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945B1 -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945B1
KR100310945B1 KR1019980027036A KR19980027036A KR100310945B1 KR 100310945 B1 KR100310945 B1 KR 100310945B1 KR 1019980027036 A KR1019980027036 A KR 1019980027036A KR 19980027036 A KR19980027036 A KR 19980027036A KR 100310945 B1 KR100310945 B1 KR 10031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optical
signal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940A (ko
Inventor
이돈신
Original Assignee
이돈신
(주)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돈신, (주)하이게인안테나 filed Critical 이돈신
Priority to KR101998002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9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국용 광 중계 수단은 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각각 f1, f2, f3 주파수로 변환한 후 하나의 고주파수로 합성하고, 합성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모국용 중계수단으로 전송하면, 모국용 중계수단은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광신호를 다시 f1, f2, f3 주파수로 분할한 다음 모국용 중계수단에 구비된 복수 입력단자의 주파수가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가능하게 하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색인어]
다이버시티,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

Description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 주파수를 설정하여 자국에 구비된 발진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모국에 구비된 발진기를 제어하여 모국에 구비된 복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DMA, CDMA, AMPS, GSM, WLL, IMT-2000 등과 같은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많은 서비스 지역에 기지국을 각각 설치하여 고객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한편, 원거리 전송시 손실이 적고, 원할한 통신 상태를 지원하는 광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중계하고 있는 설정이다.
즉, 재래식 중계기는 광케이블을 2중으로 가설하거나, 또는 모국 및 자국에서 동일한 기준 주파수를 설정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각각의 발진 주파수를 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모국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단자(R1)(R2)에 출력되는 주파수가 서로 달라 편차가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R2 입력단자로는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기준 주파수를 실정하여 자국에 구비된 발진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모국에 구비된 발진기를 제어하여 모국에 구비된 복수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동일하도록 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가 : 모국용 중계수단 나 : 자국용 광 중계 수단
다 :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T : 기지국 송신(순방향) 고주파 입력단자(이하, 입력단자로 약칭함)
R1, R2 : 기지국 수신(역방향) 고주파 출력단자(이하, 출력단자로 약칭함)
1 : 순방향 고주파 증폭기 2 : 순방향 고주파 광변환기
3 :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 4,4' : 광케이블
5 :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 6 : 광고주파 변환기
7 :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 8 : 다이플렉서
9 : 송수신 겸용 안테나 10 : 수신안테나
11 : 고주파 대역 통과 필터 12 : 제2저잡음 증폭기
13 : 제1저잡음 증폭기
14 : 주파수 밴드 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
15 : 제1혼합기 16 :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
17 : 역방향 고주파 광 변환기 18 : 역방향 광고주파 변환기
19 : 고주파 증폭기 20 : 주파수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
21 : 제2혼합기 22 :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
23 : 밴드패스 필터 24 : 기준주파수 발진기
25 : 감쇄기 26 : 합성기
27 : 분할기 a, b, c, A, B, C : 입출력단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정정)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 통신 기지국과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국용 중계수단과 자국용 광 중계 수단이 상호간에 광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은,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로 변환시켜 복수의 주파수를 재생시키며, 재생된 복수의 주파수가 각각의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로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자국용 광 중계 수단은,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고주파 신호가 고출력을 갖도록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고주파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 수신받아 복수의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주파수를 상호 간섭없이 합성시켜 광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 전송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광고주파로 변환하고, 다시 고주파로 변환시켜 복수의 주파수로 재생시키며, 재생된 복수의 주파수가 각각의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로 입력되도록 하는 모국용 중계수단(가)과,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고주파 신호가 고출력을 갖도록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고주파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 수신받아 복수의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복수의 주파수를 상호 간섭없이 합성시켜 광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 전송하는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가)은 상기 모국 중계기 전송 수단의 순방향 고주파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증폭하는 제1고주파 증폭기(1)와, 상기 제1고주파 증폭기(1)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순방향 고주파 광변환기(2)와, 상기 순방향 고주파 광변환기(2)를 통해 변환된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3)와, 상기 자국용 광 중계수단(나)에 구비된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5) 및 광케이블(4')을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역방향 광고주파 변환기(18)와, 상기 역방향 광고주파 변환기(18)에 의해 변환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2고주파 증폭기(19)와, 상기 제2고주파 증폭기(19)에 의해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복수의 고주파 신호로 재생, 출력하는 주파수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와, 상기 주파수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를 통해 출력되는 소정의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발진 출력을 제어하는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22)와, 상기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22)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중 소정 고주파를 합성시켜 소정 기지국 수신기로 출력되는 나머지 한 고주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도록 하는 혼합기(21)와, 상기 혼합기(2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또 다른 기지국 수신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밴드패스 필터(23)를 더 포함하고 있다.
