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313B1 - 액세서리용 체인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313B1
KR100309313B1 KR1019990017441A KR19990017441A KR100309313B1 KR 100309313 B1 KR100309313 B1 KR 100309313B1 KR 1019990017441 A KR1019990017441 A KR 1019990017441A KR 19990017441 A KR19990017441 A KR 19990017441A KR 100309313 B1 KR100309313 B1 KR 10030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hain body
shape
accesso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873A (ko
Inventor
권기언
김지중
Original Assignee
권기언
김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언, 김지중 filed Critical 권기언
Priority to KR1019990017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3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체인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스톤컵을 갖는 액세서리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체인동체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동체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한 좌우측걸림편과, 상기 좌우측걸림편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하향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체인동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한 하부 걸림편과, 상기 스톤컵의 양측벽에, 상기 체인동체에 형성된 좌우측걸림편을 수용하여 복수의 체인동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걸림편수용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종래와 달리 체인동체의 연결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스톤컵에 수용 연결된 체인동체들 간의 유연성을 부여하여 액세서리의 전체 형상을 항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액세서리용 체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세서리용 체인{ACCESSORY CHAIN}
본 발명은, 액세서리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서리용체인동체와, 체인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스톤컵에 의해 다수의 체인동체를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체인동체의 연결형상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으며, 스톤컵에 수용 연결된 체인동체들 간의 유연성을 부여하여 액세서리의 전체 형상을 항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액세서리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를 이루는 체인동체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연결하여 장신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액세서리용 체인동체를 부분별로 분할하여 예를 들면, 체인동체, 스톤컵, 그리고 스톤컵에 수용되는 장식체 등을 다량으로 미리 제작하고, 제작소에서 이들을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제적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액세서리용 체인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세서리용 체인을 체인동체, 스톤컵으로 나누어 제작하는 체인의 예로서, 스톤컵의 양측벽에는 군번줄의 연결수단과 같이 형성되는 절취된 절취부를 형성하고 그 절취부에 체인동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을 수용시킨 후 걸림편의 상하부를 내외 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결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액세서리용 체인에 있어서는, 스톤컵에 형성된 절취부와, 절취부에 수용되는 체인동체의 걸림편이 절곡되어 있는 관계로 스톤컵에 일측편이 수용된 체인동체들 간의 절곡 형상이 부드럽지 않아 자연스러움을 주지 못할 뿐 아니라, 특히, 체인동체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어서, 일측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지는 악세서리의 체인의 형상은 유지할 수 있으나, 체인동체의 하측으로 연결되어 변형되는 조립 형상으로는 연결할 수 없으므로 전체형상을 다양한 형상의 액세서리로 형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체인동체들을 필요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액세서리로 변형 조립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동체와 스톤컵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Ⅲ-Ⅲ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동체의 다른 연결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동체의 변형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톤컵의 변형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13a,13b : 체인동체 15 : 스톤컵 15a,15b : 좌우측벽
16 : 고정편 17 : 장식체 20,20a : 좌우측걸림편
20b,20c,23a,23b : 걸림편 23 : 하부걸림편
25b,25c,25d,25e : 걸림편수용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체인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스톤컵을 갖는 액세서리용 체인에 있어서, 상기 체인동체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동체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한 좌우측걸림편과, 상기 좌우측걸림편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하향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체인동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한 하부 걸림편과, 상기 스톤컵의 양측벽에, 상기 체인동체에 형성된 좌우측걸림편을 수용하여 복수의 체인동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걸림편수용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체인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동체는, 마른모꼴로 형성되며, 마른모꼴을 이루는 상기 체인동체의 각 모서리부분에 걸림편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톤컵은, 상기 체인동체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걸림편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방벽에 각각의 걸림편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동체와 스톤컵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체인(10)은, 체인동체(13)와, 체인동체(13)의 양측단을 수용 연결하는 스톤컵(15)으로 구성되며, 스톤컵(15)에는 가공된 장식체(17)가 수용되며 고정편(16)에 의해 고정된다.
체인동체(13)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인동체(13)의 상부 양측단에는 각각의 좌우측걸림편(20),(2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측걸림편(20),(20a)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하향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체인동체(13)의 하단 중앙부에 하부걸림편(23)을 형성하고 있다.
스톤컵(15)을 형성하고 있는 대향하는 양측벽(15a),(15b)에는, 체인동체(13)에 형성된 좌우측걸림편(20),(20a)을 수용하여 복수의 체인동체(13),(13a)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절취부(16a),(16b)에 의한 걸림편수용부(25),(25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동체의 다른 연결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체인동체(13),(13a)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상으로 연결되어지며, 연결수단은 스톤컵(15)이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동체의 변형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톤캡의 변형상태를 보인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서, 체인동체(13b)는, 마른모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 부분에는 걸림편(20b,20c,23a,23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변형된 스톤컵(15a)을 형성하고 있는 사방벽에 걸림편(20b,20c,23a,23b)을 수용하는 걸림편수용부 (25b,25c,25d,25e)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세서리용 체인(10)은, 체인동체(13)와 체인동체(13a)를 상호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스톤컵(15)이 사용된다.
즉, 체인동체(13)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림편(20)은, 스톤컵(15)이 액세서리 체인용 조립기기(도시치 않음) 내부에서 전개된 상태로 놓여있는 스톤컵(15)의 절취부(16) 측을 통하여 걸림편수용부(25)로 조립기기에 의해 안내 삽입된다.
또한, 스톤컵(15)의 타측벽에 절취된 절취부(16a)를 통하여 타측에 형성된 걸림편수용부(25a)에 체인동체(13)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편(20a)이 삽입되면, 조립기기에 의해 스톤컵(15)이 절취된 상태에서 절취부(16,16a)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절곡 되면서 기립된다.
이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각 체인동체(13,13a)는 조립기기에 의해 스톤컵(15)에 수용 걸림된다. 따라서, 체인동체(13,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조립연결된다.
한편, 체인동체(13,13a)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걸림편(23,23a)에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체인동체()를 연속적으로 연설할 수 있도록 스톤컵(15a)이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조립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용 체인(13)은, 도 4 내지 도 6 에서와 같이 체인동체(13b)와 스톤컵(15)은 단일의 형상에 국한하지 않고 변형된 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된 체인동체(13b)는 마른모꼴 형상을 가지며, 마른모꼴형상을 이루는 체인동체(13b)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걸림편(20b,20c,23a,23b)들은 스톤컵(15)의 사방벽에 형성된 걸림편수용부(25b,25c,25d,25e)에 수용되며, 조립되는 조립방법은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엑세서리체인용 조립기기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형된 예에 따르면, 마른모꼴 형상의 체인동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걸림편에 걸림된 스톤컵에 의해 동일 형상을 갖는 체인동체 및 스톤컵들이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결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체인동체의 연결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세서리용 체인을 이루는 체인동체의 형상을 '∨'형상 및 마른모꼴 형상으로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체인동체의 형상을 이들에 국한하지 않고 각 걸림편들이 상하 측에서 스톤컵에 걸림될 수 있다면 또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하 좌우측으로 대향하도록 걸림편을 형성할 수 있는 원형 또는 이들과 유사한 어떠한 형상의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톤컵의 형상 및 이에 형성된 걸림편수용부의 형상도 걸림편을 수용하여 동일한 조립방법 및 동일한 작용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변형된 형상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체인동체의 연결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스톤컵에 수용 연결된 체인동체들 간의 유연성을 부여하여 액세서리의 전체 형상을 항시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액세서리용 체인이 제공된다.

