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454B1 - 매설형표지등및매설형표지등장치 - Google Patents
매설형표지등및매설형표지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16454B1 KR100316454B1 KR1019980041933A KR19980041933A KR100316454B1 KR 100316454 B1 KR100316454 B1 KR 100316454B1 KR 1019980041933 A KR1019980041933 A KR 1019980041933A KR 19980041933 A KR19980041933 A KR 19980041933A KR 100316454 B1 KR100316454 B1 KR 100316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lb
- buried
- lamp
- light
- reflec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 B64F1/205—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arranged underground, e.g. underground runway lighting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10—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18—Mountings or supports for the incandescent bod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7/00—Lamps for purposes other than general lighting
- H01K7/04—Lamps for purposes other than general lighting for indic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플렉터(3a)는 그 개구단측의 상부 및 하부가 절단되어 절단부(3a3, 3a4)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에서 보면, 상하가 평행한 가로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고, 또 리플렉터(3a)를 가로방향에서 보면, 그 개구단이 경사져 있지만, 이것은 상반부 반사면(3a1)의 개구단을 하반부 반사면(3a2)의 개구단보다 꼭대기부측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이고, 또한 하반부 반사면의 개구단을 그것에 맞춰서 기울여 후퇴시키고 있기 때문으로, 표지등용 램프의 리플렉터를 개량하여 매설형 표지등을 한층 더 박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요구되는 배광특성을 얻기 쉬운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소형화된 표지등용 램프를 이용한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를 발명하고, 이것을 일본국 특원평 8-262709호로서 일본특허출원하고 있다. 도 22는 선행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광축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같은 표지등용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01"은 등체(燈體), "102"는 프리즘, "103"은 표지등용 램프, "104"는 기초대이다.
등체(101)는 윗면에 배치된 광도출 홈(101a) 및 광도출 홈(101a)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101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등체(101)는 상부 등체(101c) 및 이것에 복합(覆合)된 하부 등체(101d)로 구성되어 있다.
프리즘(102)은 등체(101)의 광도출 홈(101a) 및 내부공간(101b) 사이에 기밀하게 배치되어, 광로를 노면에 대해서 낮은 각도가 되도록 규제한다.
표지등용 램프(103)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리플렉터(103a)의 내부에 전구(103b)를, 그 필라멘트(103b1) 중심이 단일의 회전방물면(回轉放物面)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면(103a1)의 거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캡 접합제(103c)(cap cement)에 의해 고정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리플렉터(103a)는 그 꼭대기부에 통부(103a2)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고, 이 통부(103a2) 속에 전구(103b)의 봉지부(封止部)(103b2)를 삽입하고, 그 사이의 간격에 캡 접합제(103c)를 흘려넣어 고착하고 있다.
또한, 표지등용 램프(103)는 그 리플렉터(103a)의 개구단 측의 상부에 절단부(103a3)가 형성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설형 표지등의 등체(101) 내에 있어서 리플렉터(103a)가 프리즘(102)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리플렉터(103a)의 반사광을 가능한 한 많이 프리즘(102)에 입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 "G"는 표지등이 매설되어 있는 노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매설형 표지등은 그 등체(101)의 윗면을 노출시켜 노면(G)에 매설되어 사용된다. 또 표지등용 램프(103)는 그 리플렉터(103a)와 전구(103b)를 미리 소정 위치관계로 유지하고 고정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설형 표지등의 광학적 조정이 용이하며, 또 리플렉터(103a)의 상부에 절단부(103a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매설형 표지등의 높이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매설형 표지등에 대해 더욱 박형화의 요구가 있고, 이에 따른 표지등용 램프,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공항용의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는, 작은 앙각(仰角) 범위인 동시에 좌우로 큰 수평각 범위에 있어서 소정의 광도를 유지한 배광(配光)특성을 만족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이 소정의 배광특성을 최소 소비전력의 표지등용 램프를 사용하여 만족시키는 것은 결코 용이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표지등용 램프의 리플렉터를 개량하여 매설형 표지등을 한층 더 박형화할 수 있으며, 또 요구되는 배광특성을 얻기 쉬운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표지등용 램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동일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종단면도,
도 5는 동일 리플렉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동일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종단면도,
도 7은 동일 횡단면도,
도 8은 동일 표지등용 램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동일 표지등용 램프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동일 표지등용 램프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작용을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배광특성의 규격을 나타내는 배광특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부 등체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초대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매설형 표지등장치에 사용되는 곡선노면용 등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전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도 16 중 화살표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와 종래 할로겐 전구와의 충격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전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9의 (a)는 주요부의 확대정면도, 도 19의 (b)는 도 19의 (a) 중 화살표 b-b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평면도,
도 20은 동일 전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0의 (a)는 주요부의 확대정면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 중 화살표 c-c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21은 동일 전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1의 (a)는 주요부의 확대정면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 중 화살표 d-d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22는 선행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의 광축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 및
도 23은 동일 표지등용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매설형 표지등 B: 기초대
G: 노면 L1, 3b, 103b: 전구
R1, R2: 광선 1, 101: 등체
1a: 상부 등체 1b: 하부 등체
1b1: 플랜지부 1b2, 1b3: 투과구멍
1c, 101b: 내부공간 1d, 101a: 광도출 홈
1e: 평탄부 1f: 경사면
1g, 14, 17: 설치구멍 2, 102: 프리즘
3, 103: 표지등용 램프 3a, 103a: 리플렉터
3a1: 상반부 반사면 3a2: 하반부 반사면
3a5: 패싯 3a6, 3a7, 3a8: 접합부
3b1, 21: 벌브 3b2, 24, 103b1: 필라멘트
3b11, 22: 핀치시일부 3b3, 23: 금속박
3b4, 3b4’, 26: 다리부 3b5, 30: 캡핀
3c, 103c: 캡 접합제 3d1, 3d2, 3d3: 방열피막
4: 색필터 5, 15, 16: O링
11: 내부둘레 단부 12: 기립벽
13: 중앙 오목부 25: 코일형상부
27: 서포트선 28: 서브코일
29: 굴곡부 31: 외부도선
101b: 내부 공간 103a1: 반사면
103a2: 통부 103a3: 절단부
103b2: 봉지부(封止部)
청구항 1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은 윗면에 배치되어 경사 위쪽을 향하는 광도출 홈 및 광도출 홈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등체;
등체의 광도출 홈 및 내부공간 사이에 기밀하게 배치된 광로 규제용 프리즘; 및
벌브, 벌브 속에 밀봉 장착된 필라멘트 및 필라멘트에 접속된 다리부를 갖는 전구 및 이 전구에 광학적으로 배향하여 배치되고, 개구단이 프리즘에 대향하며, 또 개구단측의 상하부분이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리플렉터를갖는 표지등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 및 이하의 각 발명에 있어서, 용어의 정의 및 기술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은 공항용으로서는 활주로 중심선등, 유도로등, 정지선등 등으로, 도로용으로서는 교차점 표지등 등으로 원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전구는 소형 고광출력(高光出力)의 면에서 할로겐 전구가 바람직하지만, 크립톤(krypton)이나 크세논(xenon)가스를 봉입한 전구에 있어서도 비교적 소형 고광출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또 그 정도로 소형 고광출력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여, 그 외의 전구의 사용을 허용한다. 할로겐 전구는 벌브의 표면에 적외선 반사막을 형성한 것이 있는데, 발광효율이 높기 때문에 이 구성은 본 발명에 적합하다.
