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475B1 - 황토방의 바닥부재 - Google Patents

황토방의 바닥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475B1
KR100310475B1 KR1020010003923A KR20010003923A KR100310475B1 KR 100310475 B1 KR100310475 B1 KR 100310475B1 KR 1020010003923 A KR1020010003923 A KR 1020010003923A KR 20010003923 A KR20010003923 A KR 20010003923A KR 100310475 B1 KR100310475 B1 KR 10031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ricks
layer
bottom membe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121A (ko
Inventor
구재완
Original Assignee
구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재완 filed Critical 구재완
Priority to KR102001000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4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7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4Devices for shaping artificial aggregates from ceramic mixtures or from mixtures containing hydraulic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9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surfaces for moulding interlocking means, e.g. grooves and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가열에 의한 황토 찜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특별한 숙련도를 요하지 않고도 쉽게 다수 벽체들이 고른면으로 축조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이에 따라서 축조에 대한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동용 바퀴(32)가 그 하측으로 다수 결합되는 프레임(33); 상기 프레임(33) 상으로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단열층(34); 상기 단열층(34) 상으로 적층되는 다공성 석재층(35); 다수의 황토벽돌이 종횡으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면접촉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각각의 돌기(a) 및 돌기홈(a')의 연속적인 물림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어 상기 다공성 석재층(35) 상으로 조성되는 황토벽돌층(A); 상기 황토벽돌층(A)으로 매설되는 발열부재(18); 상기한 발열부재(18)에 연결되어 열전달용 매개물을 공급하는 난방장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황토방의 바닥부재{bottom member of loessial room}
본 발명은 황토방의 바닥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혼합하지 않고 순수한 황토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황토벽돌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벽돌은 주성분인 흙에 시멘트, 기타 화학약품을 혼합하여 소정 형상으로 찍어낸 후 가마에서 구워내는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이와 같이 제조되는 벽돌은 주성분이 흙으로 이루어지게 때문에 통기도가 낮고 따라서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결여된다.
또, 종래의 벽돌은 시멘트가 함유되므로 인체에 해로울 뿐 아니라, 나아가 건강증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아울러 주거용 주택의 건축에만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사용 목적상의 한계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흙집, 특히 황토방이 황토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등의 영향에 의해 건강증진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황토방은 그 각각의 벽체, 특히 바닥부재를 축조하기 위한 다수의 황토벽돌이 황토 등의 천연재만을 적용하여 제조되지 않았고, 또 벽체 내에 발열수단이 구성되지 않아 가열에 의한 황토 찜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 단순한 형태의 벽돌을 이용하여 축조되므로, 다수 벽체들이 고른면으로 축조되도록 하기 위한 숙련된 축조기술을 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축조에 대한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는 다른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 등과 같은 천연재만으로 제조된 벽돌을 이용하여 축조되고, 또 벽체 내에 발열수단이 구성되어 가열에 의한 황토 찜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특별한 숙련도를 요하지 않고도 쉽게 다수 벽체들이 고른면으로 축조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이에 따라서 축조에 대한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개략적인 일측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방의 바닥부재로 축조되는 황토벽돌의 여려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일측면도,
도 3a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황토벽돌에 의해 축조된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b는 도 2e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황토벽돌로 축조된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c는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황토벽돌로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d는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황토벽돌에 의해 축조된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용 바퀴가 그 하측으로 다수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으로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상으로 적층되는 다공성 석재층; 다수의 황토벽돌이 종횡으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면접촉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각각의 돌기 및 돌기홈의 연속적인 물림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어 상기 다공성 석재층 상으로 조성되는 황토벽돌층; 상기 황토벽돌층으로 매설되는 발열부재; 상기한 발열부재에 연결되어 열전달용 매개물을 공급하는 난방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황토벽돌층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의 각 돌기들 및 돌기홈들이,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접촉되는 측면 중앙 부위로 서로 물림 가능하도록 돌출 및 돌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벽돌층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의 각 돌기들 및 돌기홈들이,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접촉되는 측면 일측 부위로 중앙 부위로 서로 물림 가능하도록 돌출 및 돌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벽돌층이, 종횡으로 배열되는 다수 황토벽돌들이 서로 면적촉 상태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열의 다수 황토벽돌 상면에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발열부재 매설용 홈이 파이고, 이러한 홈으로 발열부재가 요입된 상태의 다수 황토벽돌면으로 일정 두께의 황토반죽이 양생되도록 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토벽돌층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들의 각 돌기가, 면접촉 상태로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함께 다공성 석재층으로 몰입되도록, 그 하측면 중앙 부위로 각각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3)과, 단열층(34), 다공성 석재층(35) 및 황토벽돌층(A)과 발열부재(18), 그리고 난방장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에 관련된다.
