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698B1 -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698B1
KR100308698B1 KR1019980063355A KR19980063355A KR100308698B1 KR 100308698 B1 KR100308698 B1 KR 100308698B1 KR 1019980063355 A KR1019980063355 A KR 1019980063355A KR 19980063355 A KR19980063355 A KR 19980063355A KR 100308698 B1 KR100308698 B1 KR 100308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guide
bill
frame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652A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1998006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6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는 지폐 식별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투입된 지폐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안내홈이 양측벽 내면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 및 한 쌍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를 강제로 이송하기 위한 강제 이송 기구를 포함한다. 강제 이송 기구는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 롤러를 가지는 하부 롤러 조립체;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회전축과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를 가지는 상부 롤러 조립체; 및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도록 하부 롤러 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지폐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안내홈의 투입구에 설치된 강제 이송 기구에 의해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기 때문에 지폐가 안내 부재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
본 발명은 지폐 수납함이 지폐 식별기의 하측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 식별기로부터 배출되어 하방으로 안내되는 지폐를 강제로 이송하도록 된 지폐 투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 판매기의 지폐 수납 장치는, 투입된 지폐의 진위 여부 및 금액 종별을 판별하는 지폐 식별기의 바로 후측에 지폐 식별기로부터 배출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함이 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자동 판매기의 전후 폭이 커지기 때문에 자동 판매기의 부피가 커지고, 좁은 장소에는 자동 판매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폐 수납함을 지폐 식별기의 하측에 설치한 형태의 지폐 수납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지폐 수납 장치에는 도 7과 같이 지폐 식별기(40)의 후측에 대략 'ㄱ'형상의 안내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폐 식별기(40)로부터 배출되는 지폐(B)는 안내 부재(10)를 따라 안내될 때 그 진행 방향이 하방으로 변화되어 지폐 식별기(40) 하측의 지폐 수납함(50)으로 수납된다.
그런데, 이렇게 지폐 식별기(40)의 하측에 지폐 수납함(50)을 설치한 형태의 지폐 수납 장치에서는 지폐 식별기(40)로부터 배출되는 지폐(B)가 안내 부재(10)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폐 식별기(40)로부터 배출된 지폐(B)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안내 부재(10)의 절곡부(12)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폐 식별기(40)로부터 배출되는 지폐(B)의 전측단이 절곡부(12)에 닿게되면 지폐(B)의 전측단이 절곡부(12)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되지 못하고 걸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투입되는 지폐(B)가 헌 지폐일수록 이러한 현상이 더욱 자주 나타난다. 이와 같이 지폐(B)의 전측단이 절곡부(12)에 걸려 진행되지 못하는데도 지폐 식별기(40)에서는 지폐(B)를 계속 후방으로 배출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B)가 지폐 식별기(40)와 안내 부재(10)의 절곡부(12) 사이에서 구겨진 상태로 남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지폐 수납 장치가 고장나고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절곡부의 곡률과 안내 부재의 재질을 변화시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폐 식별기로부터 배출된 지폐가 안내 부재를 따라 안내될 때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폐 투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 및 이 지폐 투입 장치가 설치되는 지폐 식별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가 설치된 지폐 수납 시스템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지폐 수납함이 지폐 식별기 하측에 설치된 형태의 지폐 수납 시스템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12 ; 안내홈
112a ; 절곡부 114 ; 브라켓
116 ; 중간 안내 부재 118 ; 수직 장공
122 ; 스프링 123 ; 하부 회전축
124 ; 하부 롤러 125 ; 상부 회전축
126 ; 상부 롤러 132 ; 종동 풀리
134 ; 구동 풀리 136 ; 타이밍 벨트
140 ; 지폐 식별기 150 ; 지폐 수납함
상기와 같은 목적은, 지폐 식별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투입된 지폐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안내홈이 양측벽 내면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 및 한 쌍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를 강제로 이송하기 위한 강제 이송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 쌍의 안내홈 사이에는 지폐의 중간 부분을 안내하는 중간 안내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다.
강제 이송 기구는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회전축과 하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 롤러를 가지는 하부 롤러 조립체;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회전축과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를 가지는 상부 롤러 조립체; 및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도록 하부 롤러 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가진다.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는 각각 한 쌍씩이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상부 회전축은 프레임의 양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장공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롤러가 지폐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력 지지된다.
