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851B1 - 3차원사진촬영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사진촬영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851B1
KR100315851B1 KR1019980710046A KR19980710046A KR100315851B1 KR 100315851 B1 KR100315851 B1 KR 100315851B1 KR 1019980710046 A KR1019980710046 A KR 1019980710046A KR 19980710046 A KR19980710046 A KR 19980710046A KR 100315851 B1 KR100315851 B1 KR 10031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ticular
image
projection
distance
lenticula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462A (ko
Inventor
예브제니 네미로브스키
Original Assignee
밈스, 허먼,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밈스, 허먼, 디. filed Critical 밈스, 허먼, 디.
Publication of KR2000001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4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apertured or refractive resolving means on screens or between screen and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2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6Calibration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2Image signal generators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e.g. multi-view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1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18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4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ect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열의 배치에 따라 구성된 멀티렌즈 카메라 및 멀티렌즈 확대기를 활용하는 3차원 영상을 만들기 위한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와 프린터에 사용된 렌즈의 개수는 인간의 눈 및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분해능보다 더 크도록 선택된다.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의 폭은 확대기의 인접한 투영개구을 통해 거리 한계의 거리 또는 거리 한계를 넘어선 거리로부터 투영된 점의 렌티큘러 스크린(10)의 초점면상의 두 개의 인접한 영상 사이의 거리에 의해 측정된다. 확대기의 투영개구(182, 186, 188)는 거리 한계에 상응하는 고유한 허용각내에 직선상으로 배치되고 같은 거리를 두고 있어서 구역 사이에 갭이 없고 선분사이에 갭이 없이 직선모양의 영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스트로보 효과없이 오소스코프 효과를 가진 3차원 영상이 1회 결상공정 및 1회의 작성처리 공정으로 만들어진다.

Description

3차원 사진촬영 방법 및 장치
사진촬영의 개척자들은 항상 보다 실감나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사진촬영의 문제점 중 하나가 3차원 물체를 2차원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었다. 1844년에, 3차원, 또는 입체 사진을 촬영하는 기술이 독일에서 제시되었다. 두개의 떨어진 2차원 영상이 특수 장치를 통해 보았을 때 3차원적인 효과를 창출하는데 이용되었다. 그후에, 이 시각 장치는 특수 안경으로 교체되었는데, 이 안경은 사용자가 흑백의 3차원 화상(picture)과 영화를 볼 수 있도록 상이한 칼라 렌즈들을 갖는다. 편광 렌즈(polarized lens)를 갖는 특수 안경은 후에 칼라 화상을 보는데 이용되었다.
사진 분야에서의 다음의 주요 발전은 특수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서도 3차원을 인식(perception)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다. 이 혁신적인 시스템은 떨어진2차원 영상으로 각각의 눈을 나타내는 특수 영상의 상부에 놓인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한다. 뇌는 개별적인 2차원 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으로 인식한다.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lenticular print system)"이라는 용어는 초점면(focal plane)에 접합되어 있거나 또는 초점면에 접촉해 있는 감광성 재료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확대기를 의미한다. 렌티큘러 스크린 하부에서 형성된 영상은 시차-파노라모그램(parallax-panoramogram), 또는 여기서 정의된 대로 직선모양의 영상(lineiform image)이라고 알려져 있다.
직선모양의 영상은 선분 구역(zones of lines)들로 구성되었다. 종래의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에서,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은 확대기에 의해 투영되어 분리된 2차원 영상에 해당하는 렌티큘러(lenticular)에 의해 만들어진 폭이 좁은 영상이다. 하나의 구역이라 하는 것은 하나의 렌티큘러에 의해 만들어진 직선모양 영상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구역이라 하는 것은 확대기에 의해 투영된 떨어진 2차원 영상의 개수만큼의 선분들로 이루어진다. 보통, 확대기에 의해 투영된 떨어진 2차원 영상의 개수, 따라서, 직선모양 영상의 각 구역에 있는 선분의 개수는 확대기의 투영 개구의 개수와 동일하다. 종래의 확대기에는, 확대기의 각 렌즈에 대해 단일의 투영 개구가 있고, 단일의 독립 2차원 영상이 각 투영 개구를 통하여 투영된다.
오늘날, 적절한 직선모양의 영상을 창출하는데는 2가지 방법이 이용된다. 즉,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직접적인 방법에서, 직선모양의 영상은 렌티큘러 스크린이 갖추어진 특수 카메라 내에서 만들어지고 단일의 광학 렌즈를 갖는 확대기를 이용하여 프린트된다. 만들어진 직선모양의 영상은 그다음 렌티큘러 스크린을 통해 조망된다. 직접적인 방법에서의 주요 문제점은 사진 촬영에 필요한 노출 시간이 길다는 것과 한번의 노출동안 카메라를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간접적인 방법에서는, 일렬 또는 후판으로 배열된 적절한 복수 광학 렌즈를 갖는 카메라로 상이한 위치로부터 촬영된 떨어져있는 복수개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열의 영상은 그 다음 멀티렌즈 확대기를 통해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투영되어 직선모양의 영상을 형성한다. 직선모양의 영상을 렌티큘러 스크린에 정렬시키는 것에는 대체로 문제가 없다. 지금까지 간접적인 방법에서의 주요 문제점은 구역들 사이의 갭과 선분들 사이에 갭이 없는 직선모양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2차원 영상의 열을 조합시켜서, 스트로보 효과(stroboscopic effect)를 피하면서도 오소스코프 효과(orthoscopic effect)를 갖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간접적인 방법에 의한 3차원 렌티큘러 사진촬영을 위한 종래의 방법 및 장치를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전에는, 간접적인 방법에 의한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데는 몇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오소스코프 효과를 얻는 것은, 즉 모든 3차원 영상의 배율이 정확히 비례하는(proportioned) 것을 달성하는 것이 어려웠다. 둘째, 합성을 이전에는 몇가지 단계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합성에 필요한 시간이 크게 길어졌다. 셋째, 분리된 2차원 영상을 조합하여 직선모양의 영상을 형성하는 것은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조합이 되었다 하더라도,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들 사이의 갭이나 직선모양 영상의 각 선분들 사이의 갭, 또는 이 둘 모두가 어쩔 수 없이 생겨나게 된다. 넷째, 과거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3차원 사진에서는 최적의 3차원 효과가 인식되는 조망 윈도우에 제한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3차원 사진은 스트로보 효과의 나쁜 작용을 받아서 개별적인 영상이 동시에 인식되거나, 또는 뷰어가 머리를 움직일 때 한 렌즈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으로부터 또 다른 렌즈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으로 전환됨을 인식할 수도 있다.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하는 3차원 영상에 관한 최근 특허 대부분은 직선모양 영상의 각 구역으로 하여금 렌티큘러 하부 공간의 폭을 정확히 차지하게 함으로써 우수한 질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정에 근거한다. 실제로, 이것은 각 렌티큘러의 개구 각도가 효과적으로 확대기의 투영 개구로 채워질 것을 필요로 한다. 개구 각도라 함은, 렌티큘러의 에지(edge)를 투영한 것과 렌티큘러의 광학중심(optical center)을 통과하는 초점면에 수직으로 만나는 곳으로부터 생기는 광선을 통하여 형성된 각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3,953,869 의 도 4는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되고, 렌티큘러 하부에 4개의 분리되어 겹치지 않는 선분을 형성하는 4개의 분리되어 있는 2차원 영상을 보여준다. 이와 비슷하게, 미국 특허 3,895,867의 도 9는 직선모양의 영상에 만들어진 겹치지 않는 6개의 분리되어 있는 선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가정된 이상적인 상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직선모양 영상의 각 선분은 w/n 보다 넓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w는 각 렌티큘러의 폭이고 n은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된 분리되어 있는 영상의 개수이다. 이 목표를달성하기 위한 대부분의 방법에서는, 선분들이 확실히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수차례의 노출 각 사이사이에 확대기에 대한 렌티큘러 스크린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상기 노출시에 직선모양의 영상을 프린트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간접적인 방법 및 장치의 대물렌즈는 뷰어의 왼쪽 눈에는 하나의 분리된 영상이 보이게 하고 뷰어의 오른쪽 눈에는 또다른 독립 영상이 보이게 하도록, 뷰어의 각 눈에 분리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다. 만약 10개의 분리된 2차원 영상이 확대기 에 의해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되고, 따라서 직선모양 영상의 10개 선분이 직선모양 영상의 각 구역의 초점면에 투영되었다면, 뷰어는 아마도, 예를 들어, 한 위치에서 왼쪽 눈은 3번째 영상을 그리고 오른쪽 눈으로는 6번째 영상을 보게될 것이다. 다른 위치에서, 뷰어는 아마도, 예를 들어, 왼쪽눈은 4번째 영상을 오른쪽 눈은 7번째 영상을 보게 될 것이다. 또한, 종래의 간접 방법은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이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접적인 방법 및 장치의 대물렌즈는, 뷰어의 각 눈에 적어도 두개,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의 겹쳐지는 이상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만약 40개의 2차원 영상이 확대기에 의해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투영되고, 따라서, 직선모양 영상의 40개 선분이 직선모양의 영상의 각 구역의 초점면에 투영되었다면, 뷰어는 한 위치에서 아마도, 예를 들어 왼쪽눈은 19, 20, 21 그리고 22번째 영상이 겹쳐진 것을 보게 될 것이고 오른쪽눈은 23, 24, 25, 그리고 26번째 영상이 겹쳐진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다른 위치에서, 뷰어는 아마도, 예를 들어 왼쪽눈은 20, 21, 22, 그리고 23번째 영상이 겹쳐진 것을 그리고 오른쪽눈은 24, 25, 26, 그리고27번째 영상이 겹쳐진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직선모양의 영상에서 조망된 겹쳐진 2차원 영상은 뷰어가 보기에 흐릿하지 않는데, 이것은 각 눈에 나타나는 인접하여 겹치는 영상들 사이의 시차에서의 차이가 뷰어의 분해능보다 작기 때문이다. 게다가, 겹치는 2차원 영상들은 직선모양의 영상 위에서 배열 및 정렬됨으로써, 직선모양의 영상에 재생된 물체공간에 있는 물체를 인식한 위치는 뷰어의 투시방향이 변화할 때 렌티큘러 스크린에 대해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2개의 독립 영상을 조망하는 종래의 방법은 제한적인 조망 영역에서만 뚜렷한 3차원 영상을 창출해낸다. 직선모양 영상의 2개의 인접 선분들의 에지를 조망하는 위치로 뷰어의 머리가 움직였을 때, 뷰어가 보는 영상에서 각각의 눈이 2개의 개별 영상을 동시에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스트로보 효과"라고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해서, 뷰어는, 예를 들어, 인접한 2차원 영상들 사이의 시차가 크기 때문에 왼쪽눈으로 3번째 및 4번째 영상을 보게 될 것이고, 오른쪽눈으로는 6번째 및 7번째 영상을 보게 될 것이다. 이들 두개의 영상은 충분히 다르기 때문에 중첩된 2개의 개별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종래의 장치에서, 확대기의 투영 개구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거리 한계보다 더욱 가까이 렌티큘러 스크린에 위치되고, 또 에지끼리 맞닿도록 위치될 필요가 있게 되거나, 또는 에지끼리 맞닿은 관계를 가장하도록 렌티큘러 스크린에 비례하여 움직일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장치에서 사용되는 투영 개구의 총 개수는 인접한 2차원 영상 사이의 시차를 충분히 작게 하기에는 불충분해서 이상적인 영상들이 고형의 물체로 인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예를 들어, 각 눈으로 4개의 영상을 동시에 조망하면 스트로보 효과를 배제하게 된다. 4개의 분리되어 있는 2차원 영상이 입체 물체로 인식되도록 많은 수의 분리되어 있는 2차원 영상이 가장 큰 단일의 시차를 조그만 부분들로 나누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개시된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는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다음의 질문들에 답이되는 경험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1) 이용될 2차원 영상의 개수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그리고 2) 스트로보 효과를 배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2차원 영상의 개수는 얼마인가.
