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285B1 -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285B1
KR100316285B1 KR1019990059052A KR19990059052A KR100316285B1 KR 100316285 B1 KR100316285 B1 KR 100316285B1 KR 1019990059052 A KR1019990059052 A KR 1019990059052A KR 19990059052 A KR19990059052 A KR 19990059052A KR 100316285 B1 KR100316285 B1 KR 10031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urrent
value
subsecto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762A (ko
Inventor
장승혁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285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04M3/365Load metering of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0Applications of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처리 가입자가 증가하더라도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부하 증가 없이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송출 명령에 따라 해당 명령어를 분석하여 송출할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와; 가입자에게 송출할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로부터 가져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할 메시지의 어드레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 제공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는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와; 상기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서브하이웨이의 소정 타임 슬롯에 실어 가입자 측으로 송출하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apparatus for voice message outgoing and method for voice message address controlling in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처리 가입자가 증가하더라도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부하 증가 없이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음성 메시지를 서비스하기 위한 음성 서비스 방식으로는 해당 교환기의 기본적인 호 설정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해 주는 고정형 녹음 안내 방식과 변경 번호 안내, 부재중 안내, 시간 안내 등을 서비스 해주는 편집형 녹음 안내 방식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1)와,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와, 인터럽트 발생부(미도시)와, 음성 데이터 저장부(5)와, 서브하이웨이(Sub-Highway;SHW) 인터페이스부(7)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서(1)는 상위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음성 메시지의 송출 명령이 내려오면, 상위 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송출 음성 메시지 및 서브하이웨이(SHW)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를 제어하여 음성 데이터 저장부(5)에서 음성 데이터를 가져와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해당 가입자 서브하이웨이(SHW)의 타임슬롯(Time Slot;TS)에 지정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상위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 하에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와, 음성 데이터 저장부(5)와,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7)를 제어한다.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는 상위 어드레스 저장부(3-1)와 순환 카운터(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프로세서(1)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저장부(5)에서 음성 데이터를 가져와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해당 가입자 서브하이웨이(SHW)의 타임슬롯(TS)에 지정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한다.
여기서, 상위 어드레스 저장부(3-1)에는 프로세서(1)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음성 데이터의 상위 어드레스가 저장되고, 순환 카운터(3-2)는 프로세서(1)로부터 제공받은 상위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카운터 값을 변화시켜 음성 데이터 저장부(5)에 음성 데이터의 하위 어드레스로 인가한다.
인터럽트 발생부(미도시)는 순환 카운터의 값이 최대 값에 이르면 프로세서(1)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음성 데이터의 상위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게 한다.
음성 데이터 저장부(5)는 가입자에게 음성 안내 방송으로 제공할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의 순환 카운터(3-2)로부터 인가 받은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에 제공한다.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7)는 프로세서(1)의 제어 하에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서브하이웨이(SHW)의 소정 타임슬롯(TS)에 실어 가입자 측으로 송출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위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음성 메시지의 송출 명령이 내려오면,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내의 프로세서(1)는 상위 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송출 음성 메시지 및 서브하이웨이(SHW)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를 제어함으로써, 음성 데이터 저장부(5)에서 음성 데이터를 가져와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해당 가입자 서브하이웨이(SHW)의 타임슬롯(TS)에 지정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하는 데, 프로세서(1)는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에 해당 음성 데이터의 상위 어드레스를 제공하고,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는 프로세서(1)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음성 데이터의 상위 어드레스를 상위 어드레스 저장부(3-1)에 저장하고, 순환 카운터(3-2)는 상위 어드레스 저장부(3-1)에 저장되어 있는 상위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카운터 값을 변화시키며, 해당 카운터 값을 음성 데이터 저장부(5)에 음성 데이터의 하위 어드레스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음성 데이터 저장부(5)는 순환 카운터(3-2)로부터 제공받은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에 제공하고,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은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가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7)를 통하여 해당 가입자 서브하이웨이(SHW)의 타임슬롯(TS)에 지정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하면, 가입자는 연속된 음성 메시지를 듣게 된다.
