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071B1 -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 Google Patents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071B1
KR100309071B1 KR1019980036067A KR19980036067A KR100309071B1 KR 100309071 B1 KR100309071 B1 KR 100309071B1 KR 1019980036067 A KR1019980036067 A KR 1019980036067A KR 19980036067 A KR19980036067 A KR 19980036067A KR 100309071 B1 KR100309071 B1 KR 100309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llagen synthesis
collagen
ar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467A (ko
Inventor
진무현
김송이
김호정
장민열
강세훈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3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07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서 곽향(Agastache rugosa) 추출물, 첨호 (Lagenaria siceraria var. clavata Ser.) 추출물 및 침향(Aquilaria agallocha Roxb.)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한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 작용이 있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용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창상 치유나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함유한 피부용 조성물
본 발명은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서 곽향(Agastache rugosa) 추출물, 첨호 (Lagenaria siceraria var. clavata Ser.) 추출물 및 침향(Aquilaria agallocha Roxb.)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한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 작용이 있는 피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용 조성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창상 치유나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 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밸질로서 세포 외 간질에 존재하고, 생체 단백질 총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 견고한 3 중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이러한 콜라겐은 고령화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일반적으로 80세에는 20세에 비해 65% 정도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 지고,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발전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로부터, 피부내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메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상처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효과로부터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흡수가 어려워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다.
콜라겐 합성 촉진물질로 기존에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TGF(trans- forming growth factor, 발암증식인자; 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JP8-231370), 베툴린산(betulinic acid(JP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JP9-40523, JP10-36283,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인산의 경우 불안정하고, 피부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합성능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에서 자생하는 동식물들을 대상으로 우수한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에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있어 이들 추출물을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로 제형화하는 경우 피부주름개선, 피부탄력증진 및 피부창상치유효과가 탁월함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곽향, 첨호 또는 침향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에테르, 아세톤, 헥산 또는 물과 이들의 혼합용매로 가열환류한 다음 감압농축시킨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및 침향 추출물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서 함유하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 효과를 갖는 피부연고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곽향(Agastache rugosa (Fisch. et Meyer) O. Kuntze; 배초향)은 꿀풀과 (Labiatae)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지상부 및 전초를 건조하여 약으로 쓴다. 생약명은 곽향 또는 배초향(라틴명 : Herba Agastachis)으로 불리우며, 중국에서는 동일과의 포고스테몬 카블린(Pogostemon cablin)을 광곽향(라틴명 : Herba Pogostemoni s)이라 하여 곽향과 함께 상용하고 있다. 곽향은 전통적으로 식욕부진, 구토, 건위, 설사, 해열 등의 한방약제(본초강목)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아미노산과 곽향 등의 식물 추출물을 병용하여 각질층의 보습, 윤활작용이 있는 피부외용제(일본 특개평 9-71527) 등의 연구가 있으나 본 발명과는 완전히 구별된다. 곽향에 대한 성분 연구를 통해 메틸카비콜(methylchavicol), 로스마린산 (rosamrin ic acid), 아네톨(anethole) 등의 물질이 보고 되어 있다.
첨호(학명 : Lagenaria siceraria var. clavata Ser.)는 박과(Cucurbita- ceae)의 덩굴성 초본으로 열매를 약으로 사용한다. 생약명은 첨호, 호로(라틴명 : Fructus Lagenariae)으로 불리운다. 첨호는 전통적으로 수종(水腫), 가래제거 등의 한방약제(본초강목)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침향(학명 : Aquilaria agallocha Roxb.; 침향나무)은 팥꽃나무과 (Thymelaceae)의 상록교목으로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을 약으로 쓴다. 과거에는 원목이 수중 또는 토양 중에 매몰되어 변재는 부패되고 심재만 남은 것 중 물에 가라앉는 것을 약으로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생목에 상처를 내어 목부에 수지를 침착시켜 생산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백목향(Aquilaria sinensis)을 같은 생약으로 사용한다. 생약명은 침향(라틴명 : Lignum Aquilariae)으로 불리운다. 침향은 전통적으로 진정, 건위, 통기, 천식 등의 한방약제(본초강목, 원색연물대사전)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침향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일본 특개평 5-124950),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은 미백화장료(일본 공개평 5- 139951), 침향추출물의 모성장촉진, 발모, 육모, 탈모방지 효과를 이용한 화장품, 의약품 조성물(일본 특개평 7-157411) 등의 연구가 있으나 본 발명과는 완전히 구별된다. 침향에 대한 성분 연구를 통해 아니시산(Anisic acid), 아가로스피롤(agarospiro l), 벤질아세톤(Benzylacetone) 등의 물질이 보고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약재로 구입할 수 있는 곽향, 첨호, 침향을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클로로포름,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유기용매로 1차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은 섬유아세포에서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능을 나타내었으며, 마우스의 상처부위에 적용하였을 때 매우 우수한 창상치유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피부외용 연고나 화장료로 제형화하여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주름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생약재로 시판되는 곽향, 첨호, 침향을 구입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5-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헥산으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40-100 ℃로 1-5 시간 가온추출하거나, 실온에서 1-30 일간 침적시켜 추출한다.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볍으로 1회 이상씩 더 추출한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는다.