더욱이, 종래의 간접적인 방법은 확대기의 투영 거리가 3차원 사진의 관찰 거리와 동일하리하는 것을 가정한다. 투영 거리에서 3차원 사진을 보았을 때, 뷰어의 왼쪽 및 오른쪽눈의 위치는 투영 개구 2개의 위치와 정확히 매치 되어야 한다. 이 조건 때문에 사용되는 투영 개구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관찰 거리가 변화하면, 뷰어의 왼쪽 및 오른쪽 눈은 더 이상 투영 개구의 어느 위치에도 매치 되지 않는다. 따라서, 투영 거리를 제외한 어느 위치에서건, 뷰어는 3차원 사진의 어떤 영역에서도 스트로보 효과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또한, 뷰어가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면, 인식된 영상은 깊어진다(deepen). 즉, 인식된 영상은 심도 차원(depth dimension)에서 오소스코프 정밀도를 유지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뷰어가 렌티큘러 스크린을 향하여 이동하면, 인식된 영상은 평평해진다(flatte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뷰어의 눈을 투영 개구의 위치에 매치시킬 필요가 없다. 뷰어는 투영 거리와는 상이한 관찰 거리에서 렌티큘러 사진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스트로보 효과는 3차원 사진의 모든 영역에서 배제된다.
종래의 방법 및 장치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거리 한계보다 더 가까이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 개구를 위치시킨 결과로 인해 성가신 일이 발생한다. 단순히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 사이의 갭을 배제시키는 것만으로는, 종래 방법 및 장치가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다음의 구성부재 즉, 1) 필름; 2) 렌티큘러 스크린; 3) 투영 개구; 또는 4) 감광성 재료중 최소한 하나도 이동시키지 않고 1회공정으로 결상과 1회공정으로 프린팅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만약, 2차원 영상이 카메라를 한번 노출시켜 만들어졌다면, 그다음 3차원 사진을 프린트하기 위해 확대기를 여러 번 노출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확대기를 한번 노출시킬 때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최소 하나의 구성부재가 이동되어야 한다. 만약,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상기 구성부재중의 하나도 이동시키지 않고 확대기를 한번 노출시켜 2차원 영상이 프린트된다면, 2차원 영상은 카메라를 여러번 노출시켜 만들어지거나 또는 카메라를 한번 노출시키는 동안 결상 시스템의 적어도 한 구성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로 2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것과 확대기로 3차원 영상을 프린트하는 것은 결상 시스템이나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을 여러번 노출시키는 것, 또는 결상 시스템이나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구성부재들을 이동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개선된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렌즈(multi-lens)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지고 멀티렌즈 확대기에 의해 렌티큘러 스크린(lenticular screen)에 프린트된 물체공간(Objective space)내에 있는 적어도 한 물체의 다수의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영상을 간접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기타 목적들이 이후에서 자세히 기술될 상세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개시된 직선모양 영상의 개념적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투영 개구로 개구 각도만을 채우는 경우의 단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구역의 폭이 렌티큘러의 광학중심면으로부터 투영 개구의 거리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두 개의 허용각 및 한 개의 개구 각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개구 각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두 개의 허용각과 각 허용각의 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카메라 렌즈의 관찰각, 관찰면, 관찰 점, 그리고 관찰 방향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확대기의 렌즈를 방사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투영 각도로 허용각을 채우는 경우의 이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허용각의 현의 길이와 동일한 선분(line segment)을 따라 점광원을 투영하여 렌티큘러 스크린의 구역들 사이에 갭이 없는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을 만들어내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렌티큘러 스크린의 평면도로서 중심 분해각 및 허용각의 현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종래 기술(도 12b)에서 개시되고 본 발명(도 12c)의 방법 및 장치에서 나타낸 바의 물체공간에 있는 물체(도 12a)의 독립된 2차원 영상 다수개를 합체한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3은 중심 분해각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는 이상적인 렌티큘러 렌즈의 모델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통상적인 렌티큘러 렌즈의 모델을 나타낸 것으로서, 렌티큘러를 통과하는 광경로 상에서의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수차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a 내지 16c는 직선모양 영상의 단일 선분의 폭에 대한 일련의 밝기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7은 실제 존재할 때(도 17a 및 17b)와 종래 기술에서 기술되었을 때(도 17c 및 17d)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을 매치한 것을 비교한 그래프.
도 18은 재귀반사하는 렌즈 시스템의 분해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9a는 직선상으로 정렬되었으나 그 중심들이 우연히 동일직선상에 있지 않은(non-collinear) 일련의 인접 투영 개구의 2차 축들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 도면.
도 19b는 투영 개구들의 열 2개에서 그 중 하나의 열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거리한계면에 위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중심 분해각에 의해 허용된 것보다 가까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에 위치한 에지 대 에지의 관계에 있는 일예의 투영 개구의 열을 나타낸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성 공정 동안 관찰면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
1. 방법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프린팅, 또는 작성(composing) 공정에 대해 기술될 것이나,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여기에서 기술되는 것이 결상 단계, 즉, 물체공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재(물체)의 분리된 다수의 2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단계에 관련된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도면과 이후의 설명은 모두 "복수의 렌즈"와 "복수의 투영 개구"를 단일 물체로 칭할 것이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이에 대한 설명이 또한 복합렌즈(compound lens)에 관련된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게다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카메라의 단일 렌즈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2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과 확대기의 단일 렌즈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2차원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에 기술될 것은 각각의 분리된 2차원 영상은 카메라의 단일 렌즈에 의해 만들어지고, 단일의 투영 개구를 갖는 확대기의 단일 렌즈에 의해 투영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의 양은 확대기 렌즈의 양과 같다.
"작성"이라는 것은 사진 프린트를 확대기로 작성하는 것에 포함된 공정을 일컫는다. 본 발명은 3차원 사진을 촬영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이용하는데, 여기에서 물체공간에 있는 적어도 한 부재의 분리된 2차원 영상 복수개가 직선적으로 배치된 멀티렌즈 카메라로 찍히게 된다. 작성이 이루어지는 동안, 카메라의 필름에 만들어진 2차원 영상의 열이 멀티렌즈 확대기를 통해 감광성 재료로 코팅되어 있거나 감광성 재료에 접촉해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된다. 정확히 비례하는 직교상호 관계(오소스코프 효과)가 되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의 관찰각(도 7)은 확대기의 프린팅 각도(도 8)와 동일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카메라는 확대기와 동일한 각도를 "커버(cover)"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디자인된 장치를 이용하여 작성공정를 개선하고 향상시키는 것에 관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의 결상공정 및 단일 작성공정으로 양질의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은 폭이 일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렌티큘러 스크린을 통해 투영된 빛의 실제 움직임을 설명함으로써만이 우수한 3차원 영상의 작성이 달성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렌티큘러"라는 용어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단일 광학 렌즈를 말한다. 각 렌티큘러는 사실상 렌티큘러 스크린의 렌티큘러의 전체 길이를 확장한 비드(bead) 또는 리지(ridge)임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렌티큘러방향이라 함은 렌티큘러의 리지에 의해 형성된 선분의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렌티큘러의 방향에 평행한 선분은 렌티큘러에 의해 형성된 리지에 평행할 것이고 또한 초점면에도 평행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초점면에 수직인 선분은 또한 각각의 및 모든 렌티큘러의 방향에 대해서도 수직이다. 그러므로, 초점면에 평행하고 동시에 렌티큘러에 수직인 선분, 즉, 렌티큘러에 의해 형성된 리지에 직각을 이루는 선분을 정의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언급한 바와 같이, 렌즈, 예를 들어 렌티큘러의 "주 광축"은 렌즈의 광학중심을 통과하는 초점면에 수직인 축을 말한다. 그러므로, 각 렌티큘러의 주광축은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이다.
본 발명 방법 및 장치의 중요한 발견은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이 억지로 렌티큘러 하부의 공간 폭을 정확히 차지하도록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각 렌티큘러는 독립적인 장치가 아니라, 수학적 모델로 고안되는 전체 시스템의 작은 일부분이다. 도 1은 각 구역의 폭이 렌티큘러의 하부 공간의 정확한 폭에 제한되는 직선모양 영상의 개념적 모델이다. 이 직선모양 영상에서 각 선분의 폭은 w/n이고; 여기서 w는 각 렌티큘러의 폭이고 n은 작성이 되는 동안 사용되는 2차원 영상의 개수이다. 렌티큘러 하부 공간의 폭 w을 정확히 채우기 위해, 렌티큘러의 개구 각도는 투영개구로 효과적으로 채워져야 한다. 렌티큘러 에지를 투영한 것과 렌티큘러의 광학중심을 통과하는 초점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곳으로부터 생기는 광선으로 형성된 각도가 렌티큘러의 개구 각도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각도(70)이 렌티큘러(12)의 개구 각도이다.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과 렌티큘러 하부의 스페이스 사이에 매치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각 렌티큘러의 개구 각도는 투영 개구로 채워져야 한다. 따라서, 각 렌티큘러의 개구 각도를 투영 각도로 채우기 위해 구성이 이루어지는 동안 특별한 측정을 하지 않는다면,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들 사이에 갭이 발생할 것이다. 도 2는 중심 렌티큘러의 개구 각도를 효과적으로 채우기 위해 평면(150) 상에 놓인 3개의 투영 개구(152, 154, 156)를 보여준다. 다수의 영상이 투영 개구(152, 154, 156)를 통해 투영되면, 구역(160-176)들 사이에 갭(178)들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함으로써, 관찰각이 변화한 결과로 만들어진 3차원 영상의 손실을 뷰어는 인식하게 될 것이다.
구역의 폭은 투영면, 즉, 투영개구면으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에 이르는 거리의 함수이다. 도 3은 렌티큘러 스크린(10)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로 떨어져 위치해 있는 두개의 점(74,72)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된 점 광원를 보여준다. 기록된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은 렌티큘러 하부 공간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로질러 퍼져 있다. 렌티큘러 스크린(10)의 초점면(16)에 기록된 연속적인 선분들 사이의 폭은 각각의 분리된 거리마다 동일하다. 즉, 82=84=86, 그리고 76=78=80. 이들 폭은 해당 점(74,72)에 의해 만들어진 구역들의 폭과 각각 동일하다. 따라서, 구역의 폭은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20)면으로부터의 투영개구면 거리에 따라 변화한다.