Claims (3)

  1. 복수의 체인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스톤컵을 갖는 액세서리용 체인에 있어서,
    상기 체인동체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인동체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형성한 좌우측 걸림편과;
    상기 좌우측걸림편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하향하는 소정 간격을 두고 체인동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한 하부 걸림편과;
    상기 스톤컵의 양측벽에, 상기 체인동체에 형성된 좌우측걸림편을 수용하여 복수의 체인동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걸림편수용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체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동체는, 마른모꼴로 형성되며, 마른모꼴을 이루는 상기 체인동체의 각 모서리부분에 걸림편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체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톤컵은, 상기 체인동체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걸림편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방벽에 각각의 걸림편수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체인.
KR1019990017441A 1999-05-14 1999-05-14 액세서리용 체인 KR10030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41A KR100309313B1 (ko) 1999-05-14 1999-05-14 액세서리용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41A KR100309313B1 (ko) 1999-05-14 1999-05-14 액세서리용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73A KR20000073873A (ko) 2000-12-05
KR100309313B1 true KR100309313B1 (ko) 2001-09-29

Family

ID=1958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441A KR100309313B1 (ko) 1999-05-14 1999-05-14 액세서리용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653B1 (ko) * 2009-07-09 2011-03-07 씨스켐건설(주) 대나무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4868Y1 (ko) * 1965-02-24 1968-06-21
US5687586A (en) * 1996-07-01 1997-11-18 Facini; Sam Interconnectable jewelry setting for the construction of jewelry pieces
KR20000008337U (ko) * 1998-10-19 2000-05-15 최상일 장신용 체인의 엘레멘트.
KR20000018142U (ko) * 1999-03-13 2000-10-16 유종록 다열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4868Y1 (ko) * 1965-02-24 1968-06-21
US5687586A (en) * 1996-07-01 1997-11-18 Facini; Sam Interconnectable jewelry setting for the construction of jewelry pieces
KR20000008337U (ko) * 1998-10-19 2000-05-15 최상일 장신용 체인의 엘레멘트.
KR20000018142U (ko) * 1999-03-13 2000-10-16 유종록 다열 장식용 보석집의 연결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653B1 (ko) * 2009-07-09 2011-03-07 씨스켐건설(주) 대나무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73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0932A (en) Modular jewelry link
US2538090A (en) Bracelet
CA2119814A1 (en) Recoverable Thrombosis Filter
CA2195451A1 (en) Suitcase with Variable Capacity
US2634593A (en) End member for box type link chains
US6568214B2 (en) Hinged ring that supports an ornament and a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309313B1 (ko) 액세서리용 체인
US4123900A (en) Coupling device
GB2245020B (en) Box & catch assembly for bracelets,necklaces,etc
EP0021153A1 (en) Cable supporting chain with monobloc elements
US2789380A (en) Jewelry construction
US7296438B2 (en) Stone mount and clasp for jewelry
KR200163237Y1 (ko) 장신용체인의연결부재구조
KR200186265Y1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
US5525382A (en) Chile-pepper shaped ornament
EP1265678A4 (en) TOY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KR100317055B1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
KR200231831Y1 (ko) 장식용 체인
US12004609B2 (en) Compon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ewelry item
JP2000236921A (ja) 装身具
KR200283659Y1 (ko) 관통면을 가진 걸이장식구
KR200283698Y1 (ko) 액세서리 수납함
KR970000464Y1 (ko) 벌집형 목걸이
US20210015219A1 (en) Compon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ewelry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