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47B1 -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47B1
KR950009347B1 KR1019920015157A KR920015157A KR950009347B1 KR 950009347 B1 KR950009347 B1 KR 950009347B1 KR 1019920015157 A KR1019920015157 A KR 1019920015157A KR 920015157 A KR920015157 A KR 920015157A KR 950009347 B1 KR950009347 B1 KR 95000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optical
repeater
amplifi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986A (ko
Inventor
이돈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하이게인안테나
이돈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하이게인안테나, 이돈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하이게인안테나
Priority to KR101992001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347B1/ko
Publication of KR94000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59Responders; Transpo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광·고주파 변환장치의 구성도.
제1c도는 본 발명의 고주파·광 변환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수신 분배기 2 : 기지국 송수신 장치
3 : 고정 감쇠기
41, 42, 43: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
51, 52, 53, 54: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
6 :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 71, 72: 다이프렉사
8 : 중계기 안테나 9 : 이동통신 가입자 송수신 장치 및 안테나
10 : 저잡음 증폭기
111, 112, 113, 111, 112,…, 11n: 고주파 증폭기
121, 122: 감시 및 콘트롤 장치
13 : 순방향 광 케이블 14 : 역방향 광 케이블
15 : 기지국 링크용 중계기 16 : 원거리 통신 중계기
171, 172, …, 17n: 광 고주파 변환소자
181, 182, …18n: 정전압 장치 19 : 고주파 광 변환소자
201, 202, …, 20n: 온도보상장치
211, 212, …21n: 주파수 보상 장치 22 : 고주파 합성기
23 : 광 분배기 24 : 기지국 송수신 안테나
25 : 순방향 고주파 신호 26 : 역방향 고주파 신호
271, 272, …, 27n: 순방향 광신호 281, 282, 28n: 역방향 광신호
1, 가2: 고주파 광 변환장치 나1, 나2: 광 고주파 변환장치
본 발명은 아날로그, 디지탈(TDMA, CDMA, ETDMA, …, PCS등) 고주파 이동통신함에 있어서 고주파 수대 출력을 넓은 지역에 걸쳐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내에서 많은 채널을 통신하는 경우, 장애물로 인하여 동시에 많은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지하, 터널, 산너머 등) 이 산제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출력 송신 고주파를 다수의 소출력으로 분할 및 분산시켜 불감지역 송·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서, 동일 지역에서 많은 통신회선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장치는 광전 변환된 자국의 단말기 신호를 복조하고, 다시 고주파로 발생, 변조하여 저주파 변조부, 출력부에서 수신기로 고주파 증폭기, 믹서, 중간 주파수 검파 단말기를 거쳐서 광 케이블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많은 시설을 자국중계소에도 시설해야 하는 폐단이 있고, 기계장치가 비싸고 장소와 전력이 막대하게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지국 송수신장치(2)에서 변복조된 고주파 신호를 분배 광 신호로 변환하여 원거리 전송 후, 이를 원거리 통신 중계기(16)에서 고주파로 변환하여 고주파 중폭기에서 송출하고, 다시 이동통신 가입자(9)가 송출한 고주파 신호를 고주파 증폭하여 광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 링크용 중계기(15)로 전송한후, 이를 다시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 송수신장치(2)로 전송한후 수신 복조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종래의 것과는 달리 원거리 고주파를 광으로 변환 저손실 전송이 가능하고, 기계장치가 단순하여 조정이 용이하며, 그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소모 전력이 적어 전주에도 가설 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이동통신 기지국(2) 출력을 송수신 분배기(1)에서 소출력으로 분배하여, 일부는 안테나(24)로 통신하고 다른 소출력들은 원격 감시 및 콘트롤을 방향성 결합기(41)와 다이프렉사(71)를 거쳐 고정 감쇠기(3)와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감쇠기(51)를 통과한 후, 고주파 광 변환장치(가1)를 통하여 고주파 광 변환하고 다시 여러개 광으로 분배하여 전손실 순방향 광케이블(13)로 근거리 및 수킬로 내지 수십 킬로미터 이격된 여러 곳으로 저손실 순방향 전송된다.
전송된 광 신호는 원거리 통신 중계기(16)의 광 고주파 변환장치(나2)를 통하여 고주파 신호로 재생되고, 이는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감쇠기(52),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6),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2)와 다이프렉사(72)를 거쳐서 중계기 안테나(8)를 통하여 송출된다.
이 신호는 이동통신 가입자 송수신장치 및 안테나(9)에 수신되고, 이동통신 가입자(9)는 이 신호에 대해 응답 역방향 송신한다. 이 역방향 송신된 신호는 다시 중계기 안테나(8)에서 수신하여 다이프렉사(72), 저잡음 증폭기(10),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감쇠기(53)와 고주파 증폭기(112)를 거쳐서 원격 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3), 고주파 광 변환장치(가2)에서 광 신호로 바뀐다.