수학적으로, 구역의 폭은 공식 w((f/h)+1)로 주어진다; 여기서 w는 각 렌티큘러의 폭이고, f는 각 렌티큘러의 초점면 길이이며, h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으로부터의 투영개구면 거리이다. 기하학적으로,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의폭은, 인접 렌티큘러를 통과하여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된 점의 직선모양 영상의 연속된 2개 선분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구역들 사이에 갭을 만들지 않고 1회의 공정으로 작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개구 각도의 현보다 넓은 선분가 투영 개구로 채워져야 한다.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허용각은 렌티큘러 하부의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을 초점면의 중심에 둔 다음 렌티큘러의 광학중심을 통과하여 구역의 에지를 투영함으로써 형성된 각도이다. 예를 들어, 도 4는 각각 다른 폭(58,60)을 갖는 구역을 형성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의 서로 다른 투영 거리에 대한 허용각(66,68)을 보여준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인 "허용각의 현"은 초점면에 평행하고 또, 허용각이 형성되는 투영면에서 허용각 측면 사이에 있는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인 선의 선분을 일컫는다(예, 도 10의 선분(88)). 일반적으로, 여기서 사용된 "각도의 현"라는 용어는 각의 측면을 연결하고 각의 이등분선에 수직인 선분를 일컫는다. 허용각 현의 길이와 동일한 선분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투영 개구로 채워진다면,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이 렌티큘러 스크린 하부에 갭이 없는 상태로 정렬될 것이다.
도 5에 보인 개구 각도 알파(α)는 이론상의 평행빔(beam)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평행빔은 절대로 광-투영이나 사진을 찍는데 이용되지 않는다. 실제로, 방사빔만이 이용된다. 도 6에서, 두 점 광원 A, B가 각각 점 A1 (1,2,3)및 B1 (1,2,3)에 빔을 접속시키는 렌티큘러 스크린(10)에 빛을 방사한다.
A1 1과 A1 2사이 그리고 A1 2과 A1 3사이의 거리는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이고 또 서로 길이가 같지만 각 렌티큘러의 폭 CD보다 더 넓다. B1 1과 B1 2사이 그리고 B1 2과 B1 3사이의 거리는 마찬가지로 서로 같고 각 렌티큘러의 폭 CD보다 더 넓다; 또한, A1 1과 A1 2사이 그리고 A1 2과 A1 3사이의 구역보다 더 넓다. 구역의 폭은 광원과 렌티큘러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따르고,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한계 내에서 구역은 항상 렌티큘러의 폭보다 더 넓다.
편의를 위해서, 구역의 폭을 나타내는 선분 F1G1및 E1H1이 중심 렌티큘러의 하부에 직접 나타나 있다. 선분 F1G1및 E1H1를 감광성 재료에 노출시키기 위해,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각도 베타(β)의 측면에 위치한 점 F와 G 사이를 이동하면서 광원 A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비춰야 한다. 선분 E1H1의 길이는 선분 F1G1의 길이보다 더 길고, 따라서 각도 감마(γ)의 측면에 위치한 점 E와 H사이에 이동하면서 보다 넓은 각도로 광원 B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비춰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남아있는 렌티큘러에 해당하는 직선모양 영상의 모든 구역이 채워질 것이다. 따라서, 광원이 일정한 각도를 빛으로 채운다면, 렌티큘러 스크린은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들 사이의 초점면에 갭이 생기지 않는 상태로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을 수 있다. 일정한 각도는 광원의 투영면과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 사이의 거리에 따른다.
일정한 각도는 광원의 투영면과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 사이의 소정 거리에 대한 허용각이다. 도 6에서, 두개의 허용각 β와 γ가 도시되었다. 소정 거리에서, 선분 GF 와 HE는 각각 허용각 β와 γ의 현이다. 각 현의 길이는 허용각과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의 현 거리에 의존한다. 특히,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20)면으로부터 투영면 GAF, HBE에 이르는 소정 거리에 있어서, 허용각 β와 γ에 의해 정의된 현 GF 와 HE는 그 정점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놓인 개구 각도와 동일한 각도인 쎄타(θ)에 의해 정의된다.
렌티큘러 및 렌티큘러 스크린의 공지된 디자인이 미국 특허 3,494,270의 칼럼 3, 선분 38-27, 선분 61-74, 그리고 도 1, 2, 5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 5는 원통 렌즈 다수로 이루어진 종래의 렌티큘러 스크린(10), 또는 투명판의 표면 상의 렌티큘러(12)를 보여준다. 이 판은 렌티큘러 스크린(10)의 각 렌티큘러(12)의 초점면(16)과 일치하는 제2표면을 갖는다. 모든 렌즈를 가지고 있어서, 각 렌티큘러는 광학중심(20)을 갖는다. 렌티큘라의 원통 모양 때문에, 광학중심은 도 5의 면에 수직인 연속 직선이다.
따라서 렌티큘러의 광학중심(20)은 직선적이며 렌티큘러(12)의 원통 표면의 축에 평행하다. 마찬가지로, 렌티큘러(12)의 초점 B1 1, B1 2, 그리고 B1 3은 직선적이고 렌티큘러의 원통 표면의 축에 평행하다. 렌티큘러 스크린의 목적은 스크린에 충돌하는 빛의 빔을 다른 각도로 분리시키고 직선모양의 영상을 후방 방향으로 투사시키는 것이다. 원통 렌티큘러에서의 빔의 분리는 렌티큘러의 직선상의 광학중심을 따라 일어난다. 그러므로, 렌티큘러 스크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의 정면도만 보이면 된다. 그러나, 정면도에 나타난 모든 매개변수의 직선상의 연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면도의 모든 점는 렌티큘러의 직선상의 광학중심에 평행한 실제 선분이고, 정면도의 모든 선분은 직선상의 광학중심에 평행한 면이다. 렌티큘러에 대한 위치, 예를 들어 평행, 수직 등과 같은 위치를 언급하는 것은 또한 렌티큘러 연장의 공통 방향과 그 특징을 결정하는 렌티큘러의 직선상의 광학중심을 언급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각도로 렌티큘러 스크린에 충돌하는 분리 빔의 순서가 도 5에 도시되었는데, 여기에서, 서로 평행하고 초점면에는 수직인 빔 B1이 렌티큘러 스크린(10)에 충돌하고 점 B1 1, B1 2, B1 3에 모인다. 서로 평행한 빔 b2는 수직이 아닌 각도로 렌티큘러 스크린(10)에 충돌하고 포이트 B2 1, B2 2, B2 3에 모인다. 점 사이의 동일한 거리 B1B2는 초점면(16)에서의 빔 b1와 b2 예기된 분리를 나타내준다. 면(302)에 결합되어 있거나 접촉해 있는 감광성 재료를 완전히 노출시키기 위해서, (304)로 표시된 방향으로 평행빔으로써 스크린을 조명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방해받지 않고서 평행빔을 (306)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변화(트위스트)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 초점이 집중된 빔은 A1에서 A2로, A2에서 A3로, A3에서 A4로 동시에 투영되고, 그리고 감광성 재료는 갭이 생기는 일 없이 또는 서로 겹치는 일이없이 완전히 노출될 것이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거리 A1A2, A2A3, A3A4는 렌티큘러(12)의 폭과 같다. 평행빔이 트위스트되는 각도 α는 렌티큘러 스크린(10)의 개구 각도이다.
3차원 영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 카메라나 확대기를 설치할 때, 우수한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5가지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1. 카메라 필름으로부터 보이는 면까지의 거리 및 확대기의 필름으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까지의 거리.
2. 투영 개구로 채워질 선분의 길이.
3. 이용될 투영 개구의 개수.
4. 투영 개구의 크기 및 간격.
5. 렌티큘러 스크린에 2차원 영상의 합체를 얻기 위해 표준배치에 카메라와 확대기를 교정.
1. 카메라 필름으로부터 보이는 면까지의 거리 및 확대기의 필름으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까지의 거리.
3차원 사진의 최적 시각 거리는 작성되는 동안의 렌티큘러 스크린과 확대기 사이의 거리에 의해 크게 결정되기 때문에, 확대기의 렌즈가 위치되어야 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는 프린트된 렌티큘러 사진의 원하는 시각 거리와 동일하다. 카메라의 관찰각이 확대기의 프린팅 각도와 동일하다면, 그리고 카메라와 확대기 모두 똑같은 관찰 거리로 설정되었다면, 카메라의 기선택 관찰면은 결과로나타난 사진에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면에 매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의 렌즈(236)가 확대기의 렌즈이고 도 7의 렌즈(136)가 카메라의 렌즈이고, 또 프린팅 각도(232)(도 8)가 관찰각(132)(도 7)와 동일하다면,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16)(도 8)은 카메라의 보이는 면(15)(도 7)에 해당하게 된다.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서, 도 7에 보인 멀티렌즈 카메라에서는, (도 8의 투영 방향(238,240,242)에 해당하는)카메라의 관찰 방향(138,140,142)이 (도 8의 점(230)에 해당하는)보이는 점라고 칭하는 물체공간에 있는 단일의 점(130)에 수렴하게 된다. 이 점를 지나고 렌즈의 주광축에 수직인 면은 보이는 면(15)이다. 카메라 렌즈(136)의 주광축이 평행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관찰 방향(138,140,142)은 보이는 면(15)에 카메라 렌즈의 광학중심과 보이는 점(130)를 하나로 접하게 하는 선분에 의해 정의된다. 대개, 카메라의 렌즈와 필름의 프레임은 도 7에 보인 카메라의 중심선분에 대해 상호 대칭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보이는 점(130)는 카메라와 보이는 면(15)의 대칭축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카메라 필름면으로부터 보인는 면까지의 거리가 확대기 필름으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카메라와 확대기가 디자인되었다면, 결과의 3차원 영상은 오소스코프가 된다. 이 경우, 촬영자는 보이는 면을 "키(key)" 부재(미국 특허 3,953,869에 사용된 용어)에, 또는 다른 어떤 부재에라도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그 결과, 키 부재는 인식되지 않아 사진의 렌티큘러 스크린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키 부재가 카메라의 보이는 면 뒤로 10야드 떨어져 있다면, 중요물체는 인식되어 사진속 렌티큘러 스크린의 면 뒤로 10야드 떨어져 있게 된다. 입체 영상에 있는 물체의 흐려짐(즉, 선명도)은 스트로보 효과를 피하는데 필요한 분리된 2차원 영상의 개수와 렌티큘러 스크린의 분해능에 의존한다. 그러나, 이런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설명될 표분 배열을 이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의 보이는 면은 그로 인한 결과의 사진의 렌티큘러 스크린 면이다. 여기서 사용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두께가 투영 거리에 대해 얇기 때문에 렌티큘러 스크린 면은 실질적으로 렌티큘러의 광학중심면과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과 동일하다. 2차원 영상이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질 때 물체공간에 있는 보이는 면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물체가 인식되어 그 결과의 사진의 렌티큘러 스크린 면에 나타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보이는 면으로보터 이격된 관계에 있는 어떤 물체라도 결과의 사진의 렌티큘러 스크린 면에 똑같이 이격된 관계로 나타나게 된다.
2. 투영 개구로 채워질 선분의 길이.
렌티큘러의 광중심을 통해 렌티큘러의 하부에 중심을 둔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의 에지를 투영함으로써 그리고 그 거리에서 허용각의 현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투영 개구로 채워질 선분의 길이는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의 그 어떤 수직 거리에 대해서도 기하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제, 확인될 필요가 있는 것은, 투영 개구로 채워질 각도의 현 길이가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으로 구역을 채우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는 렌티큘러 스크린(10)의 허용각의 현을 따라 있는 면(180)에 직선상으로 정렬된 투영 개구(182,188,186)를 도시하고 있다. 허용각의현 길이와 동일한 선분를 여기서 기술된 투영 개구로 채움으로써,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은 렌티큘러 스크린 하부에 갭이 생기는 일이 없이 정렬된다.
