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501B1 -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 Google Patents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501B1
KR100320501B1 KR1019980048360A KR19980048360A KR100320501B1 KR 100320501 B1 KR100320501 B1 KR 100320501B1 KR 1019980048360 A KR1019980048360 A KR 1019980048360A KR 19980048360 A KR19980048360 A KR 19980048360A KR 100320501 B1 KR100320501 B1 KR 10032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trol
control arm
rear wheel
steering system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32036A (en
Inventor
이언구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80048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501B1/en
Publication of KR2000003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0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4Wheel angle detection
    • B60G2400/05144Wheel to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6ASC - Assisted or power Steering control
    • B60G2800/962Four-wheel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 현가장치의 개념으로 후륜의 토우를 좌, 우륜 독립적으로 실시하여 응답성이 빠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저속 선회시 및 주차시에 후륜의 자유스런 제어에 의하여 최소회전 반경을 구현할 수 있고, 고속시 및 레인 체인지시 등에 토우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 한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회시 롤을 억제하지 않고 이상적인 상태로 변화시켜 조종성 및 안정성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휠 캐리어가 전, 후측 2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에 의하여 차체에 연결되고,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상하 진동을 감쇠시키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의 내단부와 연결되는 롤 컨트롤 수단과, 상기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의 내단부와 연결되는 토우 컨트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of the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 to implement the rear wheel toe independently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he response is fast, and th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inimum turning radius can be realized by the free control of the rear wheel during low-speed turning and parking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toe conditions at high speeds and lane changes, and can improve the marginal performance, and can change the ideal state without restraining the roll when turning, improving the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as well as riding comfort. A wheel steering system relates to a rear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in which a wheel carrier is connected to a vehicle body by two front and rear lower control arms, and includes a shock absorbing means for damping up and down vibrations input from a road surface. Roll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inner end and toe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rear lower control arm.

Description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Rear wheel suspension in 4-wheel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4륜 조향 시스템 적용 차량에 있어서, 특히 좌, 우 후륜의 롤 센터 및 조향을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wheel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that enables independent control of left and right roll centers and steering, respectively, in a four-wheel steering system applied vehicle.

예컨대, 4륜 조향 시스템에 있어서는 후륜에도 기존의 전륜 스티어링 시스템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좌, 우륜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For example, in a four-wheel steering system, the rear wheels are generally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ntional front wheel steering system so that the left and right wheels can be moved at the same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이 4륜 시스템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후륜의 스티어링 랙 바아에 후륜이 연결되어 관성 자체가 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랙을 순간적으로 빠르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관성을 순간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유압이 걸려 있어야 하므로 당연히 많은 에너지가 소요됨은 물론이고, 이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이 크게 상승되기 마련이다.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a four-wheel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rear wheel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rack bar of the rear wheel to maintain a large state of inertia, so that the moment of inertia can quickly be overcome so that the rack can be operated quickly. Since a large amount of hydraulic pressure must be applied, of course, a lot of energy is required, as well as the cost for producing it is likely to increase significantly.

그러나 내, 외의 휠을 동시에 제어해도 실제 조향 효과는 대부분 외륜에 의한 것이며, 내륜은 기여도 측면에서 아주 미미할 뿐이다.However, even if the inner and outer wheels are controlled at the same time, the actual steering effect is mostly due to the outer ring, and the inner ring is only minimal in terms of contribution.

더욱이 더블 레인 체인지(Double Lane Change)나 슬라롬 시험(Slalom Test)에 주요 기여하는 것은 외륜은 좌, 우측이 계속적으로 바뀌게 되므로 오히려 불리해 질 수도 있다.Moreover, a major contribution to the Double Lane Change or Slalom Test may be disadvantageous because the outer ring is constantly changing left and right.

