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399B1 -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399B1
KR100313399B1 KR1019980054317A KR19980054317A KR100313399B1 KR 100313399 B1 KR100313399 B1 KR 100313399B1 KR 1019980054317 A KR1019980054317 A KR 1019980054317A KR 19980054317 A KR19980054317 A KR 19980054317A KR 100313399 B1 KR100313399 B1 KR 10031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access
power
s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090A (ko
Inventor
이태영
구준모
김병무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1998005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39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송수신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속채널을 통해 접속시도 할 때 전체 다이내믹 영역을 탐색하기 위하여 역방향 수신품질 측정요소중 CRC 와 RSSI에 따라 전력증감량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조절하므로써 빠른 접속 소요시간과 접속채널 잉여전력을 줄여 전체 역방향 링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접속시도를 할 경우에는 순방향 링크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송신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초기전력을 산출한 후 접속프로빙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상기 과정에서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서 수신 품질 파라메타(RSSI[혹은 SIR], CRC등)를 측정하여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목표 SIR - 검출 SIR" 에 의해 산출되는 산출값을 적분하여 전력 증감량을 판정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판정결과를 순방향채널을 통해 송신하여 접속시도 성공이 확인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다음시도에 사용될 스텝사이즈를 판독하여 증가된 해당 전력으로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접속시도가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daptive access probing schene}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에 무선접속채널을 통해 접속시도할 때 전체 다이내믹 영역의 역방향 수신품질 측정요소중 CRC 와 RSSI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전력증감량이 가변되도록 하면서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조절하므로써 빠른 접속 소요시간과 접속채널 잉여전력을 줄여 전체 역방향 링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랜덤 접속절차를 이용하여 무선접속채널(순방향링크 및 역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시도를 한다. 상기 접속시도(Access Probing)는 하나의 메시지를 보내고 그 메시지에 대한 확인을 받을 때까지(또는 확인수신을 실패할 때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접속시도 과정에서 수신품질 측정요소(CRC, RSSI 등)를 각각 판단하여 그 성공여부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접속프로빙(Access Probing)이라고 한다. 이동 단말기에서는 한 접속시도에 대한 각 접속프로빙 결과 메시지를 다음 접속시도에 함께 전송반영한다.
종래에는 이동 단말기가 다른 이동 단말기 기지국 (혹은 다른 이동단말기도 가능) 등의 통신채널을 열고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역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기지국에서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접속프로빙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에서 동기신호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기지국에서는 계속하여 이동 단말기에 제어채널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계속하여 접속프로빙신호가 송출되고, 기지국의 수신단 접속시도 슬롯(ACCESS PROBING SLOT)에서 동기를 잡으면 슬롯내캡슐(CAPSULE)을 열어 접속프로빙과 함께 송출되는 메시지의 끝단에 위치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체크하여 CRC신호의 크기와 메시지의 크기가 일치하는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접속시도의 성공여부를 판별한 후, 이동 단말기의 접속시도 전력증감을 이루는 절차를 갖도록 한다. 