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512B1 - 맨홀커버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맨홀커버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512B1
KR100316512B1 KR1019980063130A KR19980063130A KR100316512B1 KR 100316512 B1 KR100316512 B1 KR 100316512B1 KR 1019980063130 A KR1019980063130 A KR 1019980063130A KR 19980063130 A KR19980063130 A KR 19980063130A KR 100316512 B1 KR100316512 B1 KR 10031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boom
lifting device
manho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79A (ko
Inventor
이종제
유희창
Original Assignee
백무남
한국수자원기술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무남, 한국수자원기술공단 filed Critical 백무남
Priority to KR101998006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5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3Lifting jacks with pinion and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퀴가 제공된 프레임(11,21)과, 상기 프레임 위에 맨홀 커버를 승하강시키도록 장착된 잭(13), 상기 잭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맨홀 커버(19)에 형성된 구멍에 걸도록 후크(18)가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체인(17)을 포함하고, 상기 잭은 핸들(16)로 회전시키는 피니언과 그에 맞물려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랙크(15)를 포함하며 랙크의 상단에 체인(17)들의 상단을 고정시키도록 되거나, 상기 잭은 유압잭으로서 모터를 포함한 구동부(23)의 붐실린더에서 승하강하는 붐(24)을 포함하고 붐(24)의 상단에 체인들의 상단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무거운 맨홀 커버의 개폐를 적은 인력으로 부상의 위험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
본 발명은 상하수도시설 관로 시설에 있어서 관로의 점검 또는 밸브실 점검을 위해 도로 또는 인도에 개방가능하게 설치된 맨홀 커버를 인력에 의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개방하기 위한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나 하수도 시설에 있어서, 관로의 이상여부를 점검하거나 밸브실을 점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내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맨홀을 형성하고 그 위에 주철재의 맨흘 커버로 덮어 그 위로 사람이나 자동차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맨홀에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하여 맨홀 커버를 개방시킬 때에는,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철제 봉으로 맨홀 커버의 측단부와 시트 사이에 끼워넣고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 개방시키거나,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자 네사람이 (도면에는 일측의 두사람만 도시됨) 체인(1)의 일단을 맨홀 커버(2)에 설치한 후크(3)에 걸고 타단은 봉상의 부재(4)에 걸어서 낮은 자세에서 일어나면서 맨홀 커버(2)가 시트(5)로 부터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맨홀 커버가 주철재로서, 예를들어 766mm의 경우 132kg로 무거울 뿐만 아니라 그위로 보행자 또는 자동차 등이 지남에 따라 시트(5)에 꼭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이를 들어 올리기가 매우 힘들어 작업자가 디스크와 같은 허리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적어도 4인의 작업자가 맨홀 개방을 위해 작업해야 하고 작업자의 피로도가 커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따라서 작업효율이 낮아 맨홀의 보수유지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의 보수 유지를 위한 맨홀 커버의 개폐에 따른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인력에 의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맨홀 커버를 승강 및 하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로 부터 분리된 맨흘 커버를 일측방으로 작업장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에 의해 맨홀 커버를 시트로 부터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리하여 맨홀을 개폐시킬 수 있는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맨홀 커버를 시트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작업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팅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2 : 프레임 13 : 잭
14 : 피니언 15 : 래크
17 : 체인 23 : 구동부
24 : 붐 25 : 브라켓
26 : 가이드구조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는 바퀴가 제공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되도록 장착된 지지부에서 승하강하도록 장착되고 래크와 피니언을 포함하는 잭, 상기 래크의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맨홀 커버에 형성된 구멍에 걸도록 후크가 제공된 적어도 2개의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잭은 피니언을 수동레버로 회전하도록 되어 래크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유압잭으로서 유압에 의해 승하강되는 붐의 상단에 제공된 홀더에 체인들의 상단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붐 승강시 체인에 의해 맨홀 커버가 인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잭이 유압잭인 경우에는 인양되는 맨홀 커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 저부에 각 체인에 대응하여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맨홀 커버 리프팅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프팅장치(10)는 바퀴가 각각의 모서리에 제공된 장방형의 프레임(11)위에 상방으로 이격되게 맨홀 커버를 승강시키는 수단을 지지되도록 지지부(12)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부(12)에는 승강수단으로서의 잭(13)이 장착된다.
상기 잭(13)은 도면에 피니언(14)과 그에 맞물리는 래크(15)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언(14)을 작업자가 회전시키도록 핸들(16)이 제공된다.
상기 래크(15)의 하단에는 2개 또는 4개의 체인(17)이 고정되고, 그 체인들 각각의 하단에는 후크(18)가 고정되어 맨홀 커버(19)에 형성된 구멍에 직접 끼우거나, 또는 그 구멍들에 고리(20)를 끼워 고정시킨 다음 후크를 고리에 끼우도록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리프팅장치(10)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맨홀 커버(19) 위에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10)를 배치하고, 맨홀 커버에 고리(20)를 설치한 다음 체인 하단의 후크(18)를 각각 고리에 건다.
그런다음, 핸들(16)을 회전시키면 피니언(14)의 회전에 의해 래크(15)가 승강하게 됨에 따라 맨홀 커버(19)를 들어 올리게 되어 시트로 부터 분리되게 한다.
이와같이 맨홀 커버(19)가 시트로 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리프팅장치(10)를 측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맨홀이 개방되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게 되어 관로 보수유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30은 스토퍼이다.
도 4와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리프팅장치(21)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가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승강수단으로서 피니언과 래크를 포함한 기계식 잭 대신에 유압에 의해 붐이 승하강하도록 된 유압식 잭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단지 동작 스위치의 온/오프만 제어하여 리프팅장치를 조작할 수 있고 프레임 높이를 최소화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예를들어 20-30 cm 높이의 장방형의 프레임(22)에 유압모터를 포함한 붐실린더 구동부(23)가 설치되고, 구동부에 의해 붐(24)이 실린더에서 상방으로 승강되게 전진하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상기 붐(24)의 선단에는 체인들의 일단이 고정된 브라켓(25)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25)은 구조물 형태로서 무거운 중량의 맨홀 커버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맨홀 커버를 지지하면서 붐이 안정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동부(23)의 상면에 가이드구조물(26)이 설치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구동부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유압모터를 작동시켜 붐(24)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리프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맨홀 커버(19)에 체인의 수만큼 고리(20)를 사각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그 고리에 각각의 체인에 제공된 후크(18)를 걸어 놓은 다음, 스위치를 조작하여 붐이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맨홀 커버(19)가 시트에서 분리되어 승강된다. 이때 프레임(22)의 저면에는 각각의 체인에 대응하여 제공된 스토퍼(27)에 의해 맨홀 커버가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제공된다.
이와같이 시트로 부터 맨홀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프레임을 맨홀 측방으로 이동시켜 맨홀을 개방함으로써 관로 보수유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맨홀 커버의 분리를 유압에 의해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두 실시예들의 리프팅장치에 있어서, 맨홀 커버를 시트에 분리하여 개방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맨홀 커버를 시트에 안착하는 작업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를 맨홀 커버 개방에 역순으로 조작함으로써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무거운 중량의 맨홀 커버의 개폐를 기계식 잭 또는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리프팅장치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작업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1 또는 2인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맨홀의 개폐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무거운 맨홀 커버를 들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부상 위험이 제거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Claims (2)