그러나, 이전 특허에서 개시된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과는 달리,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은 렌티큘러 하부에 직접 정렬되지 않는다. 대신, 각 구역는, 구역을 만들어내는 렌티큘러에 대해 렌티큘러 스크린의 외부 에지를 향하여 위치가 변화된다. 위치가 변화되는 정도는 투영 중심(즉, 허용각의 이등분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뷰어가 직선모양 영상의 매치된 선을 정확히 인식하도록 확실히 해 주는 것은 바로 증가하는 이 위치변화이다. 게다가, 허용각이 하나의 렌티큘러라기 보다는 전제 렌티큘러 스크린에 기초하기 때문에, 허용각의 길이와 동일한 선분을 투영 각도로 채우기만 하면 확대되는 그 어떤 거리에 대해서라도 단일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허용각의 현은, 투영(90)이 보이는 렌티큘러의 바로 상부에서부터, 초점면(16)에 동일한 투영이 다시 한번더 보이는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이고 렌티큘러 스크린(10)에 평행한 경로를 따른 점(100)와 점(98) 사이의 선분(88)이다. 이 선분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점 광원이 원하는 확대(즉, 관찰)거리에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투영된다.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점 광원(330)이 확산반사면(diffuse reflective surface)과 접촉해 있는 초점면을 정의하는 렌티큘러 스크린(10)으로 투영된다. 이 목적을 위해, 확대기의 중심 렌즈는 개구가 아래쪽으로 항상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뷰어는 렌티큘러의 방향에 평행한 투영 개구(326)의 축(320)에 가까이에서 보았을 때 렌티큘러 스크린이 가장 밝게 나타나는 투영 개구의 면에 반점(斑點)(314)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 뷰어는 반점(316)을 향하여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인 선분(322)을 따라 렌티큘러 스크린에 평행하게 이동됨으로써 렌티큘러 스크린이 더 어둡게 나타나고, 스크린이 반점(324)에서 한번 더 가장 밝게 나타날 때까지 선분(322)을 따라 같은 방향으로 계속 이동된다. 다음, 가장 밝은 제1반점(314)의 중심과 가장 밝은 제2반점(324)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측정된다.
도 10에서, 가장 밝은 제1반점(314)의 중심은 점(98)이고 가장 밝은 제2반점(324)의 중심은 점(100)이다. 반점(314)과 반점(324)사이 측정된 거리는 허용각의 현 길이이다. 선분(88)(도 10)을 투영 개구로 채움으로써, 도 9의 구역(190-206)로 보인 바와 같이,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은 갭이 생기는 일이 없이 렌티큘러 스크린 하부에 정렬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원하는 확대 거리에서 허용각에 의해 정의된 현은 또한 그 정점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위치한 상태로 렌티큘러 스크린의 개구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정의된다.
3. 이용될 투영 개구의 개수.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진 독립된 2차원 영상의 개수와 독립된 2차원 영상을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하는 확대기에 의해 이용된 투영 개구의 개수에 근거해서 2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우선, 3차원 영상에서 스트로보 효과가 있게 된다(즉, 뷰어는 2개의 독립 영상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거나, 또는 뷰어가 자신의 머리를 움직일 때 하나의 렌즈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으로부터 다른 렌즈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 불충분한 수의 투영 개구가 이용되면 직선모양 영상의 선들 사이에 갭들이 발생할 수 있다. 직선모양 영상의 선들 사이에 발생한 갭은 인식된 3차원 영상을 손실시키고, 따라서 질을 떨어뜨린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확대 시스템에서는 2개에서 10개까지 임의의 개수로 투영 개구를 이용해왔다. 투영 개구의 개수를 임의대로 이용하는 것은 대개 불안정한 영상을 낳는데, 이것은 투영 개구의 개수가 확대 시스템의 능력과 인간 눈의 분해 능력에 의해서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영상의 물체를 인식한 깊이는 물체의 시차에 의존한다. 물체의 시차가 증가하면, 물체를 인식한 깊이도 증가한다. 하지만, 렌티큘러 스크린에 투영된 물체의 시차가 너무 크면, 뇌(brain)는 직선모양 영상을 일관성있는 3차원 사진으로 변형시킬 수 없게 된다.
도 12a는 원으로 이루어진 상부와 직선으로 이루어진 하부를 갖는 물체공간에 있는 물체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을 보여준다.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은 사용에 유리한 단일점으로부터 촬영된 것이어서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투영될 이산적인 영상의 열로 되어있다. 도 12b는 동일한 물체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이 3개의 다른 유리한 점으로부터 촬영할때의 개념상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2b에 보여진 물체의 전체 시차가 250이라는 표시로 나타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뇌는 한 번에 전체 시차의 일부만을 인식한다. 보통, 뇌는 렌티큘러 스크린 하에서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을 합체하여 가간섭성(coherent)의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낸다. 뷰어의 머리가 움직일 때, 뇌가 전체 시차의 다음 부분을 찾아서 그 부분을 인식하고 합체한다. 그러나, 도 12b에 보인 물체의 경우, 분리되어있는 영상의 각 쌍 사이의 시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영상 쌍에서 제일 왼쪽에서 제일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 각 쌍의 영상 사이의 큰 공간으로 인해 뷰어는 합체된 영상의 뚜렷한 변화를 인식하게 된다.
도 12c는 동일한 물체의 분리되어 있는 2차원 영상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의 바람직한 개수의 투영 개구로 만들어졌을 때의 개념적 결과를 보여준다. 252로 표시된 전체 시차는 도 12b에 나타난 전체 시차(250)과 같다. 그러나, 도 12c에서,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부가적인 수는, 인접한 영상들 사이의 시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뇌가 반복적으로 영상들을 합체하여 가간섭성의 3차원 영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 준다. 뇌는 연속하는 영상의 표시되기 때문에, 스트로보 효과가 제거된다.
스트로보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진 이산적인 독립 2차원 영상의 개수는, 인간의 눈이 얻을 수 있는 영상의 바람직한 최소 관찰 거리로부터 최대의 단일 시차와 같은 거리에 걸쳐서 분해가능한 선명도 및 대비를 가진 물체공간의 물체 외측 에지로 결정되는 선분의 수보다 크게 되어야 한다. "최대 단일 시차"라는 용어는 동일물체의 2개의 영상 사이에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일컫는 것으로서, 이것은 촬영자가 스트로보 효과를 없애고자하는 물체들의 2개 영상간의 최대거리이다.
예를 들어, 촬영자가 전체 시차 1.7cm, 2.0cm, 2.5cm 각각을 갖는 스트로보 효과 없는 3개의 물체가 있는 50cm의 최단 거리에서 보여지는 사진을 찍고자 한다면; 투영 개구의 개수는 50cm의 거리로부터 인간의 눈이 2.5cm(최대 단일 시차)를 분해할 수 있는 선분 개수보다 더 많아야 한다. 최소 관찰 거리에서 또는 그 이상의 거리에서 보았을 때, 시차가 2.5cm 이하인 물체스페이스내에 있는 이들 물체의 영상들은 스트로보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함께 흐르게 된다. 전체 사진이 스트로보 효과로부터 확실히 방지하려면, 물체의 배경은 물론 전경까지도 포함하여 스트로보 효과를 없애고자 하는 물체공간의 각 물체에 대해서 전체 시차를 비교해야 한다.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 사이에 갭이 생기지 않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서,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진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개수와 확대기에 의해 투영된 영상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개수는 선분들로 채워지는 초점면의 폭, 대개 직선모양 영상의 한 구역 내에서 시차의 방향으로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가능한 선분의 개수보다 많아야 하고, 여기에서 구역의 폭은 투영 개구면과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중심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다.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되는 선분의 개수는 뷰어에 의해 인식되는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분해능을 고려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기록 능력뿐만 아니라,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전달 능력까지 고려해야 한다.
(기록과 전달을 모두 포함하여)렌티큘러가 분해할 수 있는 선분의 개수는 투영 개구의 면으로부터 (확산반사면과 접촉해 있는 초점면을 정의하는)렌티큘러 스크린으로 점 광원을 투영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확대기의 중심렌즈는 개구가 아래쪽으로 항상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뷰어는 렌티큘러의 방향에 평행한 투영 개구(326)의 축(320)에 가까이에서 보았을 때 렌티큘러 스크린이 가장 밝게 나타나는 투영 개구의 면에 제1반점(314)(도 11)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 뷰어는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인 선분(322)을 따라스크린에 평행하게 이동됨으로써 렌티큘러 스크린이 더 어둡게 나타나고, 렌티큘러 스크린네 의해 반사된 빛의 밝기가 기선택한 최소 허용 레벨까지 감소되는 제2반점(316)까지 뷰어는 이동된다.
밝기의 최소 허용 레벨은 3차원 영상의 질을 포함한 많은 요인에 기초하여 촬영자가 선택한다. 바람직하게, 밝기의 최소 허용 레벨은 사용되는 기록 매체가 정상적인 노출에서는 인식가능한 영상을 더 이상 기록할 수 없는 점를 말한다. 다음, 뷰어는 제1반점(314) 방향으로 동일한 선분(322)를 따라 제2반점(316)으로부터 이동하여 렌티큘러 스크린이 다시 더 어둡게 나타나게 되고, 렌티큘러 스크린에 의해 반사된 빛의 밝기가 기선택된 밝기 레벨에 다시 있게 되는 제3반점까지 이동한다. 다음, 제2반점(316)의 중심과 제3반점(318)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측정된다. 측정된 거리는 중심 분해각의 현 길이이다.
중심 분해각은 폭이 가장 좁은 선분을 만들어내는 영상의 광학 투영에 의해 정의된다.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중심 렌티큘러 하부의 중심 분해 선분 j 는 이후의 투영 개구에 의해 만들어진 분해 선분 g, h, i, k, l, m 보다 폭이 좁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허용각의 현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분해각의 현 길이에 의해 나누어져 하나의 구역 내에 기록될 선분의 최소 개수를 결정하게 되어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이 서로 겹치게 된다.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분해능 각도는 렌티큘러의 광중심에서 피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다. 따라서, 렌티큘러의 광학심 바로 위에서 분해능 각도, 즉 중심 분해각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렌티큘러가 하나의 구역 내에서 분해할 수 있는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의 개수를 결정하는 또다른 방법은 광원에 렌티큘러 스크린의 음 감광성 재료를 노출시키고 그 다음 음 감광성 재료를 현상하는 것이다. 다음, 뷰어는 조명이 잘 된 방에서 똑같은 방법을 실행하고, 처음에 가장 밝은 반점을 보는 대신 가장 어두운 반점을 찾는다. 이런 방법은 감광성 재로의 분해능이 설명된다는 이점이 있다. 두 방법중 어느 방법으로도, 기선택된 밝기의 최소 허용 레벨에서 가장 밝은(또는 가장 어두운) 제1반점(314) 및 제2반점(316) 사이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고 그 결과는 배가되어 중심 분해각의 현 길이의 대략 측정을 가능케 한다. 또한 양 감광성 재료를 노출 및 현상함으로써 그리고 최초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4. 투영 개구의 크기 및 간격.
렌티큘러 스크린은 확대기 렌즈의 투영 개구를 통과한 영상 정보만을 기록한다. 그러므로, 투영 개구의 폭은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작동 매개변수에 적합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투영 개구의 폭은 확대기 렌즈의 열 방향으로 측정된 폭을 말한다. 양질의 직선모양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은 균일한 폭을 이루어야 한다. 선분의 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1) 투영 개구의 폭, 그리고 렌티큘러 스크린과 투영 개구면 사이의 길이; 2) 투영된 영상의 강도; 그리고 3) 렌티큘러 스크린의 수차.
