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175B1 -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175B1
KR100317175B1 KR1019930029460A KR930029460A KR100317175B1 KR 100317175 B1 KR100317175 B1 KR 100317175B1 KR 1019930029460 A KR1019930029460 A KR 1019930029460A KR 930029460 A KR930029460 A KR 930029460A KR 100317175 B1 KR100317175 B1 KR 100317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y
case
displa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728A (ko
Inventor
야마모토히로유키
와카바야시다케시
나카가와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4001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5/00Time-pieces comprising means to be operated at preselected times or after preselected time interv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G05B19/106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selecting a programme, variable or parameter
    • G05B19/108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selecting a programme, variable or parameter characterised by physical layout of switches; switches co-operating with display; use of switches in a special 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7Circuit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85Setting of internal dipswitches, jump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19Dipswitches dipscha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간에 개량된 접속 관계를 갖고 경사진 키 상면을 갖는 개량된 키스위치를 갖는다. 또한, 제어 장치는 내장 수동 스위치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내장 수동 스위치의 모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산업용 전자 장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제어장치는 예컨대, 동작 사이클의 수를 계수하는 계수기 또는 동작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고 여러 제어 기능이 수행된다. 특히, 본 발명은 주캐비닛에서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 사이에 개량된 접속관계,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개량된 입력키 및 디스플레이에 내장 수동 스위치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종래 제어 장치인 계수기는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 베이스(57), 전면 패널(42), 상부 및 하부 패널(43, 44) 및 좌우측 패널(45, 46)로 구성한다.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40)는 정방형 케이스(48)를 포함하는 전면 케이스(47)을 갖고 있다. 정방형 케이스(48)의 전면에는 숫자 표시판(49)이 있고, 이 표시판(49)의 하부에는 두 수평열의 키홀(50, 51)이 있다. 정방형 케이스(48)의 배면은 스위치 기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성형된다.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와 연동하는 4 개의 훅(52)이 정방형 케이스(48)의배면에 있는 4 코너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훅(52)은 직사각형의 형상이고, 각각 그 훅의 중앙부에 설치된 수평 슬롯(52a)을 갖고 있다. 케이스(48)는 상부 및 측면의 중앙에 슬롯(53c)이 각각 제공된 훅(53)을 갖고 있다. 훅(53)의 슬롯(53c)과 결합하는 탭(54)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42)의 상부 및 측면에 설치된다.
액정 디스플레이("LCD")(55)는 전면 케이스(47)에 삽입되고, 고무 커넥터(56)는 전면 케이스(47) 및 LCD(55)의 홈(도시생략)에 삽입된다. 백라이트(55a)는 전면 케이스(47)내에 넣어지고, 전면 패널(42)의 상부 및 측면상의 탭(54)이 케이스(48)의 상부 및 측면 훅의 슬롯(53a)과 결합할 경우, 전면 패널(42)은 전면 케이스(47)내로 삽입되고 고정된다. 그 다음 전면 패널(42)은 백라이트(55a) 및 LCD(55)에 솔더된다.
베이스(57)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프린트 기판(43, 44, 45, 46)에 부착된 다음, 그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는 전면 어셈블리(40)에 맞물려 결합한다. 상부 및 하부 기판(43, 44)상의 탭(43a, 44a)은 훅(52)상의 슬롯(52a)에 맞물려 결합한다. 이어서, 전면 패널(42)은 솔더 브리지에 의해 특정 조립방법으로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잔여 부분에 솔더된다.
전술한 종래 제어 장치에서, 훅(53)은 상당히 큰 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측면의 큰 부분은 그 장치가 완전 조립된 후 측면으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데 전용된다. 이것은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 수의 솔더 브리지에 대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되거나, 또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 최종 조립후 이들 소자로의 접근 필요성으로 인해, 예컨대, 딥스위치 또는 다른 전자 소자를 전면 패널(42)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훅(53)은 때때로 전면 패널(42)의 측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그 측면으로부터 훅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훅(53)상의 돌기부(53b)를 성형시키기 위해,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48)의 전면상의 숫자 표시판(49)에 홀(62)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들 홀은 외관상 좋지 않고 전면 패널이 방수 효과를 갖는 것을 곤란하게 만든다.
또한, 종래 장치에서 전면 표시판상의 키들이 두개의 좁은 열로 배열되므로 키 선택을 하는 사람의 손가락 끝으로 한 열의 키를 대응하는 다른 열의 키를 부주의하게 작동시킴 없이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은 어렵다. 아울러, 종래 키들은 부주의하게 키를 선택하는 기회를 재차 증가시키는 평탄 상부면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행 사변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후술하는 상부면의 형태를 경사지도록 변경함으로써 해소한다.