구동부는 하부 롤러 조립체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 풀리; 지폐 인식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폐 인식기의 지폐 이송용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는 구동 풀리; 및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지폐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안내홈의 투입구에 설치된 강제 이송 기구에 의해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기 때문에 지폐가 안내 부재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가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와 지폐 식별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가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수납함과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Ⅲ-Ⅲ선 및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는 크게, 지폐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12)이 형성된 프레임(110)과, 안내홈(112)을 따라 이동되는 지폐를 강제 이송하는 강제 이송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프레임(110)은 지폐 식별기(140)의 후측에 설치되고, 그의 전방으로는 다수의 브라켓(114)이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안내홈(112)은 프레임(110)의 양측벽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지폐의 양측단이 삽입된다. 이들 안내홈(112)은 수평 방향으로 투입되는 지폐를 수직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대략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곡부(112a)는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홈(112) 사이를 가로질러 중간 안내 부재(116)가 더 설치될 수 도 있다. 이 중간 안내 부재 (116)는 지폐의 중간 부분에 접촉되어 한 쌍의 안내홈(112)과 함께 지폐의 이동을 안내한다.
강제 이송 기구는 지폐의 하면을 지지하여 지폐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하부 롤러 조립체와, 지폐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롤러 조립체와, 상부 롤러 조립체를 하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22)과, 하부 롤러 조립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지고 있다.
하부 롤러 조립체는 하부 회전축(123)과 이 하부 회전축(123)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하부 롤러(124)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회전축(123)은 안내홈(112)의 투입구 하측에서 프레임(11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단이 프레임(110)의 일측벽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 롤러 조립체도 상부 회전축(125)과 이 상부 회전축(125)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상부 롤러(126)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회전축(125)은 안내홈(114)의 투입구 상측에서 프레임(11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또한, 상부 회전축(125)의 양측단이 지지된 프레임(110)의 양측벽에는 한 쌍의 수직 장공(118)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회전축(125)은 수직 장공(118)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122)이 프레임(110)의 상부와 상부 회전축(125)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회전축(125)을 하방으로 탄력지지하고 있다. 도면 부호 129는 상, 하부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E링이다.
구동부는 하부 회전축(123)의 연장부에 설치된 종동 풀리(132)와, 지폐 식별기(140)의 일측 가이드 풀리 연장부(142)에 설치된 구동 풀리(134), 그리고 종동 풀리(132)와 구동 풀리(134)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136)를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식별기(140)의 구동 모터(144)는 동력 전달 기어 (145)를 통해 다수의 가이드 풀리(146)에 결합된 지폐 이송용 벨트(147)를 구동하며, 일측 가이드 풀리(146a)의 회전축 연장부(142)에 설치된 구동 풀리(134)의 구동력은 타이밍 벨트(136)를 통해 피동 풀리(132)로 전달되어 하부 회전축(123)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는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브라켓(114)이 볼트(115)를 통해 지폐 식별기(140)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지폐 식별기(140)의 후측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지폐(B)가 지폐 식별기(140)의 투입구(141)로 투입되면 구동 모터(144)가 작동된다. 구동 모터(144)의 구동력은 동력 전달 기어(145)를 통해 지폐 이송용 벨트 (147)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지폐(B)는 지폐 이송용 벨트(147)를 따라 내부로 이송된다. 지폐(B)가 지폐 식별기(140)의 내부로 이송되면, 지폐 식별부(149)에서 투입된 지폐(B)의 진위 여부 및 금액 종별을 판별한다. 지폐(B)가 진짜인 것으로 판별되면 다시 모터(144)가 구동되어 지폐(B)를 후방으로 이송시켜 지폐 투입 장치로 투입한다. 만약 투입된 지폐(B)가 가짜라고 판별되면 모터(144)가 역회전되어 투입구(141)를 통해 지폐(B)를 다시 반환한다.
지폐 식별기(140)가 진짜 지폐로 판별한 지폐(B)를 지폐 투입 장치로 투입하기 위해 모터(144)가 구동되면, 지폐 식별기(140)의 일측 가이드 풀리(146a)의 회전축 연장부(142)에 설치된 구동 풀리(134)도 함께 회전되어, 이 회전력이 타이밍 벨트(136)와 종동 풀리(132)를 거쳐 하부 회전축(123)에 전달된다. 하부 회전축 (123)의 회전에 따라 하부 롤러(124) 및 하부 롤러(124)에 접촉된 상부 롤러(126)도 회전된다.
따라서, 지폐 식별기(140)로부터 배출되는 지폐(B)의 전측단이 하부 롤러 (124)와 상부 롤러(126)의 외주면에 도달하면 상, 하부 롤러(124, 126)의 회전력에 의해 지폐(B)는 상, 하부 롤러(124, 126) 사이로 인입된다. 이때, 지폐(B)는 그의 양측단이 안내홈(112)에 삽입되어 안내홈(112)을 따라 안내된다.