여기서, 순환 카운터(3-2)의 값이 최대 값에 이르면 인터럽트 발생부(미도시)는 프로세서(1)에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음성 데이터의 상위 어드레스를 증가시키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는 연속적으로 어드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에서는 음성 메시지의 상위 어드레스를 장치 내 프로세서(1)가 제어하기 때문에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하게 되면 주어진 인터럽트 시간 안에 처리해야 할 일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프로세서(1)는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의 상위 어드레스만을 제어하기 때문에 순환 카운터(3-2)의 크기에 의하여 음성 메시지의 제어 단위 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는 처리 용량이 늘어나게 되면 주어진 인터럽트 시간 안에 처리해야 할 프로세서 부하의 양이 늘어나게 되며,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발생부(3)의 상위 어드레스를 변환시켜 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가 있는 데, 이러한 경우에 가입자에게 송출되는 메시지는 불연속성을 지니게 되어 음성의 질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늘어난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순환 카운터의 크기를 늘려 인터럽트간의 시간을 증가시켜야 하는 데, 인터럽트간의 시간을 증가시키게 되면 제어할 수 있는 음성 데이터 셀의 크기가 크게 되어 편집형 메시지의 경우에는 음성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과 끝점의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처리 가입자가 증가하더라도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부하 증가 없이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로세서, 20.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
30.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 40. 음성 데이터 저장부,
50. SHW(Sub-Highway) 인터페이스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는, 음성 메시지 송출 명령에 따라 해당 명령어를 분석하여 송출할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와; 가입자에게 송출할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로부터 가져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할 메시지의 어드레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 제공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는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와; 상기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서브하이웨이의 소정 타임 슬롯에 실어가입자 측으로 송출하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는, 음성 메시지 송출의 기본 단위가 되는 섹터 및 서브 섹터와; 메모리 상에서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과 끝점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접근 하위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시작점 어드레스와; 상기 음성 메시지의 끝점을 나타내는 끝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섹터 증가 정보와; 상기 음성 메시지가 반복 송출되는 반복 횟수와; 현재 송출되는 음성 메시지의 섹터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 정보와; 현재 송출되는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가 저장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로,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는 프로세서(10)와,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와,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30)와, 음성 데이터 저장부(40)와,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서(10)는 상위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음성 메시지의 송출 명령이 내려오면, 해당 명령 메시지를 분석하여 송출할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에 기록한다.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는 프로세서(10)로부터 제공받은 어드레스 정보(송출하고자 하는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 어드레스 정보, 끝점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섹터 증가 정보, 반복 횟수, 현재 송출되는 메시지의 섹터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 정보, 현재 송출되는 메시지의 어드레스가 저장된 영역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30)는 해당 시간이 되면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로부터 가져온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할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를 산출하고, 산출된 어드레스를 음성 데이터 저장부(40)에 어드레스를 제공하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로부터 해당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아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50)를 통하여 해당 가입자 서브하이웨이(SHW)의 타임슬롯(TS)에 지정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 전송 후,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30)는 메시지의 시작점과 끝점의 어드레스 정보 그리고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현재 어드레스와 종료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현재 어드레스가 종료 어드레스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의 송출을 종료하고, 반복 횟수가 1 이상일 경우에는 데이터 송출 종료시 현재 어드레스를 시작 어드레스로 변경하여 음성 메시지가 반복되어 송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면,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40)의 크기는 4Mbyte로,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총 22개의 어드레스가 필요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어드레스를 섹터(sector;A21~A16), 서브 섹터(sub-sector;A15~A10), 접근 하위 어드레스(access low address;A9~A0)와 같이 분리하여 사용한다.
전술한 섹터와 서브 섹터는 음성 메시지 송출의 기본 단위가 되며, 접근 하위 어드레스는 메모리 상에서의 데이터의 시작과 끝점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필요한 것은 시작점과 끝점의 위치 정보로, 음성 메시지가 2개 이상일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시점과 끝점의 위치 정보 쌍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현재 송출되는 메시지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된 위치 및 기타 데이터(섹터 증가 정보, 반복 횟수, 현재 송출되는 메시지의 섹터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가 필요하다.
따라서, 3개의 송출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 어드레스 정보는 제어 데이터와, 첫 번째 메시지 시작점 정보와, 첫 번째 메시지 끝점 정보와, 두 번째 메시지 시작점 정보와, 두 번째 메시지 끝점 정보와, 세 번째 메시지 시작점 정보와, 세 번째 메시지 끝점 정보로 이루어진다.