  1. 바퀴가 구비된 프레임(11)(22)의 상면에 맨홀커버를 승하강시키는 잭(13)을 구비하되 잭(13)의 하단에는 후크(18)가 구비된 2개이상의 체인(17)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12)의 상면에는 모터를 포함하는 붐실린더의 구동부(23)를 장착하되 구동부(23)의 붐(24)의 상단에 체인의 상단을 고정시킨 것과, 프레임(22)의 저면에는 맨홀커버(19)의 유동을 방지하는 스톱퍼(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커버 리프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붐(24)의 상단에는 브라켓(25)을 고정시키고, 붐실린더의 구동부(23)의 상면에는 가이드구조물(26)을 설치하여, 브라켓(25)이 가이드구조물(26)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커버 리프팅장치
KR1019980063130A 1998-12-31 1998-12-31 맨홀커버리프팅장치 KR10031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130A KR100316512B1 (ko) 1998-12-31 1998-12-31 맨홀커버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130A KR100316512B1 (ko) 1998-12-31 1998-12-31 맨홀커버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79A KR19990024279A (ko) 1999-03-25
KR100316512B1 true KR100316512B1 (ko) 2002-02-19

Family

ID=3753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130A KR100316512B1 (ko) 1998-12-31 1998-12-31 맨홀커버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70B1 (ko) * 2016-07-12 2017-05-24 김원희 맨홀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534B1 (ko) * 2010-05-20 2011-03-03 김화식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KR200496777Y1 (ko) * 2021-07-06 2023-04-21 주식회사 엠디코리아 맨홀 뚜껑 개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3654A (ko) * 1971-09-02 1973-05-11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33654A (ko) * 1971-09-02 1973-05-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70B1 (ko) * 2016-07-12 2017-05-24 김원희 맨홀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79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060B1 (ko) 전위스크린 및 제진기의 승하강 구조를 갖는 제진기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KR101307979B1 (ko)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KR101132845B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US7143869B1 (en) Hydraulic vehicle lift
KR100316512B1 (ko) 맨홀커버리프팅장치
KR101018534B1 (ko) 수동식 맨홀 프레임 인상장치
JP4912126B2 (ja) ケーブル昇降装置
CN114105058B (zh) 一种电缆沟盖板打开工具
JPH07197517A (ja) 地下下水道保全装置及び該地下下水道保全装置に用いる作業台
KR100500133B1 (ko) 차량정비 도크용 리프트
CN216038553U (zh) 一种可移动的不锈钢隐形井盖开启装置
CN219793998U (zh) 一种可滑动打开的连体防坠井盖
CN219950431U (zh) 一种窨井盖开启装置
JP5706138B2 (ja) 人孔蓋開閉器用レール
KR100432374B1 (ko) 맨홀 동체의 인상장치
CN218478459U (zh) 一种工厂用可移动的提升吊架
KR200271701Y1 (ko) 교량 점검용 승강장치
KR200248443Y1 (ko) 맨홀 동체의 인상장치
CN215855014U (zh) 适用于不同种类井盖的自动撬井盖装置
KR200482087Y1 (ko) 샤클 체결용 치구
JP4396252B2 (ja) 台車振替設備
CN211282354U (zh) 一种垃圾车提升机构的翻转架装置
CN214828872U (zh) 一种窨井盖检修装置
CN212245980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用吊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