지폐(B)가 상, 하부 롤러(124, 126) 사이로 인입되면 지폐(B)의 상, 하면이 각각 상, 하부 롤러(124, 126)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 롤러(124)가 계속 회전되는 것에 의해 지폐(B)는 후방으로 진행된다. 상부 롤러(126)는 지폐(B)의 상면을 하방으로 지지하여 하부 롤러(124)에 의한 지폐(B)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이렇게 하부 롤러(124)의 후방으로 진행되는 지폐(B)는 그 전측단이 안내홈 (112)의 절곡부에 도달하면 그 진행 방향이 변화되어 하방으로 진행된다(도 6a 및 6b 참조). 여기서, 지폐(B)의 전측단이 안내 부재의 절곡부(112a)에 접촉되더라도, 지폐(B)를 후방으로 진행시키는 하부 롤러(124)와 지폐(B)의 전측단 사이가 매우 근접해 있어 지폐(B)의 전측단에 가해지는 진행력이 크기 때문에 지폐(B)는 절곡부 (112a)에 걸리지 않고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지폐(B)의 후측단이 하부 롤러(124)의 후측으로 빠져나오면 중력에 의해 지폐(B)는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어 지폐 수납함(150)에 수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폐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는 안내홈의 투입구에 설치된 강제 이송 기구에 의해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기 때문에 지폐가 안내 부재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폐 투입 장치는 기존의 지폐 식별기 후측에 볼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따라서, 적은 비용으로 지폐 수납함이 지폐 식별기의 하측에 설치된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장치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지폐 식별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투입된 지폐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안내홈이 양측벽 내면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를 강제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안내홈 사이에 설치되어 지폐의 중간 부분을 안내하는 중간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송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회전축과 상기 하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 롤러를 가지는 하부 롤러 조립체;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상기 지폐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를 가지는 상부 롤러 조립체; 및 상기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부 롤러 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는 각각 한 쌍씩이 상부 회전축 및 하부 회전축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장공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롤러가 지폐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력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하부 롤러 조립체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 풀리; 상기 지폐 인식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 인식기의 지폐 이송용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시스템의 지폐 투입 장치.
  6.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가이드 풀리에 감긴 이송용 벨트를 이용하여 투입된 지폐를 후방 또는 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진위 여부 및 금액 종별을 판별하기 위한 식별부를 가지며, 상기 일측 가이드 풀리의 회전축이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를 가지는 지폐 식별기; 상기 지폐 식별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 식별기에 의해 진짜 지폐로 판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수납함; 및 지폐 식별기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투입된 지폐를 수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안내홈이 양측벽 내면에 각각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안내홈 사이에 설치되어 지폐의 중간 부분을 안내하는 중간 안내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하부 회전축과 상기 하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지폐의 하면에 접촉되는 하부 롤러를 가지는 하부 롤러 조립체와, 상기 프레임의 양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장공을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상기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된 상부 회전축과, 상기 상부 회전축에 설치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는 상기 지폐의 상면에 접촉되는 상부 롤러를 가지는 상부 롤러 조립체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롤러가 지폐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상부 회전축을 하방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부 롤러 조립체의 회전축에 설치된 종동 풀리와, 상기 지폐 인식기의 일측 가이드 풀리의 회전축 연장부에 설치된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를 가지며 상기 지폐가 강제로 이송되도록 상기 하부 롤러 조립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지는 지폐 투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용 지폐 수납 장치.
KR1019980063355A 1998-12-31 1998-12-31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KR10030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55A KR100308698B1 (ko) 1998-12-31 1998-12-31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55A KR100308698B1 (ko) 1998-12-31 1998-12-31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52A KR20000046652A (ko) 2000-07-25
KR100308698B1 true KR100308698B1 (ko) 2001-12-17

Family

ID=1956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355A KR100308698B1 (ko) 1998-12-31 1998-12-31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7208B2 (en) 2002-03-07 2008-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with contac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18094B1 (ko) * 2006-11-27 2008-03-31 (주)한틀시스템 보수가 용이한 자판기용 지폐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52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867B2 (en) Device for handling single sheets, for introducing and distributing rectangular single sheets, especially bank notes, respectively into and out of a container
US7503445B2 (en) Bill handling machine and bill storage unit
KR20060129647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S58207194A (ja) 紙幣受入装置
KR100966675B1 (ko) 금융자동화기기
US641261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aper money
KR100308698B1 (ko) 자동판매기용지폐수납시스템의지폐투입장치
KR940022347A (ko) 지폐처리장치
WO2015040897A1 (ja)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090062327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집적장치
KR100600417B1 (ko) 지폐 계수 및 인출 장치
KR20180112206A (ko) 지폐 분리집적부
KR960001446B1 (ko) 에스컬레이터 부착 코인 송출 장치
KR101170564B1 (ko) 종이매체 저장장치
US6926168B2 (en) Dispensing unit for dispensing single sheets
KR100379355B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 자동인출장치
KR100596310B1 (ko)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JP2005332293A (ja) 遊技機
KR102100908B1 (ko) 매체분리장치
JP2624530B2 (ja) 紙葉類搬送装置
KR200308688Y1 (ko) 현금자동지급기의스탬프모듈부동력전달장치
KR200375938Y1 (ko) 상품권 자동 지급기
KR100554128B1 (ko) 종방향 지폐입·출금기의 픽업 번들벨트장치
JP4270385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