리플렉터는 기본체의 내면에 고반사율의 반사막을 피복한 것이 적합하지만, 기본체 자체가 반사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고순도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도로 반사막을 피복시킬 필요는 없고, 또 기본체로서는 유리나 금속이 적합하다.
리플렉터에는 일반적으로 광학적 작용에 의해 정해지는 광축과는 관계없이 정해지는 리플렉터의 기하학적 중심선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리플렉터의 중심축이라 한다.
매설형 표지등은 빛을 노면에 대해서 작은 앙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고, 또 등체 내부에 있어서는 램프의 광축을 노면에 대해서 작은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중간에 프리즘을 개재시켜 램프에서 방사된 광로를 노면방향으로 굴절시킨다. 광로 규제라는 것은 광로를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으로 규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리즘은 배광특성에 맞춰 개구면이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표지등용 램프의 개구단의 크기를 프리즘의 가로폭에 맞추면, 램프의 리플렉터 개구단의 상하부분은 프리즘에서 바깥쪽으로 밀려 나와 버리고, 매설형 표지등의 기구효율이 저하한다. 이에 대해서, 표지등용 램프의 리플렉터 개구단의 크기를 프리즘의 상하방향 크기에 맞추면, 프리즘의 좌우방향의 광량이 부족하여 요구되는 배광특성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구되는 상하방향의 배광을 얻을 수 있는 정도로, 램프의 개구단의 상하부분을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절단하면, 표지등용 램프의 상하방향의 크기, 즉 높이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매설형 표지등을 한층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표지등용 램프의 가로방향의 개구직경을 프리즘의 가로방향의 크기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광량을 요구되는 바대로 확보할 수 있다.
또, 상하방향의 광량을 보다 확보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플렉터의 상반부(上半部) 반사면을 전구로부터의 광이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하반부(下半部) 반사면을 전구로부터의 광이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반부 반사면을, 전구에서 방사되어 상기 반사면에 입사하여 반사된 반사광이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데에는 단일의 회전 2차곡면에 의해 상반부 반사면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 2차곡면의 축을 중심축과 평행하게 하든지, 리플렉터의 개구단을 향하여 중심에 대해서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하면 좋다. 또 자유곡면을 구비한 복수의 패싯(facet)에 의해 상반부 반사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패싯에 의한 반사광이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도록 각 패싯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리플렉터의 하반부 반사면을, 전구에서 방사되어 상기 반사면에 입사하여 반사된 반사광이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구성하는 데에는 단일의 회전 2차곡면에 의해 상반부 반사면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 2차 곡면의 축을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설정하면 좋다. 또 자유 곡면을 구비한 복수의 패싯에 의해 반사면을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패싯에 의한 반사광이 중심축과 교차하도록 각 패싯을 설정할 수 있다.
상반부 반사면과 하반부 반사면을 상기와 같이 구성을 다르게 한 경우, 양자간의 접합부는 불연속한 곡면이 되는 것이 허용된다.
그런데, 리플렉터와 전구는 그 광학적 관계를 규제하기 위해서, 캡 접합제와 같은 부재를 개재시켜 고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리플렉터에 대해서 전구를 착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전구의 단선시에 리플렉터를 그대로 두고 전구만을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리플렉터의 상반부 반사면에 입사한 전구의 광은 중심축에 거의 평행하게 반사된다.
이에 대해서 하반부 반사면에 입사한 전구로부터의 광은 중심축을 가로질러 경사 위쪽으로 반사된다.
따라서, 상반부 반사면에서의 반사광은 프리즘의 입광면에 거의 직각으로 입광한다. 하반부 반사면에서의 반사광은 프리즘의 입광면에 대해서 경사 아랫쪽에서 입광한다. 각각 프리즘에 입광한 광은 입사각에 따라서 굴절되고, 프리즘에서 출광하여 가늘고 긴 광빔(광기둥)을 형성하고, 매설형 표지등의 앞쪽으로 낮은 각도로 투사한다. 그리고, 상반부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은 리플렉터의 중심축의 주로 하반부를 담당한다. 이에 대해서 하반부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은 리플렉터의 중심축의 주로 상반부를 담당한다. 그 결과, 동일한 정도로 상하반부 반사면을 절단한 경우에 비해, 상하방향의 배광특성이 더욱 향상한다.
또, 리플렉터를 상반부 반사면 및 하반부 반사면으로 분리하고, 또 하반부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중심축을 가로지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반부 반사면을 중심축에 대해서 윗쪽으로 경사시키면 리플렉터의 하반부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것은 표지등용 램프의(특히 아랫쪽 크기) 소형화를 실현한다.
따라서, 표지등용 램프의 리플렉터가 장애가 되지 않거나, 장애가 되는 정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그 만큼 매설형 표지등의 등통(燈筒)을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플렉터는 상반부 반사면 및 하반부 반사면이 각각 자유곡면을 구비한 복수의 패싯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각 반사면을 복수의 패싯에 의해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원하는 배광특성을 복수로 분할하여, 각 패싯마다 분할된 배광특성 부분을 할당하면, 그것에 따라서 각 패싯의 자유곡면을 설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하는 배광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플렉터의 개구단측의 상하를 절단하는 데에 있어서, 상반부 반사면 및 하반부 반사면의 일부를 미리 절단하고 나서, 반사막을 형성하여도 좋고, 반사면 전체에 반사막을 형성하여 리플렉터를 만든 후에 절단해야 하는 부분을 적정 수단에 의해 절단하여도 좋다. 또 상기 「미리 절단한다」라는 것은 기본체의 성형틀을 리플렉터의 일부를 절단한 형태로 하여, 성형시부터 미리 절단해야 하는 부분을 제거한 구조를 얻는 것을 포함한다.
리플렉터의 상반부 반사면의 개구단이 꼭대기부 측으로 후퇴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반부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상반부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서 하반부 반사면의 입체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하반부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많게 하여, 요구되는 배광특성을 실현하기가 더욱 쉬워진다.
