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703B1 -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 Google Patents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703B1
KR100319703B1 KR1020000007994A KR20000007994A KR100319703B1 KR 100319703 B1 KR100319703 B1 KR 100319703B1 KR 1020000007994 A KR1020000007994 A KR 1020000007994A KR 20000007994 A KR20000007994 A KR 20000007994A KR 100319703 B1 KR100319703 B1 KR 10031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telephone
mode
information
detecte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830A (ko
Inventor
권황섭
Original Assignee
최용택
주식회사 코베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택, 주식회사 코베콤 filed Critical 최용택
Priority to KR1020000007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703B1/ko
Priority to BR0100363-1A priority patent/BR0100363A/pt
Priority to US09/778,350 priority patent/US20010012344A1/en
Priority to CNB011029021A priority patent/CN1173542C/zh
Priority to CNA2004100058653A priority patent/CN1561088A/zh
Priority to EP01102971A priority patent/EP1124366A3/en
Priority to ARP010100581A priority patent/AR027392A1/es
Priority to JP2001035002A priority patent/JP2001291017A/ja
Publication of KR2001008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2Count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repayment Telephone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표시상태 및 동작모드를 전환하도록 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감지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공중전화기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갖는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개시하고;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며;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동작모드를 감지하고;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동작모드에 대하여 기 저장된 안내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안내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공중전화기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기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광고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하고; 광고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도중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광고정보의 표시모드를 해제하고, 표시장치에 기 설정된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초기화면모드로 전환하도록 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감지센서의 감지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감지센서에 의해 공중전화기의 표시상태가 광고모드에서 초기화면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필요 없어 편리하고, 공중전화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METHOD FOR CHANGING DRIVING MODE IN PUBLIC TELEPHONE}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전화기에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공중전화기의 표시상태 및 동작모드를 전환하도록 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수단의 가장 대표적인 장치로 전화기를 들 수 있다. 전화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가정용 일반전화기와 기업용 키폰 및 일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화기는 종래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장비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능들이 전화기에 부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중, 공중전화기는 전화서비스 업체에서 일반 사용자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인 통화기능에 한정되었다.
또한, 통상의 공중전화기는 통화중일 때에는 그 효용가치를 발휘하지만, 통화를 수행하지 않을 때에는 아무런 기능도 수행하지 않는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0-5750호(출원일: 2000. 02. 08)를 통하여 '복합기능의 공중전화기'를 제시한 바 있다. 이는 공중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무실로부터 이탈한 임의의 위치에서도 사무자동화기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또한, 대형 표시장치를 구성하여 통화기능에 관련된 각종 안내문구 및 광고문안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형 표시장치에 일정한 광고문안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업주에게 경제적인 이득을 제공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공중전화기의 기능을 진일보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형 표시장치의 표시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공중전화기의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공중전화기의 개략적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공중전화기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공중전화기의 내부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중전화기 102: 액정 디스플레이패널
104: 감지센서 113: 중앙처리장치
114: 메모리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감지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공중전화기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갖는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개시하고;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며;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동작모드를 감지하고;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동작모드에 대하여 기 저장된 안내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안내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공중전화기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기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광고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하고; 광고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도중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광고정보의 표시모드를 해제하고, 표시장치에 기 설정된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초기화면모드로 전환하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공중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행위에 의해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화면모드는, 공중전화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종 모드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감지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공중전화기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갖는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공중전화기를 동작모드에 대한 동작상태로 전환시키고; 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공중전화기로부터 이탈되었는가를 체크하며; 사용자가 공중전화기로부터 이탈되면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개시하고;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며;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기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광고정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하고; 광고정보 표시모드를 수행하는 도중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광고정보의 표시모드를 해제하고,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로 공중전화기의 모드를 전환시키도록 한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공중전화기의 개략적 외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공중전화기의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공중전화기의 내부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공중전화기(100)의 본체 전면에는 입력기능과 표시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01)과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이 일체화되어 설치되고, 그 하부에 공중전화기용 카드를 투입할 수 있는 카드 투입구(103)가 설치된다.