또한, 종래 제어 장치는 동작 모드를 조정하는 것이 어렵다.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면(1a)에는 숫자로 나타낸 값을 설정하기 위한 키들을 갖는 키패널(2)과, 각각 7 세그먼트 LED로 구성되어 현재값 및 설정값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판(4, 5)이 있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커버 C로 덮여지는 내장 모드 스위치(7)가 있다. 이 모드 스위치(7)는, 예컨대, 단일 칩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입력 및 출력을 위한 제어 회로에 접속된 딥스위치(8)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모드 스위치는 입력모드, 출력모드, 최대 계수 속도, 1회의 출력 시간 등을 포함한 여러 모드 사이에서 스위치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신호가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다른 장치로 전송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출력 작동기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1회의 출력 시간에 대한 값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도 없다. 게다가, 제어 장치의 여러 초기값들은 공장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조값을 설정하거나 변경할 필요가 있다. 종래 장치에는 사용자가 이들 설정치들을 변경시킬 수 있는 여러 방법이 있다. 제1 방법은 그 장치에 연속적으로 가변가능한 제어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2 방법은 그 장치에 딥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제3 안은 각 값들이 그 자신 모드에 기입되도록 보조 값들의 설정 모드 사이에서 스위치하기 위해 케이스의 전면에 모드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형태의 종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딥스위치 또는 다른 스위칭 소자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C를 제거하고 케이스(1)의 개공을 통해 스위치의 위치를 조사함으로써 정확한 모드로 스위치되었는 지를 확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계수기와 같은 제어 장치 A는 전면 패널(1a)에 값 설정소자(2) 및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a)를 구비하고 있다. 단지 전면 패널(1a)만이 제어 패널(B)에 노출되어 있고 제어 장치의 나머지 부분은 제어 패널(B)뒤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 나머지 부분은 케이스의 전면에 노출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딥스위치의 위치 또는 다른 전자 부품(즉, 모드)상의 설정치를 검사하고자 할 때마다, 사용자는 제어 패널에서 제어 장치를 분리시켜야 하고 전자 부품상의 설정치를 볼수 있도록 제어 장치의 커버 C를 개방시켜야만 한다.
전술한 제어 장치 A가 제어패널 B에 영구적으로 장착되었거나 전술한 제어장치의 커버 C가 장착 클립 D에 의해 그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면, 제어 장치 A를 제어패널 B에서 분리시킬 때까지 설정치를 검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장치를 분해함으로써 설정치를 검사하는 것은 힘이 들고 시간이 걸리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 장치에서, 가변제어가 전술한 1회의 출력 시간등의 보조 값들을 설정 및 변경시킬 경우, 그 설정치들을 미세 조정하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그 값들의 정확도는 열등하고 온도 등의 외부 요인의 영향으로 인해 변경되기 쉽다. 딥스위치가 사용될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2 내지 10 개의 소정값에서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고, 따라서 보조 값들에 대한 보다 정확한 설정치들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드물게 사용되는 케이스의 전면에 있는 모드키를 채용할 경우, 그 스위치가 우연히 작동되는 가능성 또는 그 값들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으로 변경되는 가능성은 증가하게 된다. 이것은 전체 시스템을 제대로 움직이지 앉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수의 솔더 브리지가 제어 장치의 조립시 만들어 질수 있도록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측면에 넓은 공간을 가지며, 딥스위치가 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개량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몇몇 종래의 숫자 표시판의 성형으로부터 생기는 홀의 문제점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넣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확실히 장착될 수 있는 개량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택키 작동시 표시되는 값들이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해 숨겨지지 않도록 설계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개량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그 키들은 사용자가 상부 또는 하부열 각각에 있는 중간 계수키를 작동할 때 대향열에 있는 다른 키들을 우연히 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조작자의 손가락이 한 열에서 다른 열로 약간 이동할 경우, 그 키에서는 한 키에서 다른 키로 움직임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 장치가 제어 패널에 장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수동 내장 스위치의 모드가 검사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검사 동작은 거의 힘이 들지 않고 실행시키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값들이 우연히 또는 부정확한 작동으로 인해 설정 또는 변경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있어 힘들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1회의 출력 시간 등의 보조 값들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훅이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상의 돌기부와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은 처음에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과 분리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훅은 각각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 케이스의 코너에 위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의 돌기부가 결합되고 두 코너의 절단 슬롯을 갖는 캐치는 전면 케이스의 두코너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훅에 하나는 상기 슬롯형의 형상이고 다른 것은 전방으로 연장하고 전면 패널의 배면부를 죄는 경사부재인 두 캐치가 제공된다.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상부 및 하부 패널에는 그 에지부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 탭이 제공된다. 또한, 전면 패널에는 하나 이상의 탭이 제공된다. 상부 및 하부 패널의 탭은 훅의 팁들이 상부 및 하부 패널의 탭에 넣어질 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훅과 결합한다. 완전히 결합된 경우, 상부 및 하부 패널상의 탭은 캐치가 상부 및 하부 패널의 탭을 유지하도록 훅의 슬롯내에 수용된다. 또한, 전면 패널의 상부상의 탭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부상의 훅과 결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4 개 훅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코너에 제공되어 있다. 두 하부 훅 각각에는 슬롯형의 형상을 갖는 제1 캐치 및 전방으로 연장하고 완전 결합시 전면 패널의 배면과 결합하는 경사 부재를 갖는 제2 캐치가 제공된다. 코너에 절단부가 형성된 전면 패널은 조립동안 제2 캐치의 가이드로서 작용하고 제2 캐치에 의해 결합되는 중앙측면 탭을 제공한다. 