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840B1 -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840B1
KR100310840B1 KR1019990018433A KR19990018433A KR100310840B1 KR 100310840 B1 KR100310840 B1 KR 100310840B1 KR 1019990018433 A KR1019990018433 A KR 1019990018433A KR 19990018433 A KR19990018433 A KR 19990018433A KR 100310840 B1 KR100310840 B1 KR 10031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or
support
fluorescent lamp
digital image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913A (ko
Inventor
최갑수
Original Assignee
최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갑수 filed Critical 최갑수
Priority to KR101999001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8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강도가 높고 빛이 고르게 분산되는 디지털 화상입력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와 동일한 축상에서 상부로 연장하고 상기 하부지주에 일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를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지주조임나사와, 상기 상부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ㄷ자 형태로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와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조명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조명기는 형광등, 안정기 및 퓨즈를 수용하며, 상기 형광등에서 방출된 빛을 후면과 측면에서 모두 반사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의 전면을 덮는 투과창은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기로부터 투과하는 빛을 산란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DISPLAY DEVICE FOR DIGITAL IMAGE INPU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빛의 강도가 높고 빛이 고르게 분산되는 디지털 화상입력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전원을 이용하여 빛을 발하는 것으로, 손전등에서 네온사인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인간의 생활에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최근 기술의 발달로 인한 많은 새로운 장비들은 특정한 조명장치를 요구하기도 하는데, 그 중에서도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가 새롭게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입력을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되는데, 디지털 카메라는 원하는 대상물을 화상 데이터로 입력하기 위해서 대상물에 강한 조명을 비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조명장치를 사용할 경우,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조명장치 내에서 손실되어 충분한 조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그러한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조명의 강도를 높일 경우 전력을 손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명장치의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은 대상물에 그림자를 만들게 되어 대상물이 일그러지게 보이게 되므로 일그러진 상에 대한 화상이 입력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누출을 방지하고 또한 대상물로 조명되는 빛을 산란시켜 피사체에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와 동일한 축상에서 상부로 연장하고 상기 하부지주에 일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를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지주조임나사와, 상기 상부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ㄷ자 형태로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와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조명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조명기는 형광등, 안정기 및 퓨즈를 수용하며, 상기 형광등에서 방출된 빛을 후면과 측면에서 모두 반사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의 전면을 덮는 투과창은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기로부터 투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또한 상기 조명기 내의 상기 형광등은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이며,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이 2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의 광도는 대략 500룩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조명기는 조임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조임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조명기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하부지주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폴리에틸렌 수지가 원통형으로 착설되어, 상기 상부지주가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를 통해서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주조임나사를 조일 때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가 상기 하부지주에 삽입된 상기 상부지주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지주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과창의 바깥면은 평면이고, 내면은 오목한 격자무늬로 형성되어 오목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광등은 상기 반사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안정기와 상기 퓨즈는 상기 반사판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기의 상기 형광등과 상기 안정기는 동일한 전력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기는 사각형이고, 상기 형광등은 일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기는 원형이고, 상기 형광등은 도넛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조명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조명기의 투과창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연결부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3 : 하부지주
5 : 상부지주 6 : 투과창
7 : 지주조임나사 8 : 조명기 조임나사
12 : 형광등 14 : 안정기
16 : 퓨즈 18 : 반사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는 대략적으로 받침판(1), 하부지주(3), 상부지주(5), 조명기 지지대(9) 및 조명기(10)로 구성된다.
받침판(1)은 조명장치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며, 보통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주(3)는 일단부가 받침판(1)의 중심부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부가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속이 빈 원통형으로 제작된다. 하부지주(3)의 상단부에서는 상부지주(5)가 하부지주(3)에 삽입 연결된다. 상부지주(5)는 물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하부지주(3)의 반경을 고려해서 그 크기가 적당하게 결정된다.
이 때, 상부지주(5)는 하부지주(3)에 삽입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부지주(5)를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부지주(3)의 상단에 지주조임나사(7)가 설치된다.