즉, 상기한 프레임(33)은 이동용 바퀴(32)가 그 하측으로 다수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열층(34)은 상기 프레임(33) 상으로 안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 이와 같은 단열층(34) 상으로 다공성 석재층(35)이 적층되는 것이며, 상기 다공성 석재층(35) 상으로 조성되는 상기 황토벽돌층(A)은 다수의 황토벽돌이 종횡으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면접촉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각각의 돌기(a) 및 돌기홈(a')의 연속적인 물림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된다(도 2a 내지 도 2i 참조).
그리고, 상기 황토벽돌층(A)으로 상기한 발열부재(18)가 매설되는 것이며, 상기한 발열부재(18)에 상기 난방장치부(30)가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열전달용 매개물을 발열부재(18)에 공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명부재에서의 발열작용으로 황토벽돌층(A)을 가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황토벽돌층(A)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의 각 돌기(a)들 및 돌기홈(a')들이,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접촉되는 측면 중앙 부위로 서로 물림 가능하도록 돌출 및 돌입 형성되거나(도 2a 내지 도 2c 참조), 또 상기 황토벽돌층(A)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의 각 돌기(a)들 및 돌기홈(a')들이,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접촉되는 측면 일측 부위로 중앙 부위로 서로 물림 가능하도록 돌출 및 돌입 형성될 수도 있다(도 2e 및 도 2f 참조).
또한, 상기 황토벽돌층(A)이, 종횡으로 배열되는 다수 황토벽돌들이 서로 면적촉 상태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열의 다수 황토벽돌 상면에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발열부재(18) 매설용 홈(19)이 파이고, 이러한 홈(19)으로 발열부재(18)가 요입된 상태의 다수 황토벽돌면으로 일정 두께의 황토반죽이 양생되도록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도 2g 참조).
또한, 상기 황토벽돌층(A)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들의 각 돌기(a)가, 면접촉 상태로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함께 다공성 석재층(35)으로 몰입되도록, 그 하측면 중앙 부위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도 2i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방의 바닥부재는, 착화 연소물에 의한 열을 가하지 않고, 황토벽돌을 간접적인 열로 단열 상태에서 가열하게 되므로 직접적 연소에 의한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유독한 가스 등으로 인한 폐혜를 배제시킬 수가 있게 됨은 물론, 열효율 및 순수 황토로부터의 원적외선 발생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황토벽돌들의 돌기(a) 및 돌기홈(a')들을 맞추어 결합시키기만 함으로써, 평탄하고 고른면의 황토벽돌층(A)이 조성되므로 그리 큰 숙련도를 요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다수 바퀴(32)를 굴려 바닥부재 전체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황토방의 바닥부재는, 황토 등과 같은 천연재만으로 제조된 벽돌을 이용하여 축조되고, 또 벽체 내에 발열수단이 구성되어 가열에 의한 황토 찜질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며, 특별한 숙련도를 요하지 않고도 쉽게 다수 벽체들이 고른면으로 축조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이에 따라서 축조에 대한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용 바퀴(32)가 그 하측으로 다수 결합되는 프레임(33); 상기 프레임(33) 상으로 안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단열층(34);
    상기 단열층(34) 상으로 적층되는 다공성 석재층(35);
    다수의 황토벽돌이 종횡으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면접촉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 황토벽돌이 각각의 돌기(a) 및 돌기홈(a')의 연속적인 물림 상태로 밀접되게 배열되어 상기 다공성 석재층(35) 상으로 조성되는 황토벽돌층(A);