선분의 폭은 투영 개구의 폭 및 렌트큘러 스크린과 투영 개구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이론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이 이론적 모델은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특성으로 인하여 일그러진다. 첫째, 각 선분의 폭은 투영된 영상의 강도의 기능을 한다; 투영된 영상이 더 밝을수록 선분의 폭은 더 넓다. 게다가, 특정 렌티큘러 스크린의 수차로 야기된 일그러짐은 렌티큘러 시스템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선분의 폭을 제한한다.
도 14는 광학적으로 완벽한 렌티큘러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다. 점 광원(14)으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10)의 표면에 투영된 빛은 초점면(16)에 있는 이산적인 점(18)에 수렴한다. 광학중심(20)은 렌티큘러를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광학중심(20)을 통과하는 점로서 편향을 겪지 않는 점이다. 이상적인 렌티큘러는, 초점면의 광학중심을 통과하는 광선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과 교차하는 점에서 광원(14)으로부터 방사된 광선이 수렴되도록 구성된다.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공지의 방법 및 장치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렌티큘러가 이상적인 것이라고 가정하며, 따라서 직선모양 영상을 정확히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렌티큘러의 표면에서의 수차는 렌티큘러를 통과하는 광경로에서의 일그러짐을 만들어낼 수 있고, 또 일그러짐은 항상 일어난다.
도 15는 수차를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일반적인 렌티큘러을 통과하는 광경로를 보여준다. 광원(14)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10)의 표면으로 투영된 빛은 광학중심(20) 하부의 초점면(16)에 영상을 만들어낸다. 만들어진 영상은 렌티큘러 표면의 수차로 인해 일그러지고, 따라서 스페이스(22)의 폭을 가로질러 퍼지게 된다. 렌티큘러의 분해능 및 감광성 재료의 분해능으로 인해 렌트큘러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보았을 때 일그러짐이 보이게 된다. 추가로 일그러진 것은 영상을 스페이스(24)의 보다 넓은 폭을 거쳐 퍼지게 한다. 점증적인 일그러짐의 크기는 방사된 빛의 입사각도와 관련된다. 게다가, 이들 일그러짐은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 길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불완전성에 의한 일그러짐의 전체 양은 공지된 확대기 및 렌티큘러 스크린에 대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투영된 영상의 폭이 차지할 수 있는 하부 범위가 고유한 낮은 한계가 있다. 뷰어에 의해 보여지듯이, 투영 점로부터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직선모양의 영상에서 가장 좁은 선은 분해 선이라고 불린다. 만약 투영 개구가 렌티큘러의 분해 선보다 좁은 초점면에 영상을 투영한다면,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렌티큘러 수차는 영상의 폭을 분해 선분의 폭으로 증가시킬 것이다.
일그러짐의 다른 원인은 렌티큘러 시스템에 투영된 빛의 강도에 관련한다. 도 16a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직선모양 영상의 단일 선분의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높이와 폭은 스크린에 투영된 빛의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선분의 전체 폭은 표시 28로 표시되어 있다. 강도, 따라서 빛의 유효성은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촬영자는 그래프의 경사를 따라 빛의 강도가 어디에서 불충분한지를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스크린으로 투영된 영상을 보았을 때, 뷰어의 눈은 26으로 표시된 가장 강한 영역만을 인식한다. 도 16b는 조금 덜한 빛의 강도에 노출된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32로 표시된 선분의 실제 폭, 그리고 30으로 표시된 선분의 유효 폭은 도 16a에서 나타낸 선분보다 좁다.
선분의 유효 폭이 투영된 영상의 강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선분의 폭은 기록되고 있는 영상의 강도에 따른 길이 전반에 걸쳐 다양하다. 도 17b는 다른 강도에 노출된 직선모양 영상의 인접 선분들을 보여준다. 도 17a는 상기에서 길이 전반에 걸쳐 영상의 강도가 변화하는 3차원 영상에 나타난 바대로 동일한 두 개의 선분을 보여준다. 선분들은 고르지 못하고 따라서 갭을 형성하며 직선모양의 영상에서 겹쳐진다.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들이 일정한 폭이 되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강도가 영상 길이 전반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던가, 아니면 영상이 렌티큘러 시스템의 물리적 범위 내에 투영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의 분해능 범위에 선모양 영상의 선분들 폭에 관한 것이다. 선모양 영상의 선분이 렌티큘러의 분해 선분의 폭에 제한되면, 만들어진 각 선분은 해당 분해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게 될 것이다. 도 16c는 예를 들어 확대기의 중심렌즈를 전하부 방향에 대하여 차페함으로써 점 광원에 의해 만들어진 대비와 기선택된 농도를 갖는 분해 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은 이 분해 선분보다 작은 선모양 영상의 선분을 기록할 수 없다.
렌티큘러 프린트 시스템에 대한 투영 개구의 최대 크기를 결정하는데는 중심 분해 선만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치 각도의 증가에 따라 렌티큘러 스크린의 표면에서의 수차가 증가하기 때문에, 분해 선은 렌티큘러의 중심에서부터 외부 에지로 그 폭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해당 분해 선과 동일한 폭인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을 각 투영 개구가 확실히 만들어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영 개구의 2차 축, 즉 투영개구면에 있고 렌티큘러의 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분해각의 현 길이와 동일하게 하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13은 중심 분해각 델타(δ)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초점면(16)을 갖는 렌티큘러 스크린(10)에 있어서, 각 렌티큘러는 광학중심(20)을 가지며 초점면(16)에 g, h, i, j, k, l, m 으로 표시된 선분는 광원에 대응하여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된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에 해당한다. 선분 g, h, i, j, k, l, m의 폭은 분해능, 즉 광학중심(20)을 갖는 렌티큘러의 분해 선의 폭을 나타낸다. 공지된 바와 같이, 가장 폭이 좁은 선분이 중심 렌티큘러의 주 광축 바로 하부의 초점면에 위치되었다. 그러므로, 도 13의 중심 분해 선분 j 가 가장 폭이 좁다.
중심 분해각 δ는 렌티큘러의 광학중심(20) 바로 하부에 위치한 분해 선의 분해 각도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심 분해각은 광학중심(20)을 통해 선분(d)의 단부를 기하학적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된다. 완전히 각도 δ내에 있는 렌티큘러의 광학중심면으로부터의 거리 h에 투영 개구를 위치시킴으로써, 그리고 투영 개구의 주광축을 렌티큘러의 주광축(310)에 일치되게 함으로써, 초점면(16)에 만들어진 선분의 폭은 선분 j 보다 절대로 좁아지는 일이 없는데 선분 j가 중심 분해 선이기 때문이다.
투영 개구(308)의 면에 있는 선분(312)이 초점면(16)에 평행하고 또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이라면, 선분(312)와 각도 δ가 양측변이 교차하는 점 A, B는 간격 h로 된다. 뷰어가 스크린을 관찰하는 동안 점 광원이 거리 h로부터 각도δ를 통해 렌티큘러 스크린(10)으로 방사되면, 정면도에서만 보았을 경우 반점(314)(도11)이 주광축(310)(도 13)과 일치하게 된다. 렌티큘러 스크린에 의해 조명된 선분 j가 뷰어쪽으로 향하여 후방으로 투영될 것이고, 뷰어는 반점(314)에서 밝은 영상을 보게 될 것이다. 점 A(도 13)에 가까운 반점(316)(도 11)에, 하지만 분해 각도 δ의 외부에 뷰어의 눈이 위치한 상태에서, 뷰어는 렌티큘러 스크린에 의해 반사된 급격히 감소된 밝기를 보게 될 것이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심 분해각의 현 길이는 이 효과에 의거하여 시각적으로 결정된다. 중심 렌티큘러 하부의 중심 분해 선분(도 13의 j)의 폭은 Lf/h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h는 투영 개구면에서부터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에 이르는 길이이다; L은 거리 h에서의 중심 분해각의 현(도 13의 선분 AB)의 길이이다; 그리고 f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분해각은 재귀반사 렌즈 시스템의 분해능 특성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렌즈의 초점 길이와 동일한 거리 f로 확산 스크린(416)의 상부에 테스트렌즈(412)가 위치된다. 양방향 거울(two-way mirror, 400)이 그 반사 표면이 렌즈 상부에 거리 p로, 그리고 그 주광축을 따라 위치된다. 점 광원(402)은 테스트렌즈(412)의 광학중심(420)으로부터 수직 거리 p로 확산 스크린(416)에 평행한 면에 위치된다. 점 광원(402)을 테스트렌즈(412)로 방출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관찰 방향을 갖는 센서(404)는, 확산 스크린(416)에 평행하고 렌즈의 주광축(410)에 수직인 면(418)에 측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양방향 거울(400)의 반사면위에 어느 정도의 거리(g)를 두고 위치한 센서에 의해서, 확산 스크린(416)상의 분해선의 폭(j)이 상기 방법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확산 스크린(416)의 또 다른 영역에서 분해선의 폭(j1)을 측정하기 원한다면,도 18의 가상선(phantom lines)으로 표시된 것처럼, 테스트 렌즈(412)를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각도(408)는 점 광원(402)에서 방출된 빛의 입사각이다. 분해각이 렌즈의 분해능(resolution) 및 확산 스크린의 조도(roughness)와 상관하기 때문에, 한 쌍의 면의 상대 확산은 테스트 렌즈(412)를 사용하여 두 개의 재귀반사(retro-reflection) 렌즈 시스템의 분해 특성을 공지의 분해능과 비교함으로써 비슷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확대기를 위해 선택된 투영개구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으로부터 투영개구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 중심 분해각의 현의 길이보다 더 넓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거리에서 중심 분해각내에 맞는 폭을 가진 투영개구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중심 분해각은 투영개구면에서 렌티큘러의 광학중심을 통해 투영될 때 중심 분해선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선분을 발생하는 현에 의해 정의되는 각이다. 일단 공식 jh/f을 사용하여 중심 분해선의 폭(j)을 알게 되면, 상기 투영개구면과 렌티큘러 것의 광학 중심의 면 사이의 거리(h)에 대한 이러한 현의 길이를 알아낼 수 있다.
도 19b의 면(52)위에 있는 렌즈 세트(40)에 의해 보여지는 것처럼, 직선 모양으로 배열된 열의 투영개구는 투영개구의 에지가 서로 맞대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다행히도, 렌티큘러의 중심 분해선보다 더 작은 초점면상에 영상을 분해할 수 없기 때문에, 각 투영개구의 폭은 중심 분해각의 현의 길이 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즉, 중심 분해각을 완전히 채우기에 필요한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 분해각의 현의 길이보다 더 좁은 각각의 투영개구의 폭에 따라 구성되고, 투영개구의 제2 축이 같은 간격으로 유지되는 렌즈 세트는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9a의 (48)에 의해 나타난 것처럼, 평면(54)의 렌즈 세트(950)는 제2 축 사이의 간격이 같은 한 세트의 렌즈를 보인다. 같은 크기, 같은 간격의 투영개구의 세트가 차지할 수 있는 가장 밀집한 평면은 인접한 투영개구의 제2 축 사이의 간격이 중심 분해각의 현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이다.
