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306B1 -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306B1
KR100311306B1 KR1019990034347A KR19990034347A KR100311306B1 KR 100311306 B1 KR100311306 B1 KR 100311306B1 KR 1019990034347 A KR1019990034347 A KR 1019990034347A KR 19990034347 A KR19990034347 A KR 19990034347A KR 100311306 B1 KR100311306 B1 KR 10031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relay
signal
counter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392A (ko
Inventor
박병욱
Original Assignee
박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욱 filed Critical 박병욱
Priority to KR101999003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3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편기에서 편침의 선택을 행함에 있어서 기계적 접촉부위를 최소로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한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구성 : 본 발명은 편침이 와이어에 연동되는 레버에 의해 위치 이동하게 되어 있는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에 있어서, 카운터를 거쳐 통상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의 출력신호를 비교기에 입력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키신호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신호를 출력하는 순환 카운트의 신호를 상기 비교기에 입력시켜서 상기 순환 카운터 및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동일한 값일 때에 비교기가 출력단을 통해 신호를 발하여 상기 카운터를 리세트시킴과 동시에 릴레이를 통전시키게 하고, 상기 릴레이의 통전은 교번 릴레이의 교번 작동으로 이어져서 상기 레버에 연결된 와이어를 연동시키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중의 하나가 선택적으로 통전 여자되게 한 구성이다.
효과 : 본 발명은 기계적 접촉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마손이 없고 소음 발생이 없이 가동되며, 또한 장치의 크기도 극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Device operate selectively knitting needles of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편기의 편침을 편직 위치와 비편직 위치로 선택 이동시켜서 직조사의 공급을 단속하는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기는 위편기, 경편기, 횡편기, 환편기, 양말 편기, 트리코트 편기, 랏셀 편기 등으로 다양하게 공지된 직기 종류로서 직조사를 편침으로 끌어 당겨 루프가 연속 형성되게 함으로써 직물이 직조되게 하는 장치이다.
상술한 편기에는 직조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직물이 직조되게 하는 편성요소로서 편침과 싱커, 이침(移針), 잭 등이 구비되어 있다.
구조적으로 상기 편침은 직조사를 걸어 당기고, 싱커는 직조사를 하강시켜 루프 형성을 돕는 작용을 하며, 또 이침은 편조직에 변화를 주기 위하여 형성된 루프를 이동시켜 주고, 그리고 잭은 편침, 싱커, 이침을 고정하거나 연동시켜서 캠으로부터의 운동을 전달하여 주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구성의 편기에 있어서, 편직되는 직물에 소정의 무늬 패턴을 부여하려면 편침의 선택적 구동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편침의 선택적 구동은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899호, 공고번호 제83-2903호의 복수 니들 실린더형 양말편직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니들 실린더의 외주에 수직 배열된 편침의 외측방으로 선택수단을 다수 배치하여 놓고, 이 선택수단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패턴디스크의 캠을 타고 연동되는 레버의 움직임이 상기 케이블을 통해 선택수단을 작동시키게 한 구조로 구현하거나, 또는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 상에 동심 배치된 1쌍의 인덱스 휠(2)의 회전에 의해 그 외주의 핀(4)이 1쌍의 레버(6)을 개별 연동시키고, 이렇게 시작되는 레버(6)의 운동이 케이블(8)을 경유하여 니들실린더의 선택수단(10)을 구동시키게 한 구조로 구현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 패턴디스크와 인덱스 휠은 니들실린더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편침 선택 구조는 작동 중에 필연적으로 기계적 접촉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모 발생부위가 생기고 또 동작 소음이 큰 단점을 가지게 된다.
게다가 패턴 디스크, 레버, 인덱스 휠 등은 편기의 크기를 필요 이상으로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을 구동시키려면 필요 이상으로 대용량의 모터를 갖추어야 하는 등 낭비도 많아지고 동작 중에는 소음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기에서 편침의 선택을 행함에 있어서 기계적 접촉부위를 최소로 줄이고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상술한 종래의 편기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침이 와이어에 연동되는 레버에 의해 위치 이동하게 되어 있는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에 있어서, 통상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키신호를카운트하는 순환 카운트와,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순환 카운터 및 카운터의 카운트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리세트 신호를 발생 및 상기 카운터를 리세트 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가 출력하는 리세트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절환신호를 발생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가 절환신호?? 발생할 경우에 구동되는 교번 릴레이, 그리고 상기 교번 릴레이가 구동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레버와 연결된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연동시키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입력한 키신호에 맞춰 반복 계수하는 순환 카운트의 신호가 상기 니들 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출한 센서의 출력 신호와 비교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때에 릴레이가 작동되면서 교번 릴레이를 구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교번 릴레이의 작동으로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가 번갈아 통전 여자되면서 와이어를 연동시키게 한 것이므로 장치의 작동 중에 기계적 접촉이 거의 없어 소음이 크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패턴디스크나 인덱스 휠과 같은 기구적 수단이 생략됨에 따라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크기도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편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기대에서 상기 도 1에 도시한 반대측의 구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편침 선택수단을 연동시키는 솔레노이드의 작동을 위한 회로 구성도.