또한, 외관을 고려하여 가로방향에서 보아 상반부 반사면의 개구단을 기울여 후퇴시키며, 또 이것에 연속하여 하반부 반사면의 개구단도 기울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지등용 램프의 리플렉터를 상반부 반사면 및 하반부 반사면으로 분리하여 하반부 반사면의 반사광이 중심축을 가로지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리플렉터의 하단부(下端部)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매설형 표지등을 박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박형화에 의해 매설을 위한 노면 보링(boring)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표지등의 경량화도 가능해지고, 그에 따른 취급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은 청구항 1의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전구의 다리부는 다른 형상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서로 다른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꼭대기부 측에서 개구단측으로 연장하는 접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리플렉터의 접합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접하는 서로 다른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된 접합부」라는 것은 인접하는 한쌍의 패싯 사이나 상반부 반사면 및 하반부 반사면 사이 부분을 말하고, 이 접합부를 사이에 두고 다른 곡면이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접합부에 있어서는 곡면이 불연속하게 되어 있다.
또, 「꼭대기부 측에서 개구단 측으로 연장한다」라는 것은 리플렉터를 개구단측에서 볼 때에 꼭대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상으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접합부는 선형상을 이루어 거의 폭을 갖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폭을 부여할 수 있다. 접합부에 폭을 갖게 함으로써, 다리부의 리플렉터에 대한 설치각도가 다소 불균일하여도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단, 이렇게 적당한 폭을 갖는 경우에는 접합부를 광확산성으로 하든지, 차광성으로 하여, 접합부에 입사한 광이 배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한으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폭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성 또는 차광성으로 하는 데에는 이미 알려진 수단을 이용하면 좋다.
다음에, 전구의 필라멘트는 벌브의 폭에 따라서 연장하는 C-8타입이 적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6타입을 비롯하여 그 밖의 타입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효과가 본질적으로는 생길 수 있다.
그런데, 리플렉터의 반사면에 필라멘트의 다리부의 그림자가 비치는 듯한 경우가 있으면, 본래 필라멘트로부터의 발광이 반사면에 입사하고, 원하는 반사를 하여 배광에 기여해야 하는데, 상기 발광의 일부가 다리부에 의해 반사되어 반사면에 입사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서 유효광량이 손실된다. 또, 배광이 어지러운 원인이 되기도 쉽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리부의 그림자는 주로 대향하고 있는 접합부에 입사한다. 접합부는 원래 소망의 반사에 기여할 수 없기 때문에, 유효광량의 손실은 거의 생기지 않는다. 또 배광이 어지러운 듯한 일은 없다.
청구항 3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은 청구항 1의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전구의 다리부에는 서포트선이 첨가 설치되며, 또 서포트선 및 다리부를 고정하는 서브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서브코일을 배치할 때에는 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감는 것은 빽빽하게 하거나 또는 성기게 하여도 좋다. 또 감는 것은 다리부 길이의 50%이상(최대 95%정도)에 걸쳐 있으면 좋다. 또 서브코일 및 서포트선의 기단부는 벌브의 예를 들면 핀치시일부 속에 매설되어 있다면 고정도 확실하고, 선단이 예를 들면 시일용 금속박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청구항 4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은 청구항 1의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리플렉터의 꼭대기부 측 표면에는 방열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열수단은 다이크로익(dichroic)막 등의 금속산화물의 다층 또는 Al, Ag, Au, Cu 등의 금속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막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형상이라면, 리플렉터에 피복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소량으로 간단하게 방열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방열수단은 리플렉터의 꼭대기부 측에 있어서 전구에 대향하는 측의 내면, 외면의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청구항 5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은 청구항 1의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리플렉터의 꼭대기부에는 열흡수성의 접착제에 의해 전구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는 어두운 색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두운 색은 회색이나 흑색 등의 열흡수작용을 갖는 색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매설형 표지등; 매설형 표지등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단부(段部) 및 매설형 표지등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노면에 매설되는 기초대; 및 매설형 표지등을 기초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초대를 통해서 매설형 표지등을 매설하기 때문에 램프의 교환 등의 관리는 표지등의 전체 또는 일부, 예를 들면 상부 등체를 현장에서 떼어내 새롭게 준비한 표지등 전체 또는 일부로 교환하고, 떼어낸 표지등은 현장에서 공장에 가져가 필요한 처리를 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는 등체의 주변부에 설치된 복수의 설치구멍을 가지며, 또 직선노면용 또는 곡선노면용 중 어느 한쪽의 한쌍의 광도출 홈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매설형 표지등; 매설형 표지등의 주변부를 지지하며, 또 직선노면용 및 곡선노면용 중 어떤 매설형 표지등 설치구멍에도 대응하는 공통 설치구멍을 갖는 단부 및 매설형 표지등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노면에 매설되는 기초대; 및 설치구멍에 의해 직선노면용 및 곡선노면용 중 어떤 매설형 표지등이라도 기초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대에는 직선노면용 및 곡면노면용 중 어떤 매설형 표지등이라도 설치된다. 기초대의 설치구멍의 위치는 직선노면용 및 곡면노면용의 매설형 표지등 양쪽과 동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구멍의 수는 한쌍의 광도출 홈을 설치하면서 높은 기계적 강도 및 기밀성(氣密性)을 얻기 위해서 4개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매설형 표지등장치는 매설형 표지등(A) 및 기초대(B)로 이루어진다.
매설형 표지등(A)에 대해서 "1"은 등체, "2"는 프리즘, "3"은 표지등용 램프, "4"는 색필터이다.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시공 시에 노면을 보링하여 미리 기초대를 매설해둔다. 그리고, 전기배선은 기초대를 통해서 땅 속에서 꺼내올려 두고, 또한 매설형 표지등 등체(1)는 직선노면용이며, 상부 등체(1a) 및 상부 등체(1a)의 하면에 O링(5)을 통해서 기밀하게 복합(覆合)하는 하부 등체(1b)로 이루어지고, 양자 사이에 내부 공간(1c)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등체(1a)의 윗면에는 경사 위쪽을 향하는 한쌍의 광도출 홈(1d)을 서로 반대방향을 향해서, 또한 서로 어긋하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등체(1a)의 윗면 중심영역은 평탄부(1e)이고, 그 주위는 경사면(1f)으로 되어 있다. 광도출 홈(1d)은 윗면의 평탄부(1e) 및 경사면(1f)에 걸쳐 개구하고 있다. "1g"는 4개의 설치구멍이고, 주변부에 형성된 상부 등체(1a)를 하부 등체(1b) 및 기초대(B)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프리즘(2)은 광도출 홈(1d)과 내부 공간(1c)의 접속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표지등용 램프(3)는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하겠지만, 리플렉터(3a)와 리플렉터(3a)의 내부에 수납된 전구(3b)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등체 상부(1a)에 장착되어 내부 공간(1c)에 각 프리즘(2, 2)에 대향하여 한쌍이 배치되어 있다.