한 세트의 같은 크기, 같은 간격의 투영개구가 인접한 투영개구의 제2 축 사이의 간격이 중심 분해각의 현의 길이와 같도록 놓일 수 있는 평면이 "거리 한계의 평면(Plane of the Distance Limit)"으로 불려진다. "거리 한계"라는 용어는 렌티큘러 스트린의 광학 중심의 평면과 거리 한계의 평면 사이의 간격을 일컫는다. 중심 분해선의 폭(j),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 길이(f), 인접한 투영개구의 제2 축 사이의 간격(r)(도 19a의 (48)), 그리고 렌티큘러 광학 중심의 평면과 투영개구면 사이의 거리 한계(h)는 방정식 h/f = r/j에 의해 관련된다.
거리 한계의 평면이 존재한다는 증거는 다음과 같다: 만약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평행하고 렌티큘러 것의 방향에 수직인 직선의 부분이 있다면, 이러한 선분와 렌티큘러 스크린 사이에 거리 한계가 있고, 거리 한계로부터, 또는 더 큰 거리로부터 렌티큘러와 감광성 재료에 의해 분해되는 선분의 길이의 중심 투영은 중심 분해선의 폭과 같다. 렌티큘러 스크린과 평행하고, 이러한 선분가 위치되어 있는 평면은 거리 한계의 평면이라고 불린다. 프린트시, 조건이 투영개구면이 투영개구의 제2 축사이의 거리에 대한 거리 한계의 평면에 있을 경우, 또는 한계 거리보다 더 큰 거리에 있을 경우에 존재한다.
도 20은 투영개구가 중심 분해각(38) 보다 더 넓어서, 거리 한계보다 더 가깝게 있는 렌즈 세트(40)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렌즈 세트(40)은 초점면상의 각 투영개구에 의해 발생된 영상이 중심 분해선보다 더 넓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그 결과의 직선모양의 영상은 폭이 균일하지 않은 도 17a에 도시된 선분과 비슷한 선분을 포함할 것이다. 추가로, 렌즈 세트(40)의 투영 개구가 , 갭이 광원에 의해 발생된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 사이에 생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따라 투영개구를 방사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투영개구는 중심 렌티큘러 아래에 초점면상에 점(23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바깥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방사상의 이동 경로는 점(230)에 위치된 그들의 꼭반점을 가지는 반지름을 참고로 결정되어야 한다. 도 8은 투영 방향(238, 240, 242)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점(230)에서 그 꼭반점을 가지는 개구각도와 같은 각도 중에서 실질적으로 방사상의 바깥방향으로 투영개구을 이동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투영개구를 이동시키는 것은 투영개구의 허용각(208, 210, 212)내에 있도록 함에 따라,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 사이에 갭을 발생시키지 않고 직선모양영상의 구역을 완전히 채우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토론이 비록 구성 단계에 대해 지적되어 있지만, 사진 촬영, 또는 영상 단계에도 관계가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인정될 것이다. 촬영자는 촬영되는 대상에 관하여 카메라 렌즈 그리고 작성 단계 동안 사용되는 렌티큘러 스크린에 대한 렌즈 세트를 선택한다. 렌즈의 배열을 결정할 때, 촬영자는 직선상으로배열된 렌즈의 열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개구각도과 같은 각도에 최종 사진 프린트에서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이 되도록 선택된 관찰면상에 위치된 꼭지점이 채워지도록 카메라를 설치한다. 따라서 카메라의 각도 범위는 3차원 영상을 프린트할 때 확대기의 각도 범위에 필적한다.
5.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2차원 영상의 합체를 달성하기 위해 표준배치에 대해 카메라 및 확대기의 교정(calibration).
카메라의 렌즈 및 확대기의 렌즈의 위치와 초점 길이, 그리고 중간 매체, 예를 들면, 필름상에 기록된 분리된 2차원 영상의 위치 및 크기는 영상이 완성된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보일 때 안정하고 알기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촬영자가 3차원 영상을 만드는데 있어서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빠르고 정확하게 2차원 영상을 합체시키는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빠르고 정확한 합체를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는 확대기가 교정되는 표준배치에 따라 예를 들어, 점(120)에 대해 합체되는 물체공간내에의 물체의 다수의 영상을 만들어야 한다.
"표준배치"이란 용어는 카메라의 렌즈, 확대기의 렌즈 및 중간 매체상에 기록된 직선상으로 배치된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열 사이의 소정의 관계를 말하며, 다음 세가지 조건을 만족한다: 1) 확대기의 투영개구는 거리 한계와 같거나 더 큰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의 거리에 놓이고; 2)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121)상의 점(120)에 대해 합체되는 물체공간내의 물체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135, 141, 147)은 실질적으로 같은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가장 바깥쪽의 영상(135,147)과 각각, 허용각의 현의 말단(103, 101) 사이의 거리는 인접한 영상(135, 141)사이의 거리의 반과 같고; 그리고 3) 평면(108)상의 투영 렌즈의 광학 중심(112, 114, 116)은 점(120)에 대해 합체될 물체공간내의 물체의 영상(135, 141, 147)을 연결하는 반경 방향의 선분(126, 128, 130)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조건은 카메라의 렌즈가 렌티큘러 스크린의 허용각과 같은 각도(110)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고, 투영 렌즈의 광학 중심이 2차원 영상에 대해 적절한 관계로 놓이도록 함에 따라, 오소스코픽 효과(orthoscopic effect)를 얻는다. 또한, 렌티큘러 스크린의 개구각도와 같은 각도(110)의 꼭지점에서(즉, 카메라 렌즈의 바라보는 방향이 바라보는 면상에 수렴되는 곳에서) 물체공간내의 어떠한 물체의 영상은 영상이 일치하도록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단일 점에 합체될 수 있다. 제일 중요한 것은 투영되는 영상의 간격이 렌티큘러 스크린상에서 합체될 관찰면상의 물체의 기하학적 투영이 아니고, 광학적 투영에 바탕을 둔다는 것이다.
영상이 상기 조건에 따라 제작된 확대기 내에 꼭 맞도록 물체공간내의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복수의 2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카메라라면 그 확대기와 공통의표준배치를 보유한다. 따라서, 렌티큘러 스크린의 개구각도이 카메라와 확대기를 형성하는 개구각도와 같다면 어떠한 형태의 렌티큘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된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특정 열은 "표준열의 영상"으로 불린다. 이러한 표준열의 영상은 특정 표준열의 영상에 대하여 카메라 및 확대기를 광학적으로 교정(미국 특허 제3,953,869호에 개시된 것처럼, 기하적으로 교정하는 것과는 반대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표준열의 영상에 대해 교정된 모든 카메라 및 확대기는 교환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의 렌즈와 확대기의 렌즈의 설치 및 교정은 3차원 영상의 이전 요구조건을 고려해서 선택된 표준열의 영상에 따라 이루어진다. 렌티큘러 스크린상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정확한 합체를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렌즈내의 공차(tolerances) 및 수차(aberrations)에 의해 생기는 사진상의 스케일의 편차를 피하기 위해서, 기선택된 관찰면에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점은 필름상의 카메라에 의해 기록되어야 한다. 따라서, 확대기에 의해 투영되는 표준열의 영상을 발생한다. 이어서 각각의 기준 점의 영상의 세트는 확대기의 렌즈의 위치 및 초점을 조정함으로써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동시에 일치하도록 만들어진다. 같은 방법이 기선택된 관찰면에 위치된 스크린상에 표준열을 투영하고 각 기준 점의 영상의 세트가 부가의 카메라에 대해 관찰면상에 일치하도록 카메라의 렌즈의 위치 및 초점을 조정함으로써 영상의 표준열에 대해 부가의 카메라를 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확대기, 중간 매체상에 기록된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의 열, 그리고 그것들의 표준배치는 서로 의존하는 시스템을 형성한다.
카메라의 렌즈와 발생된 영상의 음(negative)사이의 상호관계를 조작하여, 다양한 촬영 상황을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사가 카메라의 렌즈의 열이 효과적으로 허용각을 채우지 않고 사진을 찍었다면, 확대기는 합체면을 변경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음(negative)(134,140,146)을 평면상에서 이동하는 것은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관하여 카메라의 관찰면의 위치를 직선상으로 조정한다. 만약 음이 평면(106)에 안쪽으로 이동된다면, 영상은 위치(118)에서 인지될 것이다. 반대로 음이 평면(102)에 대해 바깥쪽으로 이동된다면, 영상은 위치(122)에서 인지될 것이다. 당업자는 유사하게 다른 조작을 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Ⅱ. 장치
여기에 설명된 우수한 품질의 3차원 영상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많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경우에, 카메라 렌즈의 질은 확대기 렌즈의 질과 같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가장 단순한 설계에서는, 평행하고, 표준 배치에 따라 영상의 표준열에 대해 교정되고, 직선상의 후판 가운데에 세트된 주광축을 가진 일렬의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사이의 초점 및 간격이 고정되어 있다. 각 렌즈는 셔터와 개구 장치와 연결되어, 카메라내의 칸막이에 의해 분리된 필름상에 이산적인 2차원 영상을 만들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카메라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촬영자에 의해 선택된 기선택된 관찰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카메라는 렌즈의 후판을 교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의 후판은 촬영자가 주어진 초점 길이를 가진 일렬의 렌즈를 상이한 초점 길이를 가진 또 다른 열의 렌즈로 대체할 수 있게 허락한다. 하지만, 각각의 교환 가능한 렌즈의 후판을 여기서 설명된 표준열의 영상에 따라 교정되어야 한다. 카메라는 또한 다양한 초점 길이를 가진 렌즈의 후판을 포함하여 2차원 영상의 스케일을 어울리게 변화시킬 수 있다. 카메라처럼, 확대기도 몇가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확대기는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필름과 감광성 재료사이의 일정 고정 거리를 사용하여 구성하기 위해 평행한 주광학 축을 가진 렌즈의 고정 후판을 포함하여도 된다.
두 번째, 확대기는 평행한 주광학을 가진 렌즈의 교환 가능한 열을 포함하여도 된다. 전과 같이,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필름과 감광성 재료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세 번째, 확대기는 필름이 실질적으로 렌티큘러 스크린을 향해 또는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투영개구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되는 동안, 확대기의 각 렌즈가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기선택된 점에 비하여 실질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확대기는 관찰면이 렌티큘러 스크린상의 초점면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네 번째, 확대기는 필름상의 2차원 영상의 열은 실질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확대기의 각 렌즈가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의 기선택된 점에 대해 실질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이동에 적응시키기 위해, 필름을 자르거나 구부리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스케일의 보정을 고려하고 다양하게 간격을 유지하는 렌즈를 가진 상이한 카메라의 사용을 고려한다.
다섯 번째, 확대기는 필름이 실질적으로 렌티큘러 스크린쪽으로 또는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투영개구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확대기는 각 렌즈가 렌티큘러 스크린의초점면상의 기선택된 점에 비해 실질적으로 방사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렌즈의 열은 교환 가능하게 구성될 것이고, 주어진 초점 길이를 가진 렌즈의 방사상의 이동이 상이한 초점 길이를 가진 방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의 또 다른 열로 교환되도록 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카메라처럼, 확대기는 다양한 초점 길이를 가진 렌즈를 포함하여 2차원 영상의 스케일을 어울리게 변화시킬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멀티렌즈 카메라로 다수의 분리된 2차원 영상을 1회공정으로 결상하고, 멀티렌즈 확대기로 3차원 영상을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1회공정으로 프린트하는 것에 관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렌티큘러 스크린은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서로 평행하고 감광성 재료와 접촉하는 초점면위에 놓인 다수의 선형렌즈, 또는 렌티큘러(lenticula)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감광성 재료는 초점면에 고정되어 있다.