또한, 공중전화기(100)의 전면 소정위치에는 공중전화기(100)에 접근되어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04)가 설치되고, 공중전화기(100)의 측면에는 송/수화기(105)가 후크(106)에 의해 걸림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공중전화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107)을 통하여 통신사업자의 국선교환기(108)에 접속되고, 또한, 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혹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109)을 통하여 원격지의 중계기 서버(110)에 접속된다. 또한, 중계기 서버(110)는 통신망(109)을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11) 혹은 광고를 개재하고자 하는 광고주 서버(112)에 접속되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11) 혹은 광고주 서버(112)에서 제공되는 새로운 광고정보를 수시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해둔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공중전화기(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중앙처리장치(113)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공중전화기(100)의 각 구성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터치 스크린(101)은 사용자의 각종 조작에 의해 선택된 입력상태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중앙처리장치(113)에 전송한다.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은 공중전화기(100)가 현재 작동중인 상태와 각종 표시상태 및 각종 안내문구를 표시하고, 특히, 중계기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한다.
메모리(114)는 중앙처리장치(113)가 수행할 각종 프로그램데이터가 저장되고,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할 각종 표시상태(광고, 안내문구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메모리(114)는 공중전화기(100)를 통해 수시로 접속되는 중계기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된 광고데이터를 갱신하고 저장한다.
감지센서(104)는 공중전화기(100)의 전면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공중전화기(100)로부터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한 물체(사용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13)로 전송한다.
카드 판독기(115)는 공중전화기(100)에 투입된 카드의 사용가능여부를 체크하고, 공중전화기(100)의 사용량에 따라 카드에 충전된 금액을 정산하거나 금융서버에 해당 사용금액을 전송하여 추후 사용금액을 청구할 수 있도록 정보를 검출한다.
인터페이스부(116)는 중앙처리장치(113)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면서, 카드 판독기(115)와 통화회로(117)의 각종 동작에 대한 제어 및 각종 데이터의 입/출력상태를 인터페이스한다. 즉, 인터페이스부(116)는 카드 판독기(115)에 의해 검출된 카드의 정보에 따라 해당 카드가 사용 가능한 카드인가를 판정하고, 사용 가능한 카드라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13)에 판정결과를 전송하여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6)는 카드 판독기(115)에 투입된 카드의 고유 식별자정보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113)에 전송하고, 카드에 저장된 잔액정보를 사용금액만큼 정산하며, 새로운 금액을 기록하는 등 카드에 관련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6)는 통화회로(117)를 통한 일반전화망(107)의 루프 온/오프상태를 제어하고, 통화회로(117)내의 DTMF 발생부를 제어하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DTMF신호를 발생시킨다.
모뎀(118)은 공중전화기(100)로부터 통신망(109)을 통하여 공중전화기(100)가 중계기 서버(110)에 접속되었을 때, 중계기 서버(110)에서 제공하는 광고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러정정 등과 같은 복조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모뎀(118)은 사용자가 투입한 카드가 신용카드일 때, 해당 카드의 정보를 금융서버에 전송하고, 금융서버로부터 제공된 카드 사용가능여부 판정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113)에 제공한다.
통신망 제어부(119)는 모뎀(118)과 통신망(109)을 인터페이스한다.
통화회로(117)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100)의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화제어부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발생부 및 변/복조부와 선로 정합부 등을 포함한다.
전화망 제어부(120)는 공중전화기(100)와 일반전화망(PSTN)(107) 사이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송수화기(105)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로 집음하여 통화회로(117)에 제공함과 동시에 일반전화망(107)을 통하여 수신된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스피커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먼저, 중앙처리장치(113)와 인터페이스부(116)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각종 정보 및 제어신호를 통신한다. 즉, 중앙처리장치(113)에서 각종 정보에 관련된 요청신호(Request Block)를 보내면 인터페이스부(116)는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Response Block)를 전송한다.