즉, 상기 메시지의 크기와 CRC신호의 크기가 일치하게 되면 접속시도가 성공한 것이 되므로 기지국에서 페이징 채널 신호나 순방향 접속 채널 신호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접속시도의 성공을 알리게 된다. 반대로 메시지의 크기와 CRC신호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게 되면 에러가 발생한 것이 되므로 기지국으로부터 접속확인에 대한 페이징 신호를 송출하지 않게 되어 이동 단말기에서는 일련의 접속 절차에 따라 접속프로빙신호의 송출전력등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이동 단말기의 초기전력 조절기능의 필요성은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이나 기지국으로부터 거리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전파 손실로부터 결정되었으며, 종래의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의 송신출력을 증가시키면 기지국의 수신단 접속시도 슬롯에서 동기를 잡고 슬롯내 캡슐을 열어 CRC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접속시도의 성공여부를 판별하여 이동 단말기의 접속시도 전력을 증감시키는 절차를 갖도록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초기 전력 제어장치의 기존 접속시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국에 해당하는 이동 단말기(24)의 초기 절차는 우선적으로 첫 번째 접속시도 초기전력을 계산하여 산출된 전력으로 이동 단말기는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한다(10). 상기 이동 단말기(24)에서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면 기지국(26)에서는 역방향 링크채널(20)을 통하여 수신된 접속프로빙신호에서 접속채널을 복조하고, CRC를 검사하여 현재 접속시도의 성공여부를 판정한다(12). 상기 기지국(26)에서는 현재 접속시도의 성공여부를 판정한 후 순방향 링크채널(22)을 통하여 접속시도의 성공여부에 해당하는 정보를 이동 단말기(24)에 송신한다(14). 상기 이동 단말기(24)에서는 순방향 링크채널(22)의 복조를 통하여 접속시도의 성공 및 실패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송신 전력 증감 혹은 유지여부를 결정한다(16). 상기 이동 단말기(24)는 다음에 다시 접속시도에 사용할 접속프로빙신호의 전력증감크기를 계산한다(18). 즉, 정해진 절차에 따라 (12)항의 시도 성골 및 실패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전력을 증가(접속시도가 실패했을 때 전력을 증가시킴)시키거나 유지(접속시도가 성공했을 때 전력을 현상태로 유지시킴)하는 설정값 계산과정을 갖는다. 상기 계산결과에 따라 다음 접속시도의 송신전력을 조절하게 되며, 위와 같은 절차를 접속시도가 성공할 때까지 반복한다.
상기 절차에서 접속시도의 송신전력을 계산(18)하는 종래의 방식은 다음 식을 이용한다.
[수학식 1]
P=X_1+X_2+sum to maxN from I=1 P_A
상기 [수학식 1]에서 X_1은 기지국 수신간섭레벨이고, X_2는 송신출력기준오프셋이며, P_A는 매시간 간격마다 일정값의 접속시도 전력증감량이다.
강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기지국 수신신호 세기가 목표값에 비하여 매우작을 경우에도 접속시도의 전력 증가량은 같은 값으로 계속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접속시도의 반복횟수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통화채널이 많아져 간섭레벨이 커질 경우나 이동국의 송수신 레벨의 측정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셀 경계지역에선 접속시도의 성공률이 낮아 접속시도의 반복횟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과 접속확인을 성공하기까지의 접속 소요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접속시도 수신 전력값의 목표값 근처에서도 혹은 이 값을 초과하도록 송신 출력을 조절할 때 큰 전력 증감량으로 반응하여 기지국 수신 필요전력보다 큰 잉여 전력을 가지므로 수신측에선 다른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간섭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실제 이동채널 환경에선 기지국의 접속시도 성공을 위한 RSSI레벨(혹은 SIR)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접속시도 전력의 목표값에 대한 분산의 정확한 값(분포특성)을 알지 못하므로 넓은 접속시도 전력탐색 영역을 갖게 되고 그 영역에서 탐색성공 확률도 불균일한 확률밀도함수를 갖으며 채널 환경이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종래의 접속시도 과정은 접속시 목표값 수신신호세기가 접속시도(PROBING) 다이내믹 영역에서 균일한 확률밀도 함수를 갖는 신호에 대해서만 최소의 접속시도 전력 증감 스탭별 양자화 에러를 갖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탐색성공확률을 되도록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한다.