즉, 상기와 같은 현상을 도면을 보면서 살펴보면, 도 8a, b는 기존의 4륜 스티어링 시스템으로서, 고속 슬라롬시 후륜이 전륜과 후륜이 동일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바, 후륜의 내륜은 도 8a와 같은 토우 아웃의 상태에서 도 8b에서와 같이 토우 인으로 바뀌어야 한다.That is, looking at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Figures 8a, b is a conventional four-wheel steering system, the rear wheel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rear wheel at the high speed slalom bar, the inner wheel of the rear wheel is tow as shown in Figure 8a In the out state, it should be changed to toe-in as shown in FIG. 8B.

그러나 이때 최적의 외륜이 되기 위해서는 도 9의 3륜 스티어링 시스템에 비하여 후륜의 조향각 변화가 두배가 되어야 하므로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로 함은 물론이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steering angle change of the rear wheels must be doubled as compared to the three-wheel steering system of FIG. 9, more energy is required.

그 결과로서, 순발력이 상대적으로 둔해지고 응답지연의 크기가 의미 있을 정도로 크게 되어 오히려 차량의 안정성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의 작동 지연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유압이 걸려 있어야 한다.As a result, the wits are relatively dull and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delay is significantly larger,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and a relatively high hydraulic pressure must be applied to reduce its operation delay.

반면, 한쪽 휠만 조향시키는 3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9a상태에서 있다가 도 9b의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외륜이 되고, 그 다른 쪽의 휠은 도 9b의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서서히 중립 상태로 복귀하여 다시 필요할 때 조향이 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면 에너지 측면에서 매우 유리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ree steering system which steers only one wheel, it is in the state of FIG. 9A and becomes the outer ring momentarily in the state of FIG. 9B, and the other wheel returns to the neutral state relatively slowly in the state of FIG. It can be seen that it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energy if it can maintain the standby state for steering.

그러나 종래 4륜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후륜에 전륜과 동일한 스티어링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의 3륜 스티어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불가능하여 후륜 조향장치를 더욱 발전시키는 데에 장애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ur-wheel steer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ar wheel is provided with the same steering system, it is absolutely impossible to implement the three-wheel steering system, and thus it is difficult to further develop the rear wheel steering system. The problem is that it is a factor.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륜 조향 시스템과 후륜 현가장치를 예의 연구한 결과, 현가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컨트롤 아암을 이용하여 좌, 우륜의 독립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면, 별도의 조향장치 없이도 후륜의 내, 외륜을 제어하여 현가장치와 후륜 조향장치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rear wheel steering system and the rear wheel suspens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f the independent control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can be performed using the control arms constituting the suspens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 inner and outer wheels of the rear wheel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 combination of the suspension and the rear wheel steering without the steer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현가장치의 개념으로 후륜의 토우를 좌, 우륜 독립적으로 실시하여 응답성이 빠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device capable of fast response and reducing costs by independently performing left and right wheel tows in the rear wheel as an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목적 실현에 의하여 저속 선회시 및 주차시에 후륜의 자유스런 제어에 의하여 최소회전 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고속시 및 레인 체인지시 등에 토우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 한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minimum turning radius by the free control of the rear wheel when turning at low speed and parking by realizing the above objec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tow state at high speed and lane change, etc. limit performance To provide a suspension that can improve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회시 롤을 억제하지 않고, 이상적인 상태로 변화시켜 조종성 및 안정성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spens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as well as the riding comfort by changing to an ideal state without suppressing the roll during tur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현가장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롤 센터의 하강시의 작동 상태도.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when the roll center descends.

도 3은 롤 센터의 상승시의 작동 상태도.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when the roll center is raised;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에 따른 롤 센터의 변화 상태를 보/인 도면.Figure 4 shows / shows the change of the roll cen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vention.

도 5는 토우 아웃 컨트롤을 위한 작동 상태도.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for toe out control.

도 6은 토우 인 컨트롤을 위한 작동 상태도.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for toe-in control.

도 7은 토우 컨트롤에 따른 변화 상태를 보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change state according to the toe control.