광 신호는 역방향 저손실 광 케이블(14)을 통하여 근거리 및 수 킬로 내지 수십 킬로미터 떨어진 기지국 링크용 중계기(15)에 있는 광 고주파 변환장치(나1)에서 고주파로 바뀌고 또 여러 중계기(16)에서 온 신호 합성후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감쇠기(54)와 고주파 증폭기(113)를 통하여 다이프렉사(71)로 연결된다. 이는 다시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결합기(41)와 송수신 분배기(1)를 거쳐서, 기지국 송수신 장치(2)의 수신기에서 복조하여 전화교환기에 전송된다.
또한, 운용 중 원거리 통신 중계기(16)의 송수신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원거리 통신 중계기(16) 또는, 기지국 중계소(15)에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1, 42)의 출력을 검출하여, 감지기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시 및 콘트롤 장치(121, 122)를 부가 시설하였다.
위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 송수신 장치(2) 초단파 및 극초단파대의 수많은 회선을 동시에 여러 원거리 통신 불능지역에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원거리 저손실 통신중계 장치이다.
제1c도는 기지국 링크용 중계기(15)의 고주파 광 변환장치(가1) 구성도로서 기지국 송수신기(2)로부터 분배되어 오는 변조된 순방향 고주파신호(25)를 고주파 증폭기(111)로 증폭하여 고주파 광변환소자(19)에서 광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광 에너지는 광 분배기(23)에 의해 1∼n개 분배되어 n개의 통신 불가능 지역들로 순방향 광 케이블(13)을 통해 저손실 전송한다.
1개 지역만 전송할 경우 광분배기(23)를 생략하고, 고주파 광 변환소자(19)에서 직접 순방향 광 케이블(13)에 연결 전송한다.
또한 고주파 광 변환소자(19)를 안정되게 광 변환하기 위하여 온도 보상기(201), 주파수 보상장치(211), 정전압 장치(181)를 첨가한다.
제1b도는 기지국 링크용 중계기(15)의 광 고주파 변환장치(나1)를 상술한 가입자(9)에서 송신하는 역방향 고주파 신호를 중계기 안테나(8)에서 수신하여 역방향 수신장치들 다이프렉사(72), 저잡음 증폭기(10),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53), 고주파 증폭기(112),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3), 고주파 광 변환장치(가2)를 거쳐 역방향 광 케이블(14)를 통해 입력되어지는 역방향 광 신호들(281, 282, ..., 28n)을 광 고주파 변환소자(171, 172, ..., 17n)의 단자로 입력, 고주파 변환하고 이는 각각 고주파 증폭기(111, 112, ..., 11n)를 통해 고주파 증폭기 합성기(22)로 합성하여 고주파 신호(26)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링크용 중계기(15)의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54)와 고주파 증폭기(113) 그리고 다이프렉사(71)를 거쳐, 송수신 분배기(1)를 통하여 기지국 송수신 장치(2)를 통해 복조기에 입력 통신된다. 또 광 고주파 변환소자(171, 172, ..., 17n)도 정전압장치(182, 183, ..., 18n), 온도 보상장치(202, 203, ..., 20n), 주파수 보상장치(212, 213, ..., 21n)를 첨가하여 안정도를 높였다.
또한 본 장치에 사용되는 고주파 증폭기((6), (111, 112, 113), (111, 112, ..., 11n))는 광대역 증폭기로 동시에 여러 통신 채널의 고주파를 증폭하여 전송한다. 그래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폭만 통과 증폭하도록 대역통과 휠타를 삽입하고, 또 동시에 여러 채널 고주파들을 증폭함으로 각각에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 혼 변조가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식은 수십채널을 소출력으로 동시 증폭할 경우 고주파 증폭기의 효율이 1∼5%에 불과하지만, 본 고주파 증폭기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혼변조 제거장치를 삽입하여 수십채널을 고출력으로 동시 증폭해도 혼변조가 발생하지 않게 발명하여 고주파 증폭기 효율이 50%가까이 되게 하였다.