미설명 도면 부호 25, 25', 25"는 감쇄기이다.
상기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은, 상기 광케이블(4)을 통해 상기 모선 중계 수단(가)으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다)로부터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가)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5)와, 상기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5)를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는 광고주파 변환기(6)와, 상기 광고주파 변환기(6)에 의해 변환된 고주파 신호를 고출력 상태로 증폭하는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7)와,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 겸용 안테나(9)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다)로 전송하는 한편,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다)가 전송한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9) 또는 별도로 구비된 안테나(10)를 통하여 수신하는 다이플렉서(8)와, 상기 다이플렉서(8)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1저잡음 증폭기(13)와, 상기 송수신 안테나(9)와는 별도로 구비된 안테나(10)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다)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고주파대역 통과필터(11)와, 상기 고주파대역 통과필터(11)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저잡음 증폭기(12)와, 상기 제2저잡음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로부터 입력되는 발진 신호를 혼합하는 제1혼합기(15)와, 기준주파수 발진기(24)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혼합기(15)로 출력하는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와, 기준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로 출력하는 기준주파수 발진기(24)와, 상기 제1저잡음 증폭기(13), 상기 제1혼합기(15)와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합성하는 주파수 밴드 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와, 상기 주파수 밴드 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에 의해 합성된 고주파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역방향 고주파 광변환기(1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국용 중계 수단(가) 및/또는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에서 광 다이플렉서(3)(5)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1개의 광케이블(4)을 사용하여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포토 다이오드 광고주파 변환기와 레이저 다이오드 고주파 광변환기를 구비해야 하며, 상기 모국용 중계 수단(가) 및/또는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에서 광 다이플렉서(3)(5) 대신에 광방향성 결합기 또는 광 아이솔레이터가 구비되는 경우, 1개의 광케이블(4)을 사용하여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서로 같은 파장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 고주파 광변환기와 포토다이오드 광고주파 변환기를 구비해야 한다.
상기 모국용/자국용 광 다이플렉서(3)(5)는 광 방향성 결합기 또는 광 아이솔레이터로 대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 통신 중계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국용 중계수단(가)의 입력단자(T)를 통해 입력된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 송신 고주파수 신호는 감쇠기(25)를 통해 그 신호의 일부가 감쇠된 후 순방향 고주파 증폭기(1)로 입력된다.
상기 순방향 고주파 증폭기(1)는 감쇠기(25)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증폭한 후, 증폭된 신호는 순방향 고주파 광 변환기(2)를 통해 광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광신호는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3) 및 광케이블(4)을 통해 원거리 즉, 상기 광신호는 저손실 상태로 유지되면서 수 Km, 수십 Km에 위치한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으로 전송된다.
상기 광케이블(4)을 통해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으로 수신된 광 신호는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5)를 통해 광고주파 변환기(6)로 입력되어 고주파로 변환하여 동축급 전선으로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7)로 입력된다.
상기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7)로 입력된 고주파는 고출력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증폭되고, 다시 다이플렉서(8)로 입력되어 송수신 안테나(9)를 통해 가입자 이동 단말기(다)로 전송됨으로써, 순방향 통신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다이플렉서(8)는 밴드패스 필터(도면상으로 미도시됨)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밴드패스 필터를 통과한 신호는 송수신 안테나(9)를 통해 전송되지만, 제1저잡음 증폭기(13)로 입력되어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로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다)에서 응답 송신한 역방향 고주파 신호는 송수신 겸용 안테나(9)를 통해 수신한 다음, 다이플렉서(8)를 통해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7)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제1저잡음 증폭기(13)로 출력된다.
만약, 상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9)가 아닌, 별도로 수신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다이플렉서(8)는 불필요하며, 단지 필터만 저잡음 증폭기(13) 전단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저잡음 증폭기(13)로 수신된 고주파 신호는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의 A단자로 입력된다. 물론, 상기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의 A단자로부터 입력된 신호(f1)는 역방향 고주파 광변환기(17) 측으로만 출력되고,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의 B, C 단자로는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다)가 송출한 신호를 자국용 광 중계수단(나)에 구비된 수신안테나(10)를 통해 수신한 고주파 신호는 고주파 대역 통화 필터(11)로 입력되고, 미리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신호만이 통과된 후 제2저잡음 증폭기(12)로 입력된다.
상기 제2저잡음 증폭기(12)로 입력된 신호는 증폭된 후, 제1혼합기(15)로 출력된다.