렌티큘러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사진에 사용하기 위한 직선모양의 영상을 만들려고 시도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관심 있는 네 가지 주요 항목이 있다:1)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 사이에는 어떠한 갭도 없어야 한다; 2)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 사이에는 어떠한 갭도 없어야 한다; 3) 스트로보 효과(stroboscopic effect) 없이 3차원 영상을 만들기에 충분한 독립된 2차원 영상이 있어야 한다; 4) 2차원 영상을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바르게 합체(amalgamation)시킨다. 발명된 본 방법 및 장치는 구역사이의 갭이 없고 선분 사이에 갭이 없는 연속적인 직선모양의 영상이 만들어지도록 렌티큘러 시스템의 개념적인 모델을 재 정의함으로써 실제 작업가능한 시스템의 각 문제를 처리하여 해결함에 따라, 우수한 3차원 사진을 형성한다.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 사이에 갭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이미 인정되고 있는 이론은 각각의 구역이 렌티큘러 아래공간의 정확한 폭을 차치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상기 중요한 각 항목을 만족하기 위해,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은 렌티큘러 아래 공간의 정확한 폭보다 더 큰공간을 차지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실제로, 구역의 폭은 렌티큘러 스크린으로부터 투영면, 즉, 투영개구면의 거리에 의해서 변한다. 수학적으로, 구역의 폭은 공식 w((f/h)+1)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w는 렌티큘러의 폭, f는 렌티큘러의 초점 길이, h는 투영개구면에서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까지의 거리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측정될 필요가 있는 것은, 투영개구로 충분히 채워지는 경우, 구역사이에 갭이 없는 상태로 직선모양의 영상을 형성하는 각도의 현의 길이이다. 이들 각도는 허용각이라 불린다. 허용각은 도 9와 도 10에서 자세히 표시되어있다.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에서 투영개구면까지의 정해진 거리에 대한, 허용각의 현의 길이는 렌티큘러 스크린에 평행하고 렌티큘러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렌티큘러 스크린이 가장 밝게 나타나는 제1 반점(斑點) 사이에서 어두운 지역을 통해 다시 한 번 렌티큘러 스크린이 가장 밝게 나타나는 제2 반점까지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와 같다.
실제 허용각을 알아내기 위해, 촬영자가 사용하기 원하는 렌티큘러 스크린 영역위에 허용각의 현의 중심을 맞춘다. 이러한 현의 길이는 또한 공식 w((h/f)+1)에 의해 알 수 있다. 허용각의 현의 길이를 투영개구로 채움으로써, 직선모양 영상의 구역 사이에는 갭이 없어질 것이고, 그에 따라서 우수한 3차원 영상이 나타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에서 투영개구면까지의 정해진 거리에 대한, 허용각에 의해 정의된 현은 그 꼭반점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놓인 개구각도와 같은 각에 의해 정의된다.
직선모양 영상의 인접한 선분사이의 갭은, 선분으로 채워지는 초점면상의 폭내에서, 전형적으로는 직선모양 영상의 하나의 구역내에서, 단 한 개의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선분 수보다 더 많은 다수의 투영개구를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구역의 폭은 투영개구면과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 사이의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직선 모양 영상의 인접한 선분들은 겹치게 된다.
또한, 많은 렌티큘러 스크린 사진에서 보이는 스트로보 효과는 충분한 수의 2차원 영상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물체공내의 어떠한 물체, 물체들, 또는 물체의 일부분에 대한 스트로보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카메라에 의해 만들어진 2차원 영상의 개수는 결과로 만들어진 3차원 영상의 기선택된 최소 조망 거리로부터의 가장 큰 단일 시차와 같은 거리에 걸처 사람의 눈이 분해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선명도 및 대비를 가진 영상의 에지를 정의하는 선분수보다 더 많아야 한다. 가장 큰 단일 시차라는 용어는 확대기의 가장 바깥쪽 렌즈에 의해 투영된 물체공간내의 같은 물체의 두 영상사이에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의 거리를 말하며, 촬영자가 스트로보 효과가 없어지기를 바라는 어떤 물체의 두 영상 사이의 가장 큰 거리이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상에 투영된 2차원 영상의 열을 표준화함으로써 마지막 문제인, 합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표준화는 카메라(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2차원 영상을 형성한다) 및 확대기(2차원 영상을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투영시키고 직선모양의 영상을 프린트한다)에 모두 공통되는 소정의 기준배치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초기에, 카메라의 렌즈와 확대기의 렌즈는 이러한 소정의 기준배치에 대해 교정된다. 그다음 카메라 또는 확대기중 하나의 광학 부재를 이동시킬 때, 그것들이 소정의 기준배치에 대하여 비례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배치를 사용하여, 2차원 영상이 적당히 합체됨에 따라 선명한 직선모양의 영상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지금까지 소요되었던 것보다 적은 시간으로 양질의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테렌즈 카메라를 사용하여 1회의 노출로 대상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다수의 2차원 영상을 다수 만들어내고, 또 멀티렌즈 확대기를 사용하여 1회의 노출로 3차원 영상을 프린팅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영상을 합체하는데 이전보다는 적은 노력이 드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영개구면과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중심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 독특한 허용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거리에서 보았을 때 안정되고 가간섭성의 영상으로서 감지되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오소스코프 효과를 갖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트로보 효과를 갖지 않는 3차원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역들 사이에 갭이 없고 선분들 사이에 갭이 없는 직선모양의 영상을 만들어내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렌티큘러 렌즈 시스템의 중심 분해각(centralresolution angle)의 현(chord)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재귀반사(retroreflective) 렌즈 시스템의 분해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입체 영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시스템의 멀티렌즈 카메라와 멀티렌즈 확대기에 정렬의 공통 기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이 촬영된 물체의 우수한 3차원 영상을 생산하는 물체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활용함에 따라, 사진 작가는 스트로보 효과 없이, 오소스코픽 효과를 가진 우수한 3차원 영상을 이전에 가능했던 것보다 더욱 빠르고 더욱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이전의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최선의 양태 및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부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물체공간내의 적어도 하나의 물체(element)에 대한 다수의 이산적인(discrete) 2차원 영상으로부터 입체 영상을 만들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2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수단; 그리고
    초점면위에 놓인 다수의 종방향 렌티큘러를 포함하고, 상기 초점면에 평행한 광학중심면을 정의하며, 광학중심면에서 투영개구면까지 기선택된 어떠한 거리에 대하여서도 투영개구면상의 허용각의 현을 정의하는 소정의 허용각을 가지는 렌티큘러 스크린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에 대해 간격을 유지하고, 협동하여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을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투영하고, 투영개구면상에 직선상으로 배열되면서 간격을 두고 있는 다수의 투영개구를 포함한 투영 수단을 가지는 입체 영상을 프린트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투영수단에서 상기 투영개구의 개수 및 상기 투영개구 각각의 위치는 상기 투영개구가 다수의 2차원 영상을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상에 투영하여 인접한 구역사이에 갭이 없는 다수의 구역으로 되는 초점면상의 직선모양 영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구역의 각각은 인접한 선분사이에 갭이 없는 다수의 2차원 영상에 상응하는 다수의 선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분의 각각은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 될 수 있는 가장 좁은 선분보다 더 넓지 않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을 형성하는 수단은, 1회의 공정으로 다수의 2차원 영상을 중간 매체상에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린트하는 수단은 1회의 공정으로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에 대하여 상기 투영 수단을 이동시킴이 없고, 그리고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에 대하여 상기 중간 매체를 이동시킴이 없이 직선모양 영상을 초점면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은 상기 다수의 선분을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구역 각각에 투영되고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은 상기 다수의 렌티큘러가 상기 다수의 구역 각각내의 초점면에서 분해할 수 있는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의 수보다 더 많은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2차원 영상은,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의 가장 바깥쪽에 의해 투영된 물체공간내의 동일 물체의 두 영상 사이의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의 거리와 같은 거리에 걸쳐 사람의 눈이 분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선명도와 대비를 가진 영상의 에지를 정의하는 선분의 개수보다 더 많고, 상기 거리는 기선택된최단 관찰 거리로부터 볼 때 촬영자가 스트로보 효과가 없기를 바라는 상기 물체의 두 영상 사이 거리의 최대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하기 수단은,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상기 다수의 종방향 렌티큘러와 접촉하는 감광성 재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하기 수단은, 멀티렌즈 확대기이고,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는 투영개구면상의 허용각에 의해 정의된 현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렌티큘러 각각은, 상기 기선택된 중심 분해각을 가지며, 상기 각 중심 분해각은 광학중심면에서 투영개구면까지의 기선택된 거리에 대한 투영개구면상의 중심 분해각의 현을 정의하며;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의 최소 개수는 투영개구면성의 허용각에 의해 정의된 현의 길이를 투영개구면상의 중심 분해각에 의해 정의된 현의 길이로 나눔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는 각각 투영개구면상의 중심 분해각의 현의 길이보다 더 넓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는 각각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에 수직인 주광축 및 상기 렌티큘러의 방향과 평행한 투영개구면상의 제2 축을 가지고;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중 인접한 투영개구의 제2 축사이의 거리는 투영개구면상의 중심 분해각에 의해 정의된 현의 길이보다 더 길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의 가장 바깥쪽의 제2 축과 상기 투영개구면상의 허용각에 의해 정의된 현의 각 양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다수의 투영개구중 인접한 투영개구의 제2 축 사이의 거리의 반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물체공간내의 적어도 하나의 물체에 대한 다수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으로부터 입체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교정(calibrating)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준열의 영상이 멀티렌즈 카메라에 의해 투영될 때, 적어도 두개의 기준 점의 영상이 상기 카메라의 기선택된 평면상에 일치하도록 적어도 두개의 기준점을포함하는 표준열의 영상을 형성하는 단계;
    초점면을 정의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구비하는 멀티렌즈 확대기를 사용하여, 상기 표준열의 영상을 관찰 매체상에 투영하고,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점의 영상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에 일치하도록 상기 확대기의 렌즈를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교정 방법.
  12. 기선택된 제1 관찰면의 단일 점에서 수렴하는 관찰방향을 가지며 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 1 광학 렌즈를, 기선택된 제2 관찰면의 단일점에서 수렴하는 관찰방향을 가지며 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2 광학 렌즈에 대해 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2 광학 렌즈를 사용하여, 상기 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2 광학 렌즈의 기선택된 제2 면에 위치한 적어도 두 개의 기준점을 포함하는 표준열의 영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광학 렌즈를 사용하여, 상기 표준열의 영상을 상기 기선택된 제1 면에 투영하고,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점의 영상이 상기 기선택된 제1 면상에 일치하도록 상기 직선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광학 렌즈를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방법.