색필터(4)는 프리즘(2)의 입광부 앞에 배치되어 있다. 매설형 표지등의 설치 장소마다 투사하는 색광이 정해져 있다.
다음에 표지등용 램프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표지등용 램프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한 리플렉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한 횡단면도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도 2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표지등용 램프(3)의 리플렉터(3a)는 그 중심축 Ⅹ-Ⅹ’를 경계로 하는 상반부 반사면(3a1) 및 하반부 반사면(3a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반부 반사면(3a1)은 복수의 패싯(3a5)으로 이루어진다. 각 패싯(3a5)은 회전방물면에 근사한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자유곡면은 전구(3b)로부터 방사되고, 상반부 반사면(3a1)에 입사한 광이 후술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 Ⅹ-Ⅹ’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하반부 반사면(3a2)은 동일하게 복수의 패싯(3a5)으로 이루어진다. 각 패싯(3a5)은 동일하게 회전방물면에 근사한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자유곡면은 전구(3b)로부터 방사되어, 하반부 반사면(3a2)에 입사한 광이 중심축 Ⅹ-Ⅹ’에 대해서 경사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리플렉터(3a)는 그 개구단측의 상부 및 하부가 절단되어 절단부(3a3, 3a4)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면에서 보면 상하가 평행한 가로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리플렉터(3a)를 가로방향에서 보면 그 개구단이 기울어져 있지만, 이것은 상반부 반사면(3a1)의 개구단을 하반부 반사면(3a2)의 개구단보다 꼭대기부 측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이고, 또한 하반부 반사면의 개구단을 그것에 맞춰 기울여 후퇴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구(3b)는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벌브(3b1)와 벌브(3b1)의 내부에 밀봉 장착된 필라멘트(3b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전구(3b)는 필라멘트(3b2)가 리플렉터(3a)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필라멘트(3b2)의 중심부가 회전방물면의 거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더욱 상술하면, 벌브(3b1)는 기단(基端)을 핀치시일하고, 선단(先端)을 칩 오프한 구조이다. 핀치시일부(3b11)에는 한쌍의 금속박(3b3)을 서로 이간하여 매설하고, 금속박(3b3)에서 벌브(3b1) 속으로는 한쌍의 다리부(3b4, 3b4’)가 연장하고 있다. 또, 금속박(3b3)에서 벌브(3b1) 밖으로는 한쌍의 캡핀(3b5)이 돌출하고 있다. 다리부(3b4, 3b4’)는 필라멘트(3b2)의 양단에서 연장하고 있어 필라멘트(3b2)에 통전하며, 또 필라멘트(3b2)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필라멘트(3b2)는 C-8타입, 즉 벌브(3b1)의 축에 축을 거의 일치시켜 배치한 코일을 형성하고 있다.
코일은 2중 코일이나 1중코일이 많이 이용된다. 따라서, 필라멘트(3b2)의 벌브(3b1)의 선단측의 다리부(3b4)는 필라멘트(3b2)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다리부(3b4)를 리플렉터(3a)의 회전방물면의 상부를 제거한 부분(3a3)에 대향시키고 있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다리부(3b4)를 상반부 반사면(3a1) 및 하반부 반사면(3a2)의 접합부에 대향시켜 배치하여도 좋다.
전구(3b)는 벌브(3b1)의 내부에 요오드, 브롬 등의 할로겐을 적정량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할로겐 전구로 구성되어 있다.
"3c"은 캡 접합제로, 내열성의 접착제재료, 예를 들면, 산화알루미늄(A1203) 등의 무기질재료에 열흡수가 좋은, 예를 들면 탄소를 함유시킨 것으로, 회색 내지는 흑색을 이루고 있다. 캡 접합제(3c)는 리플렉터(3a)의 네크부(3a6) 속에 있어서 전구(3b)의 기단에 형성된 핀치시일부(3b11)를 네크부(3a2)에 고착함으로써, 전구(3b)를 한쪽에서 지지하고 리플렉터(3a)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캡 접합제(3c)는 흑색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열(적외선)을 잘 흡수시켜, 이 접합제(6c)의 열을 리플렉터나 캡으로 더욱 잘 전달한다. 따라서 핀치시일부(3b11)의 온도 상승이 저하되기 때문에, 핀치시일부(3b11)의 파손이 생기는 일이 없고, 표지등의 전구 교환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3d1"은 핀치시일부(3b11)의 표면에 피복 형성된 다이크로익막 등의 가시광 반사 적외선 투과막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적외선)피막으로, 예를 들면 벌브(3b1)의 유리면에 고굴절율 피막을 만드는 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이산화 티탄(TiO2)과 저굴절율 피막을 만드는 금속산화물, 예를 들면 이산화 규소(SiO2)를 교대로 반복하여 소정층 적층한 다층 광간섭막으로 이루어진다. 또, 리플렉터(3a)는 석영유리, 경질유리, 내열성 합성수지나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에서는석영유리로 형성되고 있고, 리플렉터(3a)의 반사면(3a1, 3a2) 및 통형상부의 표리면에는 핀치시일부(3b11)와 동일한 방열피막(3d2, 3d3)이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표지등용 램프(3)는 캡핀(3b5, 3b5)을 통해서 통전하면 금속박(3b3), 다리부(3b4)를 거쳐 전류가 흐르고, 필라멘트(3b2)가 가열되어 발광한다. 한편, 벌브(3b1)는 내부에서 할로겐을 함유하는 비활성 가스의 대류에 의해 승온한다. 그리고 벌브(3b1)단부의 핀치시일부(3b11)는 리플렉터(3a)의 통형상부 내에 있어서 캡 접합제(3C) 중에 매설되어 있지만, 복사, 전도나 통전에 의해 핀치시일부(3b11)에 이른 열은 핀치시일부(3b11)의 표면에 형성된 발열피막(3d1)을 통해서 캡 접합제(3c6)로 전해져간다. 그리고 이 캡 접합제(3c)는 흑색화되어 있기 때문에 핀치시일부(3b11)의 열(적외선)을 잘 흡수한다. 또, 이 캡 접합제(3C)의 열(적외선)은 통형상부에 전해지지만, 이 통형상부의 표리면에 형성된 방열피막(3d1, 3d2)을 통해서 통형상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핀치시일부(3b11)의 온도 상승이 저감하여 금속박(3b3)의 산화 발생이 없거나 지연되어, 핀치시일부(3b11)는 파손이 생기지 않게 된다.