건조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사람의 섬유아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매우 강력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마우스의 창상 부위에 적용하였을 때, 매우 우수한 창상치유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연고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화장수 등의 화장료를 제조한다.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항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연고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화장수 등의 화장료를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어떠한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아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이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주름개선제임을 알 수 있었다.
피부외용연고나 화장료 제조시에 함유되는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의 함량은 건조중량으로 0.0001-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5-10 중량%가 적당하다. 0.0001 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에서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10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의 증가를 기대할 수 없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천연물 추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가 본 실시예에서 모두 가능하나, 실시예에는 실험수행한 용매 중 선택적으로 기재하였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거듭 밝혀둔다.
[실시예 1]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80% 메탄올 용액 3L에 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환류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 추출한 다음,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류물은 같은 방법으로 1 회 더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을 합하여 상온에서 화트만(Whatman)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각의 건조 중량 35g을 얻었다.
[실시예 2]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정제수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40 g을 얻었다.
[실시예 3]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85% 에탄올용액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4 g을 얻었다.
[실시예 4]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85% 아세톤용액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0 g을 얻었다.
[실시예 5]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50% 에탄올용액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7 g을 얻었다.
[실시예 6]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60% 메탄올용액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6 g을 얻었다.
[실시예 7]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노말부탄올용액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0 g을 얻었다.
[실시예 8]
시판되는 곽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클로로포름용액 3L에 넣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26 g을 얻었다.
[실시예 9]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45 g을 얻었다.
[실시예 10]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50 g을 얻었다.
[실시예 11]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43 g을 얻었다.
[실시예 12]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42 g을 얻었다.
[실시예 13]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48 g을 얻었다.
[실시예 14]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48 g을 얻었다.
[실시예 15]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8 g을 얻었다.
[실시예 16]
시판되는 첨호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32 g을 얻었다.
[실시예 17]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90 g을 얻었다.
[실시예 18]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104 g을 얻었다.
[실시예 19]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92 g을 얻었다.
[실시예 20]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83 g을 얻었다.
[실시예 21]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100 g을 얻었다.
[실시예 22]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98 g을 얻었다.
[실시예 23]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70 g을 얻었다.
[실시예 24]
시판되는 침향을 구입하여 분쇄한 분쇄물 300 g을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조중량 65 g을 얻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24에서 얻어진 각 추출물을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촉진효과를 실험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의 측정은 마르텐스(Martens)(Gut 1992, 33, 1664-1670)의 방법을 응용하였다.
실시예 1-24에서 얻어진 각 추출물을 최종농도가 0.001 w/v% 가 되도록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100%로 하여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상세한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세포배양용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하는 배지에 37 ℃, 5% CO2조건하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2회 세척하였다. 1% FBS를 함유하는 배지에 위의 실시예 1-24에서 얻어진 생약 추출물을 0.001%로 처리한 후, 방사선 동위원소로 표지한 아미노산(2,3-3H 프롤린) 2μCi, 아스콜빈산을 30㎍/ml 첨가하였다. 37 ℃, 5% CO2조건에서 24 시간 배양 후 배양을 종료하였다. 배양 종료 후 위의 세포 및 배양액을 각각 1/2 씩 나누어 한쪽 분획에만 콜라게나제를 처리한 후 TCA(trichloroacetic acid)로 단백질을 침전시켜 두 분획의 방사활성의 차이로부터 생합성된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콜라겐 증가율로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24에 따라 얻어진 각 시료들은 전혀 정제되지 않은 추출물임에도 매우 강력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를 보였다. 또한 기존에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가 알려진 센텔라 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의 80% 메탄올 추출건조물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비타민 A인 레티놀(Retinol)과 비교하였을 때 추출물 상태에서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콜라겐 생합성능이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표 1]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의 세포수준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실험예 2]
실험예 1의 방법으로 배양된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실시예 1, 9, 17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농도에 따른 세포수준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과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은 배양된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콜라겐 생합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효과가 기존에 효능이 알려진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농도에서도 매우 높은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콜라겐 생합성능이 알려져 있는 비타민 A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추출물임을 감안하고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타민 A의 경우 0.1%의 농도에서 배양세표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어, 세포를 사멸시켜 콜라겐 생합성능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은 추출물의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
6 주령의 헤어리스 마우스를 이용하여 광에 의해 유발된 주름에 대하여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각 추출물은 실시예 5, 13, 21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10%로 증류수에 녹여 적용하였으며,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헤어리스 마우스에 태양광 자극기(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2MED로 1 주일에 3 일 10 주간 조사하여 주름을 형성시키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군과 10% 추출물을 1 일 2 회 0.5 ml/㎠(건조추출물로 50 ㎎/㎠)씩 6 주간 처리한 군을 대상으로 개선 정도를 정성 판단하였다.