도 2는 종래 방식을 적용할 경우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심채널 환경에서 갖는 송신출력에 따른 접속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접속시도를 성공시키기 위하여 목표 SIR이 6dB 이상의 수신레벨을 갖어야 하는 조건에서 수신 입력레벨 RSSI을 보여준다. 상기 곡선에서 "*"은 접속시도를 시도횟수에 따라 전력증가량이 균일한 크기로 증가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ㅇ"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SIR을 나타낸 것이며, "- - -"은 역방향링크 페이딩을 나타낸 것으로. 기지국 수신신호 세기가 목표값에 비해 매우 작을 경우 접속시도의 반복횟수가 많아 접속소요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송수신 환경에서 접속시도 절차중의 접속시도 전력 증감량을 접속채널 슬롯별 RSSI(신호대 잡음비)의 크기와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접속시도가 성공할 때까지 적응적으로 가변하도록 하여 접속 소요시간과 접속채널의 잉여전력을 줄이고 역방향 수신단의 간섭을 줄여 전체적인 역방향링크의 접속프로빙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초기 전력 제어장치의 기존 접속 시도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방식을 적용할 경우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심채널 환경에서 갖는 송신출력에 따른 접속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도 신호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초기 전력 신호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도 절차에 의해 전력이 증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도 성공확률의 개선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40 : 이동 단말기 50 : 기지국
60 : 무선접속채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초기 전력을 설정하여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단계;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SIR 및 CRC)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품질의 파라메타인 CRC가 정산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CRC가 정상이 아니면 기지국에서는 목표 SIR로부터 검출 SIR값을 감산하는 단계; 상기 "목표 SIR - 검출 SIR"에 의해 산출되는 산출값을 적분하여 전력 증감량을 판정하는 판정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거나 또는 판정단계 다음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측으로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접속 시도 성공 여부 및 증감량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송신된 접속시도 성공여부 및 증감량 정보를 통해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될 스텝사이즈를 판독하여 송출단계를 반복실행하도록 하는 판독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로 이루어져 무선접속채널을 통해 접속시도를 하는 무선 송수신 환경에 있어서, 기지국에는 접속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새로운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을 검출하는 수신품질 검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신품질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에 따라 전력을 증감시키는 정도를 판정하는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수단이 기지국에 구비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하여 송신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는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수신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전력을 계산하는 초기 전력 계산수단을 구비하는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증감명령에 적용되는 스텝사이즈 PΔ를 가변하여 전채적으로 소요시간을 같거나 작게하면서 목표값 주변에서 양자화 에러를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접속시도를 할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초기전력을 산출한 후 접속프로빙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상기 기지국에서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서 수신 품질 파라메타를 측정하여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목표 SIR - 검출 SIR" 에 의해 산출되는 산출값을 적분하여 전력 증감량을 판정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접속시도 성공이 확인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다음시도에 사용될 스텝사이즈를 판독하여 증가된 해당 전력으로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접속시도가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도 신호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초기 전력 신호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지국(50)에는 무선접속채널(60)을 통해 수신되는 새로운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을 검출하는 수신품질 검출수단에 해당하는 수신품질 검출회로(52)가 구비되고, 상기 수신품질 검출회로(52)에 의해 검출된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에 따라 전력을 증감시키는 정도를 판정하는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수단에 해당하는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54)가 기지국(50)에 구비되며, 상기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5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른 접속시도 성공여부와 다음 접속시도에 적용될 전력 증감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무선접속채널(60)인 순방향 링크채널(64)을 통해 송출하는 신호송신회로(56)가 구비된다.
또한, 이동 단말기(40)에는 기지국(50)으로부터 순방향 링크채널(64)을 통하여 송신된 접속시도 성공여부 및 전력증감에 대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46)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수신부(46)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전력을 계산하는 초기 전력 계산회로(44)가 구비된다.
