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537B1 -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537B1
KR100311537B1 KR1019990030331A KR19990030331A KR100311537B1 KR 100311537 B1 KR100311537 B1 KR 100311537B1 KR 1019990030331 A KR1019990030331 A KR 1019990030331A KR 19990030331 A KR19990030331 A KR 19990030331A KR 100311537 B1 KR100311537 B1 KR 10031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mini
mouse
telephone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107A (ko
Inventor
정화식
Original Assignee
정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화식 filed Critical 정화식
Priority to KR101999003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537B1/ko
Publication of KR2001001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착탈가능하게 한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마우스 본체에 초미니 전화기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부에는 초미니 전화기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결합고정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초미니 전화기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의 바닥면에 초미니 전화기와 결합시 전화기의 수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을 설치하며,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고정 및 해제시킬수 있는 회전식 후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컴퓨터 통신 및 마우스로도 사용가능하고, 전화기를 마우스에서 분리시켜 전화기 자체로도 사용이 가능하게하여 전화기 사용을 간편하게 하며, 좁은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으며, 전화기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 부담이 적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Union Stucture Mini Phone Of Mouse For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컴퓨터 통신 및 마우스로도 사용가능하고, 전화기를 마우스에서 분리시켜 전화기 자체로도 사용이 가능하게하여 전화기 사용을 간편하게 하며, 좁은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 사용자는 PC에 모뎀을 기본으로 장착하여 통신 기능을 추가하거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옵션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에 따른 모든 PC에서 전화기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현재의 PC에서 통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뎀 카드를 장착하고 일반 전화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된 바 있는 대한민국 실용공개번호 제 96-8985 호 선행 기술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마우스회로기판 및 조작버튼(7)을 갖는 통상의 마우스 몸체 (1)상면에는 다이얼링버튼(2) 및 송화부(4)를 구성하고, 그 상부에는 수화부(3) 및 일측에 접촉판이 형성된 덮개(5)를 경첩(6)으로 절첩되게 마우스 몸체(1)와 결합하되덮개의 일측 양쪽으로는 공간부(8)를 두어 조작버튼(7)이 노출되게 하는 한편 마우스 몸체 내측에는 전화기 회로기판 및 상기 접속판에 접, 단속되는 후크버튼를 구성한 것이 제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마우스와 전화기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컴퓨터 모뎀에 연결된 전화기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일반 전화기와 같은 국선전화를 사용할수 없어, 또 다른 전화기를 사용해야 함으로 사무공간이 좁아지고, 경제적 부담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기존의 마우스에 전화기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컴퓨터 통신기능 및 마우스로도 사용하고, 마우스에서 분리하여 전화기로만 따도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화기 겸용 컴퓨터 마우스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사시도 이고,
도 3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도 2의 A - A' 선 단면도 이고,
도 3b는 도 2의 B - B' 선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사용상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측 접속단자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마우스 본체 12 : 초미니 전화기
12a: 다이얼 키 12b: 접속단자
13 : 결합부 14 : 가이드 돌기
15 : 가이드 레일 16 : 고정홈
17 : 고정돌기 18 : 접속부
18a,18b : 접속단자 19 : 회전식 후크부
20 : 연결잭 21 : 라인단자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으로 전화번호 입력 및 여러기능을 선택할수 있는 다수의 다이얼 키 및 소형부품들을 내장하며, 송수화기 기능을 하는 이어폰과 연결하는 연결잭 및 라인단자잭으로 이루어진 초미니 전화기를 구비한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 초미니 전화기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초미니 전화기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결합고정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초미니 전화기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의 바닥면에 초미니전화기와 결합시 전화기의 수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을 설치하며, 상기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고정 및 해제시킬수 있는 회전식 후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부는 탄성력을 가진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기존의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컴퓨터 통신기능 및 마우스로도 사용하고, 마우스에서 분리하여 전화기로만 따도 사용할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컴퓨터 통신이외에 마우스 사용시 전화기를 분리하여 국선전화를 할수 있으므로, 전화기 사용이 간편하고, 좁은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사시도 이고, 도 3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도 2의 A - A' 선 단면도 이고, 도 3b는 도 2의 B - B' 선 단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의 사용상태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 컴퓨터용 마우스측 접속단자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마우스 본체(11)내에 마우스기능을 하는 부품과 조작버튼(11a)을 구성하고, 상기 마우스 본체(11)에 전화번호 입력 및 여러기능을 선택할수 있는 다수의 다이얼 키(12a) 및 소형부품들을 내장하며, 송수화기 기능을 하는 이어폰(미도시)과 연결하는 연결잭(20) 및 라인단자잭(21)으로 이루어진 초미니 전화기(12)와 착탈가능하게 하는 결합부(13)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13)는 초미니 전화기(1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를 결합시 안내하여 고정하는 가이드 레일(15)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15)에는 상기 초미니 전화기(12)에 형성된 고정홈(16)과 결합고정하는 고정돌기(17)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3)의 바닥면에 초미니 전화기(12)와 결합시 전화기의 수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18)를 설치하고, 상기 마우스 본체(11)에 초미니 전화기(12)를 고정 및 해제시킬수 있는 회전식 후크부(19)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초미니 전화기(12)와 결합된 마우스(11)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와 연결된 마우스(11)는 컴퓨터 통신기능과 마우스기능을 할수 있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 모뎀에 연결된 전화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컴퓨터용 마우스로 사용하면서 전화기를 따로 사용할 경우 마우스 본체(11)에 초미니 전화기(12)를 고정 및 해제시킬수 있는 회전식 후크부(1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회전식 후크부(19)를 회전시켜 고정된 초미니 전화기(12)를 마우스 본체(11)에서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때, 상기 마우스 본체(11)에 초미니 전화기(12)를 착탈가능하게 결합부(1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결합부(13)에서 상기 초미니 전화기(12)를 이동탈거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초미니 전화기(1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4)와 마우스 본체(11)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5)이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화기 이탈시 상기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가이드 돌기(14)가 이탈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5)에는 상기 초미니 전화기(12)에 형성된 고정홈(16)과 결합고정된 고정돌기(17)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화기 이탈시 함께 탈거된다.