도 8과 도 9는 4륜 조향 시스템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technology of the four-wheel steering system,

도 8a와 도 8b는 4륜 조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8A and 8B illustrate a four wheel steering system,

도 9a와 도 9b는 3륜 조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9A and 9B illustrate a three wheel steering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 캐리어가 전, 후측 2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에 의하여 차체에 연결되고,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상하 진동을 감쇠시키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의 내단부와 연결되는 롤 컨트롤 수단과, 상기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의 내단부와 연결되는 토우 컨트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in which a wheel carrier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by two lower control arms at the front and rear, and includes shock absorbing means for damping up and down vibrations input from the road surface. And roll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and toe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rear lower control ar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2에서와 같이, 엔진룸의 후측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브 프레임 (2)에는 전, 후 2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4, 6)이 전, 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로워 컨트롤 아암(4, 6)의 휠측 단부에는 휠(8)을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10)가 연결되며, 이 휠 캐리어(10)의 전측부에는 차체 길이방향으로 트레일링 아암(12)이 배치되면서 차체와 연결하여 준다.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subframe 2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t the rear side of the engine room, the front and rear two lower control arms 4 and 6 have the vehicle wid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fore and after. The wheel carriers 10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s 8 at the wheel-side ends of the lower control arms 4 and 6, and the front side of the wheel carriers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trailing arm 12 is arranged to connect with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휠 캐리어(10)의 상측부에는 코일 스프링(14)과 쇽 업소오버 (16)로 이루어져 휠(8)로부터 입력되는 상하 진동을 흡수 감쇠시키는 완충수단인 스트러트 어셈블리(18)가 배치된다.In addition, a strut assembly 18, which is a shock absorbing means for absorbing and damping the up and down vibration input from the wheel 8, is disposed by the coil spring 14 and the shock absorber 16 at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arrier 10.

상기에서 로워 컨트롤 아암(4, 6)은 노면 상태에 따라 입력되는 진동에 따라 소정의 궤적을 갖고 휠(8)이 승강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휠(8)에 가해지는 횡력을 수용하며, 트레일링 아암(12)은 휠(8)의 승강시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4, 6)과 함께 지지함과 동시에 휠(8)에 가해지는 전, 후력을 수용하게 된다.In the above, the lower control arms 4 and 6 support the wheel 8 to move up and down with a predetermined trajectory according to the vibration inputted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accommodate the lateral force applied to the wheel 8, and trailing. The arm 12 supports together with the lower control arms 4 and 6 when the wheel 8 is lifted to accommodate the front and rear forces applied to the wheel 8.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단 연결부(20)를 서브 프레임(2)에 연결하지 않고, 소정의 롤 컨트롤 수단과 연결하였다.In the vehicle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thus constru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body side end connecting portion 20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roll control means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subframe 2.

상기에서 롤 컨트롤 수단은 상기 서브 프레임(2)의 상측에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 우측으로 배치되는 구동수단인 유압 액튜에이터(22)와, 힌지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2)이 힌지 고정되어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22)의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뀌어주는 벨 크랭크(24)로 형성되며, 이의 벨 크랭크(24)의 일측단에는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단 연결부(20)가 연결되어 벨 크랭크(2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된다.The roll control means is a hydraulic actuator 22 which is a driving means dispos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an intermediate part on the upper side of the subframe 2, and the hinge part is hinged fixed to the subframe 2, the hydraulic actuator It is formed of a bell crank 24 for convert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22 into a rotary motion, and one side end of the bell crank 24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side end connection portion 20 of the lower control arm 4 to connect the bell. The crank 24 is moved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의 유압 액튜에이터(22)는 왕복형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서브 프레임(2)상에 수평의 상태로 배치되어 유압의 공급방향에 따라 신축 작용을 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hydraulic actuator 22 in the above is composed of a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and disposed on the subframe 2 in a horizontal state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그리고 벨 크랭크(24)는 중간부에 힌지부를 두고 일측에는 액튜에이터 연결부(26)가 길게 돌출 형성되어 이의 연결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선단에 유압 액튜에이터(22)와 힌지 연결되고, 타측에는 로워 아암 연결부(28)가 수평의 상태로 형성되어 이의 선단에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 연결부(20)가 수평형 고무 부시를 개재시켜 연결되는데, 이들은 대략 90°정도의 내각을 갖고 이루어진다.And the bell crank 24 has a hinge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and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26 is protrudingly formed on one side, the connecting portion is hinged with the hydraulic actuator 22 at the front en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vertically established, the lower arm connection portion on the other side The 28 is formed in a horizontal state, and at the tip thereof,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ng portion 20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is connected via a horizontal rubber bush, which has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

