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852B1 -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852B1
KR100316852B1 KR1019990016146A KR19990016146A KR100316852B1 KR 100316852 B1 KR100316852 B1 KR 100316852B1 KR 1019990016146 A KR1019990016146 A KR 1019990016146A KR 19990016146 A KR19990016146 A KR 19990016146A KR 100316852 B1 KR100316852 B1 KR 10031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concrete
segment block
joint
tunnel
concrete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087A (ko
Inventor
이혁
한자경
김욱관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90016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852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4Watertight packings for use under hydraul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음부에 수팽창 지수재를 설치하거나 모르타르를 주입하였으나, 설치에 따른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10)의 양면에 각각 오목홈(11)을 형성하여 터널 시공시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오목홈(11)에 의해 집수홈(12)이 형성되게 하고, 이 집수홈(12)을 따라 흡수부재(13)를 설치하여 연결부위를 따라 유입되는 되는 지하수를 흡수하게 하고, 콘크리트 블록(10)의 바닥 양측에는 집수홈(12)의 하단으로부터 터널 길이 방향으로 배수공(14)을 설치하여 유입된 지하수를 흘려보낼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방수 시공으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음부의 방수 성능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WATERPROOFING STRUCTURE AT JOINTS BETWEEN PRECAST CONCRETE SEGMENT BLOCK USING A WATERWAY}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지하박스 구조물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의 이음부를 통한 지하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precast) 지하박스 구조물 시공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이하, 콘크리트 블록으로 약칭함.)을 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공사 현장으로 옮겨 연속적으로 조립하는 공법으로, 터널의 안전성, 시공성 및 규격화를 이룰 수 있고, 공사 현장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개착식 터널 시공은 지반을 굴착하고 거푸집 등의 형틀을 만들어 그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현장 타설 공법은 장기간의 터널 시공 기간이 요구되고, 작업자의 노동 강도도 높아 작업에 대한 기피현상 및 인건비 상승을 가져오며, 공사 현장 주변의 미관 및 환경 악화를 가져온다. 프리캐스트 지하박스 구조물 시공법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는 시공법으로, 특히 복잡한 도심지에서 이루어지는 공사에 적합하다.
한편, 지하 공간에 매설되는 터널은 통신구, 전력구 등으로 사용되어 그 내부에는 다수의 동축 케이블 및 광 케이블 등이 설치되며, 또한 이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부대장치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지반에 함유된 지하수의 터널내 유입을 차단하는 방수, 방습 기능의 확보가 요구되는데, 프리캐스트 지하박스 구조물 시공법에서는 콘크리트 블록이 연결되는 이음부를 통해 수분이 터널 내로 유입되므로 이음부의 방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블록의 이음부를 방수 처리 함에 있어, 이음부에 수팽창 지수재를 1겹 또는 그 이상으로 설치하거나, 이음부 사이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였다.
수팽창 지수재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고무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 경우 수팽창 지수재의 반복적인 팽창 수축 작용에 한계가 있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수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설치에 따른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방법은 모르타르가 주입되는 이음부의 공간이 2개의 콘크리트 블록을 맞대어 형성한 공간으로 근복적으로 밀실되는 공간이 아니므로 이음부의 틈새로 모르타르가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이음부의 결합 정밀도를 높여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각 콘크리트 블록의 이음부에 집수홈을 형성한 뒤 이 집수홈에 흡수부재를 충진하여 터널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유도하고, 콘크리트 블록의 하부에는 배수공을 설치하여 유도된 지하수가 이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양면에 각각 오목홈을 형성하고,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오목홈이 밀착되어 집수홈을 형성하고, 이 집수홈을 따라 흡수부재를 설치하고, 집수홈의 하단으로부터 프리캐스트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부 틈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는 집수홈 내부에서 흡수부재를 통해 흡수된 뒤, 집수홈 하단으로 유도되어 배수공을 따라 터널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연결부 사이로 유입된 지하수는 배수공을 따라 흘러 집수정으로 모이게 되고, 집수정에 모인 지하수는 양수기를 이용하여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 방수 구조를 나타낸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도,
도 3은 도 2의 선 A-A에 의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블록 11 : 오목홈
12 : 집수홈 13 : 흡수부재
14 : 배수공 20 : 집수정