이때, 요청신호의 블럭구조는, 1 바이트의 STX(Start of Text)와 수 바이트의 요청명령(Request Command) 및 수 바이트의 데이터(Data) 및 1 바이트의 ETX(End of Text)와, 1 바이트의 LRC(Longitudinal Redundancy Check: 수평중복검사)와, 요청신호블럭의 끝을 나타내는 1 바이트의 CR(Carriage Return)로 구성된다.
또한, 응답신호의 블럭구조는 수 바이트의 데이터들과 각 데이터들에 연결되는 1 바이트의 FS(File Separator: 파일분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토콜 블럭의 구조는 프로토콜 전반에 걸쳐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는 일반적인 공중전화기에있어서의 프로토콜과 동일하므로 그에 관련된 전반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초기에 중앙처리장치(113)는 타이머를 리셋시킨 후 카운트를 개시한다(S1). 이후, 중앙처리장치(113)는 타이머에 의해 카운팅된 시간이 기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고(S2),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감지센서(104)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가를 체크한다(S3). 여기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위의 단계(S2)로 귀환하여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계속 체크한다.
이 단계(S3)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13)는 동작모드가 감지되었는가를 체크한다(S4). 여기서,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공중전화기(100)를 이용하여 전화기능을 수행하고자 하여 송수화기(105)를 후크(106)로부터 이탈시키거나 카드를 투입하는 등의 공중전화기(100)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모드를 말한다.
이 단계(S4)에서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중앙처리장치(113)는 메모리(114)에 저장된 현재의 동작모드에 대한 안내문구를 검출한 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을 제어하여 해당 안내문구를 표시함과 동시에 공중전화기(100)를 해당 동작모드로 전환시킨다(S5).
만약, 위의 단계(S4)에서 동작모드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13)는 위의 단계(S2)로 귀환하여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계속 체크한다.
한편, 위의 단계(S2)에서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이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13)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동안 공중전화기(100)가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메모리(114)에 저장된 광고정보를 검출한 후,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을 제어하여 검출된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한다(S6).
이후, 중앙처리장치(113)는 감지센서(104)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는가를 체크하여(S7),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6)로 귀환하고, 사용자가 감지되면 광고정보의 표시모드를 해제한 후(S8), 기 설정된 초기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초기화면 표시모드로 전환하고(S9), 단계(S1)로 귀환하여 단계(S1) 이후의 모든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초기화면은 공중전화기(1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종 모드가 액정 디스플레이패널(102)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을 말한다.
예를 들어, 공중전화기(100)가 제공하는 일반적인 서비스의 표시상태는 통화, 긴급통화, 언어선택, 도움말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사항은 앞서 언급한 선 출원건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언급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초기에 중앙처리장치(113)는 동작모드가 감지되는가를 체크한다(S10). 여기서,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공중전화기(100)를 이용하여 전화기능을 수행하고자 하여 송수화기(105)를 후크(106)로부터 이탈시키거나 카드를 투입하는 등의 공중전화기(100)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모드를 말한다.
이 단계(S10)에서 동작모드가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중앙처리장치(113)는 공중전화기(100)를 해당 동작모드에 대한 동작상태로 전환시킨다(S11).
