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941B1 - 수동 컵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컵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941B1
KR100316941B1 KR1019990036333A KR19990036333A KR100316941B1 KR 100316941 B1 KR100316941 B1 KR 100316941B1 KR 1019990036333 A KR1019990036333 A KR 1019990036333A KR 19990036333 A KR19990036333 A KR 19990036333A KR 100316941 B1 KR100316941 B1 KR 10031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hamber
holder
elasti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756A (ko
Inventor
문영무
Original Assignee
문영무
주식회사 크로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무, 주식회사 크로버 filed Critical 문영무
Priority to KR101999003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941B1/ko
Priority to KR2019990018190U priority patent/KR200170627Y1/ko
Publication of KR2001001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0Pushers actuated directly by han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음료수기 등에 부설하여, 컵의 규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컵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조립이 간편한 수동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컵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편들이 컵을 강제 홀딩하기 때문에, 컵 인출시,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컵이 딸려 나오며, 컵의 규격에 제한을 받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통상의 수동 컵 인출장치에 있어서,
홀더 지지수단이 내부에 부여되고, 외부 일측에는 챔버 본체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30)를 구비한 하부 챔버(110)와, 상기 하부 챔버(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챔버의 캡을 이루는 상부 챔버(120)로 이루어지는 챔버(100)와: 상기 하부 챔버(110)에 부여되며, 후술하는 다수의 탄성 컵홀더(300)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홀더 지지수단(200)과;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에 방사형으로 다수 삽착되며, 적재된 컵을 탄지하기 위하여, 탄성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챔버 내향으로 다수곳에 절곡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탄성 컵홀더(300)와: 상기 챔버(100) 본체를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110)에 형성된 고정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10)를 구비한 챔버 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것임.

Description

수동 컵 인출장치{APPARATUS FOR DRAWING OUT WITH HAND OF CUP}
본 발명은 냉음료수기 등에 부설하여 다수의 컵을 내부에 적재하고 필요시마다. 하나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의 규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컵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조립이 간편한 수동 컵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음료수기에는 음료수를 받아 마시기 위한 용구로서, 별도의 일회용 음료봉투가 구비되기도 하지만, 이 일회용 음료봉투는 그 사용상의 불편함 때문에 일회용 컵을 비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일회용 컵을 냉음료수기에 비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컵을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적재하고, 적재된 컵이 하나씩 인출되도록 하는 수동 컵 인출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 8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수동 컵 인출장치(50)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의 하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20)이 적재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 본체(51)에, 그 하부에, 컵 홀더로서, 방사형으로 돌출편(52)들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수동 컵 인출장치(50)는, 컵을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형성되는 돌출편(52)들이 컵을 강제 홀딩하기 때문에, 컵 인출시, 컵을 무리하게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한 번에 두 개 이상의 컵이 딸려 나와 컵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의 컵 인출장치는, 일정 규격의 컵만 적용시킬 수 있고, 그보다 컵의 규격이 작으면 컵이 지지되지 않고, 컵의 규격이 크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선을 이용한 탄성홀더 및 상기 탄성홀더의 조립이 용이토록 하는 홀더 지지수단을 부여하므로서,
컵의 다양한 규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다양한 규격의 컵을 적재 및 인출하도록 하되, 인출시 부드럽게 한 개씩 인출되며, 조립 및 생산공정이 단순하고, 자재비용도 저렴하여 제작단가를 저감토록 하며, 하자발생의 염려가 없는, 수명이반영구적인 수동 컵 인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단면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일부 생략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컵홀더와 홀더 지지수단의 체결 전 상태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생략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컵홀더와 홀더 지지수단의 체결 전 상태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컵 인출장치 20 : 컵