한편, 음성 데이터 저장부(40)는 가입자에게 음성 안내 방송으로 제공할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30)로부터 제공받은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30)에 제공한다.
한편, 서브하이웨이(SHW) 인터페이스부(50)는 프로세서(10)의 제어 하에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30)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서브하이웨이(SHW)의 소정 타임슬롯(TS)에 실어 가입자 측으로 송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음성 메시지 송출의 기본 단위가 되는 섹터의 현재 증가 값을 검사하여, 현재 섹터의 증가 값이 0인 지를 판단한다(S10, S12).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현재 섹터의 증가 값이 0인 경우에는 현재 서브 섹터 값을 검사하여,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S14, S16). 상기한 과정 S16의 판단결과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검사하여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음성 데이터 끝점 하위 어드레스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S18, S20).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음성 데이터 끝점 하위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반복 횟수가 0인 지를 판단한다(S22). 상기한 과정 S22의 판단결과 반복 횟수가 0인 경우에는 메시지의 송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NEnable_Bit)가 1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메시지의 송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의 송출을 종료하고, 현재의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26).
한편,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메시지의 송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음성 메시지 송출을 계속 진행해야 하므로 현재 섹터 증가 값을 다음 섹터 증가 값으로 변경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의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1로 변경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다음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28).
한편, 상기한 과정 S22의 판단결과 반복 횟수가 0이 아닌 경우, 즉 소정의 반복 횟수를 갖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송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NEnable_Bit)가 1로 설정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30). 상기한 과정 S30의 판단결과 메시지의 송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음성 메시지를 반복 출력하기 위해서 현재 섹터 증가 값을 시작 섹터 증가 값으로 변경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1로 변경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의 접근 어드레스를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의 시작 데이터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시작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32).
한편, 상기한 과정 S30의 판단결과 메시지의 송출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해서 현재 섹터 증가 값을 다음 섹터 증가 값으로 변경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1로 변경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다음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34).
한편,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음성 데이터 끝점 하위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으로 유지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의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현재 서브 섹터 값으로 유지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로 유지한다(S36).
한편, 상기한 과정 S16의 판단결과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검사하여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11 1111 1111)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S38, S40). 상기한 과정 S40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으로 유지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현재서브 섹터 값+1로 변경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42).
한편, 상기한 과정 S40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으로 유지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현재 서브 섹터 값으로 유지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로 유지한다(S44).
한편,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현재 섹터의 증가 값이 0이 아닌 경우에는 현재 서브 섹터 값을 검사하여,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1111 11)과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S46, S48). 상기한 과정 S48의 판단결과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검사하여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11 1111 1111)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S50, S52). 상기한 과정 S52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1로 변경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시작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54).
한편, 상기한 과정 S52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으로 유지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현재 서브 섹터 값으로 유지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로 유지한다(S56).
한편, 상기한 과정 S48의 판단결과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검사하여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11 1111 1111)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S58, S60). 상기한 과정 S60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으로 유지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현재 서브 섹터 값+1로 변경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한다(S62).
한편, 상기한 과정 S60의 판단결과 현재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섹터 증가 값을 현재 섹터 증가 값으로 유지하고, 반복 횟수를 현재 반복 횟수로 유지하고,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접근 어드레스를 현재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20) 데이터 어드레스로 유지하고, 현재 서브 섹터 값을 현재 서브 섹터 값으로 유지하고,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현재 음성 데이터 저장부(40) 접근 하위 어드레스로 유지한다(S64).