도 8은 동일한 표지등용 램프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7과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필라멘트(3b2)의 다리부(3b4, 3b4’)가 상반부 반사면(3a1) 및 하반부 반사면(3a2)에 비치지 않도록 구성한 점에서 다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리부(3b4, 3b4’)를 패싯(3a5)의 접합부에 대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 상술하면, 이하와 같다. 상반부 반사면(3a1) 및 하반부 반사면(3a2)에 각각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합부(3a6)를 배치함으로써,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패싯(3a5)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반부 반사면(3a1)과 하반부 반사면(3a2) 사이에도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합부(3a7)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b4, 3b4’)는 접합부(3a6)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다리부(3b4, 3b4’)의 그림자는 주로 접합부(3a6)에 입사하고, 반사면을 구성하는 곡면부 각(角)에는 실질적으로는 입사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리부(3b4, 3b4’)를 접합부(3a7)에 대향시켜도 좋다.
이렇게 다리부(3b4, 3b4’)를 접합부(3a6, 3a7)의 어느 곳에 정면 대향시켜도 좋기 때문에 조립의 자유도가 커진다.
도 9는 동일한 표지등용 램프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8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도 8과 비교하여 상반부 반사면(3a1) 및 하반부 반사면(3a2)에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접합부(3a8)를 또한 추가하여 배치하고, 패싯(3a5)의 수를 배로 한 것이다. 또한 다리부(3b4, 3b4’)는 접합부(3a8)에 대향시켜도 좋다.
도 10은 동일한 표지등용 램프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8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다리부(3b4, 3b4’)를 정면 대향시키는 접합부(3b6’)에 약간의폭을 부여한 점에서 다르다.
즉, 접합부(3b6’)는 인접하는 패싯(3a5) 사이에 있어서 확산반사면 또는 차광면을 형성하고 있다. 필라멘트(3b2)의 다리부(3b4, 3b4’)는 접합부(3a6’)의 어느 부분에 대향하고 있다면, 다리부(3b4, 3b4’)의 그림자가 비침에 따른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단, 접합부(3b6’)의 폭이 커짐에 따라서 리플렉터(3b)의 효율이 저하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좁은 쪽이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학작용을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구(3b)에서 상반부 반사면(3a1)을 향해서 방사된 광선(R1)은 리플렉터(3a)의 중심축 Ⅹ-Ⅹ’에 거의 평행하게 반사되고, 색필터(4) 및 프리즘(2)에 직각으로 입광한다. 이 광선(R1)은 프리즘(2)에서 굴절되어 거의 수평방향으로 투사된다.
한편, 전구(3b)에서 하반부 반사면(3a2)을 향해서 방사된 광선(R2)은 리플렉터(3a)의 중심축 Ⅹ-Ⅹ’을 가로질러 위쪽으로 반사되고, 색필터(4) 및 프리즘(2)에 대해서 얼마간 비스듬히 입사한다. 이 광선(R2)은 프리즘(2)에서 굴절되어 수평선에 대해서 약간 위쪽으로 투사된다.
이상과 같이 전구(3b)에서 방사된 광은 상반부 반사면(3a1)과 하반부 반사면(3a2)에서의 반사에 의해 2분되고, 각각 프리즘(2)을 경유하여 각도적으로는약간이지만, 다른 방향으로 투사됨으로써 요구되는 배광특성을 만족한다.
도 12는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배광특성의 규격의 일례를 나타내는 배광특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가로축은 수평각(도)을, 세로축은 연직각(도)을 각각 나타낸다. 직선(m)은 주광기둥직선을, 직선(s)은 10% 광기둥직선을 각각 나타낸다.
본 규격은 주광기둥직선(m)에 의해 포위된 각도 범위(수평각 ±100, 연직각 1∼8°) 내의 최저평균광도가 200Cd, 최저광도가 100Cd인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10% 광기둥직선(s)에 의해 포위된 각도범위(수평각 ±160, 연직각 0∼13°) 내의 최저광도가 20Cd인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한 배광특성의 규격의 일례를 용이하게 만족할 수 있다.
기초대(B)에 대해서 다시 도 11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11"은 내부둘레 단부(段部), "12"는 기립벽, "13"은 중앙 오목부, "14"는 설치구멍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기초대(B)의 측면에는 전원케이블 도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둘레 단부(11)는 매설형 표지등(A)을 그 등체(1)의 바닥면에서 약간 띄워 설치하기 위해서 등체(1)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기립벽(12)은 매설형 표지등(A)의 측면을 포위하여 보호한다. 그리고, 기초대(B)는 기립벽(12)의 상단까지 노면(G)에 매설된다.
중앙 오목부(13)는 등체(1)를 그 중앙부를 O링(15)을 통해서 기밀하게 수납하며, 또 표지등(A)에 대한 도시하지 않은 필요 전기배선을 실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부 등체의 평면도이다.
하부 등체(1b)는 도 1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외부둘레에 플랜지부(1b1)를 구비한 접시형상을 이루고 있고, 플랜지부(1b1)에 형성한 투과구멍(1b2)은 하부 등체(1b)를 상부 등체(1a)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또 투과구멍(1b3)은 상부 등체(1a)를 하부 등체 및 기초대(B)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 등체(1b)와 기초대(B) 사이는 O링(15)에 의해 기밀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초대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7"은 하부 등체(1b)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멍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하부 등체(1b)와 기초대(B)를 상기 설치구멍(17)을 통해서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매설형 표지등장치에 사용되는 곡선노면용 등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곡선부용 등체는 활주로 또는 유도로의 굽은 각인 곡선부에 설치시키는 것이고, 평면상에서 180°의 각도보다도 좁은 약 150°의 각도를 이루어 한쌍의 광도출 홈(1d)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부에 형성된 상부 등체(1a), 하부 등체(1b) 및 기초대(B)에 설치하기 위한 4개의 설치구멍(1g)은 직선노면용 등체의 배치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직선노면용 등체와 동일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직선노면용 또는 곡선노면용 등체에 의해 기초대에 대해서 설치하는 설치구멍이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각에 맞는 기초대를 제조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등체에 대해서도 다른 설치구멍을 전용으로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었기 때문에, 그 만큼 등체 및 기초대의 비용이 증가하거나, 노면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등체와 부합하는 전용 기초대를 고려하여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어, 시공에 어려움이 있을 우려가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기초대(B)에 대하여 설치하는 설치구멍(1g)은 직선노면용 및 곡선노면용 모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대(B)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만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노면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등체와 부합하는 전용 기초대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는 상기 전구(3b)에 대신해서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치환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도 16 내지 도 21에서 설명하는 전구(L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전구의 제 2 실시예(일단(一端) 봉지형 할로겐 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도 16 중의 화살표 a-a선에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가운데 "21"은 석영유리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의 벌브, "22"는 벌브(21)의 일단부(一端部)에 형성한 핀치시일부, "23"은 핀치시일부(22) 속에 밀봉 부착된 시일부재로 몰리브덴(Mo)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 "24"는 벌브(21)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형상의 필라멘트이다. 이 코일형상 필라멘트(24)는 텅스텐(W)선을 긴 원형상이나 원형상으로 감아서형성한 발광원을 이루는 코일형상부(25)와, 이 코일형상부(25)의 양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접어 구부려 연장한 다리부(26, 26)로 이루어진다.
