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684B1 - 목공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목공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684B1
KR100321684B1 KR1020000023532A KR20000023532A KR100321684B1 KR 100321684 B1 KR100321684 B1 KR 100321684B1 KR 1020000023532 A KR1020000023532 A KR 1020000023532A KR 20000023532 A KR20000023532 A KR 20000023532A KR 100321684 B1 KR100321684 B1 KR 10032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ol
woodworking table
central portion
wood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037A (ko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원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07467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33564U/ko
Application filed by 원명수 filed Critical 원명수
Priority to KR1020000023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6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0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ttachment of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공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조를 형성하며 금속재로 제작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대략적인 중앙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종, 횡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끼워진 가이드 홈을 갖는 판상의 제1, 2 공구 결합판;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에 그 상단부가 축설되며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 부 내측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비된 다리 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판을 밀폐시키며 대략적인 중앙부와 그 일 측에 피 작업용 공구의 툴이 노출되는 홀과 장방형 홈을 갖고 상, 하방에 상응하는 길이 조절홈이 갖추어진 평판상의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상측면과 일측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에 장착되는 제1,2 공구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부로 구비된다.
따라서, 목공용 테이블을 휴대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목공용 테이블{Table for woodworker}
본 발명은 목공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외의 각 건설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목공용 테이블을 휴대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목공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목공용 테이블은 목재 가공업자(또는 목수)들이 목재를 원하는 형상과 크기대로 다량 절단하여 원하는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모재를 준비할 때 또는 실내장식 등에 필요한 모재를 제작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최초, 목재 가공업자들이 일정한 크기와 규격을 갖는 다수의 목재들을 얻기 위해서는 쭈그리고 앉아서 톱질을 하며 목재의 절단작업을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세에서 목재 가공업자들이 지속적으로 작업을 하게 되면 육체적으로 쉽게 피로가 엄습하였고, 그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최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목공용 테이블이다.
즉, 목공용 테이블은 목재 가공업자들이 선(立) 자세에서 목재를 절단하도록 제작된 테이블인데, 도 1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목공용 테이블의 일 예를 보이기 위해 일부 절결한 사시도이다.
즉, 종래의 목공용 테이블(1)은 목재로 제작된 평판상의 보드(2)와, 보드(2)의 하방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 받침 부(3)로 구비된다.
상기 받침 부(3)에는 작업자의 위치에 대해 보드(2)의 하측 면 테두리에 지지되는 수평 바와 보드(2)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직 바를 갖는 'T'자 형상의 받침 목(4)이 못 등에 의해 보드(2)에 고정된다.
또, 상기 보드(2)의 대략적인 중앙부에는 작업자에 대해 종 방향으로 절결된 절결홈(5)이 구비되고, 보드(2)의 하측에는 모터(6)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절결홈(5)을 통하여 일부 노출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톱(7)이 구비된다.
따라서, 받침 목(4)의 수직 바에 대해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의 일 측면을 위치시킨 후 회전 톱(7)을 향해 이동시키며 동일한 크기의 목재를 다량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목공용 테이블(1)은 임시 방편으로 작업자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목공용 테이블(1)은 목재의 보드(2)와 받침부(3)를 못의 타정에 의해 고정해야 했고, 제작 시 부피가 크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를 향해 이동시키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로 옮길 때마다 목공용 테이블(1)을 제작한 후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목공용 테이블(1)을 제작할 때마다 받침목(4)의 수직 바를 보드(2)의 상측 면에 대해 못으로써 고정시킨 후 사용해야 하므로, 못을 타정하는 과정 중에 수직 바에 흔들림이 발생되고, 그와 같은 요인에 의해 수직 바는 보드(2)에 대해 정확하게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그와 같이 발생된 공차를 갖는 수직 바에 대해 가공하고자 하는 목재를 일치시킨 후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면 그 목재들의 절단부위가 정확하게 직각을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정확한 가공을 위해서는 절단된 목재들을 재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이 고정된 받침목의 내측면과 회전 톱(7) 사이의 길이 'L'보다 길거나 짧은 길이(L1)(L2)의 목재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받침목을 보드(2)로부터 분리한 후 해당되는 길이(L1)(L2) 만큼 받침목을 이동 고정시킨 후 작업을 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그리고, 목공용 테이블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목공 작업들, 예를 들면 목재의 절단된 거친 면에 대해 매끄럽게 마무리를 하는 면취기 등을 결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프레임을 설치한 후 면취기를 설치해야 했고, 또, 그 면취기의 면취날이 노출되도록 보드에 대해 별도의 구멍을 뚫어 사용해야 하는 호환성이 결여된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목공용 테이블은 그 재질이 목재로 제작된 구조에 의해 사용처에서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분해하여 보관한 후 사용시에는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는 등 반복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워 통상적으로 작업이 완료됨과 동시에 해체하여 버리게 되는 낭비의 문제점, 즉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공용 테이블에 대한 