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273B1 - 멀티 콘센트 플러그 - Google Patents

멀티 콘센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273B1
KR100320273B1 KR1019990004211A KR19990004211A KR100320273B1 KR 100320273 B1 KR100320273 B1 KR 100320273B1 KR 1019990004211 A KR1019990004211 A KR 1019990004211A KR 19990004211 A KR19990004211 A KR 19990004211A KR 100320273 B1 KR100320273 B1 KR 10032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auxiliary
case
groove
plu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540A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101999000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2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멀티 플러그는 케이스의 외측면으로 다수의 플러그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된 플러그에 의해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사용시에도 돌출된 플러그 때문에 인접한 콘센트에는 다른 플러그를 사용할 수 없게되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콘센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국산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접속부만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국산 전자제품을 국내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할 수 없는 등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다수의 보조플러그를 내장하고, 상기 보조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및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등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모양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타국에서도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콘센트 플러그{Muli outlet plug}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다수의 보조플러그를 내장하고, 상기 보조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및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등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모양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타국에서도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멀티 플러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의 상면에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접속부(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의 외주면상에는 유럽이나 미국, 일본, 한국에서 사용되는 플러그(3)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이 접속부(2)가 회전되어 정지한 위치에 존재하는 플러그(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멀티 플러그는 외국에서 국산 전자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 국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상기 플러그 접속부(2)에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의 플러그(3)쪽으로 플러그 접속부(2)를 회전시켜 플러그 접속부(2)와 해당 국가의 플러그(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플러그(3)를 해당국가의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으면 전원이 플러그(3)와 플러그 접속부(2)를 통해 전자제품으로 공급되어 플러그가 전혀 다르게 형성된 국가에서도 각산 전자제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멀티 플러그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의 외측면으로 다수의 플러그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된 플러그에 의해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사용시에도 돌출된 플러그 때문에 인접한 콘센트에는 다른 플러그를 사용할 수 없게되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콘센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국산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접속부만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국산 전자제품을 국내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종래의 멀티 플러그는 무용지물이 되는 등 그 사용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다수의 보조플러그를 내장하고, 상기 보조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및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등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모양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타국에서도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국산 전자제품을 국내 뿐만 아니라 그밖의 타국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플러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스와;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플러그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플러그 보다는 다소 짧게 돌출 형성되며 그 끝부분에 걸림홈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접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보조 플러그와;
케이스의 일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보조플러그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저면에 쌍을 이루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보조플러그의 몸체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면 상단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에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보조플러그의 보조접속구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속홈과, 접속홈이 형성된 케이스의 내측으로 접속홈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되는 보조접속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의 일측 끝단에 돌설되어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보조 접속구의 걸림홈에 결합되어 보조플러그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고정단자의 중간부분에 내향 돌출되어 보조플러그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탄성돌기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과;
케이스의 일면에 여러국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과, 삽입홈이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의 상면에 길게 형성되며 보조플러그 접속수단의 고정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상면에 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전원 플러그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접속단자로 구성된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멀티 플러그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멀티 콘센트 플러그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을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플러그 접속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보조 플러그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교류/직류 변환수단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보조 플러그
30: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 40: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
50: 플러그 접속수단 70: 교류/직류 변환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10), 보조플러그(20),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30),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 플러그 접속수단(50)으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팔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플러그(20)는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여러개 구성하였는데,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 두께의 몸체(21)를 형성하고, 이 몸체(21)의 일측으로는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22)를 돌출시키고, 몸체(21)의 타측으로는 플러그(22) 보다는 다소 짧게 형성되는 보조 접속구(24)를 형성하여, 후설하는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접속되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 접속구(24)는 모두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하며, 그 끝단부에는 걸림홈(23)을 형성시켜 보조 접속구(24)가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접속될 때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의 걸림돌기(43)에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30)은 보조플러그(20)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0)의 일면 내측으로 적어도 1개 이상의 보조 플러그(2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31)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31)의 저면에는 보조플러그(20)의 몸체(21)가 끼워지기 위한 고정편(32)을 쌍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수납공간(31) 내부에 여러개의 보조 플러그(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납공간(31)의 양측면 상단에는 덮개(33)가 안내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더(34)를 길게 형성하여 이 가이더(34)에 안내되어 개폐되는 덮개(33)에 의해 수납공간(31)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3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 보다 많은 수의 보조플러그(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은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플러그와 동일한 모양의 보조 플러그(20)를 사용하고자 할때 이 보조 플러그(20)가 접속되는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전면에 '' 모양의 접속홈(41)을 형성하여 보조플러그(20)의 보조접속구(24)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접속홈(41)이 형성된케이스(10)의 내측으로는 접속홈(41)을 통해 삽입되어지는 보조접속구(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단자(42)를 형성하였는데, 이 고정단자(42)는 상기 접속홈(41)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삽입된 보조접속구(24)가 회전하는데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단자(42)의 끝부분에는 걸림돌기(43)를 돌출시켜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보조 접속구(24)의 걸림홈(23)이 결합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고정단자(42)의 중간부분에 탄성돌기(44)를 내향 돌출시켜 걸림돌기(43)에 결합된 보조플러그(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접속된 보조 플러그(2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해당국가의 콘센트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50)은 여러국가에서 생산된 전자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일면에 여러국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모양의 삽입홈(51)을 배열 형성하고, 이 삽입홈(51)이 형성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별도의 지지대(52)의 상면에 단자부(53)를 형성하며, 이 단자부(53)의 상면에 상기 삽입홈(51)을 통해 삽입되는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접속단자(54)를 형성한다.