상부지주(5)의 상단부는 조명기 지지대(9)가 결합된다. 조명기 지지대(9)는 ??자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가 위로 향하고, 그 중심부에서 상부지주(5)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이 때, 상부지주(5)의 상단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조명기 지지대(9)의 중심부에는 나선 통공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명기 지지대(9)의 양단부에는 조명기(10)가 조임나사(8)에 의한 볼트결합으로 부착된다. 이 때, 조명기(10)는 조명기 지지대(9)와의 결합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원하는 방향을 향해서 회전시킨 후 조임나사(8)를 조임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을 살펴보면, 대략 직사각형인 조명기(10)는 내부에 형광등, 안정기 및 퓨즈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형광등(12)은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12)이며, 이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이 2개가 내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 2개는 조명의 강도 및 배선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서로 평행한 관계로 놓여지며, 전원과의 접속부는 서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형광등(12)이 2개가 내설됨에 따라서 안정기(14)와 퓨즈(16)도 쌍으로 설치된다.
조명기(10) 내에는 형광등(12), 즉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판(18)이 설치된다. 반사판(18)은 광원을 중심으로 후면과 측면을 모두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형광등(12)에서 나온 빛을 모두 전면으로만 향하도록 함으로써 광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종래에는 안정기(14) 또는 퓨즈(16)를 위하여 반사판(18)의 일부를 절개하여 빛이 누출되는 단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안정기(14)와 퓨즈(16)를 반사판(18) 뒤로 배치하여 누출되는 빛을 최대한 줄이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반사판(18)을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었으며, 물론 반사성이 뛰어난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해서는 빛의 강도가 대략 500룩스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빛의 강도를 얻기 위해 쌍으로 된 삼파장 형광등 2개를 모두 36W 전력을 가진 것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형광등의 깜박거림을 없애기 위해서 안정기 역시 형광등과 동일한 36W 전력을 가진 것으로 사용하였다.
형광등(12)에서 발출하여 반사판(18)에 의해 조명기(10)의 전방으로 향하게 되는 빛은 조명기(10)의 전면에 설치된 투과창(6)을 통해서 바깥으로 나가게 된다. 이 때, 전방으로 향하는 빛은 대체적으로 한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대상물을 조명할 때 조명기(10)를 향한 부분은 높은 강도의 빛을 받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반대쪽 부분은 그림자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명기(10)로부터 나가는 빛을 산란시켜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키도록 투과창(6)에 격자무늬를 형성하였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투과창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투과창(6)에 대각선에 의한 마름모꼴 격자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 때, 투과창(6)의 바깥면은 평평한 평면이며 안쪽면에만 격자무늬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 각 격자는 또한 오목한 형상을 가져서 오목렌즈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원과 반사판을 통해서 전방으로 향하는 빛은 오목렌즈 역할을 하는 투과창(6)의 각 격자를 통해서 산란되게 된다.
여기서, 조명기(10)가 직사각형인 것으로 설정되었으나, 조명기(10)는 임의의 다른 형상, 특히 원형일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명기(10)가 원형일 경우 광원으로서 도넛형의 삼파장 형광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이에 따라서 투과창의 형상 및 투과창 내의 격자무늬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하부지주(3)와 상부지주(5)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지주(5)는 하부지주(3) 내에 형성된 통공(28)을 통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지주(3)의 상단부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는데, 지주조임나사(7)는 상기 돌출부(22)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원통형 하부지주(3)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폴리에틸렌 수지가 원통형으로 착설된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하부지주(3)의 통공(28)을 통해서 이동하는 상부지주(5)를 안내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지주(5)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지주(5)로 조명기(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가 되었을 때 작업자가 지주조임나사(7)를 조이게 되면 지주조임나사(7)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박하고, 그에 따라 폴리에틸렌 수지는 상부지주(5)에 밀착되어 상부지주(5)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폴리에틸렌 수지는 하부지주(3)와 상부지주(5)가 직접 마찰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마모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밀착되었을 때 높은 마찰력을 가지게 되므로 상부지주(5)를 고정시키는 효과도 매우 뛰어나다.