상기에서 액튜에이터 연결부(26)의 길이는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28)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유압 액튜에이터(22)가 작은 힘으로도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ength of the actuator connecting portion 26 is form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ng portion 28, which allows the hydraulic actuator 22 to elevate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even with a small force. For sake.

상기에서 유압 액튜에이터(22)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수단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속센서, 조향각 센서, 횡가속 센서등 롤을 컨트롤하는데 필요한 각종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컨트롤러에서 이를 연산하여 필요에 따라 유압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유압을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22)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들 관련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the hydraulic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actuator 22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signal input from various sensing means necessary for controlling a roll, such as a vehicle speed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is required to b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By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from the hydraulic pump to the hydraulic actuator 22, these related technologies are already known technique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압 액튜에이터(22)의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면, 벨 크랭크(24)가 회전하면서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 연결부(20)를 승강시켜 롤 센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롤의 컨트롤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hydraulic actuator 22 is mad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ell crank 24 rotates to raise and lower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ng portion 20 of the lower control arm 4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oll center. Roll control is achieved.

그리고, 상기 롤 컨트롤 수단의 후측에 배치되는 토우 제어수단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 프레임(2)의 상측에 중간부를 기준으로 좌, 우측으로 배치되는구동수단인 유압 액튜에이터(30)와, 힌지부가 상기 서브 프레임(2)이 힌지 고정되어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30)의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뀌어주는 벨 크랭크(32)로 형성되며, 이의 벨 크랭크(32)의 일측단에는 상기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의 차체측단 연결부(34)가 연결되어 벨 크랭크(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된다.And, the tow control means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roll control means is a hydraulic actuator 30 which is a driving means arrang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sub-frame 2, as shown in Figure 1, A hinge part is formed of a bell crank 32 which hinge-fixes the subframe 2 to change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ydraulic actuator 30 into a rotational motion, and at one end of the bell crank 32, the rear lower The vehicle body side end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control arm 6 is connected and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ell crank 32.

구체적으로는 상기에서의 유압 액튜에이터(30)는 왕복형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져 유압의 공급방향에 따라 신축 작용을 하게 되는데, 그의 자유단이 외측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벨 크랭크(36)와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hydraulic actuator 30 in the above is made of a reciprocating hydraulic cylinder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upply dire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the free end thereof is arranged in an inclined downward downward connection with the bell crank 36 do.

그리고 밸 크랭크(36)는 중간부에 힌지부를 두고 일측에는 액튜에이터 연결부(38)가 돌출 형성되어 이의 선단에 유압 액튜에이터(30)와 힌지 연결되며, 타측에는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40)가 형성되어 이의 선단에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 (6)의 차체측 연결부(34)가 수평형 고무 부시를 개재시켜 연결되는데, 이들은 대략 90°정도의 내각을 갖고 이루어진다.And the ball crank 36 has a hinge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38 is protrudingly formed on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actuator 30 and hinged on the front end thereof,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ortion 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rear lower control arm 6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via a horizontal rubber bush, which has an internal angle of approximately 90 °.

상기와 같은 연결 구성에 의하여 벨 크랭크(32)는 힌지부가 최상측에 위치하고, 이들 자유단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액튜에이터 연결부(38)의 길이는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40)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는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적은 힘으로도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By the above connection configuration, the bell crank 32 has a hinge portion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se free ends are disposed in a state of facing downward, and the length of the actuator connecting portion 38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ng portion 40. It is formed relatively long in order to allow the hydraulic actuator 30 to elevate the front lower control arm 6 even with a small force.