또한, 전화기의 이탈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13)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화기의 수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18)와 초미니 전화기(12)측 접속단자(12b)가 단속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초미니 전화기(12)에는 송수화기 기능을 하는 이어폰(미도시)과 연결하는 연결잭(20) 및 라인단자잭(21)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어폰(미도시)을 상기 연결잭(20)에 연결후 전호번호 입력 및 여러기능을 선택할수 있는 다수의 다이얼 키(12a)로 국선의 전화를 걸면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국선전화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상기 마우스를 컴퓨터용으로 사용할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통신과 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상기의 작동을 반대로하여 결합하면 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부(13)의 바닥면에 초미니 전화기(12)와 결합시 전화기의 수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18)는 탄성력을 가진 판스프링의 접속단자(18a)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단자(18a)의 다른실시예를 살펴보면, 원통형의 돌기로 형성된 접속단자(18b)를 사용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컴퓨터에 모뎀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를 위하여 분리했을 경우 일반전화기와 같이 국선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기존 모델이 모뎀사용자만을 위해 고안되어 내선 전환을 위한 플레쉬(Flash)기능 및 다용한 여러기능이 없으나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 및 마우스기능을 살리고, 전화기 여러 가지 고유기능도 함께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에는 컴퓨터용 마우스와 전화기가 일체로 되어 있어 따로 전화기 사용시 또다른 전화기를 필요하는 구성과 달리, 본 발명은 컴퓨터용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컴퓨터 통신과 마우스로도 사용가능하고, 마우스에서 전화기를 분리하여 전화기 자체로도 사용할수 있으므로 전화기 사용이 간편하고, 좁은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은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컴퓨터 통신 및 마우스로도 사용가능하고, 전화기를 마우스에 분리시켜 전화기 자체로도 사용이 가능하게하여 전화기 사용을 간편하게 하고, 좁은 사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수 있으며, 전화기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 부담이 적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화번호 입력 및 여러기능을 선택할수 있는 다수의 다이얼 키 및 소형부품들을 내장하며, 송수화기 기능을 하는 이어폰과 연결하는 연결잭 및 라인단자잭으로 이루어진 초미니 전화기를 구비한 컴퓨터용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본체에 초미니 전화기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부를 형성하고,상기 결합부에는 초미니 전화기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결합고정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초미니 전화기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의 바닥면에 초미니 전화기와 결합시 전화기의 수신호를 전달하는 접속부을 설치하며, 상기 마우스에 초미니 전화기를 고정 및 해제시킬수 있는 회전식 후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탄성력을 가진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KR1019990030331A 1999-07-26 1999-07-26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KR10031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31A KR100311537B1 (ko) 1999-07-26 1999-07-26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0331A KR100311537B1 (ko) 1999-07-26 1999-07-26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07A KR20010011107A (ko) 2001-02-15
KR100311537B1 true KR100311537B1 (ko) 2001-11-03

Family

ID=19604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331A KR100311537B1 (ko) 1999-07-26 1999-07-26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754B1 (ko) * 2002-06-10 2005-04-11 김효덕 화상통신기능이 구비된 마우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107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961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7599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790105B1 (ko) 키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데코레이션 커버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100311537B1 (ko) 컴퓨터용 마우스의 초미니 전화기 결합구조
KR10045472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810259B1 (ko) 힌지 암에 키패드를 구비하는 폴더형 단말기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72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200270461Y1 (ko) 착탈식 보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 전화 단말기
JPH1117791A (ja) 携帯無線情報端末
KR200241098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08906A (ko) 폴더형 단말기에서 외장 교체형 커버를 구비한 폴더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442613B1 (ko) 휴대폰용 다기능 플립 세트
KR200184591Y1 (ko) 헤드폰형 휴대폰
KR200202291Y1 (ko) 마이크로폰 일체형 키패드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40057409A (ko) 휴대단말기의 잭 체결장치
KR100849297B1 (ko) 연성회로 연결부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보강 장치
KR20010019191A (ko) 연결바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
KR200273608Y1 (ko) 양손이 자유로운 전화기
KR20023032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0134991Y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걸이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