특히, 중앙측면 탭은 캐치가 전면 패널의 중앙측면 탭뒤에서 스냅 결합되도록 조립중에 제2 캐치를 외부 쪽으로 치우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에는 전면 케이스의 디스플레이 패널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증감 계수키 스위치 두 수평열이 제공될 수 있다. 양쪽열의 키 상부는 각 열에 있는 키상부가 다른 열에 있는 키상부 쪽으로 경사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부 열의 키들은 하부의 열의 키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접속될 경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양측면상의 넓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공간은 다수의 솔더 브리지에 사용될 수 있고, 딥스위치가 그 공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종래 성형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보기 흉하고 전면 패널의 방수 효과를 어렵게 하는 숫자 표시판의 홀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훅의 단부가 패널의 개구내로 미끄러질 때까지 단지 그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넣음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은 조작자가 키스위치를 작동할 경우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해 값들이 숨겨지지 않도록 숫자 표시판 바로 아래에 제공되는 두 열의 증감 계수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열에 있는 키의 상부가 경사져 있으므로 키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각 열의 증감 계수키를 작동할 경우 우연히 대향열의 키를 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부 및 하부열들이 서로 인접해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한 열에서 다른 열로 쉽게 이동할 경우 그 키들은 시소형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내장 수동 스위치의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소정 스위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및 그 장치의내부에 내장된 다수의 딥스위치로 구성된 모드 스위칭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다. 소정 스위치가 전원이 접속되는 동안 하방으로 유지되는 경우, 각 딥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상태는 스위치가 눌러져 있는 한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제어 장치는 그 전면에 여러 자리수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주값 숫자 표시판 및 그 주값 표시판의 자리수와 동일한 다수의 작동키로 구성된 주 입력 스위치 어셈블리를 갖는다. 이 장치는 주 입력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동키중 하나인 특정 소정키가 전원이 접속되는 동안 하방으로 유지되는 경우, 그 스위치 어셈블리가 보조 설정 모드로 변환되고 현재 보조 값들이 주숫자 표시판에 표시되며 , 그 보조 값들을 보조 모드에서 키들을 작동시킴으로써 변경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그 장치에 대한 1회의 출력 시간의 보조 값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그 장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설정되어진 출력 시간이 시스템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작자는 그 장치를 작동시켜 제어 장치가 제어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케이스의 전면에 표시된 값을 봄으로써 딥스위치가 어떤 모드로 설정되는지 알 수 있고, 이들 값들을 검사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주입력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작동키 중 하나인 소정키가 전원이 접속되는 동안 하방으로 유지될 경우, 그 스위치 어셈블리는 그 보조 설정모드로 변경되고, 현재 보조 값들은 주숫자 표시판에 표시된다. 따라서, 보조 값들을 설정하거나 변경시키기 위해 추가 세트의 스위치는 필요치 않다. 그 값들은 쉽게 설정되거나 변경되고 어떠한 모드키도 없으므로, 사용자는 그 값들을 우연히 변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 값들이 부정확한 작동으로 변경될 수도 없다. 케이스 전면상의 한 세트의 작동키가 주 및 보조 값 양자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키상부의 사이즈는 사용자가 그 스위치를 더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증가될 수 있다. 보조 값들을 변경시키기 위해 작동키들을 사용함으로써 딥스위치 또는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스위치보다 우수한 정확도 및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특정 제어 장치는 계수기이지만,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계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수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전면 어셈블리(1), 베이스(2), 전면 패널(3), 상부 및 하부 패널(4, 5) 및 좌측 및 우측 패널(6, 7)을 구비한다.
전면 어셈블리(1)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패널(8) 및 전면 케이스(9)를 구비한다. 전면 패널(8)은 디스플레이(11) 및 그 디스플레이(11) 바로 아래에 두 수평열로 배열되는 다수의 키홀(12, 13)을 구비한다.
전면 케이스(9)는 정방형 케이스(14), 숫자 표시판(10)(제4도 참조)을 수용하는 공간 및 숫자 표시판 공간(15) 바로 아래 두 수평열로 배열된 다수의 키홀들을 포함한다. 정방형 케이스(14)의 배면에는 설치될 스위치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구획(18)이 있다.
정방형 케이스(14)의 4 코너로부터, 4 개의 훅(19∼22)이 후방으로 연장된다. 두 상부 훅(19, 20)은 장방형 캐치(19a, 20a)를 구비하는데, 이들 각각은 그 중앙에서 케이스의 배면쪽으로 연장되는 슬롯(19c, 20c)을 갖는다. 또한, 상부 훅(19, 20)에는 캐치(19a, 20a)의 배면 단부에서 슬롯(19c, 20c)까지 연장하는 홈(19b, 20b)이 제공된다.
하부 훅(21, 22)은 제1 세트의 캐치(16a, 17a) 및 캐치(16a, 17a)의 상부로부터 케이스의 전면 쪽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진 제2 세트의 캐치(16b, 17b)로 구성된다. 캐치(16a, 17a, 16b, 17b)는 단일편으로 형성된다.
각 캐치(16a, 17a)의 중앙에는 전면에서 배면으로 연장하는 슬롯(21c, 22c)이 있다. 홈(21b, 22b)은 캐치(16a, 17a)의 배면 단부에서 슬롯(21c, 22c)으로 연장된다. 경사진 캐치(16b, 17b)의 상부 에지(21e, 22e)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될 수 있다.
훅(23)은 정방형 케이스(14)의 상부면의 중앙에 있고, 그 훅의 중앙에는 슬롯(23c)이 있다.
전면 패널(8)은 케이스(14)의 면에 장착되고, 키스위치 어셈블리(24)는 그것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구획 내에 장착된다. 이런 식으로 전면 어셈블리(1)가 완성된다.
키스위치 어셈블리(24)는 고무 프레임(29), 두 열의 증감 계수키(30, 31) 및 스위치 가이드(32)를 포함한다. 고무 프레임(29)은 그 구획(18) 내로 삽입되고, 스위치 가이드(32)는 그 프레임을 구획 내로 고정시킨다. 상부 및 하부 계수키(30, 31)의 최 상면은 케이스(14)의 키 홀 및 전면 패널에 있는 두 열의 키홀(12, 13)을통하여 돌출된다.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열(30a)에 있는 키(30)의 최상면은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반면 하부열(30b)에 있는 키는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탭(25)은 전면 패널(3)의 상부 에지의 중심에 제공된다. 전면 패널(3)의 상부 및 하부 코너의 장방형 부분에서 26 및 27 부분이 절단되고, 좌 및 우측 에지의 나머지 중앙부는 탭(28)을 형성한다. LCD(10)는 전면 패널(3)의 장착면에 장착된다. 다수의 스위치 패턴(도시 생략)이 LCD(10) 아래에 제공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롯(4a, 5a)이 상부 및 하부 패널(4, 5)에 제공되고, 탭(4b, 5b)은 패널(4, 5)의 전면 코너에 제공된다. 좌측 및 우측 패널(6, 7)은 그 상부 및 하부 에지에 다수의 탭(6a, 7a)을 갖고 있다.