이후, 중앙처리장치(113)는 감지센서(104)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유무를 감지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113)는 공중전화기(100)의 해당 모드가 종료되기 이전에 사용자가 공중전화기(100)로부터 이탈하였는가를 체크하고(S12), 사용자가 공중전화기(100)로부터 이탈하면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개시한다(S13). 이후, 중앙처리장치(113)는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여(S14), 시간정보가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공중전화기(100)가 현재 진행중인 모드를 중지하고,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한다(S15). 이후, 중앙처리장치(113)는 동작모드가 감지되는가를 체크하여(S16),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공중전화기(100)를 광고정보 표시모드로부터 해제한 후(S17), 위의 단계(S11)로 귀환하여 단계(S11) 이후의 모든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감지센서의 감지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감지센서에 의해 공중전화기의 표시상태가 광고모드에서 초기화면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필요 없어 편리하고, 공중전화기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감지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공중전화기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갖는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개시하는 단계;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는 단계;
    카운트된 상기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상기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동작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상기 동작모드에 대하여 기 저장된 상기 안내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공중전화기를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카운트된 상기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상기 제1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기 저장된 상기 광고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광고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도중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광고정보의 표시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표시장치에 기 설정된 초기화면을 표시하는 초기화면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사용자가 상기 공중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행위에 의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면모드는,
    상기 공중전화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각종 모드가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4. 공중전화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감지범위 내에 접근한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공중전화기에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갖는 공중전화기에 있어서: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상기 공중전화기를 상기 동작모드에 대한 동작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감지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공중전화기로부터 이탈되었는가를 체크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공중전화기로부터 이탈되면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카운트를 개시하는 단계;
    카운트된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였는가를 체크하는 단계;
    카운트된 상기 시간정보가 기 설정된 상기 제2 기준시간을 경과하면, 기 저장된 상기 광고정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광고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광고정보 표시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광고정보 표시모드를 수행하는 도중 상기 동작모드가 감지되면, 상기 광고정보의 표시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상태로 상기 공중전화기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KR1020000007994A 2000-02-08 2000-02-19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KR10031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994A KR100319703B1 (ko) 2000-02-19 2000-02-19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BR0100363-1A BR0100363A (pt) 2000-02-08 2001-02-05 Método de propaganda e sistema para propiciar serviço de anúncio e telefonema
US09/778,350 US20010012344A1 (en) 2000-02-08 2001-02-06 Advertis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telephone-call service
CNB011029021A CN1173542C (zh) 2000-02-08 2001-02-07 提供广告和电话呼叫服务的广告方法和系统
CNA2004100058653A CN1561088A (zh) 2000-02-08 2001-02-07 提供广告和电话呼叫服务的系统
EP01102971A EP1124366A3 (en) 2000-02-08 2001-02-08 Free or discounted call service according to watching of advertisement
ARP010100581A AR027392A1 (es) 2000-02-08 2001-02-08 Disposicion y metodo publicitario para prestar servicios de llamadas telefonicas
JP2001035002A JP2001291017A (ja) 2000-02-19 2001-02-13 公衆電話機を用いた広告方法並びに公衆電話機を用いた広告及び通話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994A KR100319703B1 (ko) 2000-02-19 2000-02-19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830A KR20010081830A (ko) 2001-08-29
KR100319703B1 true KR100319703B1 (ko) 2002-01-09

Family

ID=1964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994A KR100319703B1 (ko) 2000-02-08 2000-02-19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7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830A (ko)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19767A1 (en) Toll free calling account recharge system and method
KR0156175B1 (ko) 전화기의 통화요금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WO2002096088A1 (en) Network access pay telephone, conversion, and method
KR100319703B1 (ko) 공중전화기의 모드 전환방법
US5809124A (en) Coin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lephony
KR100319704B1 (ko) 공중전화기의 표시상태 제어방법
JP2001036670A (ja) 発呼機能を有する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KR100573516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wap, http, sip, 또는vm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국제전화를편리하고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국제전화 서비스방법 및 국제전화 서비스 시스템
JP2002367010A (ja) 現金自動入出金機
KR200203361Y1 (ko) 발신자 표시 및 자동 다이얼 기능을 갖는 단말기
KR100337798B1 (ko) 공중전화기의 광고정보 표시방법
US20060211424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llect cal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04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JP3695547B2 (ja) 電話端末装置
KR19980082773A (ko) 전화기에서 통화요금 표시 방법
KR200500659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요금 할인시간 알림 방법
KR200251503Y1 (ko) 발신자 표시 전화기의 요금할인 제어장치
KR200254217Y1 (ko) 인공지능다중접속전화기
KR100707249B1 (ko)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가지는 공중 전화기 및 그 방법
JP2920777B2 (ja) 公衆電話機
JPH06233012A (ja) 光学文字読み取り機能付公衆電話機
KR940009776B1 (ko)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온-훅크 다이얼 방법 및 장치
KR100359191B1 (ko) 현금 인출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JP2901592B1 (ja) 電話機
KR960020320A (ko) 공중전화 자동이용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