하부지주(3)는 통상 한 자리에 고정이 되어 있으며 버팀목으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하부지주(3)는 철제로 제작되었고, 반면에 상부지주(5)는 작업자에 의해 이동이 가능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되었는데, 물론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2개의 조명장치를 한 세트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2개의 조명장치는 대상물로부터 45도의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대상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조명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그 다음, 대상물을 조명하기에 최적인 높이를 결정한 후 상부지주(5)를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높이를 맞추고 지주조임나사(7)를 조여서 상부지주(5)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 후, 조명기(10)를 회전시켜 대상물을 향하도록 한 뒤, 조명기 조임나사(8)를 조여서 조명기(10)를 고정시킨다. 그 후,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하여 조명을 시작하게 되면, 삼파장 형광등(12)으로부터 빛이 나와서, 반사판(18)을 통해 빛을 전방으로 향하게 하고, 투과창(6)을 통해 전방을 향하는 빛을 산란시킴으로서 대상물에 빛이 골고루 퍼지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디지털 화상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후면과 측면에서 모두 반사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조명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비치는 빛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기의 투과창에 격자무늬를 형성함으로서 대상물을 향하는 빛을 산란시켜 대상물에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격자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서 각 격자가 오목렌즈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서 산란의 효과를 더욱 높이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명기는 형광등과 안정기가 동일한 전력량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조명장치의 깜빡거리는 형상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하는 원통형의 하부지주와,
    상기 하부지주와 동일한 축상에서 상부로 연장하고 상기 하부지주에 일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부지주와,
    상기 상부지주를 일정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지주조임나사와,
    상기 상부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ㄷ자 형태로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와의 연결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한 조명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는 형광등, 안정기 및 퓨즈를 수용하며, 상기 형광등에서 방출된 빛을 후면과 측면에서 모두 반사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의 전면을 덮는 투과창은 격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기로부터 투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 내의 상기 형광등은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이며, 상기 쌍으로 이루어진 삼파장 형광등이 2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의 광도는 대략 500룩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기 조명기는 조임나사로 결합되며, 상기 조임나사를 조임으로써 상기 조명기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부지주의 상단에는 내주면에 폴리에틸렌 수지가 원통형으로 착설되어, 상기 상부지주가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를 통해서 상하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주조임나사를 조일 때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가 상기 하부지주에 삽입된 상기 상부지주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지주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의 바깥면은 평면이고, 내면은 오목한 격자무늬로 형성되어 오목렌즈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등은 상기 반사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안정기와 상기 퓨즈는 상기 반사판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의 상기 형광등과 상기 안정기는 동일한 전력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는 사각형이고, 상기 형광등은 일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는 원형이고, 상기 형광등은 도넛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KR1019990018433A 1999-05-21 1999-05-21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KR10031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433A KR100310840B1 (ko) 1999-05-21 1999-05-21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433A KR100310840B1 (ko) 1999-05-21 1999-05-21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13A KR19990064913A (ko) 1999-08-05
KR100310840B1 true KR100310840B1 (ko) 2001-10-17

Family

ID=3753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433A KR100310840B1 (ko) 1999-05-21 1999-05-21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69413A1 (en) * 2022-08-23 2024-02-29 Ortery Technologies, Inc. Light panel swapping mechanism between top and side shot photograph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201A (en) * 1984-12-14 1987-02-24 Lerner David R Fluorescent light mounting system
KR19980701567A (ko) * 1995-01-20 1998-05-15 한센 제임스. 엠 고효율적이며 고도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 기구 및 방법(high efficiency, highly controllabl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201A (en) * 1984-12-14 1987-02-24 Lerner David R Fluorescent light mounting system
KR19980701567A (ko) * 1995-01-20 1998-05-15 한센 제임스. 엠 고효율적이며 고도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 기구 및 방법(high efficiency, highly controllabl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13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2037C (en) Lighting apparatus
US5630661A (en) Metal arc flashlight
JP3817665B2 (ja) 照明器具
CA2493828C (en) Full cutoff area light fixture
US6582103B1 (en) Lighting apparatus
JP2002093227A (ja) 線状照明装置
TW201237323A (en) Lens and lighting device
US4698734A (en) Lensed indirect luminaire with side angle brightness control
US5422800A (en) Mounting member for use in a line illumination device
JP4701509B2 (ja) 照明器具
US20150276169A1 (en) Multi-mode luminaire and multi-distribution lens
AU1147900A (en) Lighting device
KR100310840B1 (ko) 디지털 화상입력을 위한 조명장치
JP4331077B2 (ja) Led式光源装置及びスポットライト
ATE304682T1 (de) Innenleuchte, insbesondere zur beleuchtung von warenpräsentationsflächen
CN211574873U (zh) 一种多色光源混光系统
KR101603867B1 (ko) 평면디스플레이 검사용 고휘도 조명장치
JP2008243602A (ja) 照射範囲可変スポットライト
US20060082997A1 (en) Illumination device
KR20020064346A (ko) 액정 스크린을 조광하는 장치
WO2024014467A1 (ja) 照明装置
JPH0381907A (ja) 丸型蛍光灯照明器具
JP2003195790A (ja) 表示板照明装置
KR200287845Y1 (ko) 광섬유용 풀컬러 광원장치
CN219473486U (zh) 智能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