  13. 소정의 개구각도를 가지면서 초점면을 정의하는 다수의 종방향 렌티큘러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스크린과;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과 접촉하고 그 위체 기록된 직선모양의 영상을 가진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모양의 영상은 다수의 종방향 렌티큘러에 상응하는 다수의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구역은 인접한 선분사이에 갭이 없는 상태로 감광성 재료에 동시에 기록된 물체공간내의 적어도 하나의 물체에 대한 다수의 이산적인 2차원 영상에 상응하는 다수의 선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선분은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렌티큘러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가장 좁은 선분보다 더 넓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역에 있는 선분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렌티큘러중 하나가 각각의 구역내의 초점면상에서 분해할 수 있는 직선모양 영상의 선분수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구역중에서 인접한 구역사이에는 갭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역에 있는 선분의 개수는 물체공간내의 동일 물체의 두 영상사이의 상기 렌티큘러 스크린의 초점면상의 거리와 같은 거리에 걸쳐 사람의 눈이분해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선명도와 대비를 가지는 영상의 에지를 정의하는 선분수보다 더 많고, 상기 거리는 기선택된 최소한의 관찰거리로부터 볼 때 스트로보 효과가 없는 이들 물체의 두 영상 사이의 거리중 가장 큰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KR1019980710046A 1996-06-03 1996-06-03 3차원사진촬영방법및장치 KR100315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6/009891 WO1997046913A1 (en) 1996-06-03 1996-06-03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62A KR20000016462A (ko) 2000-03-25
KR100315851B1 true KR100315851B1 (ko) 2002-04-24

Family

ID=2225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046A KR100315851B1 (ko) 1996-06-03 1996-06-03 3차원사진촬영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946077A (ko)
EP (1) EP0902913A1 (ko)
JP (1) JP2000511650A (ko)
KR (1) KR100315851B1 (ko)
AU (1) AU713898B2 (ko)
BR (1) BR9612680A (ko)
CA (1) CA2256345C (ko)
CO (1) CO4650085A1 (ko)
CZ (1) CZ396698A3 (ko)
HU (1) HUP9903495A3 (ko)
ID (1) ID17337A (ko)
IL (1) IL127960A (ko)
MY (1) MY112846A (ko)
NO (1) NO985606L (ko)
NZ (1) NZ333543A (ko)
PL (1) PL179677B1 (ko)
TW (1) TW349184B (ko)
UY (1) UY24376A1 (ko)
WO (1) WO1997046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O884297A0 (en) * 1997-08-27 1997-09-18 Orme, Gregory Michael Imaging devices
US6344837B1 (en) 2000-06-16 2002-02-05 Andrew H. Gelsey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with picture elements formed from directionally modulated pixels
IL139995A (en) 2000-11-29 2007-07-24 Rvc Llc System and method for spherical stereoscopic photographing
US6947059B2 (en) * 2001-08-10 2005-09-20 Micoy Corporation Stereoscopic panoramic image capture device
AU2004313174A1 (en) 2003-12-26 2005-07-21 Micoy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imag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050259148A1 (en) * 2004-05-14 2005-11-24 Takashi Kubara Three-dimensional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FR2873459A1 (fr) * 2004-07-23 2006-01-27 Franck Andre Marie Guigan Dispositif optique a reseau lenticulaire
JP2006098775A (ja) * 2004-09-29 2006-04-13 Toshiba Corp 三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
US7872665B2 (en) 2005-05-13 2011-01-18 Micoy Corporation Image capture and processing
US7620309B2 (en) * 2006-04-04 2009-11-17 Adobe Systems, Incorporated Plenoptic camera
US7872796B2 (en) 2007-01-25 2011-01-18 Adobe Systems Incorporated Light field microscope with lenslet array
US8290358B1 (en) 2007-06-25 2012-10-16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light-field imaging
US8559756B2 (en) * 2007-08-06 2013-10-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Radiance processing by demultiplexing in the frequency domain
US7956924B2 (en) * 2007-10-18 2011-06-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Fast computational camera based on two arrays of lenses
US8189065B2 (en) * 2008-01-23 2012-05-29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ull-resolution light-field capture and rendering
US7962033B2 (en) * 2008-01-23 2011-06-1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ull-resolution light-field capture and rendering
US8155456B2 (en) * 2008-04-29 2012-04-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based compression of light-field images
US8244058B1 (en) 2008-05-30 2012-08-1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rtifacts in frequency domain processing of light-field images
US7949252B1 (en) 2008-12-11 2011-05-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Plenoptic camera with large depth of field
US8189089B1 (en) 2009-01-20 2012-05-29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plenoptic camera artifacts
US8315476B1 (en) 2009-01-20 2012-11-20 Adobe Systems Incorporated Super-resolution with the focused plenoptic camera
US8345144B1 (en) 2009-07-15 2013-01-01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ich image capture with focused plenoptic cameras
US8228417B1 (en) 2009-07-15 2012-07-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Focused plenoptic camera employing different apertures or filtering at different microlenses
US8817015B2 (en) 2010-03-03 2014-08-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depth-based rendering of focused plenoptic camera data
PL391800A1 (pl) 2010-07-12 2012-01-16 Diagnova Technologies Spółka Cywilna Sposób prezentacji wirtualnej obrazu 3D oraz układ do prezentacji wirtualnej obrazu 3D
ITRN20100048A1 (it) * 2010-08-05 2012-02-06 Franco Slomp Metodo per la generazione di stereocoppie al fine di realizzare anaglifi indefinitamente estesi con caratteristiche innovative
US8665341B2 (en) 2010-08-27 2014-03-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output images with simulated artistic effects from focused plenoptic camera data
US8749694B2 (en) 2010-08-27 2014-06-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focused plenoptic camera data using super-resolved demosaicing
US8803918B2 (en) 2010-08-27 2014-08-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focused plenoptic camera data
US8724000B2 (en) 2010-08-27 2014-05-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er-resolution in integral photography
US9030550B2 (en) 2011-03-25 2015-05-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Thin plenoptic cameras using solid immersion lenses
JP2015004698A (ja) * 2011-10-25 2015-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US8860789B1 (en) * 2011-12-09 2014-10-14 Vic G. Rice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images
US10095183B2 (en) 2013-06-21 2018-10-09 University Of South Florida Full-color incoherent digital holography
US9538075B2 (en) 2013-12-30 2017-01-0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Frequency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for plenoptic images
WO2016007579A1 (en) 2014-07-10 2016-01-14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elf-interference incoherent digital holography
GB2544946B (en) 2014-08-31 2021-03-10 Berestka Joh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eye
CN105911712B (zh) * 2016-06-30 2018-12-04 北京邮电大学 一种多视点液晶显示器lcd裸眼3d显示方法及装置
CN110837202B (zh) * 2018-08-17 2021-10-08 欧菲影像技术(广州)有限公司 摄像头解析力测试的校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4270A (en) * 1964-04-18 1970-02-10 Takao Shibata Stereoscopic photographing process
US3518929A (en) * 1967-03-06 1970-07-07 Gen Electric Three dimensional camera
US3482913A (en) * 1967-04-18 1969-12-09 Gen Electri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d enlarging three dimensional pictures
US3535993A (en) * 1967-09-06 1970-10-27 Harry S Jones Relief data converter
US3852787A (en) * 1971-08-12 1974-12-03 Dimensional Dev Corp Three dimensional pictures and method of composing them
US3895867A (en) * 1971-08-12 1975-07-22 Dimensional Dev Corp Three dimensional pictures and method of composing them
US3769889A (en) * 1972-02-09 1973-11-06 R Wechsler Three dimensional image reproduction with pseudo-scopy correction by image inversion optics which are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z-axis placement in image space
US3953869A (en) * 1974-09-24 1976-04-27 Dimensional Development Corporation Stereoscopic photography apparatus
US4037950A (en) * 1974-09-24 1977-07-26 Dimensional Development Corporation Camera for taking stereoscopic pictures
US4107712A (en) * 1974-12-25 1978-08-15 Law Chi Y Camera for taking three dimensional photographs having screen moving means
US4101210A (en) * 1976-06-21 1978-07-18 Dimensional Development Corporation Projection apparatus for stereoscopic pictures
US4086585A (en) * 1976-12-27 1978-04-25 Dimensional Development Corporation System and camera for controlling depth of field in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US4158501A (en) * 1977-12-27 1979-06-19 The Three Dimensional Photography Corporation Projection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US4475798A (en) * 1977-12-27 1984-10-09 The Three Dimensional Photography Corporation Camera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US4478639A (en) * 1977-12-27 1984-10-23 Three Dimensional Photography Corporation Method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WO1983003686A1 (en) * 1982-04-07 1983-10-27 Graham Stewart Brandon Stree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oducing autostereoscopic images
US4630913A (en) * 1985-12-16 1986-12-23 Lo Allen K W Extended depth-of-field 3-D camera
US4852972A (en) * 1987-06-08 1989-08-01 Wah Lo Allen K Method of controlling variation of density of images in 3-D pictures
US4800407A (en) * 1988-02-01 1989-01-24 Wah Lo Allen K Total focus 3-D camera and 3-D image structure
US4903069A (en) * 1989-02-24 1990-02-20 Image Technology, Inc. Automatic three-dimensional photo printer to align the key subject image
US5022727A (en) * 1989-11-01 1991-06-11 Advanced Holographic Imaging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ull color stereographic holograms
JPH06500445A (ja) * 1991-06-12 1994-01-13 リー、スン 3次元イメージの記録および再生
JP2704068B2 (ja) * 1991-10-04 1998-01-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立体画像投影方法および立体写真焼付装置
US5581402A (en) * 1993-11-22 1996-12-03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n improved stereoscopic picture and stereoscopic picture obtained according to this method
US5548362A (en) * 1994-05-09 1996-08-20 Image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Parallax controllable multiple-lens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9184B (en) 1999-01-01
HUP9903495A3 (en) 2002-11-28
UY24376A1 (es) 1996-12-10
NZ333543A (en) 2000-01-28
MY112846A (en) 2001-09-29
ID17337A (id) 1997-12-18
NO985606L (no) 1999-01-27
CO4650085A1 (es) 1998-09-03
IL127960A (en) 2002-08-14
WO1997046913A1 (en) 1997-12-11
NO985606D0 (no) 1998-12-01
KR20000016462A (ko) 2000-03-25
CA2256345C (en) 2002-02-26
PL330315A1 (en) 1999-05-10
CZ396698A3 (cs) 1999-05-12
AU6476896A (en) 1998-01-05
BR9612680A (pt) 1999-07-20
AU713898B2 (en) 1999-12-16
CA2256345A1 (en) 1997-12-11
HUP9903495A2 (hu) 2000-03-28
US5946077A (en) 1999-08-31
JP2000511650A (ja) 2000-09-05
IL127960A0 (en) 1999-11-30
EP0902913A1 (en) 1999-03-24
PL179677B1 (pl) 2000-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5851B1 (ko) 3차원사진촬영방법및장치
US4799739A (en) Real time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holographic diffusers
US46748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oducing autostereoscopic images
US5278608A (en) Electronically printed depth photography system with improved viewing range
EP0294122B1 (en) Display system utilising light transmitting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192969A (en) Stereographic projecting and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3715154A (en) Three-dimensional picture projection
US58351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printing integral images
US5959718A (en) Alignment and printing of integral images
US5729332A (en) Depth image printing method on precoated lenticular material
US4844583A (en) Photographic imaging system for use in producing stereographs
JPS5946376B2 (ja) 立体写真撮影装置
US7660024B2 (en) 3-D HLCD system and method of making
EP0543955A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 3-dimensional image
US4671632A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US3688045A (en) Method for photographing and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s
US4128324A (en) Three-dimensional photography using incoherent light
GB2336917A (en) Stereo slide mount
JP2006259058A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
US3508920A (en) Three-dimensional pictures and method of making
US2045129A (en) Printing
US20070035952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edium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s
US5760882A (en) Contact printer and method of making a filter for a contact printer
US3737229A (en) Relief photograph conversion printing apparatus
US5856864A (en) Photographic printer and method of making a filter for a photographic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