도 4a는 종래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b는 편기에 편침 선택수단이 배치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기대 22 : 니들 실린더
24 : 와이어 26 : 제1 솔레노이드
28 : 제2 솔레노이드 30, 32 : 중심봉
34 : 콘트롤박스 36 : 순환 카운터
38 : 베벨 휠 40 : 회전수 검출용 돌출부
42 : 센서 44 : 비교기
46 : 카운터 48 : 릴레이
50 : 교번 릴레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 예는 원형 편기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조직에 소정의 레이스 효과나 문양을 부여하기 위하여 편침 선택수단이 부가되는 편기라면 어떤 종류에도 적용되는 것임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편기는 기대(20)의 중심에 니들 실린더(22)가 회전 가능하게설치되고, 상기 니들 실린더(22)의 외주 소정 개소에는 도 3b에 도시하였던 레버 형태의 선택수단(10)이 적어도 1쌍 이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선택 수단(10)의 자유단에는 각각 와이어(24)가 연결되어서 상기 기대(20)의 소정 개소, 이 실시 예에서는 기대(20)의 측방에 비치된 제1, 제2 솔레노이드(26)(28)의 중심봉(30)(32)과 접속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26)(28)는 선택 수단(10)의 수량에 맞춰 배치되는 것이며, 이것은 기대(20)에 부설된 컨트롤박스(34)에 의해 통전 제어된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26)(28)의 구동 주기는 상기 컨트롤박스(34)의 외부에 장착된 순환카운터(36)의 버튼을 통해 설정된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한 기대(20)의 반대측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니들 실린더(2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베벨 휠(38)의 측면에 회전수 감지용 돌출부(40)가 부착되어 있고, 이 회전수 감지용 돌출부(40)에 대응하여 센서(42)가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베벨 휠(38)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검출신호가 상기 센서(42)에서 발생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컨트롤박스(34)에 수용되어 솔레노이드(26)(28)를 통전 제어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순환 카운터(36)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 지시되는 키신호에 따른 카운트신호를 반복하여 송출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카운트 주기 4로 설정하였다면 상기 순환 카운터(36)는 1에서 3까지는 무시호 처리하고, 카운트 4에서 신호를 송출한 다음, 다시 1에서 3까지 무신호 처리하고 4에서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일정 주기마다 신호를 비교기(44)에 입력시켜 준다.
한편, 상기 비교기(44)에는 센서(42)에서 송출되는 니들 실린더(22)의 회전수 신호를 받아 출력하는 카운터(46)의 출력단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42)의 신호 카운트는 순환 카운터(36)의 신호 출력 주기에 맞춰서 리세트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42)의 출력신호를 비교기(44)에 직결하는 구성으로는 소망하는 제어를 얻어낼 수 없다.
상기 카운트 신호와 순환 카운터(36)의 주기별 카운트 신호가 일치하였을 때에 상기 비교기(44)의 출력단은 하이로 된다. 이 때의 하이 신호는 상기 카운터(46)의 리세트 신호로 작용함과 동시에 릴레이(48)의 통전 신호로 작용하여 상기 카운터(46)는 초기화되고 상기 릴레이(48)는 통전되어서 교번 릴레이(50)를 동작시키게 된다.
교번 릴레이(50)는 공지된 부품으로서, 내부에 1쌍의 고정접점(a)(b)을 갖추고 있고, 양 고정접점(a)(b)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 접점이 자력의 힘으로 절환되어 상기 양 고정접점(a)(b) 중의 하나와 스위칭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접점은 교번 릴레이(50)에 내장된 기구적인 래치트수단에 의해 위치 보전되어 상기 양 고정접점(a)(b) 사이를 셔틀 운동하게 되는 구조를 갖춘 릴레이이다.
이러한 구조의 교번 릴레이(50)는 상기 릴레이(48)가 한번 스위칭 온되었다가 오프로 반전되어 여자력을 잃게 되어더라도 릴레이(48)의 다음번 스위칭 온 작동시까지 양 고정접점(a)(b) 중의 어느 하나를 스위칭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교번 릴레이(50)의 고정접점(a)(b)은 각각 제1 솔레노이드(26)와 제2 솔레노이드(28)에 연결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릴레이(48)의 반복적 온 오프 작동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26)와 제2 솔레노이드(28)가 번갈아 일정시간동안 통전 여자되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양 솔레노이드(26)(28)의 교번 통전 주기는 상기 순환카운터(36)로 입력하는 키신호에 상응하는 주기로 된다.