또, 이 다리부(26, 26)에는 각각 텅스텐(W)이나 몰리브덴(Mo) 등의 고융점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서포트선(27, 27)이 첨가 설치되고, 이 다리부(26), 서포트선(27, 27)의 3자는 텅스텐선이나 몰리브덴(Mo) 등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거의 빽빽한 피치로 감은 서브코일(28)로 고정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또 서포트선(27) 양단부의 서브코일(28)이 감겨 있지 않은 돌출 부분은 다리부(26)와 병행하지 않게 접어 구부린 굴곡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서브코일(28)이 감긴 다리부(26)가 내부 도선으로서의 작용을 이루고, 그 선단은 벌브(21) 단부(端部)의 핀치시일부(22) 내에 기밀하게 밀봉 부착된 금속박(23, 23)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양쪽 금속박(23, 23)의 타단측에는 캡핀(30, 3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면 가운데 "31"은 벌브(21)의 타단부에 설치된 배기관이다.
또 벌브(21)의 내부에는 할로겐(CH2Br2…400ppm)을 포함하는 비활성가스(Ar 90용량%, 나머지는 N)가 약 3기압 봉입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벌브(21)의 핀치시일부(22)에는 내열성 접착제를 통해서 위치조절 고리가 부착된 BA15d형 등의 캡이 접합되어 할로겐 전구가 완성된다.
이 할로겐 전구(L1)는 예를 들면 정격이 6.6A100W이고, 상기 코일형상 필라멘트(24)의 구성(코일데이터)은 선직경이 약 0.22mm(MG 약 150)의 텅스텐선을 긴 직경×짧은 직경이 약 3.1mm×약 1.3mm의 편평형상(작은 판형의 긴 원형상)으로, %피치를 약 180%로 감은 길이가 약 4,8mm의 발광부를 갖는 단(單)코일형상부(25)와 길이가 약 13mm인 다리부(26, 26)로 이루어진다.
또, 이 다리부(26, 26)에는 각각 선 직경이 약 0.22mm(MG 약 150), 길이 약 9mm의 텅스텐선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서포트선(27, 27)이 첨가 설치되고, 이 다리부(26), 서포트선(27, 27)의 3자는 선 직경이 약 0.14mm(MG 약 60)의 텅스텐선을 거의 빽빽한 피치로 약 7mm의 길이에 걸쳐서 감은 서브코일(28)로 일체화하여 고정되어 있다. 서포트선(27) 양단의 굴곡부(29)의 길이는 약 1mm이다.
상기 구성의 전구(L1)의 캡(도시하지 않음)을 소켓(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여 통전하면, 외부 도선(31, 31), 금속박(23, 23), 다리부(26, 26)를 통해서 전류가 흘러 필라멘트(24)의 코일형상부(25)가 발광하여 점등한다.
그리고, 이 전구(L1)는 점등, 불점등시에 관계없이 진동이나 충격을 받아도 다리부(26, 26)에는 각각 2개의 서포트선(27, 27)을 첨가 설치하여 서브코일(28)이 감겨져 일체화하여 보강하고 있기 때문에, 높은 내진성과 내충격성을 갖는다. 또, 이 전구(L1)는 직경이 좁은 다리부(26)의 기단측에 서포트선(27, 27)이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용량 및 열용량이 증가하고, 다리부(26)의 저항을 줄여 다리부(26) 및 핀치시일부(22)의 온도를 내릴 수 있고, 핀치시일부(22)에 일어나는 열적 왜곡이나 캡핀(30)을 통해서 진행해 오는 금속박(23)의 산화를 저감하여 핀치시일부(22)의 파괴나 리크를 방지하는 등,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작용하여전구(L1)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이 다리부(26)와 2개의 서포트선(27, 27)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닿은 대략 삼각형의 관계로 위치 어긋남도 없이 확실하게 서로 지탱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서브코일(28)의 감음이 종래와 같이 직경이 작은 단선에 비해 예를 들면 3개를 합쳤기 때문에 감음 직경이 커져 감기 쉬워지며, 또 큰 선직경의 서브 코일(28)을 확실하게 감을 수 있다. 또 대략 삼각형이기 때문에 서브코일(28)을 감을 때의 감는 힘도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으며, 또 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서포트선(27) 양단의 굴곡부(29)는 벌브(21)와의 봉지(封止)전 및 봉지후(도 16에 있어서 아랫쪽은 핀치시일부(22) 중에 매몰)에 서포트선(27)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보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서브코일(28)의 선 직경은 필라멘트(24) 다리부(26)의 선직경의 0.5∼1.2배가 바람직하다. 서브코일(28)의 선 직경이 필라멘트(24) 다리부(25)의 선 직경의 0.5배 미만이라면, 서브코일(28)에 의한 다리부(26)를 보강하는 힘이 약해 단선이 발생한다. 또 다리부(26)의 선 직경의 1.2배를 넘으면, 대략 삼각형을 구성할 수 없게 되어 서포트선(27, 27)이나 다리부(26)가 서브코일(28)에서 빠지기 쉬울 정도로 큰 직경이 되어 감는 작업에 수고를 요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할로겐 전구(L1))와 종래의 할로겐 전구(본 실시예의 할로겐 전구(l1)와의 구성의 차이는 서포트선(27, 27)을 갖고 있지 않는 것임)의 충격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험은 양자의 할로겐 전구를 소켓에 장착하여 수평방향의 충격(피크값)을 부여한 때의 필라멘트 다리부의 단선발생을 조사하였다.
도 18에 있어서 가로축은 수평방향의 충격(G)값(피크값), 세로축은 다리부의 단선발생율(%), O표시는 본 발명에 따른 할로겐 전구(L1), ×표시는 종래 할로겐 전구이다. 도 1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할로겐 전구(L1)는 내충격 성능이 향상하고 있다.