100 : 챔버 110 : 하부 칼라
120 : 상부 칼라 130 : 고정부
131 : 삽지 고정편 200 : 홀더 지지수단
210 : 지지링 211 : 요홈
221,222 : 돌기 250 : 끼움돌부
300 : 탄성 컵홀더 310 : 받침부
320 : 탄력부 330 : 체결부
400 : 챔버 고정수단 410 : 결합부
420 : 고정패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컵 인출장치는,
컵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컵이 인출되기 위한 하부 개방부가 형성된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의 하부에 컵홀더를 구비한 통상의 컵 인출장치에 있어서,
홀더 지지수단이 내부에 부여되고, 외부 일측에는 챔버 본체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 하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의 상부에 결합되며, 챔버의 캡을 이루는 상부 챔버로 이루어지는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에 부여되며, 다수의 컵홀더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홀더 지지수단과;
상기 홀더 지지수단에 방사형으로 다수 삽착되며, 적재된 컵을 탄지하기 위하여, 탄성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챔버 내향으로 다수곳에 절곡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탄성 컵홀더와:
상기 챔버 본체를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에 형성된 고정부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한 챔버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탄성 컵홀더는 탄성강선으로서, 내구성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하되,
컵의 상단부를 탄력지지하고, 컵이 한 개씩만 인출되기 위한, 소정길이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소정길이, 소정경사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연장되고, 소정길이, 소정경사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력부와:
상기 탄력부에서 연장되며, 수직 절곡되어 홀더 지지수단에 삽착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지지수단은, 상기 다수의 탄성 컵홀더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다수의 요홈을 구비한 별도의 지지링과: 상기 지지링이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상하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에 삽착되기 위한 상기 탄성 컵홀더의 체결부는, 상기 지지링에 삽착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링 체결부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다수의 탄성 컵홀더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한 쌍의 끼움돌부로 형성하되, 상기 하부 챔버에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돌부에 삽착되기 위한 상기 탄성 컵홀더의 체결부는, 상기 끼움돌부에 삽착 체결착되도록 하는 끼움돌부 체결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 수동 컵 인출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컵 인출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조립도로서,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컵 인출장치(10)는,
컵(20)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컵이 인출되기 위한 하부 개방부가 형성된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의 하부에 컵홀더를 구비한 통상의 컵 인출장치에 있어서,
홀더 지지수단(200)이 내부에 부여되고, 외부 일측에는 챔버 본체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30)를 구비한 하부 챔버(110)와, 상기 하부 챔버(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챔버의 캡을 이루는 상부 챔버(120)로 이루어지는 챔버(100)와:
상기 하부 챔버(110)에 부여되며, 후술하는 다수의 탄성 컵홀더(300)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홀더 지지수단(200)과;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에 방사형으로 다수 삽착되며, 적재된 컵을 탄지하기 위하여, 탄성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챔버 내향으로 다수곳에 절곡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탄성 컵홀더(300)와:
상기 챔버(100) 본체를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110)에 형성된 고정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10)를 구비한 챔버 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챔버(110)와 상부 챔버(120)의 결합은 분리 결합이 용이하기 위하여 상부 챔버(120)가 하부 챔버(110) 위에 걸쳐지며 끼워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나사결합 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하부 챔버(110) 외측에 챔버(100) 본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고정부(130)는, 별도로 부여되는 고정수단(400)을 통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거나, 예컨대 냉온음료수기 등에 직접 부착고정되도록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고정부(130)는 별도의 고정수단(400)을 부여할 경우, 고정수단(400)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마주하여 상광하협을 이루는 두 개의 삽지고정편(131)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4는 상기 탄성 컵홀더(300) 및 홀더 지지수단(20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컵홀더(300)는, 탄성강선으로서, 내구성,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하되,