기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목공용 테이블을 휴대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작업이 용이한 목공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공용 테이블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줄임으로써 목공용 테이블을 매개로 절단되는 목 제품의 오차를 줄이고 그에 따라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목공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대로 목공용 테이블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목공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공용 테이블에 대해 별도의 작업공구인 면취기 등의 제품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 특성에 따라 작업공구를 호환하며 사용할 수 있는 목공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공용 테이블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이동이 용이함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목공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목공용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에서 제1,2 공구 결합판을 구체적으로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에서 제1,2 공구 결합판에 면취기와 전동톱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에서 제2 공구에 결합된 전동톱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의 휴대를 위해 다리를 접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20,20':제1,2 공구 결합판
21;가이드 홈 22;체결부재
30;다리부 40;판체
41;홀 42;장방형 홈
43;길이 조절홈 44;표시부
50;길이 조절부재 60;면취기
70;전동톱 80;콘트롤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조를 형성하며 금속재로 제작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대략적인 중앙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종, 횡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끼워진 가이드 홈을 갖는 판상의 제1, 2 공구 결합판;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에 그 상단부가 축설되며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 부 내측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비된 다리 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판을 밀폐시키며 대략적인 중앙부와 그 일 측에 피 작업용 공구의 툴이 노출되는 홀과 장방형 홈을 갖고 상, 하방에 상응하는 길이 조절홈이 갖추어진 평판상의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상측면과 일측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에 장착되는 제1,2 공구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부로 구비된 목공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상기 길이 조절홈의 일측에는 길이 표시용 눈금이 센티미터(㎝) 단위로 표시된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의 상기 가이드 홈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부재에는 그 툴이 상기 홀과 상기 장방형 홈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취기와 전동 톱이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의 요부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2 공구 결합판을 보이기 위해 판체를 분해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은 그 골조를 형성하며 금속으로 제작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대략적인 중앙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종, 횡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22)가 끼워진 가이드 홈(21)을 갖는 판상의 제1, 2 공구 결합판(20)(20')이 구비된다.
또, 상기 프레임(10)의 각 모서리 부위에는 그 상단부가 축설되며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10)의 중앙 부 내측을 향해 접혀지는 다리 부(30)가 구비된다. 즉, 다리 부(30)는 상세한 도면표현은 생략하였지만, 통상적인 힌지 축과 그 회동 한계를 한정하는 정지편 등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다수의 지지간에 의해 보강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제1,2 공구 결합편(20)(20')은 평판상의 판체(40)에 의해 도면표현을 생략한 볼트와 넛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밀폐된다. 즉, 판체(40)는 그 가장자리 측이 절곡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10)을 감싼 상태에서 씌워진다.
상기 판체(40)는 대략적인 중앙부와 그 일 측에 후술하는 피 작업용 공구의 툴이 노출되는 홀(41)과 장방형 홈(42)이 형성되며, 상, 하방에는 상응하는 길이조절홈(43)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응하는 상기 길이 조절홈(43)의 일측에는 길이 표시용 눈금이 센티미터(㎝) 단위로 표시된 표시부(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홈(43)에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 하측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판체(4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재(5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주된 특징부는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20)(20')의 상기 가이드 홈(21)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부재(22)에는 그 툴이 상기 홀(41)과 상기 장방형 홈(4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취기(60)와 전동 톱(70)이 체결부재(2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면취기(60)와 상기 전동 톱(70)은 프레임(10)을 감싸며 절곡된 판체(40) 등 요소에 장착된 콘트롤 부(80)에 의해 각각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에서 면취기(60)는 분리하고 전동 톱(70) 만을 설치한 상태에서 정해진 길이대로 목재를 절단할 때에는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상기 면취기(60)는 제1 공구 결합판(20)으로부터 분리하고 전동톱(70)만을 제2 공구 결합판(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톱날이 장방형 홈(42)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는 상기 길이 조절부재(50)는 상기 길이 조절홈(43) 측에 형성된표시부(44)의 설정된 눈금에 상기 길이 조절부재(50)의 위치를 셋팅하여 고정시킨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의 길이는 별도의 줄자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에 의해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의 길이가 셋팅된 상태일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목재의 일단부를 상기 길이 조절부재(50)의 내측면에 위치시키고, 타측면은 작업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톱날 측을 향해 이동시키며 원하는 길이대로 목재를 절단한다.
물론, 목재의 길이를 길거나 짧게 절단할 때에는 도 5의 표현상 화살표와 같이 길이 조절부재(50)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 고정시킨 후 상기의 동작대로 목재를 절단할 것이다.