상기에서 유압 액튜에이터(30)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수단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속센서, 조향각 센서, 횡가속 센서등 롤을 컨트롤하는데 필요한 각종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컨트롤러에서 이를 연산하여 필요에 따라 유압펌프로부터 펌핑되는 유압을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30)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들 관련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the hydraulic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hydraulic actuator 30 is not shown,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a signal input from various sensing mean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roll such as a vehicle speed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 lateral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ike. By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pumped from the hydraulic pump to the hydraulic actuator 30, these related technologies are already known technique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유압 액튜에이터(30)의 신축 작용이 이루어지면, 벨 크랭크(24)가 회전하면서 로워 컨트롤 아암(6)의 차체측 연결부(34)를 승강시킴으로써, 휠(8)의 후측부분을 당기거나 밀게 하여 토우 컨트롤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hydraulic actuator 30 is mad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ar part of the wheel 8 is moved by lifting and lowering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34 of the lower control arm 6 while the bell crank 24 rotates. Toe control is achieved by pulling or pushing.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2는 서브 프레임(2)을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마운트를 지칭한다.Reference numeral 42 in the drawing refers to a mount for connecting the subframe 2 to the vehicle body.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롤 컨트롤 과정을 살펴보면, 차량의 주행 조건이 감지센서들로부터 롤 센터를 하강시켜야 한다는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미도시한 컨트롤러에는 유압 액튜에이터(22)가 신장될 수 있도록 유압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Looking at the roll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dition that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should lower the roll center from the sensor is input, the hydraulic actuator 22 can be extended to the controller not shown To control the direction of hydraulic pressure.

그러면 도 2에서와 같이 유압 액튜에이터(22)가 신장되면서 벨 크랭크(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단을 하강시켜 롤 센터를 낮추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2, the bell crank 24 is rotated clockwise while the hydraulic actuator 22 is extended, thereby lowering the vehicle body side end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to lower the roll center.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차량의 주행 조건이 감지센서들로부터 롤 센터를 상승시켜야 한다는 조건이 입력되면, 컨트롤러에는 유압 액튜에이터(22)가 수축될 수 있도록 유압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a condition that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is to raise the roll center from the sensors is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rection of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hydraulic actuator 22 can be contracted.

그러면 도 3에서와 같이 유압 액튜에이터(22)가 수축되면서 벨 크랭크(2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차체측단을 상승시켜 롤 센터를 높이게 된다.Then, by rotating the bell crank 24 counterclockwise while the hydraulic actuator 22 is contracted 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body side end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is raised to increase the roll center.

