 정보는 중앙처리장치(103)에서 가공되어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104)에 저장되고, 프린터 혹은 플로터 등의 출력장치(102)를 통해 출력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윈도우즈 시스템 구성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닉스 운용체계(Unix operating system)에서 동작하는 엑스 윈도우(X-Windows)(204)를 윈도우즈 엔티(Windows NT)(205)상에 엑스 에뮬레이터(X-emulator)로 에뮬레이팅(emulating)시켜서 GIS 응용프로그램(201)을 엑스 윈도우(X-Windows)(204)에서 실행시킨다. 윈도우즈 엔티(Windows NT)(205)상의 파이프(Pipe)(202)는 GIS 응용프로그램(201)과 워드프로세서(203) 사이의 중간 매개 역할을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연결 및 내장(0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의 개략적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302)는 GIS 응용프로그램(301)에서 이미지와 데이터를 받아서 가공하고, 이미지를 클립보드(303)로 전송한다. 그리고, 클립보드로 전송된 이미지와 각 종 데이터를 워드프로세서(304)로 전송하여 하나의 문서를 작성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유닉스 운용체계(Unix operating system)에서 동작하는 엑스 윈도우(X-Windows)를 윈도우즈 엔티(Windows NT)상에 엑스 에뮬레이터(X-emulator)로 에뮬레이팅(emulating) 시켜서 GIS 응용프로그램을 엑스 윈도우(X-Windows)에서 실행한 후에, GIS 응용프로그램을 객체 연결 및 내장(OLE)방식을 이용하여 파이프(Pipe)에 연결한다(401). 연결이 성공한 후, 파이프(Pipe)는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하여, GIS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한다(402).
GIS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이미지로 저장할 화면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403), 이미지로 변환하여(404), 윈도우 클립보드로 전송한(405) 후에, 워드프로세서로 전송하여 표로 작성할 데이터가 GIS 응용프로그램에 있는지 분석한다(406). GIS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저장하지 않는다면, 파이프(Pipe)는 워드프로세서로 전송하여 표로 작성할 데이터가 GIS 응용프로그램에 있는지 분석한다(406).
분석 결과, 워드프로세서로 전송하여 표로 작성할 데이터가 있으면, 메모리에 저장하고(407), 문서제목, 표 제목, 그림제목, 작성자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다(408).
분석 결과, 표로 작성할 데이터가 없으면, 표 제목은 입력할 필요없이 바로문서 제목, 그림제목, 작성자 등의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으로 진행한다(408). 즉, (408)과정에서 문서 제목, 표 제목, 그림 제목 중에 존재하는 아이템에 대해서만 입력받는다.
이와 같이, GIS 응용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지고 난 후, GIS 응용프로그램에 연결되었던 파이프를 객체 연결 및 내장(OLE)방식으로 워드프로세서에 연결한다(409). 워드프로세서에 연결한 후, 문서의 머리글/바닥글을 입력된 문서제목, 표 제목, 그림제목, 작성자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작성한다(410).
이후, 클립보드에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411), 존재하면 워드프로세서의 문서로 이미지를 전송하고(412), 메모리에 표(Table)로 작성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413). 한편, 클립보드에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바로 메모리에 표(Table)로 작성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413).
판단결과, 표로 작성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워드프로세서의 문서에 표를 작성하고(414), 표로 작성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시스템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운용체계(Operating System)를 따르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의 결과를 운용체계(Operating System)를 따르는 문서로 작성할 때, 문서 작성의 단일함을 보완하여, 문서 형식에 의한 이미지(Image)와 텍스트(Text)의 통합 작성으로 문서 작성 및 수정의 용이성, 문서의 공용성 증대 및 관리를 일원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윈도우즈 시스템에 적용되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Pipe)를 통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생성하여 클립보드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문서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워드프로세서의 머리글과 바닥글 형태로 작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클립보드로 전송된 이미지를 워드프로세서로 복사하고, 입력된 그림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3 단계; 및
    상기 GIS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워드프로세서의 표(table) 형태로 작성하고, 입력된 표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Pipe)는,
    상기 GIS 응용프로그램으로부터 이미지와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가공하고 이미지를 상기 클립보드로 전송하여 전송된 이미지와 각종 데이터를 워드프로세서로 전송하여 문서를 작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에 대한 소정의 정보는,
    문서의 제목, 작성일자, 작성자, 그림 제목, 표 제목 등의 일련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연결 및 내장(OLE) 방식을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
  4. 프로세서를 구비한 윈도우즈 시스템에,
    파이프(Pipe)를 통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을 이미지로 생성하여 클립보드로 전송하는 제 1 기능;
    문서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워드프로세서의 머리글과 바닥글 형태로 작성하는 제 2 기능;
    상기 클립보드로 전송된 이미지를 워드프로세서로 복사하고, 입력된 그림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3 기능; 및
    상기 GIS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된 결과를 워드프로세서의 표(table) 형태로 작성하고, 입력된 표의 제목을 덧붙이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52652A 1998-12-02 1998-12-02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KR10032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652A KR100321706B1 (ko) 1998-12-02 1998-12-02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652A KR100321706B1 (ko) 1998-12-02 1998-12-02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864A KR20000037864A (ko) 2000-07-05
KR100321706B1 true KR100321706B1 (ko) 2002-03-08

Family

ID=1956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652A KR100321706B1 (ko) 1998-12-02 1998-12-02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83A (ko) * 2001-09-10 2001-11-09 .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하부기관 현황데이터 실시간취합을 위한 데이터병합관리시스템
KR20030011386A (ko) * 2003-01-16 2003-02-07 이승민 전자 가계부 혹은 자산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864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ossens et al. The Latex Web Companion: Integrating TEX, HTML, and XML
AU20032044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ctions with semantic labels in electronic documents
US7028312B1 (en) XML remote procedure call (XML-RPC)
US7162687B2 (en) JSP tag libraries and web services
US7290008B2 (en) Method to extend a uniform resource identifier to encode resource identifiers
EP0875823A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tokenized message logging system
EP073547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exceptions in a distributed object system
EP1065588A2 (en) Mechanism for automatic synchronization of scripting variables
US7171614B2 (en) Displaying plug-in derived content in an application's browser-embedded window with callbacks
CA2393035A1 (en) Converting markup language files
US20020059348A1 (en) Automatic documentation generation tool and associated method
EP1065592B1 (en) Shared management of data objec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Hayes et al. Graceful interaction through the COUSIN command interface
US7155664B1 (en) Extracting comment keywords from distinct design files to produce documentation
CN101261621B (zh) 文档处理方法及装置
US20030159105A1 (en) Interpretive transformation system and method
CN100485687C (zh) 建立无连接的数据编程模型的方法、装置及其应用
KR100321706B1 (ko) 객체연결및내장방식을이용한문서작성방법
Ide et al. Bridging the gaps: interoperability for GrAF, GATE, and UIMA
US78021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documents in a page description language in response to a request made to a server
EP1031922A3 (en) Method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program
KR100375832B1 (ko) 월드 와이드 웹과 문서 병합 기능을 이용한 문서 이용 방법
JP2001022788A (ja) 情報検索装置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907664B1 (ko) 원격 문서 편집 장치 및 방법
Barta JML Tutorial V1. 0 (99020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