이 장치를 조립하는 제1 단계는 전면 패널(3)을 전면 어셈블리(1)내에 장착하는 것이다. 이것은 전면 어셈블리(1) 상부의 좌우측 훅(19, 20)을 전면 패널(3)의 상부 코너의 절단부(26)내로 삽입하고, 동시에 어셈블리 하부상의 좌우측 훅(21, 22)의 단부를 전면 패널(3)의 하부 코너의 절단부(27)내로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전면 패널(3)이 삽입되는 경우(제5도 참조), 하부 훅(21, 22)상의 제1 세트의 캐치(16a, 17a)는 전면 패널(3)에 의해 방향 A로 외향하여 휘어진다.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가 전면 패널(3)상으로 넣어질 경우, 하부 훅(21, 22)상의 캐치(16b, 17b)의 경사진 에지(21e, 22e)는 탭(28)의 하부 에지(28a)에 압착되고, 절단부(26, 27)에 의해 상부 및 하부에 접해진다. 훅상의에지(21e, 22e)가 전면 패널상의 에지(28a)에 대해 위로 밀려질 때, 제2 세트의 캐치(16b, 17b)는 제5도에 도시한 방향 B로 외향하여 패널에 의해 휘어진다.
어셈블리(1)가 전면 패널(3)상으로 밀려질 경우, 캐치(16b, 17b)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28)에 대해 고정되고, 전면 패널(3)상의 탭(25)은 훅(23)상의 슬롯(23a)에 결합된다. 이러한 식으로, 전면 패널(3)은 전면 어셈블리(1)에 확실히 장착된다. LCD(10)는 정방형 케이스(14)상의 숫자 표시판(15)의 배면에 삽입된다. 키스위치 어셈블리(24)에 있는 상부 및 하부 계수키(30, 31)의 배면 단부상의 프린트된 접촉부(29a)는 전면 패널(3)의 전면 표면상의 스위치 패턴(도시생략)과 접촉하고 있다.
전면 패널(3)이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부 훅(19, 20)과 하부 훅(21, 22)상의 캐치(16b, 17b)사이의 전면 패널(3)의 측면에는 이용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있다.
좌측 및 우측 패널(6. 7)상의 탭(6a, 7a)은 상부 및 하부 패널(4, 5)상의 슬롯(4a, 5a)에 결합된다. 패널(4, 5)의 배면 에지상의 돌기부(4c, 5c)는 베이스(2)의 상부 및 하부상의 홈(2a, 2b)에 결합된다. 이런 식으로, 상부 및 하부 패널(4, 5)과 측면 패널(6, 7)은 베이스(2)에 확실히 장착되고, 패널 어셈블리는 전면 패널을 제외하고 완성된다.
상부 패널(4)의 전면 코너상의 탭(4b)은 상부 훅(19, 20)의 홈(19b, 20b)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하부 패널(5)의 전면 코너상의 탭(5b)은 하부 훅(21, 22)상의 홈(21b. 22b)내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전면 패널(3)이 완성된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내로 눌러 끼워지면, 상부 및 하부 패널(4, 5)상의 탭(4b, 5b)은 훅(19∼22)의 슬롯(19c, 20c, 21c, 22c)에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 패널(4, 5)의 배선 패턴 및 좌측 및 우측 패널(6, 7)상의 배선 패턴은 솔더 브리지(32)에 의해 전면 패널(3)상의 패턴에 접속된다. 이런식으로, 전면 패널(3)은 상부 및 하부 패널(4, 5)과 측면 패널(6, 7)의 전면 에지에 확실히 고정된다.
배면 케이스(도시 생략)가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에 장착된 후, 계수기는 완전하게 조립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3)이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상으로 장착되어진 경우, 상부 훅(19, 20)과 하부 훅(21, 22)상의 캐치(16b, 17b)사이의 전면 패널(3)의 측면에는 이용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있다. 이 공간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술한 다수의 솔더 브리지(32)를 생성할 수 있거나, 또는 딥스위치(33)가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더 브리지(32)를 대신하여 측면패널(6, 7)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 바로 아래에는 두 수평열의 증감 계수키 스위치(30, 31)가 있다. 상부열의 키(30)들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으로 하나 이상의 키를 부주의하게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열의 키(31)들 높이보다 더 높다.
제10도 및 제1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키(30, 31)의 높이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각 열(30a, 31a)에 있는 키들의 최 상면들은 경사져 있다. 이것은 키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더라도 조작자가 각 열에 있는 상부 및 하부 계수키(30, 31)들을 작동시킬 경우 조작자의 손가락(34)이 그 대향 열에 있는 키를 우연히 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상부 및 하부열에 있는 키들(30, 31)은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조작자의 손가락이 하나의 열에서 다른 열로 쉽게 이동할 경우 시소("로커") 동작 형태의 키와 매우 유사하게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열의 키(30, 31)들이 숫자 표시판(15)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키(24)를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34)에 의해 그 값들이 결코 숨겨지지 않는다.
키 어셈블리(24)의 키(30, 31)가 눌러질 경우, 단락 회로는 고무 프레임(29)의 배면상의 프린트된 접촉부(29a)에 의해 전면 패널(3)에 스위치 패턴으로 형성된다. 이 시스템은 로터리 스위치보다 더 적은 부품을 갖고 조립하는 데 있어 더 간단한 스위치로 구성되며, 따라서 스위치 어셈블리는 저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이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상의 돌기부와 결합하는 최소한 하나의 훅을 갖는다.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전면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4 개의 훅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4개의 코너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훅(23)은 단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상부에만 제공되는 반면, 하부에는 솔더 브리지가 코너에 위치한 훅들간의 하부를 따라 어디든지 위치하도록 하는 훅이 제공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의 하부에 있는 훅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하부의 훅 세트에는 조립된 제어 장치의 하부에 적절한 접속을 보장하도록 추가 세트의 캐치(즉, 제2세트)가 제공된다.