이와 같은 양 솔레노이드(26)(28)의 교전 통전이 행해질 때에 각 중심봉(30)(32)은 자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와이어(24)를 당기거나 풀어주는 작용을 행하고, 이에 따라 상기 니들 실린더(22)의 주위에 배치된 선택수단(10; 도 3b 참조)이 연동되면서 편침을 비편직 위치에서 편직 위치로, 혹은 편직 위치에서 비편직 위치로 연동시키게 되어 직물에는 소망하는 문양 패턴이 직조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직조되는 직물의 패턴 문양은 줄무늬형태, 격자무늬 형태와 같이 2방 연속 또는 4방 연속하는 패턴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나, 상기 솔레노이드의 수량을 증설하고 이들 솔레노이드의 작동 주기를 원칩 메모리 형식으로 프로그램화하면 의도하는 어떤 형태의 문양이라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의 장점을 갖추게 된다.
첫째, 기계적 접촉이 없어 사용 수명이 길고 작동중에 소음을 일으키지 않는다.
둘째, 불필요하게 동력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셋째, 간단한 구조이므로 극소형의 크기로 설치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직물의 문양 패턴이 일정하게 직조되어 편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넷째, 직물의 패턴 문양에 따른 주기 설정도 간편하게 키이 조작으로 행할 수 있어서 인덱스 휠을 조작할 능력이 없는 초심자라도 쉽게 편기를 가동할 수 있다.

Claims (1)

  1. 편침이 와이어에 연동되는 레버에 의해 위치 이동하게 되어 있는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에 있어서,
    통상의 니들실린더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센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키신호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주기마다 신호를 출력하는 순환 카운트와,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를 카운트하여 출력하는 카운터와,
    상기 순환 카운터 및 카운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비교 판정하여 동일한 값일 때에 출력단을 통해 신호를 발하여 상기 카운터를 리세트시키고 릴레이를 통전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릴레이의 통전에 의해 내장된 1쌍의 고정접점이 번갈아 통전되도록 구동되는 교번 릴레이와,
    상기 교번 릴레이의 고정접점이 선택적으로 스위칭 온으로 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전 여자되어 상기 레버와 연결된 와이어를 연동시키는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KR1019990034347A 1999-08-19 1999-08-19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KR10031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347A KR100311306B1 (ko) 1999-08-19 1999-08-19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347A KR100311306B1 (ko) 1999-08-19 1999-08-19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392A KR20010018392A (ko) 2001-03-05
KR100311306B1 true KR100311306B1 (ko) 2001-10-18

Family

ID=1960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347A KR100311306B1 (ko) 1999-08-19 1999-08-19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3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619A (ko) * 1983-12-19 1985-07-25 와 다나베 요시노리 자카드 환편기
KR870000222A (ko) * 1985-06-06 1987-02-17 미쓰오 호시 제트믹서에 있어서의 워터-햄머방지장치
KR950003508A (ko) * 1993-07-24 1995-02-17 유재풍 섬유기계용 원사공급 자동장치
KR950014410A (ko) * 1993-11-04 1995-06-16 다나까 에이오 환편기의 스티치량 자동조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4619A (ko) * 1983-12-19 1985-07-25 와 다나베 요시노리 자카드 환편기
KR870000222A (ko) * 1985-06-06 1987-02-17 미쓰오 호시 제트믹서에 있어서의 워터-햄머방지장치
KR950003508A (ko) * 1993-07-24 1995-02-17 유재풍 섬유기계용 원사공급 자동장치
KR950014410A (ko) * 1993-11-04 1995-06-16 다나까 에이오 환편기의 스티치량 자동조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392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3358A (en) Tufting machines
JP3462226B2 (ja) 両面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US3550398A (en) Patterning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EP0147139A2 (en) Jacquard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0311306B1 (ko) 편기의 편침 선택 구동장치
KR0122597B1 (ko) 환편기에서의 전자선침장치
US3835668A (en) Combined knitting feed and transfer feed circular knitting machine
JPH06207352A (ja) 編機の選針装置
US3899899A (en) Device for automatic selection of the knitting needles in a hand-operated knitting machine
KR100543064B1 (ko) 실 제어 어셈블리
US4972686A (en) Electromagnetic needle selecto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1154060A2 (en) Device for selecting the sinkers from the manufacture of designed terry cloth knitwear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and stocking knitting machines
US5107689A (en) Device for switching on and off at least one functional unit of a knitting machine
US3246487A (en) Pattern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US5046334A (en) Electromagnetic needle selecto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459143A (en) Tufting machine pattern variation device
US3630050A (en) Patern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US3835669A (en) Patterning mechanisms for knitting machines
GB1587803A (en) Control systems for sewing machines
JPS63256754A (ja) ヤーン交換の選択駆動装置
US3747370A (en) Pattern jack actuator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492836A (en) Knitting machines
JPH04281052A (ja) 編機
US3089320A (en) Method of knitting
KR920008017B1 (ko) 환편기의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