상기 기지국(50)의 수신품질 검출회로(52)는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역방향 링크채널(62)을 통해 송출된 접속프로빙신호에 포함된 CRC외에 복조기 출력 중 RSSI를 계산하여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54)에 넘겨준다. 상기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54)는 수신품질 검출회로(52)의 이전 접속시도 판정결과로부터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할 증감량을 결정하는 멀티레벨 증감량을 판정하여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할 전력 증감량을 결정한다. 상기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54)는 결정된 다음접속시도에 사용할 전력증감량을 신호송신회로(56)에 인가하고, 상기 신호송신회로(56)는 순방향 링크채널(64)을 통해 이동 단말기(40)에 송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40)의 신호수신부(46)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접속시도 전력계산 회로(44)에 인가되고, 상기 접속시도 전력계산 회로(44)는 가변 증감량과 접속시도 성공여부를 입력받아 접속시도 전력량을 계산하게 된다. 상기 접속시도 전력계산 회로(44)에서 계산된 전력량에 따라 접속프로빙신호발생회로(42)는 역방향 링크채널(62)을 통해 접속시도가 성공할 때까지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54)에서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될 전력증감량 판정 예로 사용된 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2]
PΔ(k+1)=SIRTARGET- SIRDET)
SIRTARGET: 목표 SIR
SIRDET= H[Pm_i]
PΔ(k+1): k+1번째 접속시도에 사용될 전력 증감량
H[.] : 역방향 SIR산출 전달함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40)에서 초기 전력을 설정하여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100). 상기 송출단계(S100) 다음에 기지국(50)에서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송출된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 품질(SIR 및 CRC)을 측정하게 된다(S110). 상기 단계(S100) 다음에 수신품질의 파라메타인 CRC가 정상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20). 상기 판단단계(S120)에서 CRC가 정상이 아니면 기지국(50)에서는 목표 SIR로부터 검출 SIR값을 감산하게 된다(S130). 상기 단계(S130) 다음에 "목표 SIR - 검출 SIR" 로부터 산출된 값을 적분한 값으로부터 전력 증감량을 판정하게 된다(S140). 여기서 역방향 SIR 산출 전달함수는 역방향 페이딩 채널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된다. 상기 판단단계(S120)에서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거나 또는 판정단계(S140) 다음에는 기지국(50)으로부터 이동 단말기(40)측으로 순방향 채널을 통해 접속시도 성공 여부 및 증감량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150). 여기서 기지국은 어떤 이동국의 송신신호인지는 모르지만 현재 공통의 접속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에 접속하려는 이동국에 전력 증감정보를 보내는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또한, 판정된 전력 증감량은 과도한 송신전력으로 인한 전체 품질저하를 막기 위하여 실험을 통하여 일정한 제한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송신단계(S150) 다음에 기지국(50)으로부터 순방향 채널을 통해 송신된 접속시도 성공여부 및 증감량 정보를 통해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될 스텝사이즈를 판독하여 송출단계(S100)를 실행하도록 한다(S160).
다음 식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시도 전력계산회로(44)에서 사용되는 송신 전력 계산식을 보여준다.
[수학식 3]
Pm k=X_1 + X_2 + sum to k from I=1 P_DELTAi
여기서 k<N ra(접속시도 최대횟수)
Pm k : k번째 이동 단말기의 송신전력
X1 : 기지국 수신간섭레벨
X2 : 송신 출력기준 오프셋
PΔ : i번째 접속시도전력 증감량
본 발명에서 증감명령에 적용되는 스텝사이즈 PΔ를 가변하여 전체적으로 접속 소요시간을 기존 방식에 비하여 같거나 작게하면서 목표값 주변에서 양자화 에러를 줄이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도 절차에 의해 전력이 증감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에서 점선 "*"은 접속시도를 시도횟수에 따라 전력증가량이 불균일한 크기로 증가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ㅇ" 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SIR을 나타낸 것이며, "- - -"은 역방향링크 페이딩을 나타낸 것으로, 기지국 수신신호 세기가 목표값에 비해 매우 작을 경우 큰 폭으로 접속시도의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속시도의 반복횟수가 감소하게 되고 접속소요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시도 성공확률의 개선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프로빙곡선(80)은 2개의 멀티레벨을 적용할 경우 종래의 접속프로빙곡선(70)에 비하여 대략 0.1 이상의 접속시도 성공확률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접속시도를 할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초기전력을 산출한 후 접속프로빙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상기 기지국에서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서 수신 품질 파라메타를 측정하여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지 않으면 "목표 SIR - 검출 SIR" 에 의해 산출되는 산출값을 적분하여 전력 증감량을 판정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접속시도 성공이 확인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는 다음시도에 사용될 스텝사이즈를 판독하여 증가된 해당 전력으로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는 동작을 접속시도가 성공할 때까지 반복하여 접속 소요시간과 기지국 간섭량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이동 단말기에서 초기 전력을 설정하여 접속프로빙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단계;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SIR 및 CRC)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품질의 파라메타인 CRC가 정산인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CRC가 정상이 아니면 기지국에서는 목표 SIR로부터 검출 SIR값을 감산하는 단계; 상기 "목표 SIR - 검출 SIR" 에 의해 산출되는 산출값을 적분하여 전력 증감량을 판정하는 판정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CRC가 정상값에 해당하거나 또는 판정단계 다음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기측으로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접속 시도 성공 여부 및 증감량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단계;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해 송신된 접속시도 성공여부 및 증감량 정보를 통해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될 스텝사이즈를 판독하여 송출단계를 반복실행하도록 하는 판독단계를 포함하는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방법.