훅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의 돌기부가 결합되고 두 코너에 슬롯이 형성된 전면 케이스의 두 코너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전면 패널과 전면 케이스 사이에 끼워지는 캐치들은 이들 훅의 상부에서 전면 케이스 쪽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설계로 전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전면 패널에 장착될 때 전면 패널의 측면상의 넓은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솔더 브리지를 생성할 수 있게 하거나, 이와는 달리 딥스위치가 솔더 브리지 대신에 그 공간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성형 과정에 있어서, 이러한 설계는 보기 흉하고 전면 패널의 방수 효과를 어렵게 하는 숫자 표시판에 있는 홀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의 각 코너로부터 일부분이 절단된다. 이들 절단부의 에지는 훅의 팁들이 전면 패널상의 절단부 내에 넣어질 때 훅과 결합하고, 훅상의 캐치의 에지는 그 탭의 에지에 대해서 위로 연장되며, 그 캐치는 패널의 베이스에 의해 휘어진다. 그 다음 캐치는 슬롯과 결합한다. 따라서, 전면 패널은 훅의 단부들이 패널의 개구 내로 미끄러질 때까지의 그 전면 패널을 단지 넣음으로써 전면 어셈블리에 확실히 장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전면 케이스상의 디스플레이 패널 바로 아래에 두 수평열의 증감 계수키 스위치가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양쪽열에 있는 키의 최상면은 각 열의 키들이 다른 열의 키들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상부열의 키들은 하부열의 키들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그 키들이 숫자 표시판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그 값들은 조작자가 키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해 결코숨겨지지 않는다.
키의 최 상면이 경사져 있으므로, 키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더라도 조작자가 각 열에 있는 증감 계수키들을 조작할 경우 대향 열에 있는 키를 우연히 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한다. 상부 및 하부열이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조작자의 손가락이 한 열에서 다른 열로 쉽게 이동할 때, 그 키들은 시소 형태의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계수기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전면 어셈블리(101), 베이스(102), 전면 패널(103), 상부 및 하부 패널(104, 105) 및 좌측 및 우측 패널(106, 107)을 구비한다.
계수기는 케이스, 즉 전면 어셈블리(101)의 전면(101a)에 제공된 숫자값을 설정하기 위한 키패널(102)을 구비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값의 4 자리수에 대응하는 키(103A∼103D)가 설정된다.
표시판(104)은 케이스의 전면(101a)상의 현재값(현재 숫자값) 표시판이다. 예컨대, 그 표시판은 7 세그먼트 LED 로 제조할 수 있다. 케이스(101)의 전면(101a)상의 현재값 숫자 표시판(104) 아래에는 또한 7 세그먼트 LED 로 제조될 수 있는 4자리수 설정값 숫자 표시판(105)이 있다.
리셋키(106a)를 갖는 리셋 스위치(106)가 면(101a)에 있다. 모드 스위치 어셈블리(107)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내장되고 커버 C에 의해 보호된다. 이 어셈블리는, 예컨대, 8 개의 딥스위치(108)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딥스위치(108)의키(108a)가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a로 이동될 경우, 입력은 스위치 온되고 ; 방향 b로 이동될 경우, 입력은 스위치 오프된다.
제13도는 케이스(101)의 면(101a)의 정면도이다. 현재값 표시판(104)이 "2806"을 나타내는 반면 설정값 표시판(105)은 "3462"를 나타낸다. 키스위치(103A∼103D)는 증가 계수키(103a∼103d) 및 감소 계수키(103a1∼103d1)를 갖는다. 4쌍의 키는 표시판(104, 105)의 4 자리수에 대응한다. 리셋키(106)를 통해 설정되는 리셋 입력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점등하는 리셋 디스플레이(109)는 케이스(101)의 면(101a)에 위치되어 있다. 리셋키(106a)가 작동되는 경우, 스위치(106)에서 접촉이 행해지거나 행해지지 않는다. 이 입력 상태는 리셋 디스플레이(109)가 점등할 경우 표시된다.
케이스(101)의 면(101a)상의 리셋 디스플레이(109)에 인접한 출력 디스플레이(110)는 출력 회로의 출력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점등한다. 설정되어진 값들이 변경되지 않도록 키보호 장치가 스위치(103A∼103D)에 설치되면, 키보호 디스플레이(111)가 제공된다. 이 디스플레이는 키 보호 장치의 입력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점등한다.
제14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된 계수기의 중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키스위치 회로(112)는 스위치(103A∼103D) 및 리셋 스위치(106)에 접속된다. 모드 스위칭 회로(113)는 모드를 전환하고 딥스위치(108)를 내장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의 도움으로, 입력 및 출력용 제어회로, 입력 회로(115)의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스위칭 회로(113), 숫자값을 입력하기 위한 회로 및 출력 모드의 출력 회로(116)는 다른 장치 및 최대 계수 속도와 1회의 출력 시간을 제어한다.
시스템 리셋 회로는 117로 표시된다. 전원 회로(118)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후 리셋키가 눌러질 경우, 그 시스템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계수기 동작 모드로 복귀될 것이다. 다른 한편, 리셋키(106a)가 전원 회로(118)로부터의 전원이 인가되기 전에 눌러진다면, 리셋스위치(106)는 온 상태가 될 것이다. 전원이 회로(118)에 인가될 경우, 모드 스위치 어셈블리(107)의 각 딥스위치(108)의 온 또는 오프 상태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8 또는 대시중 하나로 현재값 표시판(104) 및 설정값 표시판(105)을 통하여 표시될 것이다.