상기 제1혼합기(15)로 출력된 신호는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의 D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와 합성되어 안테나(9)에서 수신한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f2)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주파수(f2)는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의 B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의 D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기준 주파수에 의해 안정되는데, 이 기준 주파수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24)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의 E단자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에서 출력되는 주파수(f3)는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의 C단자로 입력된다.
그러므로, 상기 주파수(fl)(f2)(f3)는 주파수 밴드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14)에 의해 상호 간섭없이 합성되어 역방향 고주파 광변환기(17)로 입력되고, 고주파 광변환기(17)에 의해 광신호로 변환되어 모국용 광다이플렉서(5) 및 광케이블(4')을 통해 모국용 중계수단(가)으로 역방향 전송된다.
이때, 모국용/자국용 광 다이플렉서(3)(5)를 WDM으로 대체 사용할 경우, 순방향 고주파 변환기(2)와 역방향 고주파 변환기(7)의 광파장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여야 한다.
예로, 순방향 고주파 변환기(2)의 광파장이 1.5㎛이면, 역방향 고주파 변환기(170의 광파장은 1.3㎛이어야 하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
또한, 모국용/자국용 광 다이플렉서(3)(5)를 광 방향성 결합기 또는 광 아이솔레이터로 대체 사용할 경우, 순방향 고주파 광변환기(2)와 역방향 고주파 광변환기(17)의 광파장을 동일한 것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에서 모국용 중계수단(가)으로 역방향으로 전송된 광신호는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3)로 입력되어 순방향 고주파 변환기(2)측이 아닌, 역방향 광고주파 변환기(18)측으로만 출력되어 고주파 신호로 변환된 후, 역방향 고주파 증폭기(19)를 통해 증폭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주파수 통과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를 통해 f1, f2, f3 주파수로 재생, 출력된다.
상기 주파수 통과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의 a단자로 출력되는 주파수(f1)는 감쇠기(25')에 의해 감쇠된 후 출력단자(R1)에 의해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주파수 통과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의 b단자로 출력되는 주파수(f2)는 제2혼합기(21)로 입력되어 제2믹서용 고주파 발진기(22)의 D단자로 출력되는 주파수와 혼합되어 상기 출력단자(R1)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주파수는 대역 통과 필터(23)를 통해 출력단자(R2)로 출력되고, 출력단자(R2)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는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주파수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20)의 c단자로 출력되는 주파수(f3)는 상기 출력단자(R2)를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가 상기 출력단자(R1)을 통해 출력되는 주파수와 동일해 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출력단자(R1)(R2)로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레벨은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다)의 차폐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로 출력되며, 이 출력단자(R1)(R2)로 출력되는 신호는 마이크로 BTS 수신기 또는 소출력 이동 통신 기지국에 입력되고 레벨이 높은 쪽으로 절체되어 공간 다이버시티를 주파수 변환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로 변환하여 운영되도록 한다.
또한, 첨부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모든 중계기의 동작 원리는 도1과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특징 부분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면, 단지 기준 주파수 발진기(24)를 모국용 중계수단(가)에 부착하여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22)를 제어하고, 다시 합성기(26)를 통해 합성시켜 광케이블(4)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광케이블(4)을 통해 수신된 광 신호를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에 별도로 구비된 분할기(27)를 통해 분할, 출력되도록 하여 자국용 광 중계 수단(나)의 믹서용 고주파 발진기(16)를 제어하여 모국용 중계수단(가)의 출력단자(R1)(R2)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다)에서 믹서한 전파들과 동일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 주파수를 실정하여 자국에 구비된 발진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모국에 구비된 발진기를 제어하여 같은 주파수를 갖도록 하여 모국에 구비된 입력단자의 주파수가 동일하여 다이버시티가 가능하게하여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정정)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 통신 기지국과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국용 중계수단과 자국용 광 중계 수단이 상호간에 광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중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은,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한 후 광신호로 변환하여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 송출하는 한편, 상기 자국용 광 중계 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로 변환시켜 복수의 주파수를 재생시키며, 재생된 복수의 주파수가 각각의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 수신기로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자국용 광 중계 수단은,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고주파 신호가 고출력을 갖도록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고주파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로 수신받아 복수의 주파수를 생성하고、상기 생성된 복수의 주파수를 상호 간섭없이 합성시켜 광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BTS 또는 소출력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입력되는 순방향 고주파 신호를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아 증폭하는 순방향 고주파 증폭기; 상기 순방향 고주파 증폭기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순방향 고주파 광변환기; 상기 고주파 광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광신호를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 상기 광케이블 및 모국용 광 다이플렉서를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광고주파 변환기; 상기 광고주파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제2고주파 증폭기; 상기 고주파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복수의 고주파 신호로 재생, 출력하는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 상기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를 통해 출력되는 소정의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발진 출력을 제어하는 제2믹서용 고주파 발진기; 상기 제2믹서용 고주파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발진 주파수와 상기 필터 및 분할 다이플렉서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중 소정 고주파를 합성시켜 소정 기지국 수신기로 출력되는 나머지 한 고주파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도록 하는 제2혼합기; 및 상기 제2혼합기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또 다른 기지국 수신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밴드패스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 통신 중계장치.