주름개선 정도의 판단은 먼저 시료 처리 부위를 육안과 사진 촬영을 통해 육안판정하였고, 판정기준은 각각의 추출물 처리군 및 대조군을 시료 처리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판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마우스에 대한 주름 개선효과(육안판정)
표 3의 결과에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은 헤어리스 마우스의 광에 의해 생성된 주름에 대해 탁월한 개선효과를 갖고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5 주령의 웅성 랫트(rat)를 이용하여 절개창에 있어서 상처부위의 재생의 질과 양을 잘 반영하는 장력강도법을 사용하여 창상치유 효과를 시험하였다. 랫트의 등부위의 털을 제거한 후 메스로 절개하고 절개 부위를 봉합하였다. 위의 실시예 5, 13, 21 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10%로 증류수에 녹인 후, 매일 1회 0.5 ml/㎠(건조추출물로 50 mg/㎠) 씩 6 일간 절개 부위에 투여하였다. 6 일 후 실험에 이용한 랫트를 도살하고 창상 부위의 피부를 적출하여 철창선에 직교하는 폭 1 cm의 피부편을 개체마다 3 표본씩 만든 후 장력측정기(Rheometer)로 파열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장강도(Tensil strength, g/cm)를 재생된 콜라겐 섬유의 강도의 지표로 하였다. 결과를 표 4에 정리하였다.
인장강도의 증가율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증류슈 만을 적용한 대조군의 인장강도를 100%로 하여 상대적 강도로써 나타내었다.
[표 4]
랫트에 대한 창상치유 효과
표 4 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랫트에 있어 창상치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연고 및 화장료의 처방예를 제조예에 의해 나타내었다. 본 발명이 하기의 제조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거듭 밝혀둔다.
[제조예 1-5 및 비교예 1]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연고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 각각 실시예 5, 13, 21 의 것을 말한다.
[제조예 6-10 및 비교예 2]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제조예 11-15 및 비교예 3]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 각각 실시예 5, 13, 21 의 것을 말한다.
[제조예 16-20 및 비교예 4]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 각각 실시예 5, 13, 21 의 것을 말한다.
[제조예 21-25 및 비교예 5]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 각각 실시예 5, 13, 21 의 것을 말한다.
[제조예 26-30 및 비교예 6]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침향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5, 13, 21의 것을 말한다.
[실험예 5]
상기 제조예 26-30과 비교예 6의 에센스에 대해서 건강한 35 세에서 50 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주름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35 세에서 50 세까지의 여성 60 명을 10 명씩 6 개의(1군, 2군, 3군, 4군, 5군, 6군) 군으로 구분하고, 1군은 곽향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26의 에센스를, 2군은 첨호 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27의 에센스를, 3군은 침향 추출물이 함유된 제조예 28의 에센스를, 4군은 곽향추출물과 첨호추출물이 함께 함유된 제조예 29의 에센스를, 5군은 첨호추출물과 침향추출물이 함께 함유된 제조예 30의 에센스를, 6군은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6의 에센스를 안면부에 1 일 2 회 3 개월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주름의 개선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주름의 영상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주름개선 및 탄력증진에 관하여 사용전과 비교하여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를 판정하였으며 결과는 표 5 및 표 6 에 나타내었다.
[표 5]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들의 주름개선 효과(명)
[표 6]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자들의 탄력증진 효과(명)
표 5과 표 6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들을 사용한 경우 주름개선 및 피부의 탄력증진의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피험자의 80-90% 정도는 인지가 가능한 정도의 주름개선 및 탄력개선의 효과를 말하고 있다.