문자 8은 대응하는 딥스위치(108)의 입력이 온 상태임을 나타내고, 대시는 그 입력이 오프 상태임을 나타낸다. 딥스위치(108)가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c-d 로 배열되는 8 개 스위치로 구성된다면, 스위치(#1∼#4)의 온-오프 상태는 현재값 숫자 표시판(104)의 세그먼트(#4a∼#4b)에 나타낼 수 있고, 스위치(#5∼#8)의 온-오프 상태는 설정값 표시판(105)의 세그먼트(#5a∼#5d)에 나타낼 수 있다.
제15도에 도시한 계수기는 딥스위치 디스플레이 모드로 설정된다. 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조작자는 스위치(#2, #3, #5, #6, #8)가 온 상태인 반면 스위치(1, 4, 7)는 오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입력 및 출력을 회로(119)에 의해 발생된 클록 펄스와 동기화시킴으로써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정상 계수기 동작 모드와 딥스위치 디스플레이 모드간에 전환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계수기에 수반되는 절차는 제16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하기에설명하기로 한다.
조작자가, 예컨대, 값 "3462"를 설정하기 위해 스위치(103A∼103D)를 사용한다면, 이 값은 전원이 회로(118)에 인가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기억될 것이고,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값 표시판(105)에 나타날 것이다.
또한, 모드 스위치 어셈블리(107)에 있는 8 개의 딥스위치(108)의 온-오프상태 및 리셋 스위치(108)의 온-오프 상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기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리셋키(106a)가 눌러졌는지의 여부, 즉 스위치(106)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구별한다(단계 20 : 판단). 키(106a)가 눌러지지 않았다면, 정상 계수기 동작 모드로 계수가 처리되고 ; 숫자 "2806"은 현재값 표시판(104)에 표시될 것이며, 숫자 "3462"는 설정값 표시판(105) 에 표시될 것이다(단계 21 : 처리). 상기 숫자값이 설정값 3462에 도달할 경우, 회로(116)는 온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
전원이 회로(118)에 인가될 때 리셋 스위치(106)가 온 상태가 되도록 리셋키(106)가 하방으로 유지된다면, 키(106a)가 눌러졌는지의 판단이 단계 20에서 행해질 것이고 딥스위치(#1∼#8)의 온-오프 상태는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값 표시판(104)의 세그먼트(104a∼104d)및 설정값 표시판(105)의 세그먼트(105a∼105d)에 표시될 것이다(단계 22 : 처리). 딥스위치의 입력이 온상태일 경우 "8" 이 표시될 것이고, 그 입력이 오프상태일 경우 대시가 표시될 것이다.
딥스위치(108)가 제12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 c-d로 배열되는 8 개의 스위치로 구성된다면, 스위치(#1∼#4)의 온-오프 상태는 현재값 표시판(104)의 세그먼트(104a∼104d)에 표시될 것이고, 스위치(#5∼#8)의 온-오프 상태는 설정값 표시판(105)의 세그먼트(105a∼105d)에 표시될 것이다.
제15도에 도시한 계수기는 딥스위치 디스플레이 모드로 설정된다. 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조작자는 스위치(#2, #3, #5, #6, #8)가 온 상태인 반면 스위치(#1, #4, #7)는 오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확인 과정은 매우 간단하다.
또다른 실시예는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타이머이다. 이 타이머의 외부 형태가 제12도에 도시한 외부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중요 구성요소가 제15도에 도시한 중요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 공통 특징에 대한 추가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타이머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특징을 갖는다. 현재값 표시판(104) 및 설정값 표시판(105)에 나타나는 주값들은 현재 시간 및 설정 시간이다. 제15도의 모드 스위칭 회로(113)는 입력 숫자값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회로의 모드와, 다른 장치를 제공하는 회로(116)의 모드와, 최대 계수 속도와, 입력 필터 시간을 전환한다.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보조 값은 후술하는 1회의 출력 시간이다.
전원이 인가되기 전에, 소정의 증감 계수기(103a∼103d, 103a1∼103d1)가 주입력 스위치를 구성하는 4 개의 스위치(103A∼103D)중 하나를 턴온하기 위해 눌러진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전원이 회로(118)에 인가되기 전에 조작자가 감소 계수기(103a1, 103b1)를 누를때 스위치(103A, 103B)는 턴온된다. 전원이 회로(118)에인가될 경우, 그 장치는 1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변경된다. 현재 설정되는 1회의 출력 시간에 대한 값, 이경우 "1.00 초"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값 표시판(105)에 표시될 것이다.
타이머가 전술한 바와 같이 1회의 출력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일 경우, 현재값 표시판(104)은 조작자가 이 모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를 정상모드 또는 다른 모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와 구별할 수 있도록 오프 상태로 될 것이다.
정상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1회의 출력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에서, 사용자는 4개의 스위치(103A∼103D)를 설정하기 위해 증가키(103a∼103d) 및 감소키(103a1∼103a1)를 선택할 때 조정함으로써 한개의 값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1회의 출력 시간에 대한 값은 실시간으로 설정값 표시판(105) 에 표시된다. 1회의 출력시간은 0.01 초 ∼ 99.99 초 범위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값이 0.00 초라면, 출력은 유지될 것이고, 출력 시간으로부터 리셋될 때까지 정상적으로 온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정상 모드에서 설정된 값과 같이, 설정되거나 변경되어진 1회의 출력 시간은 전원이 차단될 때 시스템 메모리(예컨대, EEPROM, 도시 생략)내로 기입되고 기억될 것이다. 타이머가 1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모드일 경우, 제어 출력은 오프 상태이고, 타이밍은 실행되지 않으며 ; 개시 및 리셋 명령은 입력될 수 없고, 리셋키는 작동되지 않는다.