컵(20)의 상단부를 탄력지지하고, 컵이 한 개씩만 인출되기 위한, 소정길이의 수평부(311)와, 상기 수평부(311)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소정길이, 소정경사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312)로 이루어지는 받침부(310)와:
상기 받침부(310)에서 연장되고, 소정길이, 소정경사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력부(320)와:
상기 탄력부(320)에서 연장되며, 수직 절곡되어 홀더 지지수단(200)에 삽착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330)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탄성 컵홀더(300)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다수의 요홈(211)을 구비한 별도의 지지링(210)과, 상기 지지링(210)이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110)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상,하돌기(221)(2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링의 요홈(211)은, 상기 탄성홀더(300)가 체결되기 위하여, 외측 요홈(211a)과 내측 요홈(211b)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탄성 컵홀더(300)는 그 체결부(330)를 상기 지지링(210)에 삽착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링 체결부(331)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링 체결부(331)는 지지링의 외측 요홈(211a)과 내측 요홈(211b)에 삽지되며 지지링(210)에 결착 체결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챔버 고정수단(400)은, 본체를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챔버에 구비되는 고정부(130)의 구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챔버 고정수단(400)은 상기 고정부(130)의 구성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한가지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130)의 실시예인 삽지고정편(131)에 대응하는 상광하협의 삽지홈을 이루는 양측의 지지편(410)을 구비하는 고정패널(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패널(420)에는 예컨대 냉온음료용기 등의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421)을 다수 형성하고, 그중의 하나는 고정위치에 여유를 갖도록 장공(421')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부 생략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홀더 지지수단(200') 및 그에 따른 탄성 컵홀더(300')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은, 상기 다수의 탄성 컵홀더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끼움돌부(250)로 형성하되, 상기 하부 챔버(110)에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돌부(250)는 후술하는 탄성 컵홀더의 체결부(332)가 삽착되며, 이탈이 방지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에 연결 형성되는 한 쌍의 돌편(251)과, 상기 돌편의 단부에 스토퍼판(2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돌부(250)에 대응하는 탄성 컵홀더(300')는 상기 끼움돌부에 대응, 삽착 체결되기 위하여, 하부가 트여진 걸고리 형상의 끼움돌부 체결부(332)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 본다.
탄성 컵홀더(300)는, 내구성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며, 방사형으로 컵의 중심을 향하여 탄력이 작용되므로서, 컵의 다양한 규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여 지지 및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컵(20)을 인출하기 위하여 컵의 하부를 당기면, 상기 탄성 컵홀더(300)의 수평부(311)를 포함하는 받침부(310)가 컵의 상단부를 잡고 있다가 하부에서 컵(20)을 당기는 힘에 의하여 물러나게 되고, 그 다음으로 적재된 컵의 상단부를 잡게 된다.
이 때, 컵에 직접 접촉되는 홀더(300)의 접촉면은 강선, 즉 주면이 원주로 이루어진 곡면이고, 상기 탄력부(320)와 체결부(330) 사이의 절곡부(350)에서 탄성각이 결정되어, 컵에 전혀 충격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컵을 무리하게 당길 경우가 발생되지 않아 한 개씩만 인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탄성 컵홀더(300)는, 홀더 지지수단(200)에 간단히 끼워넣으므로서, 조립,체결이 완성되도록 구성되어, 생산에 따르는 작업성이 극히 우수하고,
상기 탄성 컵홀더(300)가 이탈될 염려가 전혀 없어, 하자발생의 염려가 없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컵 인출장치는, 냉온수기 등에 부착하여,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컵을 적재 보관하며 필요시에 편리하게 컵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되,
탄성 강선으로 이루어진 탄성 컵홀더를 부여하여,
컵의 다양한 규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인출시 한 개씩만 부드럽게 인출되어 불필요하게 딸려나오는 컵의 낭비를 막고, 수명이 반영구적인 잇점이 있다.
또한, 탄성 컵홀더와 홀더 지지수단의 조립구성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반면, 홀더가 이탈될 염려도 없는 신뢰성을 갖는 경제적인 기술이다.