상기와 같은 롤 센터의 높이 변화를 가시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롤이 조절되지 않는 상태에서 차체에 대한 휠(8)의 순간 중심은 스트러트 어셈블리 (18)의 상측 연결부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과,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양 연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의 교점(C1)이 된다.Looking at the height change of the roll center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the instantaneous center of the wheel (8)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in the state that the roll is not adjus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is at the upper connection of the strut assembly (18) It becomes the intersection C1 of the virtual line formed with the virtual line, and the virtual line which connects the both connection parts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상기 순간 중심(C1)과, 휠(8)의 접지부와의 연결선과 차체의 센터라인(CL)의 교점이 롤 센터(RC1)가 되며, 따라서 롤 센터의 높이는 H1이 된다.As a result, the inters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instantaneous center C1, the ground portion of the wheel 8 and the center line CL of the vehicle body becomes the roll center RC1, and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oll center becomes H1.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내단부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18)의 상부 연결부에서 직교하는 가상의 선과, 하강된 상기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양 연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의 교점이 순간 중심(C2)이 되며, 이의 순간 중심과(C2)과, 휠(8)의 접지부와의 연결선과 차체의 센터라인(CL)의 교점이 롤 센터(RC2)가 되며, 따라서 롤 센터의 높이는 H2가 된다.When the inner end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is lowered in the above state, a virtual line orthogonal to the upper connection part of the strut assembly 18 connects both connecting portions of the lower front control arm 4 to be lowered.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line becomes the instantaneous center C2, and the intersection of the instantaneous center C2, the connecting line between the ground portion of the wheel 8 and the centerline CL of the vehicle body is the roll center RC2.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oll center is H2.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내단부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18)의 상부 연결부에서 직교하는 가상의 선과, 상승된 상기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4)의 양 연결부를 연결하는 선과의 교점이 순간중심(C3)이 되며, 이의 순간 중심과(C3)과, 휠(8)의 접지부와의 연결선과 차체의 센터라인(CL)의 교점이 롤 센터(RC3)가 되며, 따라서 롤 센터의 높이는 H3가 된다.Contrary to the above, when raising the inner end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4, a virtual line orthogonal to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of the strut assembly 18, and both connecting portions of the raised front lower control arm 4 are raised. The intersection of the connecting line becomes the instant center (C3), and the intersection of the instantaneous center (C3),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ground portion of the wheel (8) and the center line (CL) of the vehicle body is the roll center (RC3).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oll center is H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의 조건 또는 차체의 상태에 따라 롤 센터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차체에 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roll on the vehicle body whil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oll center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oad or the state of the vehicle body.

그리고 토우 컨트롤 과정을 살펴보면, 차량의 주행 조건이 감지센서들로부터 토우 인의 상태로 제어해야 한다는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미도시한 컨트롤러는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신장될 수 있도록 유압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In the tow control process, when the condition that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is to be controlled by the toe-in state from the sensors is input,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hydraulic actuator 30 can be extended. do.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신장되면서 벨 크랭크(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을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5, as the hydraulic actuator 30 is extended, the bell crank 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push the rear lower control arm 6 outward.

이와 같이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이 외측으로 밀리면 결국 휠(8)의 후측 부분이 외측으로 밀리게 됨으로써, 토우 인 상태로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rear lower control arm 6 is pushed outward, the rear part of the wheel 8 is pushed outward, thereby changing to a toe-in state.

그리고 상기와는 반대로 차량의 주행 조건이 감지센서들로부터 토우 아웃 상태로 제어해야 한다는 조건이 입력되면, 컨트롤러는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수축될 수 있도록 유압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ondition that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should be controlled to the toe-out state from the sensors is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hydraulic actuator 30 can be contracted.

그러면 도 6에서와 같이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수축되면서 벨 크랭크(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을 당기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6, as the hydraulic actuator 30 is contracted, the bell crank 32 is rotated clockwise to pull the rear lower control arm 6.

이와 같이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이 내측으로 당겨지면 휠(8)의 후측 부분이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토우 아웃 상태로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rear lower control arm 6 is pulled inward, the rear part of the wheel 8 is pulled inward and the change is made to the toe-out state.

상기와 같은 토우 변화를 가시적으로 살펴보면, 도 7에서와 같이, 토우 조절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실선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의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신장되면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이 일점쇄선과 같이 외측으로 밀리게 되어 휠(8)은 토우 인 상태가 된다.Looking at the tow chang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7, in the state that is not adjusted tow to maintain the same state as the solid line,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hydraulic actuator 30 is extended rear lower control arm 6 is pushed outward like a dashed-dotted line, and the wheel 8 is in a toe-in state.

그리고 도 6과 같이 유압 액튜에이터(30)가 수축되면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6)이 이점쇄선과 같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휠(8)은 토우 아웃의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hydraulic actuator 30 is contracted, the rear lower control arm 6 is pulled inward like a double-dashed line so that the wheel 8 is in a tow-out state.