30 : 양수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음부 방수 구조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을 서로 연결시켜 전력구 또는 통신구용 터널을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지하박스 구조물 시공법에 있어, 그 연결부 또는 이음부를 통한 터널 내부로의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10)은 양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양측 부분으로 다른 콘크리트 블록이 연속적으로 접하여 연결되면서 터널을 이루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터널을 형성한 콘크리트 블록(10)의 연결부위를 따라 지하수가 유입되어 터널 내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10)의 양 단부면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11)이 형성되고, 이 홈(11)들은 터널 시공시 서로 대면하여 집수홈(12)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집수홈(12)에는 이음부를 따라 유입되는 지하수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재(13)가 충진되고, 집수홈(12)의 하단부는 유입된 지하수를 흘려보내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10)의 바닥 양측에 터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유도 배수로 기능의 배수공(14)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터널 시공 방법은 굴착된 지반에 콘크리트 블록(10)을 설치하고, 이 콘크리트 블록(10)의 단부와 대면하도록 다른 콘크리트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다. 양 콘크리트 블록(10)이 접해지면서 서로 밀착되는 오목홈(11)들에 의해 집수홈(12)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집수홈(12) 내측에는 모르타르와 같은 흡수부재(13)를 충진시킨다. 그리고, 연결부위 안쪽은 액체 방수제(도시안됨)를 도포하여 터널의 누수를 이중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반복 작업으로 계속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연결시켜 터널을 시공해 나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음부 방수 구조는, 콘크리트 블록(10) 사이로 유입되는 지하수가 집수홈(12)내에 충진된 흡수부재(13)에 흡수되어 집수홈(12)에 하단을 통해 배수공(14)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연결부위의 방수를 확보하고 터널 내부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공(14)으로 유도된 지하수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콘크리트 블록(10)을 거치면서 집수정(20)으로 모이게 되고, 유입된 지하수는 양수기(30)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한 방수 시공으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부위에 대한 방수 성능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10)의 양면에 각각 오목홈(11)을 형성하고,
    상기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오목홈(11)이 밀착되어 집수홈(12)을 형성하고,
    상기 집수홈(12)을 따라 흡수부재(13)를 설치하고,
    상기 집수홈(1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공(1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19990016146A 1999-05-06 1999-05-06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1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146A KR100316852B1 (ko) 1999-05-06 1999-05-06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146A KR100316852B1 (ko) 1999-05-06 1999-05-06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087A KR20000073087A (ko) 2000-12-05
KR100316852B1 true KR100316852B1 (ko) 2001-12-22

Family

ID=1958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146A KR100316852B1 (ko) 1999-05-06 1999-05-06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1883B (zh) * 2022-04-08 2023-09-12 蚌埠市江河水利工程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混凝土箱涵接缝的防水连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087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82493A (ja) 止水遮断装置
KR100316852B1 (ko) 배수로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20110122279A (ko) 지중 송·배전용 조립식 전력구 접합장치
KR100998868B1 (ko) 공동구용 암거
KR10076536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10031685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1685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20000073535A (ko) 수팽창 지수재와 그라우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1685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JPH05340200A (ja) トンネル内漏水の排水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KR10031684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16849B1 (ko) 방수 지퍼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CN220551126U (zh) 一种用于隧道的电缆槽和排水沟整体设计结构
CN105781614A (zh) 新型可视化营运公路隧道边墙墙脚排水系统
KR100680157B1 (ko) 전기통신 맨홀 누수방지시설
KR200261918Y1 (ko) 연약 지반의 하수로용 조립식 암거 구조
JP2942253B1 (ja) 目地部導水樋設置工法
CN213235067U (zh) 一种防水性能好的装配式隧道结构
KR101065263B1 (ko)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의 누수보수장치 및 누수보수방법
SU1196455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узла примыкани опускной секции подводного тоннел к секции тоннел мелкого заложени
JP2896237B2 (ja) トンネル構築用エレメントによるトンネルの止水構造
CN112983539B (zh) 一种隧道围岩排水支架结构及施工方法
CN213978417U (zh) 一种透水砖拼装结构
KR20010001950A (ko) 탄성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구조
KR200391844Y1 (ko) 암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