정상 동작 모드와 1회의 출력 시간의 설정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타이머에 수반되는 절차는 제18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하기에설명하기로 한다.
조작자가 스위치(103A∼103D)를 조작하여 값 "1200"을 설정할 경우, 이 값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4)의 시스템 메모리에 기억될 것이고 전원이 회로(118)에 인가될 때 설정값 표시판(104)에 표시될 것이다.
모드 스위치 어셈블리(107)에 있는 8 개 딥스위치(108)의 온-오프 상태 및 리셋스위치(106)의 온-오프 상태는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14)에 기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4)는 키(106a, 103a∼103d, 103a1∼103d1)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구별한다(단계 30∼32 : 판단). 키(106a, 103a, 103b, 103a1, 103b1)가 눌러지지 않으면, 타이머는 정상 작동 모드로 될 것이고, 타이밍이 실행되며, 현재값 및 설정 시간이 현재값 표시판(104) 및 설정값 표시판(105)에 표시될 것이다(단계 33 : 처리). 정상 작동 모드에서, 타이밍 값 및 설정 시간이 일치할 때 회로(116)는 온 신호를 출력할 것이다.
키(106a, 103a, 103b, 103a1, 103b1)중 어떤 키가 눌러진다면 전원이 회로(118)에 인가될 때 어떠한 키의 조합이 눌려졌는지가 단계 30 내지 32에서 판단될 것이다. 단지 감소키(103a1, 103b1)만 온 상태라면, 타이머는 1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로 변경될 것이다. 단지 리셋키(106a) 및 증가키(103a, 103b)가 온 상태라면, 타이머는 하드웨어 시험모드로 변경될 것이다. 단지 리셋키(106a)만 온상태라면, 그것은 딥스위치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될 것이다(단계 34∼36 : 처리). 사실상 리셋키(106a)가 눌러지는 한 딥스위치 디스플레이 모드로 유지된다. 키(106a)가 눌러지지 않을때, 이 모드는 오프 상태로 되고, 타이머는정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단계 37 : 판단). 모든 다른 모드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전원이 인가되는 시간에 행해진 판단에 의거하여 선택될 것이고, 타이머는 전원이 회로(118)에 계속 인가되는 동안 선택된 모드로 유지될 것이다.
타이머가 전술한 바와 같이 1회의 출력 시간을 설정하는 모드로 변경되었을 경우, 정상 설정 모드와 마찬가지로 값들이 설정된다. 조작자는 전술한 4개의 로터리 스위치(103A∼103D)를 설정하기 위해 증가키(103a∼103d) 및 감소키(103a1∼103d1)를 선택하는 것처럼 조작하여 값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1회의 출력시간에 대한 값은 실시간으로 전술한 설정값 표시판(105)에 표시된다. 전원이 차단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되어진 1회의 출력 시간은 시스템 메모리에 기억될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계수기 및 타이머에 적용되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제어 장치는 온도조절기 또는 다른 제어 장치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적절한 스위치가 하방으로 유지될 때 각 딥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나타낸다. 이 디스플레이는 스위치가 눌려져 있는 한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케이스가 제어 패널에 장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케이스의 전면을 봄으로써 조작자가 딥스위치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것은 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노력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주입력 스위치 어셈블리의 작동키중 하나인 소정키가 전원이 접속되는 동안 하방으로 유지될 때, 그 장치가 보조 설정 모드로 변경되고 현재 보조 값들이 주숫자 표시판에 표시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보조값들이 쉽게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므로, 어떠한 특정 스위치도 필요치 않게 된다. 어떠한 모드키도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 값들을 우연히 변경할 수 없을뿐아니라 그 값들은 부정확한 작동으로 인해 변경될 수도 없다. 케이스의 전면상의 한 세트의 작동키가 주값 및 보조 값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므로, 키상면의 사이즈는 사용자가 그 스위치를 쉽게 조작하도록 증가될 수 있다. 보조 값들을 변경시키기 위해 작동키들을 사용함으로써 딥스위치 또는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스위치보다 우수한 정확도 및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어 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배면에서 본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전면에서 본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훅의 변형을 예시한 도면.
제6도는 훅이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전면 패널과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7도는 제어 장치의 전면 패널의 접속면에 형성되어 있는 솔더 브리지를 예시한 도면.
제8a도는 딥스위치가 제어 장치의 전면 패널의 접속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8b도는 딥스위치가 우측 패널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제어 장치 전면의 측면도.
제10도는 제어 장치의 상부 열에 있는 키들이 손가락으로 눌려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11도는 제어 장치의 하부 열에 있는 키들이 손가락으로 눌려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어 장치인 계수기의 외부 사시도.
제13도는 정상 계수기 동작 모드를 예시한 계수기의 정면도.
제14도는 계수기의 중요 구성요소의 상대적 배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15도는 딥스위치 디스플레이 모드를 예시한 계수기의 정면도.
제16도는 모드 사이에서 스위치할 때 계수기에 의해 수반되는 절차를 예시한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어 장치이며 1회의 출력시간을 설정하는 모드를 예시한 타이머의 정면도.
제18도는 모드 사이에서 스위치할 때 타이머에 의해 수반되는 절차를 예시한 흐름도.
제19도는 종래의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0도는 전면에서 본 종래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21도는 제어 장치의 전면 패널의 접속면에 설치된 솔더 브리지를 예시한 도면.
제22도는 종래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상의 훅을 나타낸 사시도.