  3. (정정)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용 또는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는, 하나의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순방향 또는 역방향 또는 양방향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4. (정정)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국용 또는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는, 광 방향성 결합기 또는 광 아이솔레이터로 대체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 는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5. (신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용 광 중계수단은,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부터 송출되는 광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가입자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모국용 중계수단으로 광신호를 전송하는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 상기 자국용 광 다이플렉서를 통해 수신되는 광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 는 역방향 광고주파 변환기; 상기 역방향 광고주파 변환기에 의해 변환된 고주파 신호를 고출력 상태로 증폭하는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한편,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한 신호를 송수신 안테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는 다이플렉서;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1저잡음 증폭기; 상기 송수신 안테나와는 별도로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필터링하는 고주파대역 통과필터; 상기 고주파대역 통과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2저잡음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진 신호를 혼합하는 제1혼합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하는 발진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혼합기로 출력하는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 기준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로 출력하는 기준주파수 발진기; 상기 제1저잠음 증폭기, 상기 제1혼합기와 상기 제1믹서용 고주파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합성하는 주파수 밴드 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 및 상기 주파수 밴드 패스 필터 합성 다이플렉서에 의해 합성된 고주파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역방향 고주파 광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시티형 광고주파 고출력 이동통신 중계장치.
KR1019980027036A 1998-07-04 1998-07-04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KR100310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036A KR100310945B1 (ko) 1998-07-04 1998-07-04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036A KR100310945B1 (ko) 1998-07-04 1998-07-04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940A KR19980071940A (ko) 1998-10-26
KR100310945B1 true KR100310945B1 (ko) 2001-12-17

Family

ID=3753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036A KR100310945B1 (ko) 1998-07-04 1998-07-04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55B1 (ko) * 1999-07-28 2006-09-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용 멀티드롭 광중계기 시스템
KR100359497B1 (ko) * 1999-08-12 200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 중계기에서 채널 정보 갱신 방법 및 장치
KR100301296B1 (ko) * 1999-08-19 2001-11-01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2 경로 광중계장치
KR100396025B1 (ko) * 2000-11-13 2003-08-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에서의 무선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0466011B1 (ko) * 2002-04-19 2005-01-13 (주)에프알텍 송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갖는 광 중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940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7176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radio signal over optical fiber link
US20020123306A1 (en) Channelized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communications
KR1002768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변환중계 및 하드핸드 오프를 위한기지국내 캐리어 변환장치
KR100310945B1 (ko)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KR19990081412A (ko) 단일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변환 중계장치 및 광신호 전송방법
KR0144208B1 (ko) 이동통신 고출력 중계장치
KR100337223B1 (ko) 다중 주파수 대역 광 중계 장치 및 방법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KR100375836B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100638794B1 (ko) 무선으로 링크를 구성하는 중계 장치
KR100302180B1 (ko) 기지국내주파수변환중계장치
KR200208281Y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200168944Y1 (ko) 직렬형 주파수 변환 중계 시스템
AU763248B2 (en) Serial type frequency conversion repeater i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65461A (ko) 다중분기형 광 중계장치
KR200232445Y1 (ko) 주파수 변환 방식을 이용한 인-빌딩용 이동통신 중계시스템의 도우너 모듈
KR200184136Y1 (ko) 다이버시티형 이동통신 광중계장치
KR100339136B1 (ko) 주파수 변환 스위칭을 이용한 중계기
KR100451638B1 (ko) 주파수 합성 장치
KR100322382B1 (ko) 동일 fa를 이용한 cdma용 광대역 중계 장치 및 방법
KR19990024091A (ko) 단일 주파수 대역 이중편파 링크 주파수변환 전송하는 2주파수대역 중계기
JPH08316908A (ja) 光ファイバ伝送装置
KR950009347B1 (ko)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KR100462713B1 (ko) 위상잡음 특성을 개선한 주파수 변환 중계기 시스템 및 방법
KR100497940B1 (ko) 무선 랜 중계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10413

Effective date: 2001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