  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로 이루어져 무선접속채널을 통해 접속시도를 하는 무선 송수신 환경에 있어서, 기지국에는 접속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새로운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을 검출하는 수신품질 검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신품질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접속프로빙신호의 수신품질에 따라 전력을 증감시키는 정도를 판정하는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수단이 기지국에 구비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순방향 링크채널을 통하여 송신된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기에는 순방향링크채널을 통해 수신된 입력정보에 해당하는 전력을 계산하는 초기 전력 계산수단을 구비하는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레벨 전력 증감량 판정회로에서 다음 접속시도에 사용될 전력 증감량 판정 예로
    PΔ(k+1)=SIRTARGET- SIRDET)
    SIRTARGET: 목표 SIR
    SIRDET= H[Pm_i]
    PΔ(k+1): k+1번째 접속시도에 사용될 전력 증감량
    H[.] : 역방향 SIR산출 전달함수
    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초기 전력신호의 발생 제어장치.
KR1019980054317A 1998-12-11 1998-12-11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KR10031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17A KR100313399B1 (ko) 1998-12-11 1998-12-11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317A KR100313399B1 (ko) 1998-12-11 1998-12-11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090A KR20000039090A (ko) 2000-07-05
KR100313399B1 true KR100313399B1 (ko) 2001-12-12

Family

ID=19562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317A KR100313399B1 (ko) 1998-12-11 1998-12-11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4664B1 (en) * 2005-06-17 2008-08-20 Fujitsu Limited Power control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US8098644B2 (en) 2006-01-18 2012-01-1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32381B1 (ko) * 2006-01-19 2007-06-27 주식회사 팬택 효율적으로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빠른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614085B1 (ko) * 2008-12-31 2016-04-20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Ofdma tdd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09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87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n a common channel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450842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1592269B1 (en) Power controlling method based on dwpts
US66508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 carrier-to-interference ratio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116978B2 (en) Method for conformance testing of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77141A (ko) 무선 링크를 통한 전송 방법
EP09400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resholds and measurements of received signals by anticipating power control commands yet to be executed
KR10036679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US6487420B1 (en) Adaptive rach power determination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user equipment unit
KR20010022854A (ko) 무선통신 가입자의 분류에 기초하여 전송 전력 임계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13968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KR10097799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6856813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3543759B2 (ja) 送信電力制御方法、送受信装置、基地局及び移動局
KR100313399B1 (ko) 적응적초기전력신호의발생제어방법및장치
US76572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riving a combined 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during handover
KR100659195B1 (ko)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폐쇄루프 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EP1067708A1 (en) Fast power control method used in a CDMA cellular radio system and corresponding transmitter
JP47715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19709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40050984A (ko) 적응형 전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