본 발명의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에 따르면, 프로세서의 개입 없이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에서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과 끝점의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어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처리 가입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도 장치 내의 프로세서에 부하 증가 없이 메시지 어드레스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과 끝점의 어드레스에 의하여 음성 데이터 셀의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편집형 데이터의 송출 시 보다 매끄러운 송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음성 메시지 송출 명령에 따라 해당 명령어를 분석하여 송출할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와;
    가입자에게 송출할 음성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메시지 어드레스 정보 저장부로부터 가져온 상기 어드레스 정보 및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출할 메시지의 어드레스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어드레스를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 제공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상기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받는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와;
    상기 메시지 어드레스 변경부로부터 제공받은 음성 데이터를 서브하이웨이의 소정 타임 슬롯에 실어 가입자 측으로 송출하는 서브하이웨이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음성 메시지 송출의 기본 단위가 되는 섹터 및 서브 섹터와;
    메모리 상에서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과 끝점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접근 하위 어드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음성 메시지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시작점 어드레스와;
    상기 음성 메시지의 끝점을 나타내는 끝점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섹터 증가 정보와;
    상기 음성 메시지가 반복 송출되는 반복 횟수와;
    현재 송출되는 음성 메시지의 섹터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 정보와;
    현재 송출되는 음성 메시지의 어드레스가 저장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5. 현재의 섹터 증가 값을 검사하는 과정과;
    섹터 증가 값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반복 횟수를 검사하여 메시지 송출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메시지 송출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의 송출을 종료하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출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 증가 값을 다음 섹터 증가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반복 횟수를 그대로 유지하고,
    현재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를 감소시키고,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을 다음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횟수를 검사하여 소정의 반복 횟수를 갖는 경우에는,
    메시지 송출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송출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 증가 값을 시작 섹터 증가 값으로 변경하고, 반복 횟수를 감소시키고, 현재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를 시작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로 변경하고,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을 시작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송출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 증가 값을 다음섹터 증가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반복 횟수를 그대로 유지하고, 현재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를 감소시키고,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을 다음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증가 값, 반복 횟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 서브 섹터 값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증가 값, 반복 횟수 및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고,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을 증가시키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증가 값, 반복 횟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 서브 섹터 값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섹터 증가 값을 검사하여 소정의 섹터 증가 값을 갖는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 증가 값을 감소시키고, 현재의 반복 횟수 및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고,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을 시작 서브 섹터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증가 값, 반복 횟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 서브 섹터 값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이 끝 서브 섹터 값과 동일하지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증가 값, 반복 횟수 및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고, 현재의 서브 섹터 값을 증가시키고,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시작점 어드레스로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의 접근 하위 어드레스가 끝점 어드레스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서브 섹터 증가 값, 반복 횟수, 메모리 접근 어드레스, 서브 섹터 값 및 접근 하위 어드레스를 그대로 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의 어드레스 제어 방법.
KR1019990059052A 1999-12-18 1999-12-18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KR10031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52A KR100316285B1 (ko) 1999-12-18 1999-12-18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052A KR100316285B1 (ko) 1999-12-18 1999-12-18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62A KR20010064762A (ko) 2001-07-11
KR100316285B1 true KR100316285B1 (ko) 2001-12-12

Family

ID=1962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052A KR100316285B1 (ko) 1999-12-18 1999-12-18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163B1 (ko) * 2001-12-29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증설 및 감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762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138B1 (ko) 전력이 조절되는 적응 변조 및 코딩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RU2110893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ервоначального вызова подвижной станции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каналов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сотов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US5752192A (en) Channel reuse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with interference signal levels of different radio channels measured at regular and shorter refresh intervals
JP305240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US6891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ate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771454A (en) Base station allocation method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0713300A1 (en)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097928A (en) Method for selecting a control channel in a trunked radio system
US6999785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ferring large data from network interface to radio interface
JPH114476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トラヒック収集制御方法並びにトラヒック収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0785696A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telecommunication circuit therefor
JP3505104B2 (ja) 独特のフォワード形態制御チャンネルを有する無線cdmaシステム
US64421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driven channe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316285B1 (ko) 교환기에서 음성 메시지 송출 장치 및 그의 어드레스 제어방법
JP3040870B2 (ja) ディジタル移動電話システム
EP0749255B1 (e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100396669B1 (ko) 역방향 링크의 데이터 전송율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단말기
CN100387094C (zh) 码分多址系统中的一种越区切换方法
JP2985610B2 (ja) チャネル割当て方式およびこれ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40261077A1 (en)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a processing method
JPH0937339A (ja) 無線通信チャネル割当方法
KR100246171B1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6005422A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移動通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JP3244153B2 (ja)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KR100203599B1 (ko) 스피치 신호의 재생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무선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