상기 접속단자(54)는 삽입홈(51)을 통해 삽입되어지는 전원 플러그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자부(53)와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의 고정단자(4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보조플러그(20)가접속된 상태로 해당 국가의 콘센트에 접속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50)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접속하면 콘센트의 전원이 고정단자(42)와 단자부(53)를 통해 전자제품으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상기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5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벽면 매립형으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호텔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콘센트의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산 전자제품을 타국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를 설명하면,
해당 국가의 플러그와 같은 모양의 플러그(22)가 형성된 보조플러그(20)를 보조플러그 수납수단(30)으로 부터 꺼내어 보조 접속구(24)를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의 접속홈(41)에 삽입하여 보조플러그(20)가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보조플러그(20)를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접속시킬때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 접속구(24)를 접속홈(41)에 삽입하여 고정단자(42)에 접속되도록 한 후 일정각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조 접속구(24)의 걸림홈(23)이 걸림돌기(43)에 결합되면서 보조플러그(20)와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이 전기적, 기계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보조플러그(20)가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결합된 후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50)의 삽입홈(51)중 동일한 모양의 삽입홈(51)에 삽입하여 접속단자(5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는 해당 국가의 콘센트에 접속될 수 있는 보조플러그(20)를 결합하고,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50)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보조플러그(20)를 해당 국가의 콘센트에 접속시키면 상용전원이 보조플러그(20) → 고정단자(42) →단자부(53) → 접속단자(54) → 전원 플러그의 순으로 전달되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원 발명에 의하면 국내에서 생산된 전자제품을 해외에서 별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생산된 전자제품을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스(10)와;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플러그(22)와, 상기 몸체(21)의 타측면에 플러그(22) 보다는 다소 짧게 돌출 형성되며 그 끝부분에 걸림홈(23)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접속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보조 플러그(20)와;
케이스(10)의 일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보조플러그(2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31)과, 상기 수납공간(31)의 저면에 쌍을 이루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보조플러그(20)의 몸체(21)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편(32)과, 상기수납공간(31)의 양측면 상단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더(34)와, 상기 가이더(34)에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공간(31)을 개폐하는 덮개(33)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30)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보조플러그(20)의 보조접속구(24)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속홈(41)과, 접속홈(41)이 형성된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접속홈(41)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되는 보조접속구(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단자(42)와, 상기 고정단자(42)의 일측 끝단에 돌설되어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보조 접속구(24)의 걸림홈(23)에 결합되어 보조플러그(2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43)와, 상기 고정단자(42)의 중간부분에 내향 돌출되어 보조플러그(20)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탄성돌기(44)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과;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되며, 각기 서로 다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압 출력단자(71)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실장되고, 보조플러그 접속수단(40)의 고정단자(42)와 연결되는 입력코일(L1)과 상기 입력코일(L1)로 유기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을 변환시켜 각각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a∼71f)로 서로다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코일(L2)로 구성된 트랜스(72)를 포함하는 교류/직류 변환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원 발명과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처리하여 중복설명을 피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직류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게되는 전자제품을 다양한 모양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여러 국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케이스(10), 보조플러그(20), 보조플러그 수납수단(30), 보조플러그 접속수단(40), 교류/직류 변환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류/직류 변환수단(70)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10)의 일면에 전자제품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잭이 접속되기 위한 다수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a∼71f)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a∼71f)는 1.5V, 3V, 4.5V, 6V, 9V, 12V의 전압이 출력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각각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로 공급하는 트랜스(72)가 설치되는데, 이 트랜스(72)는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의 고정단자(42)와 접속되어 보조 플러그(20)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입력코일(L1)과, 상기 입력코일(L1)에 유기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각각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a∼71f)로 공급하는 출력코일(L2)로 구성되어 있다.