또 표 1은 본 발명의 다리부(26, 26)에 서포트선(27, 27)을 첨가 설치한 할로겐 전구(L1)와 종래 서브코일만을 감은 할로겐 전구와의 여러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할로겐 전구(L1)는 종래 구조의 할로겐 전구에 비해 소비전력(W)이 약 4%감소하고, 효율(Lm/W)이 약 4% 높은 점에서 여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명에 대해서는 변하지 않았다.
램프전류(A) | 소비전력(W) | 전체광속(Lm) | 효율(Lm/W) | |
본발명품 | 6.6 | 100.8 | 2340 | 23.3 |
종래품 | 6.6 | 104.8 | 2360 | 22.5 |
또, 필라멘트(24)의 다리부(26)에 첨가 설치하는 서포트선(27)의 개수는 2개로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개라도 좋고, 복수개의 경우는 그 횡단면이 상기의 대략 삼각형상이나 대략 오각형상 등이 되도록 개수나 외부직경을 선택하면 좋다. 따라서, 서브코일(28)이 없는 전구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다리부(26)에 서브코일을 감은 종래 전구와 비교하여도 높은 내진성과 내충격성 및 핀치시일부(22)의 온도저하를 이루는 할로겐 전구(L1)가 얻어진다.
또,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매설형 표지등 및 매설형 표지등장치의 전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9의 (a)는 주요부의 확대정면도, 도 19의 (b)는 도 19의 (a)의 화살표 b-b선에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평면도, 도 20의 (a)는 주요부의 확대정면도,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화살표 c-c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 도 21의 (a)는 주요부의 확대정면도, 도 21의 (b)는 도 21의 (a) 중 화살표 d-d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도 16 및 도 1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도 19 내지 도 21은 필라멘트(24)의 다리부(26)와 서포트선(27)을 서브코일(28)로 감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9는 상기 1개의 서포트선(27)을 이용한 것으로, 다리부(26)에 1개의 서포트선(27)을 첨가 설치하여 서브코일(28)이 감겨져 있다. 그 횡단면은 서브코일(28)을 긴 원형으로 하고, 서브코일(28)이 다리부(26)와 서포트선(27)을 단단히 조여 양자의 위치 어긋남도 없이 확실하게 서로 지탱하기 때문에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20의 것은 서브코일(28)로부터 돌출한 서포트선(27, 27)은 완만하지 않게 완전히(약 180도) 접어 꺾은 굴곡부(29, 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서브코일(28)의 감김이 느슨해도 서브코일(28)로부터 서포트선(27, 27)이 빠져 나오는 일이 없다.
또, 도 21의 것은 서브코일(28)의 최종단 턴부를 변형시키고, 원형을 바깥쪽으로부터 압궤하여 예를 들면 삼각형상으로 하여, 다리부(26)와 서포트선(27, 27)을 코킹(caulking)한 것이다. 이 경우 서브코일(28)이 다리부(26)와 서포트선(27,27)을 강하게 눌려 붙인 단단히 조인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코킹 부분(32)은 서브코일(28)의 최종단 턴부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턴부분이라도 좋고, 또 1턴 이상이라도 좋고, 코킹 부분(32)의 형상은 삼각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도 19 내지 도 21의 경우는 모두 다리부(26), 서포트선(27) 및 서브코일(28)이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서포트선(27, 27)이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보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할로겐 전구는 벌브의 양단에 한쌍의 핀치시일부를 구비한 양쪽 봉지형(封止形)이라도 좋다. 그 구조의 경우, 벌브 속의 필라멘트는 코일형상부 및 다리부를 포함하는 직선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핀치시일부의 캡은 내부에 금속단자를 구비한 통형상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R7s형으로, 내열성의 접착제를 통해서 핀치시일부의 단면(端面)에 접합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다리부에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의 서브코일이 감겨져 있어도 좋다. 이 할로겐 전구의 경우도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전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구의 종류로서는 할로겐 전구에 한정되지 않고, 할로겐을 봉입하지 않고 비활성가스만을 봉입한 적외선 전구 등이어도 좋다. 또 전구의 벌브 단부(端部)에 형성되는 시일부는 핀치시일로 한정되지 않고, 벌브를 수축하여 형성한 시일부라도 좋고, 또 시일부재는 몰리브덴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박으로 한정되지 않고, 텅스텐박 또는 몰리브덴 텅스텐 등의 선형상의 부재를 이용한 것이라도 좋다. 또 벌브의 유리재질은 석영유리로 한정하지 않으며, 원하는 투광성, 광굴절율 및 내열성을 모두 갖는 것이라면, 다른 경질의 유리재질이라도 좋다. 또 필라멘트의 다리부 및 서포트선을, 미리 감겨져 있는 서브코일에 삽입하여 일체화 고정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의 전구에 의하면, 필라멘트의 다리부에 서포트선을 첨가 설치하고 보강하여, 내진성이나 내충격성을 높이며, 또 핀치시일부의 파괴나 리크의 발생이 적은 품질 및 여러 특성이 향상된 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리부와 서포트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 서브코일을 감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리플렉터의 개구단 측의 상하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상하방향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또 넓은 각의 배광을 얻을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기구 효율을 향상시켜 최소 소비전력의 전구를 이용하여, 매설형 표지등에 있어서 원하는 배광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인접하는 서로 다른 곡면부분 사이에 있어서 꼭대기부 측에서 개구단 측으로 연장하는 접합부에 전구의 필라멘트의 다리부를 대향시키고 있음으로써, 다리부의 그림자가 반사면의 곡면에 입사하지 않기 때문에 유효광량의 손실이 적은 매설형 표지등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필라멘트의 다리부에 서포트선을 첨가 설치하고 보강하여, 내진성이나 내충격성을 높이며, 또 핀치시일부의 파괴나 리크의 발생이 적은 품질 및 여러 특성이 향상된 매설형 표지등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전구의 시일부의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에 전구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매설형 표지등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기초대를 미리 노면에 매설해 둘 수 있으며, 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효과를 갖는 매설형 표지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의 효과에 더하여 기초대가 직선로용 및 곡선로용의 2종류 매설형 표지등용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조, 시공, 부품의 재고관리를 포함한 종합적인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노면에 시공할 때에는 등체와 부합하는 전용 기초대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한다.