    상기 황토벽돌층(A)으로 매설되는 발열부재(18); 상기한 발열부재(18)에 연결되어 열전달용 매개물을 공급하는 난방장치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층(A)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의 각 돌기(a)들 및 돌기홈(a')들이,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접촉되는 측면 중앙 부위로 서로 물림 가능하도록 돌출 및 돌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층(A)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의 각 돌기(a)들 및 돌기홈(a')들이,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접촉되는 측면 일측 부위로 중앙 부위로 서로 물림 가능하도록 돌출 및 돌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층(A)이,
    종횡으로 배열되는 다수 황토벽돌들이 서로 면적촉 상태로 밀접하게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각 열의 다수 황토벽돌 상면에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발열부재(18) 매설용 홈이 파이고,
    이러한 홈으로 발열부재(18)가 요입된 상태의 다수 황토벽돌면으로 일정 두께의 황토반죽이 양생되도록 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층(A)을 구성하는 다수 황토벽돌들의 각 돌기(a)가,
    면접촉 상태로 이웃하는 다른 황토벽돌과 함께 다공성 석재층(35)으로 몰입되도록, 그 하측면 중앙 부위로 각각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방의 바닥부재.
KR1020010003923A 2001-01-27 2001-01-27 황토방의 바닥부재 KR10031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23A KR100310475B1 (ko) 2001-01-27 2001-01-27 황토방의 바닥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23A KR100310475B1 (ko) 2001-01-27 2001-01-27 황토방의 바닥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951A Division KR100298634B1 (ko) 1998-12-21 1998-12-21 황토벽돌의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21A KR20010078121A (ko) 2001-08-20
KR100310475B1 true KR100310475B1 (ko) 2001-10-12

Family

ID=1970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923A KR100310475B1 (ko) 2001-01-27 2001-01-27 황토방의 바닥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129A (ko) * 2005-01-22 2006-07-26 윤태흥 이동식 웰빙찜질 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129A (ko) * 2005-01-22 2006-07-26 윤태흥 이동식 웰빙찜질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21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475B1 (ko) 황토방의 바닥부재
KR102245412B1 (ko) 원적외선 방사용 마감재
KR101782843B1 (ko) 아궁이 방식과 보일러 방식 2중의 난방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1983318B1 (ko) 온돌겸용 바닥재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959B1 (ko)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100791158B1 (ko) 발열 패널
KR200190750Y1 (ko) 옥과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KR20080068205A (ko) 바닥재 보드
KR200194548Y1 (ko) 황토 찜질방
KR100804321B1 (ko) 바닥재 보드
KR200367895Y1 (ko) 바이오 세라믹을 코팅한 발열판을 갖는 온돌 난방용조립식 패널
KR20080080262A (ko) 바닥재 보드
KR200160739Y1 (ko) 파손방지용 방사틀을 갖는 황토장판
KR200490392Y1 (ko) 이동식 찜질장치
KR102409544B1 (ko) 중공 구조를 이용한 축열기능을 가지는 바닥 난방 시스템
GR1003284B (el) *0* *55 065 f@ *660#sf@ t55#0@6*@ 0 9 sf@tfs@ *65 fs@ t50)95 s@ 5@tfs@ *65 fs@6*t ) sfs@t @ *
KR20140089716A (ko) 도자기 온돌 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337240Y1 (ko) 사우나용 세라믹 타일구조
KR200316868Y1 (ko) 독립개체로 분할되는 조립식 온열돌침대
RU2237786C1 (ru) Облегченная каменная кладка
KR200164697Y1 (ko) 원적외선방사용전기가마
KR200308520Y1 (ko)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JP3100177B2 (ja) 陶磁器焼成窯
KR200170417Y1 (ko) 홈과 돌기가 있는 조립용 세라믹 온돌 조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