Claims (5)

  1. 고주파 이동통신 중계함에 있어서, 기지국 송수신장치(2)에서 송수신하는 변조된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 분배기(1)에서 분배하여 일부는 기지국 송수신 안테나(24)로 전송하여 통신하고, 나머지 분배기(1) 출력은 기지국 링크용 중계기(15)들의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1), 다이프렉사(71), 고정 감쇠기(3),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51), 고주파 광변환장치(가1)을 통해 고주파 광변환하고 광 에너지는 광 분배기(23)로 분배하여 광 케이블(13)을 통해 1개 또는 여러개소의 원거리 중계기(16)까지 광 케이블로 저손실 전송하고, 원거리 중계기(16)들의 광 고주파 변환장치(나2)에서 광 에너지로 변환한후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52),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6),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2), 다이프렉사(72)를 통하여 안테나(8)로 이동통신 또는 고정통신 가입자(9)에 수신하고, 가입자(9)에서 송신한 고주파 역방향은 중계기 안테나(8), 다이프렉사(72), 저잡음 증폭기(10),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53), 고주파 증폭기(112),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3)를 통하여 고주파 광 변환장치(가2)에 입력되면 고주파 광 변환하여, 역방향 광 케이블(14)를 통하여 링크용 기지국 중계기(15)에 전송되어 광 고주파 변환장치(나1)에 의해 고주파로 변환된 신호 1개 내지 여러개를 합성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감쇠기(54), 고주파 증폭기(113), 다이프렉사(71), 원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1), 송수신 분배기(1)를 통하여 기지국 송수신 장치(2)에 수신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저손실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주파 광 변환장치(가1)에 입력된 순방향 고주파 신호(25)는 고주파 증폭기(111)와 고조파 광 변환소자(19)를 거쳐서 고주파 광변환한 후 광 분배기(23)로 순방향 광신호(271, 272, ..., 27n)로 분배 n개소로 순방향 광 케이블(13)을 통하는 저손실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저손실 중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고주파 광 변환소자(19)에 온도 보상장치(201), 주파수 보상장치(211), 정전압 장치(181)를 가설하여, 온도보상, 주파수 보상, 정전압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저손실 중계.
  4. 제1항에 있어서, 원거리 통신 중계기(16)들로부터 오는 역방향 광신호(281, 282, ..., 28n)를 광 고주파 변환소자(171, 172, ..., 17n)로 고주파 변환후 고주파 증폭기(111, 112, ..., 11n)로 증폭후, 고주파 합성기(22)로 결합하여, 1개 전송로로 합성 대역통과 휠타 및 가변 감쇠기(54), 고주파 증폭기(113), 다이프렉사(71), 워격감시 및 콘트롤용 방향성 결합기(41), 송수신 분배기(1), 기지국 송수신 장치(2)를 통해 전송 중계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고주파 저손실 중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 링크를 중계기(15)와 원거리 통신 중계기(16)에 사용되는 고주파 고출력 증폭기(6)과 고주파 증폭기(111, 112, 113, 111, 112, ..., 11n)는 대역통과 증폭기로 대역통과 휠타를 내장하고, 동시에 여러 채널 주파수를 증폭함으로서 상호 혼변조 발생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혼변조 제거 회로장치를 삽입하여 수십개 고주파 고출력을 증폭해 혼변조 없이 증폭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저손실 중계장치.
KR1019920015157A 1992-08-24 1992-08-24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KR95000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157A KR950009347B1 (ko) 1992-08-24 1992-08-24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5157A KR950009347B1 (ko) 1992-08-24 1992-08-24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86A KR940004986A (ko) 1994-03-16
KR950009347B1 true KR950009347B1 (ko) 1995-08-21

Family

ID=1933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157A KR950009347B1 (ko) 1992-08-24 1992-08-24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30B1 (ko) * 2006-12-13 2007-12-17 에이스웨이브텍(주) 이동형 상호변조왜곡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986A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7754B1 (en) Optical conversion relay amplification system
US7127176B2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radio signal over optical fiber link
KR100441147B1 (ko) 이동체 통신 시스템
KR20040102947A (ko) 분리형 기지국에서 에프에이 증설이 가능한 원격 유니트
CN102315880A (zh) 一种光路传输的方法及装置
KR100627189B1 (ko) 무선통신망에서 전력선을 이용한 중계 시스템
KR950009347B1 (ko) 고주파 저손실 송·수신 중계장치
KR19990081412A (ko) 단일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변환 중계장치 및 광신호 전송방법
KR100251685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저손실 중계장치
JP3300552B2 (ja) 光ケーブルを利用した中継装置
JP2006295309A (ja) 光多段中継システム
KR100638794B1 (ko) 무선으로 링크를 구성하는 중계 장치
KR100252920B1 (ko) 통신 기지국의 수신 주파수 회로에 포함된 잡음제거 장치
KR100350913B1 (ko) 다중분기형 광 중계장치
KR100310945B1 (ko) 다이버시티형광고주파고출력이동통신중계장치
KR100289984B1 (ko) 무선통신기지국시스템에서발광다이오드를이용한소형기지국장치
KR100302180B1 (ko) 기지국내주파수변환중계장치
KR100364347B1 (ko) 광 중계기가 접속된 이동 통신 시스템
US20240162987A1 (en) Repeater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333141B1 (ko) 광 선로를 이용한 시디엠에이 기지국의 송수신 인터페이스장치
WO2024103202A1 (zh) 一种直放站及通信系统
KR19990024091A (ko) 단일 주파수 대역 이중편파 링크 주파수변환 전송하는 2주파수대역 중계기
KR200184136Y1 (ko) 다이버시티형 이동통신 광중계장치
KR1006731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중계기 시스템
KR20010097981A (ko) 광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