상기 트랜스(72)의 출력전압은 출력코일(L2)의 권선횟수에 비례하여 가변되기 때문에 각각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a~71f)를 별도의 전선으로 출력코일(L2)의 서로다른 위치에 연결하므로서 각각의 출력단자(71a~71f)에서 서로다른 직류전압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출력단자(71a)를 출력코일(L2)이 적게 권취된 부분에 연결하고 최종의 제 6 출력단자(71f)는 출력코일(L2)이 가장 많이 권취된 부분에 연결하여 각각 원하는 직류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그리고,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상용교류전압이 주로 110V 와 220V 이므로 상기 입력코일(L1)과 출력코일(L2)의 권선비를 상기 110V 와 220V에 적합하게 가변시키므로서 각각의 출력단자(71a~71f)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또, 110V 와 220V 를 사용하지 않는 국가에서 사용하더라도 각각의 출력단자(71a~71f)를 통해서는 각기 서로다른 직류전압이 출력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그 중에서 적합한 임의의 단자를 이용할 수 있게되므로 크게 걱정할만한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10), 보조플러그(20), 보조플러그 수납수단(30), 보조플러그 접속수단(40)은 본원 발명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해당 국가의 플러그와 같은 모양의 플러그(22)가 형성된 보조플러그(20)를 보조플러그 수납수단(30)으로 부터 꺼내어 보조 접속구(24)를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의 접속홈(41)에 삽입하여 보조플러그(20)가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 결합되도록 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잭을 어느 하나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에는 해당 국가의 콘센트에 접속될 수 있는 보조플러그(20)를 결합하고, 직류전압 출력단자(71)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제품의 전원잭을 접속시킨 상태에서 보조플러그(20)를 해당 국가의 콘센트에 접속시키면 상용전원이 보조플러그(20) → 고정단자(42) →트랜스(70) → 직류전압 출력단자(71) → 전원잭의 순으로 전달되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동작하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국내에서 생산된 직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해외에서 별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생산된 직류전원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럽, 미국, 일본등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는 각기 다른 모양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다수의 보조플러그를 내장하고, 상기 보조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및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수단 등을 구비하여 서로 다른 모양의 플러그를 사용하는 타국에서도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상의 편리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콘센트 플러그이다.

Claims (2)

  1. 다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스(10)와;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플러그(22)와, 상기 몸체(21)의 타측면에 플러그(22) 보다는 다소 짧게 돌출 형성되며 그 끝부분에 걸림홈(23)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접속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보조 플러그(20)와;
    케이스(10)의 일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보조플러그(2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31)과, 상기 수납공간(31)의 저면에 쌍을 이루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보조플러그(20)의 몸체(21)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편(32)과, 상기 수납공간(31)의 양측면 상단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더(34)와, 상기 가이더(34)에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공간(31)을 개폐하는 덮개(33)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30)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보조플러그(20)의 보조접속구(24)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속홈(41)과, 접속홈(41)이 형성된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접속홈(41)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되는 보조접속구(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단자(42)와, 상기 고정단자(42)의 일측 끝단에 돌설되어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보조 접속구(24)의 걸림홈(23)에 결합되어 보조플러그(2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43)와, 상기 고정단자(42)의 중간부분에 내향 돌출되어 보조플러그(20)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탄성돌기(44)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과;
    케이스(10)의 일면에 여러국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51)과, 삽입홈(51)이 형성된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52)의 상면에 길게 형성되며 보조플러그 접속수단(40)의 고정단자(4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53)와, 상기 단자부(53)의 상면에 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1)을 통해 삽입되는 전원 플러그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접속단자(54)로 구성된 전원 플러그 접속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멀티 콘센트 플러그.