따라서, 다량의 목재를 동일한 크기대로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으면서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동톱(70)은 제2 공구 결합판(20')으로부터 분리하고 면취기(60) 만을 제1 공구 결합판(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홀(41)을 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기 면취기(60)의 툴(도면부호를 생략함)에 대해 피 가공용 목재를 상술했던 바와 마찬가지로 접촉시키며 그 표면을 매끄럽게 면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을 이동시킬 때에는 도 6과 같이,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20)(20')으로부터 상기 면취기(60)와 상기 전동톱(70)을 분리한상태에서 다리 부(30)를 접어 부피를 축소시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할 때마다 목공용 테이블을 나무로 제작해야 했고, 또 다른 작업장소로 이동할 때에는 그목공용 테이블을 분리한 후 이동해야 했으며, 또 사용할 때에는 다시 제작해야 했던 번거로운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또 목공용 테이블을 제작하는 과정중에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절단된 목재에 공차가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도 해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목공용 테이블을 휴대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고 그에 따라 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목공용 테이블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줄임으로써 목공용 테이블을 매개로 절단되는 목 제품의 오차를 줄이고 그에 따라 작업이 용이한 특징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 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대로 목공용 테이블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공용 테이블에 대해 별도의 작업공구인 면취기 등의 제품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 특성에 따라 작업공구를 호환하며 사용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공용 테이블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등의 특징도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이 금속으로 제작된 것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로 제작될 경우에는 쉽게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테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또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3)

  1. 골조를 형성하며 금속재로 제작된 사각의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대략적인 중앙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종, 횡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끼워진 가이드 홈을 갖는 판상의 제1, 2 공구 결합판;
    상기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에 그 상단부가 축설되며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 부 내측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비된 다리 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판을 밀폐시키며 대략적인 중앙부와 그 일 측에 피 작업용 공구의 툴이 노출되는 홀과 장방형 홈을 갖고 상, 하방에 상응하는 길이 조절홈이 갖추어진 평판상의 판체;
    상기 길이 조절홈에 대해 그 일단부와 타단부가 끼워져 조절되며 위치 이동이 가능한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판체의 상측면과 일측면 적어도 어느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에 장착되는 제1,2 공구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부로 구비된 목공용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응하는 상기 길이 조절홈의 일측에는 길이 표시용 눈금이 센티미터(㎝) 단위로 표시된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목공용 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공구 결합판의 상기 가이드 홈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체결부재에는 그 툴이 상기 홀과 상기 장방형 홈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취기와 전동 톱이 체결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목공용 테이블.
KR1020000023532A 1999-05-04 2000-05-02 목공용 테이블 KR10032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532A KR100321684B1 (ko) 1999-05-04 2000-05-02 목공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467U KR19990033564U (ko) 1999-05-04 1999-05-04 목공테이블
KR2019990007467 1999-05-04
KR1020000023532A KR100321684B1 (ko) 1999-05-04 2000-05-02 목공용 테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467U Division KR19990033564U (ko) 1999-05-04 1999-05-04 목공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37A KR20010007037A (ko) 2001-01-26
KR100321684B1 true KR100321684B1 (ko) 2002-01-23

Family

ID=2663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532A KR100321684B1 (ko) 1999-05-04 2000-05-02 목공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190A (ko) * 2001-04-26 2002-11-02 원명수 목공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037A (ko) 200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016B2 (en) Extended life cutting blades for hand-held cutting tools
JP2820529B2 (ja) フレームとフレーム成形型の組み立て装置
US7774947B1 (en) Mitre tool guide
US8191449B2 (en) Position adjustable support for a cutting device
US4432263A (en) Duplicating fence for attachment to a rip saw fence of a table saw
US6938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workpiece
KR100321684B1 (ko) 목공용 테이블
KR101944995B1 (ko) 둥근톱기계장치
US5333385A (en) Movable automatic sawing and clamping framework
WO2002022330A1 (en) Means for making mitre joints
CN212193508U (zh) 一种便携式木饰面板裁切修补设备
US20060112800A1 (en) Cop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US4592401A (en) Method for miter jointing frames and apparatus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US3845556A (en) Cut control attachment for chain saws
CA1293178C (en) Cutting support and guide
KR20130112846A (ko) 각도 절단기
US3943985A (en) Apparatus for cutting aligned notches in parallel wooden frame members
CN211729530U (zh) 用于木地板的切割设备
US3952400A (en) Methods for cutting aligned notches in parallel wooden frame members
CN210551871U (zh) 用于多功能裁切架的底板
CA1089746A (en) Adjustable fence
CN206796040U (zh) 胶合木链锯切割靠模辅助设备
JPS6232804Y2 (ko)
JPS622084Y2 (ko)
KR20210090461A (ko) 숫장부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