Claims (7)
- 윗면에 배치되어 경사 위쪽을 향하는 광도출 홈 및 광도출 홈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등체(燈體);등체의 광도출 홈 및 내부 공간 사이에 기밀하게 배치된 광로 규제용 프리즘; 및벌브, 벌브 속에 밀봉 장착된 필라멘트 및 필라멘트에 접속된 다리부를 갖는 전구, 및 이 전구에 광학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개구단이 프리즘에 대향하며, 또 개구단 측의 상하부분이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리플렉터를 갖는 표지등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구의 다리부는, 다른 형상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서로 다른 곡면부분 사이에 형성되어 꼭대기부 측에서 개구단 측으로 연장하는 접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리플렉터의 접합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구의 다리부에는 서포트선이 첨가 설치되며, 또 서포트선 및 다리부를 고정하는 서브코일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리플렉터의 꼭대기부측 표면에는 방열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리플렉터의 꼭대기부에는 열흡수성의 접착제에 의해 전구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
- 윗면에 배치되어 경사 위쪽을 향하는 광도출 홈 및 광도출 홈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등체, 이 등체의 광도출 홈 및 내부 공간 사이에 기밀하게 배치된 광로 규제용 프리즘, 및 벌브, 이 벌브 속에 밀봉 장착된 필라멘트 및 이 필라멘트에 접속된 다리부를 갖는 전구 및 이 전구에 광학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그 개구단이 프리즘에 대향하며, 또 그 개구단측의 상하 부분이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리플렉터를 갖는 표지등용 램프로 이루어지는 매설형 표지등;상기 매설형 표지등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단부(段部) 및 매설형 표지등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노면에 매설되는 기초대; 및상기 매설형 표지등을 기초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장치.
- 윗면에 배치되어 경사 위쪽을 향하는 광도출 홈 및 광도출 홈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등체, 이 등체의 광도출 홈 및 내부 공간 사이에 기밀하게 배치된 광로 규제용 프리즘, 및 벌브, 이 벌브 속에 밀봉 장착된 필라멘트 및 이 필라멘트에 접속된 다리부를 갖는 전구 및 이 전구에 광학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그 개구단이 프리즘에 대향하며, 또 그 개구단 측의 상하 부분이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리플렉터를 갖고, 상기 등체와 그 주변부에 복수의 설치구멍을 가지며, 또 직선 노면용 또는 곡선 노면용 중 어느 한쪽에 이용하는 한쌍의 광도출 홈을 구비하는 표지등용 램프로 이루어지는 매설형 표지등;상기 매설형 표지등의 주변부를 지지하며, 또 직선 노면용 및 곡선 노면용 중 어떤 매설형 표지등 설치구멍에도 대응하는 공통 설치구멍을 갖는 단부(段部) 및 매설형 표지등을 수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노면에 매설되는 기초대; 및설치구멍에 의해 직선 노면용 및 곡선 노면용 중 어떤 매설형 표지등이라도 그 매설형 표지등을 상기 기초대에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표지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265870 | 1997-09-30 | ||
JP9265870A JPH11111037A (ja) | 1997-09-30 | 1997-09-30 | 電球および照明装置 |
JP9-285242 | 1997-10-17 | ||
JP28524297 | 1997-10-17 | ||
JP9-300955 | 1997-10-31 | ||
JP30095597 | 1997-10-31 | ||
JP36087097A JPH11185712A (ja) | 1997-10-17 | 1997-12-26 | 電球および標識灯 |
JP9-360870 | 1997-12-26 | ||
JP514898A JP3931414B2 (ja) | 1997-10-31 | 1998-01-13 | 埋込型標識灯および埋込型標識灯装置 |
JP10-005148 | 1998-01-13 | ||
JP10151831A JPH11343611A (ja) | 1998-06-02 | 1998-06-02 | 埋込形標識灯および埋込形標識灯装置 |
JP10-151831 | 1998-06-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0342A KR19990030342A (ko) | 1999-04-26 |
KR100316454B1 true KR100316454B1 (ko) | 2002-01-16 |
Family
ID=2754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1933A KR100316454B1 (ko) | 1997-09-30 | 1998-09-30 | 매설형표지등및매설형표지등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316454B1 (ko) |
CN (1) | CN1103012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305735C (zh) * | 2001-09-26 | 2007-03-21 | 东芝照明技术株式会社 | 埋入型标志灯安装装置及埋入型标志灯装置 |
CN104233973A (zh) * | 2014-09-18 | 2014-12-24 |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发光型人行横道线 |
CN104233974A (zh) * | 2014-09-25 | 2014-12-24 |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人行横道线 |
CN111009145A (zh) * | 2019-11-14 | 2020-04-14 | 耿世超 | 一种城市智慧交通用地埋式信号灯 |
CN115334843A (zh) * | 2022-08-29 | 2022-11-11 | 北京普世吉科技有限公司 | 一种无线信标定位装置安装结构 |
CN116085699B (zh) * | 2022-12-01 | 2024-10-18 | 江苏星华机场设施有限公司 | 一种机场道路范围警示灯 |
-
1998
- 1998-09-29 CN CN98120884A patent/CN110301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9-30 KR KR1019980041933A patent/KR1003164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13056A (zh) | 1999-04-07 |
CN1103012C (zh) | 2003-03-12 |
KR19990030342A (ko) | 1999-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35569B1 (en) | Fluorescent lamp | |
JP2010500716A (ja) | 凹所に取り付けられる照明具 | |
KR101036970B1 (ko) | 금속증기 방전램프 및 조명장치 | |
US3622832A (en) | Interchangeable tungsten halogen lamp | |
JPS62252062A (ja) | 集束損失を減少させた改良された反射器形式のランプ | |
JPH0367456A (ja) | 白熱ランプ用のフィラメント心合わせ支持体 | |
US7468576B2 (en) | Multi-segment filament high output halogen lamp | |
KR100316454B1 (ko) | 매설형표지등및매설형표지등장치 | |
KR100392386B1 (ko) | 고압 방전램프, 고압 방전램프 장치 및 조명 장치 | |
JP3532011B2 (ja) | 電球、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 | |
JP4197035B2 (ja) | 管球、反射鏡付き管球および照明装置 | |
KR20020084089A (ko) | 형광 램프를 사용한 조명 장치 | |
CA2083013A1 (en) | Electric reflector lamp | |
JPS62246246A (ja) | コンパクトな白熱二重コイルフイラメント | |
US6225731B1 (en) | Glass halogen lamp with internal ellipsoidal shroud | |
US20080232112A1 (en) | Lighting Unit | |
HU205491B (en) | Light source provided with reflector | |
NL8301784A (nl) | Elektrische lamp. | |
JP4204620B2 (ja) | 管球、反射鏡付き管球、および照明装置 | |
JP3931414B2 (ja) | 埋込型標識灯および埋込型標識灯装置 | |
JP3829956B2 (ja) | 埋込型標識灯装置 | |
JP2004523070A (ja) | 電気ランプ | |
EP0543448A1 (en) | Electric reflector lamp | |
JPH11162406A (ja) | 高圧放電ランプおよび投光装置ならびにプロジェクタ装置 | |
US20020067109A1 (en) | Garage la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