이와 같이 휠(8)의 토우 컨트롤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차량의 제반 운행 조전에 따라 순수하게 토우를 컨트롤하여 현가장치의 이상적인 지오메트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것 이외에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조향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As such, the tow control of the wheel 8 may have the meaning of steering inten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obtain the ideal geometry of the suspension by purely controlling the tow according to the general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즉, 차량의 선회 방향에 따라 휠(8)을 토우 인 또는 토우 아웃으로 제어함으로써, 후륜의 조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wheel 8 to toe in or toe out according to the tur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teering of the rear wheels is achieved.

또한,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에 의하면, 유압 액튜에이터(22, 30)가 직접 휠 (8)과 연결되어 휠(8)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 (22, 30)와 연결되는 벨 크랭크(24, 32)가 90°정도의 각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이의 작동각을 기계적인 에너지를 구하는 식에 대입시켜 볼 때 에너지 소비율은 최소의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uspension device described above, the bell crank connected to the hydraulic actuators 22 and 30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actuators 22 and 30 directly instead of directly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wheel 8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wheels 8. The connection is made while the angle of (24, 32) is maintained at an angle of about 90 °. By substituting in, the energy consumption rate is at a minimum.

상기 식에서 F는 유압 액튜에이터의 힘, S는 유압 액튜에이터의 작동 행정, 그리고 θ는 유압 액튜에이터와 벨 크랭크와의 내각을 표시한다.In the above formula, F denotes the force of the hydraulic actuator, S denotes the operating stroke of the hydraulic actuator, and θ denotes the cabinet between the hydraulic actuator and the bell cran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는 독립 현가장치의 개념으로 후륜의 토우를 좌, 우륜 독립적으로 실시하여 응답성이 빠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토우 제어에 의하여 조향이 이루어짐으로써, 저속 선회시 및 주차시에 후륜의 자유스런 제어에 의하여 최소회전 반경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고속시 및 레인 체인지시 등에 토우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는 바, 한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of the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of an independent suspension device, and the tow of the rear wheel is independently performed to the left and right wheels, so that the responsiveness is fast and the cost can be reduced. As the steering is made by the tow control as described above, the minimum turning radius can be realized by the free control of the rear wheels during low speed turning and parking, and the tow state can be optimized at high speeds and lane changes, etc. Margina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그리고 롤 센터의 높이 조절이 좌, 우륜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바, 선회시 롤을 억제하지 않고, 이상적인 상태로 변화시켜 조종성 및 안정성은 물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roll center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as well as the riding comfort by changing to an ideal state without suppressing the roll during turning.

Claims (11)