제23도는 종래 제어 장치의 전면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제24도는 계수기가 그 제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종래 계수기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40, 101 : 전면 어셈블리
2, 102 : 베이스
3, 8, 42, 103 : 전면 패널
4a, 5a, 19c, 20c, 21c, 22c, 23a, 23c : 슬롯
4b, 5b, 6a, 7a, 25, 28 : 탭
4c, 5c : 돌기부
9, 47 : 전면 케이스
12, 13 : 키홀
14 : 정방형 케이스
16a, 16b, 17a, 17b, 19a, 20a : 캐치
19, 20, 21, 22, 23 : 훅
24 : 키스위치 어셈블리
30, 31 : 증감 계수키
33, 108 : 딥스위치
102 : 키패널
103A∼103D : 키
106 : 리셋 스위치
106a : 리셋 키
112 : 키스위치 회로
113 : 모드 스위칭 회로
114 : 마이크로프로세서
117 : 시스템 리셋 회로
118 : 전원 회로

Claims (9)

  1. 제어 장치로서,
    상부 패널, 하부 패널 및 양측면 패널에 접속된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부 훅 한 쌍 및 하부 훅 한 쌍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제공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훅 각각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상기 상부 패널의 각 탭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슬롯에 의해 제공되는 캐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훅 각각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상기 하부 패널의 각 탭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슬롯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캐치로 이루어진 경사 부재에 의해 제공된 제2 캐치로 이루어진 한 쌍의 캐치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 부재는 상기 제2 캐치의 후방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에지를 구비하며, 상기 에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상기 전면 패널의 각 측면 탭의 후면과 상호 연결하는 전방 에지에서 끝나는 것이 특징인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훅 및 상기 하부 훅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 케이스의 코너에 놓이는 것인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훅의 상기 캐치 및 상기 하부 훅의 상기 캐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케이스 측면에 놓이는 것인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훅 및 상기 하부 훅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케이스에 실장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로 상기 전면 패널을 실장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된 캔티레버인 것인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면 패널의 상부에 놓인 탭과 상호 연결되는 슬롯에 의해 한정된 캐치를 구비한 훅을 제공하는 것인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케이스의 후면 에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상기 케이스의 전면 에지와 접하는 것인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 어셈블리의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은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의 상기 각 탭을 한정하는 각 코너에서 절단된 에지 부분를 포함하고, 상기 훅의 상기 캐치의 일부는 외방으로 휘어지고 상기 상부 패널 및 상기 하부 패널의 상기 각 탭과 완전히 결합하도록 배면에서 스냅 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수평열의 키 스위치는 하부 수평열의 키 스위치 위에 놓여지고, 상기 열의 키 스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디스플레이 패널 아래에 놓여지고, 양쪽열에 있는 상기 키스위치의 접촉면은 경사(bevel)지고, 추가로 상기 상부 수평열의 키 스위치의 접촉면은 하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하부 수평열의 키 스위치의 접촉면은 상방으로 경사지는 것인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수평열의 키스위치들은 상기 하부 수평열의 키스위치들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전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는 것인 제어 장치.
KR1019930029460A 1992-12-25 1993-12-24 제어장치 KR100317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84392A JP3358092B2 (ja) 1992-12-25 1992-12-25 制御機器のフロントケース構造
JP92-357843 1992-12-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936A Division KR100327993B1 (ko) 1992-12-25 2001-02-27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728A KR940015728A (ko) 1994-07-21
KR100317175B1 true KR100317175B1 (ko) 2002-04-06

Family

ID=18456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460A KR100317175B1 (ko) 1992-12-25 1993-12-24 제어장치
KR1020010009936A KR100327993B1 (ko) 1992-12-25 2001-02-27 제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936A KR100327993B1 (ko) 1992-12-25 2001-02-27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58092B2 (ko)
KR (2) KR100317175B1 (ko)
TW (1) TW3293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311B1 (ko) * 2002-08-30 2004-07-30 주식회사 오토닉스 소형 디지털제어기기의 스위치 배치 및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468B2 (ja) * 1996-10-28 2006-12-27 松下電工株式会社 ゴムキー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7084732B2 (ja) * 2018-01-25 2022-06-15 株式会社コロナ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311B1 (ko) * 2002-08-30 2004-07-30 주식회사 오토닉스 소형 디지털제어기기의 스위치 배치 및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728A (ko) 1994-07-21
KR100327993B1 (ko) 2002-03-12
JP3358092B2 (ja) 2002-12-16
TW329316U (en) 1998-04-01
JPH06196870A (ja) 199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1673A (en) Control device
US7140551B2 (en) HVAC controller
US20070209912A1 (en) Button assembly with status indicator and programmable backlighting
GB2255660A (en) Wristwatch with multi-function switching.
KR100317175B1 (ko) 제어장치
US4118615A (en) Hand-actuated, multiple-function switch unit, particularly for electrical hand tolls, appliances and the like
EP1748456A1 (en) Terminal block time delay relay
US5214621A (en) Universal circuit board housing with a hinged member
EP2282318B1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KR940003140Y1 (ko) 전자기기용 바구니
US4171541A (en) Modular programmable controlling system
US4594007A (en) Time-programming apparatus
US6570822B2 (en) Time period setting structure of timer
US5802407A (en) Camera having common control circuit usable with different types of cameras
US4459439A (en)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touch-centering grid
JPH06296756A (ja) ゲーム機
JPH0715153Y2 (ja) 制御装置
JP3997725B2 (ja) 制御機器
JP2588271Y2 (ja) デジタルスイツチ
JPH1114066A (ja) 加熱調理器
US20240353960A1 (en) Touch-sensitive controller and interface, and methods
KR100323373B1 (ko) 프로그래머블 타임 스위치
JP2588270Y2 (ja) デジタルスイツチ
KR940000051Y1 (ko) 멀티시간조절계의 렌지조절장치
JPH06171662A (ja) 可動部材変位用ばねおよびこれを用いた制御装置の前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