  2. 다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스(10)와;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플러그(22)와, 상기 몸체(21)의 타측면에 플러그(22) 보다는 다소 짧게 돌출 형성되며 그 끝부분에 걸림홈(23)이 요입 형성되어 있는 보조 접속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러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러그의 형태에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 보조 플러그(20)와;
    케이스(10)의 일면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보조플러그(20)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공간(31)과, 상기 수납공간(31)의 저면에 쌍을 이루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보조플러그(20)의 몸체(21)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편(32)과, 상기 수납공간(31)의 양측면 상단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더(34)와, 상기 가이더(34)에 안내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공간(31)을 개폐하는 덮개(33)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수납수단(30)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보조플러그(20)의 보조접속구(24)가 삽입되어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속홈(41)과, 접속홈(41)이 형성된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접속홈(41)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며, 삽입되는 보조접속구(2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단자(42)와, 상기 고정단자(42)의 일측 끝단에 돌설되어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보조 접속구(24)의 걸림홈(23)에 결합되어 보조플러그(2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43)와, 상기 고정단자(42)의 중간부분에 내향 돌출되어 보조플러그(20)가 회전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탄성돌기(44)로 구성된 보조 플러그 접속수단(40)과;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되며, 각기 서로 다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압 출력단자(71)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실장되고, 보조플러그 접속수단(40)의 고정단자(42)와 연결되는 입력코일(L1)과 상기 입력코일(L1)로 유기되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을 변환시켜 각각의 직류전압 출력단자(71a∼71f)로 서로다른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코일(L2)로 구성된 트랜스(72)를 포함하는 교류/직류 변환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콘센트 플러그.
KR1019990004211A 1999-02-08 1999-02-08 멀티 콘센트 플러그 KR10032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211A KR100320273B1 (ko) 1999-02-08 1999-02-08 멀티 콘센트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211A KR100320273B1 (ko) 1999-02-08 1999-02-08 멀티 콘센트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40A KR20000055540A (ko) 2000-09-05
KR100320273B1 true KR100320273B1 (ko) 2002-01-10

Family

ID=1957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211A KR100320273B1 (ko) 1999-02-08 1999-02-08 멀티 콘센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69B1 (ko) * 2017-11-20 2018-03-14 동양컨설턴트 주식회사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70A (en) * 1987-06-24 1989-0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ultiple type outlet
JPH0376378A (ja) * 1989-08-17 1991-04-02 Sharp Corp ファクシミリ通信装置
JPH04160780A (ja) * 1990-10-23 1992-06-04 Bangaade:Kk コンセント付の差込みプラ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70A (en) * 1987-06-24 1989-0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ultiple type outlet
JPH0376378A (ja) * 1989-08-17 1991-04-02 Sharp Corp ファクシミリ通信装置
JPH04160780A (ja) * 1990-10-23 1992-06-04 Bangaade:Kk コンセント付の差込みプラ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69B1 (ko) * 2017-11-20 2018-03-14 동양컨설턴트 주식회사 벽면 매설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40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495B2 (en) Universal adapter with interchangeable plugs
US4895528A (en) Universal high/low voltage hose-to-wall fitting for current-carrying flexible hose
EP1237234A2 (en) AC-adapter and pin configuration adapter for AC-adapter
US4028654A (en) Battery charger
US7458814B2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KR100320273B1 (ko) 멀티 콘센트 플러그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US20020146933A1 (en) Wire receiving device without connection point
KR101668844B1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CN210074334U (zh) 沙发插座
CN220963972U (zh) 一种收纳墙插
GB2201556A (en) Dummy plug with plug support
EP1330858B1 (en) Electrical accessory
US20020177339A1 (en) Multi-direction insertion socket with conductor structure
KR960007867Y1 (ko) 110v/220v 겸용을 위한 접속플러그 및 그를 위한 본체 플러그
KR200161968Y1 (ko) 전원공급장치
KR200169335Y1 (ko) 회전식플러그를 구비한 어댑터
CN209088141U (zh) 一种防水接龙式多工位充电座
KR200240280Y1 (ko) 220-110볼트겸용플러그
CN208508064U (zh) 一种收纳排插
CN2253875Y (zh) 室内无线电话用电源插座
KR100603056B1 (ko) 접속단자가 접히는 전원플러그
KR200355820Y1 (ko) 다기능 덮개를 갖춘 건축용 전기 콘센트
KR200185370Y1 (ko) 110/220 볼트 겸용 플러그 및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