주름의 영상분석에 의한 평가는 실험이 시작되기 전 눈밑의 레플리카 (replica)를 채취하고(Xantopren, Bayer), 실험이 종료된 직후 레플리카를 눈밑의 동일 부위에서 채취하여 영상분석을 통해 주름의 2차원적 분석으로 주름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영상분석에 의한 주름밀도의 측정 결과는 표 7에 사용전에 대한 주름 밀도에 대한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표 7]
본 발명에 의한 제조예들의 주름개선 효과(영상분석)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들을 첨가한 제조예를 도포한 경우 주름의 밀도가 사용전보다 43%-55% 정도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이 피부의 도포 외용제로 사용되었을 때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 주름을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해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험기간 동안 피험자들에게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추출물들이 피부에 안전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곽향, 첨호 또는 침향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 테이트, 클로로포름, 에테르, 아세톤, 헥산 또는 물과 이들의 혼합용매로 가열환류한 다음 감압농축시킨 곽향 추출물, 첨호 추출물 및 침향 추출물중에서 1 종 또는 그 이상을 콜라겐 합성 촉진제로서 함유하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 창상치유 효과를 갖는 피부연고 또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함량이 건조 중량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인 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의 제형이 연고, 크림, 로션, 화장수, 팩 또는 에센스인 조성물.
KR1019980036067A 1998-09-02 1998-09-02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KR100309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067A KR100309071B1 (ko) 1998-09-02 1998-09-02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067A KR100309071B1 (ko) 1998-09-02 1998-09-02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467A KR20000018467A (ko) 2000-04-06
KR100309071B1 true KR100309071B1 (ko) 2001-12-17

Family

ID=1954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067A KR100309071B1 (ko) 1998-09-02 1998-09-02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0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48B1 (ko) * 2001-02-27 2004-09-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염증 활성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나타내는 배초향 추출물
KR101273304B1 (ko) * 2005-12-29 2013-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1825293B1 (ko) * 2016-04-22 2018-02-02 백희순 에센스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3420A (ko) 2020-11-10 2022-05-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주물류 당뇨환자용 콜라겐 펩타이드를 다량 함유한 식품 및 화장품 조성물
KR20230007043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와이지에프트레이딩 발효 침향 추출물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8028A (ja) * 2000-10-30 2002-05-14 Pias Arise Kk 皮膚外用剤とその製造方法
KR101867426B1 (ko) * 2016-10-25 2018-06-15 주식회사 한국코스모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11042A2 (ko) * 2016-12-15 2018-06-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6374B1 (ko) * 2017-11-28 2019-04-05 이노팜 주식회사 침향 추출물 및 베타글루칸(β-Glucan)을 포함하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CN111358726B (zh) * 2020-04-29 2021-09-21 海口楠脂香业有限公司 一种沉香洁面乳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217A (ko) * 1987-10-12 1989-06-12 서영유 다수종의 약초분말로 구성되는 세안용 조성물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217A (ko) * 1987-10-12 1989-06-12 서영유 다수종의 약초분말로 구성되는 세안용 조성물의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948B1 (ko) * 2001-02-27 2004-09-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염증 활성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나타내는 배초향 추출물
KR101273304B1 (ko) * 2005-12-29 2013-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혈류량 개선 및 세포 증식 활성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1825293B1 (ko) * 2016-04-22 2018-02-02 백희순 에센스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220063420A (ko) 2020-11-10 2022-05-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주물류 당뇨환자용 콜라겐 펩타이드를 다량 함유한 식품 및 화장품 조성물
KR20230007043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와이지에프트레이딩 발효 침향 추출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467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0110A1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JP4563521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CN110123729A (zh) 一种冻膜及其制备方法
CN109330954B (zh) 美白亮肤水及其制备方法和酪氨酸酶抑制剂
EP1003538B1 (fr) Utilisation d'extraits de polygonatum pour stimuler la synthese de l'elastine cutanee
CN109350579B (zh) 美白化妆品添加剂和美白醒肤露及其制备方法
US2012006515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KR101825803B1 (ko)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309071B1 (ko) 콜라겐합성촉진제를함유한피부용조성물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676813B2 (ja) ベルトレティア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用又は薬用、特に皮膚科用組成物
KR19990086516A (ko)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US5807555A (en) Skin treatments with Smelophyllum capense extracts
JP2008184441A (ja) 細胞増殖促進用皮膚外用剤
KR101252548B1 (ko) 해송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986758B2 (en) Method for extract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component using a polished-rice steaming method
KR100521777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창상 치유용 피부 조성물
KR1021788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0542824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탄력증진 및창상치유용 피부 조성물
KR101702062B1 (ko)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