Claims (4)

  1. 컵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컵이 인출되기 위한 하부 개방부가 형성된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의 하부에 컵홀더를 구비한 통상의 컵 인출장치에 있어서,
    홀더 지지수단이 내부에 부여되고, 외부 일측에는 챔버 본체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30)를 구비한 하부 챔버(110)와, 상기 하부 챔버(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챔버의 캡을 이루는 상부 챔버(120)로 이루어지는 챔버(100)와:
    상기 하부 챔버(110)에 부여되며, 후술하는 다수의 탄성 컵홀더(300)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홀더 지지수단(200)과;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에 방사형으로 다수 삽착되며, 적재된 컵을 탄지하기 위하여, 탄성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챔버 내향으로 다수 곳에 절곡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탄성 컵홀더(300)와:
    상기 챔버(100) 본체를 고정처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110)에 형성된 고정부(1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10)를 구비한 챔버 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컵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컵홀더(300)는, 탄성강선으로서, 내구성,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하되,
    컵(20)의 상단부를 탄력지지하고, 컵이 한 개씩만 인출되기 위한, 소정길이의 수평부(311)와, 상기 수평부(311)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며 소정길이, 소정경사각으로 절곡형성되는 경사부(312)로 이루어지는 받침부(310)와:
    상기 받침부(310)에서 연장되고, 소정길이, 소정경사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력부(320)와:
    상기 탄력부(320)에서 연장되며, 수직 절곡되어 홀더 지지수단(200)에 삽착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330)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컵 인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은, 상기 다수의 탄성 컵홀더(300)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다수의 요홈(211)을 구비한 별도의 지지링(210)과:
    상기 지지링(210)이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챔버(110)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상,하돌기(221)(2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링(210)에 삽착되기 위한 상기 탄성 컵홀더(300)의 체결부(330)는 상기 지지링(210)에 삽착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링 체결부(331)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컵 인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지지수단(200)은, 상기 다수의 탄성 컵홀더가 방사형으로 삽착되기 위한 한 쌍의 끼움돌부(250)로 형성하되, 상기 하부 챔버(110)에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돌부(250)에 삽착되기 위한 상기 탄성 컵홀더의 체결부(330)는, 상기 끼움돌부(250)에 삽착 체결착되도록 하는 끼움돌부 체결부(332)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컵 인출장치.
KR1019990036333A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KR10031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33A KR100316941B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KR2019990018190U KR200170627Y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33A KR100316941B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190U Division KR200170627Y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56A KR20010019756A (ko) 2001-03-15
KR100316941B1 true KR100316941B1 (ko) 2001-12-22

Family

ID=19609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333A KR100316941B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KR2019990018190U KR200170627Y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190U KR200170627Y1 (ko) 1999-08-30 1999-08-30 수동 컵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169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56A (ko) 2001-03-15
KR200170627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7644B1 (en) Cup holder adapter for mug
US5071019A (en) Lid-drinking straw assembly
US4974426A (en) Cooler
CN102275536A (zh) 用于饮料容器的托座
US20080265108A1 (en) Stand
US20180177317A1 (en) Beverage-vessel holder and method
US20100181282A1 (en) Reusable drinking straw holder with bottle neck securing assembly
US5647759A (en) Christmas lamp bulb fixing socket
KR100316941B1 (ko) 수동 컵 인출장치
US20060169712A1 (en) Rimmed cup dispenser
CN100581932C (zh) 桶和座圈组件
US5427273A (en) Dispenser for disposable cups
US4930662A (en) Flexible plate dispenser and improved flexible plate
USD464842S1 (en) Container
US6375032B1 (en) Device for taking out a straw for a beverage can
ES2388451T3 (es) Barril
US20170055739A1 (en) Holding Device for Preventing Straw from Dropping
KR20180001286U (ko) 결로수 고임부가 구비된 테이크아웃컵
GB212287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ottle-supporting devices
KR200334600Y1 (ko) 종이컵 인출구
KR200390158Y1 (ko) 컵 홀더
CN210055527U (zh) 一种带杯盖放置架的杯子
CN216293696U (zh) 具有提手的杯盖及杯
KR200376561Y1 (ko) 자동 종이컵홀더
KR200180812Y1 (ko) 종이컵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