휠 캐리어가 전, 후측 2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에 의하여 차체에 연결되고,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상하 진동을 감쇠시키는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In the rear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e wheel carrier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by two lower control arms at the front and the rear, and includes a shock absorbing means for damping up and down vibrations input from the road surface. 상기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의 내단부와 연결되는 롤 컨트롤 수단과,Roll control means connected to an inner end of the front lower control arm, 상기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의 내단부와 연결되는 토우 컨트롤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And a tow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rear lower control 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컨트롤 수단은 서브 프레임의 상측에 수평의 상태로 배치되어 유압 동력원에 의하여 신축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동수단과;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roll control means comprises: drive means arranged horizontally above the sub-frame to perform stretching operation by a hydraulic power source; 상기 구동수단의 직선 왕복 운동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을 상하 승강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And a rotating means for receiv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riving means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to raise and lower the front lower control a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왕복형 유압 액튜에이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3. The rear wheel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rive means comprises a reciprocating hydraulic actu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중간부에 힌지부를 두고 일측으로 액튜에이터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액튜에이터 연결부와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는 90°정도의 내각을 갖는 벨 크랭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ng means has a hinge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to one side and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ortion has an angle of about 90 ° Rear wheel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l cr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는 액튜에이터 연결부의 길이가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5. The rear wheel suspension of claim 4, wherein the bell crank is formed to have a length of an actuator connection longer than that of a lower control ar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는 액튜에이터 연결부가 수직으로 세워져 유압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가 수평의 상태에서 로워 컨트롤 아암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5. The rear wheel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ell crank is arranged such that the actuator connection part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ydraulic actuator, and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art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control arm in a horizontal state. Suspen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컨트롤 수단은 서브 프레임상의 중간부에 선단부가 외측을 향하면서 하향 경사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유압 동력원에 의하여 신축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동수단과;The tow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riving means arranged at an inclined downward direction with the tip portion facing outwardly in an intermediate portion on the sub-frame and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by a hydraulic power source; 상기 구동수단의 직선 왕복 운동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후측 로워 컨트롤 아암을 상하 승강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And a rotating means for receiving the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driving means,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and rotating the rear lower control arm up and dow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왕복형 유압 액튜에이터로 구성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8. The rear wheel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rive means comprises a reciprocating hydraulic actu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중간부에 힌지부를 두고 일측으로 액튜에이터 연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액튜에이터 연결부와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는 90°정도의 내각을 갖는 벨 크랭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According to claim 7, The rotating means has a hinge portion in the middle portion,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to one side and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ortion has a 90 degree angle Rear wheel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ell crank hav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는 액튜에이터 연결부의 길이가 로워 컨트롤 아암의 연결부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The rear wheel suspension of a four-wheel steering system veh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ell crank has a length of the actuator connection portion longer than that of the lower control ar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 크랭크는 중간 힌지부가 최상측으로 위치하여 액튜에이터의 연결부가 유압 액튜에이터와 연결되고, 로워 컨트롤 아암 연결부가 로워 컨트롤 아암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10.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bell crank is arranged such that the intermediate hinge part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the connection part of the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actuator, and the lower control arm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trol arm. Rear wheel suspension.
KR1019980048360A 1998-11-12 1998-11-12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KR100320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360A KR100320501B1 (en) 1998-11-12 1998-11-12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360A KR100320501B1 (en) 1998-11-12 1998-11-12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036A KR20000032036A (en) 2000-06-05
KR100320501B1 true KR100320501B1 (en) 2002-06-20

Family

ID=19557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360A KR100320501B1 (en) 1998-11-12 1998-11-12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5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343A (en) * 2002-12-03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atic geometry controlling rear suspen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982B1 (en) * 2001-02-21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learning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automotive suspension
KR20030017668A (en) * 2001-08-21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icles
KR100456881B1 (en) * 2002-06-20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Bump toe control device of rear suspension in vehicle
KR100599482B1 (en) * 2004-10-06 2006-07-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ethod to control actuator assembly
KR102186802B1 (en) * 2020-06-15 2020-12-04 최형진 Leaning Rear-Suspension of Tilting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343A (en) * 2002-12-03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matic geometry controlling rear susp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036A (en)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3982B2 (en) Suspension structure
KR100295845B1 (en)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CN102198781B (en) Movable back wheel suspension
JPH04108011A (en) Wheel suspension device for steerable rear wheel of automobile
KR100680389B1 (en) Wheel alignment and vehicle height adjusting apparatus
KR100320501B1 (en) Rear Wheel Suspension of Four Wheel Steering System
JPS63251311A (en) Suspension for vehicle provided with 4-wheel-steering device
CN108263161A (en) Tilting vehicle
CN205440525U (en) Large -scale electric drive tipper front axle positioner
JP4868133B2 (en) Tow angle / Camber angle variable device
JPH06286447A (en) Suspension device for automobile
JPH0669774B2 (en) Vehicle rear suspension device
KR100313790B1 (en) Steering wheel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KR20030017668A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icles
JP6139212B2 (en) Suspension device
KR100507096B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KR20090132981A (en) Camber adjusting device for suspension system in vehicles
KR100787654B1 (en) A system which is inducing toe-in of ctba suspesion
JPH0669775B2 (en) Car suspension
KR20110055291A (en) Strut type multilink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KR100293680B1 (en)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JP6166084B2 (en) Suspension device
JPH06312613A (en) Suspension
JPH052552B2 (en)
CN114425935A (en) Active roll system for keeping vehicle body horizontal on cross sl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