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519B1 -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 Google Patents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519B1
KR100308519B1 KR1019990005466A KR19990005466A KR100308519B1 KR 100308519 B1 KR100308519 B1 KR 100308519B1 KR 1019990005466 A KR1019990005466 A KR 1019990005466A KR 19990005466 A KR19990005466 A KR 19990005466A KR 100308519 B1 KR100308519 B1 KR 10030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fixed
cylindrical
rotar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285A (ko
Inventor
윤세원
서윤석
강시홍
박창준
Original Assignee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정명세
Priority to KR101999000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51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27Work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 B24B47/04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by mechanical gear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 공작물의 표면에 대한 고정밀 다듬질 작업을 매우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원통 래핑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회전하는 두 롤러 각각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이 롤러 마모 및 속도차에 의해 공작물의 표면이 연마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래핑머신에 비해 적은 절삭저항으로 가공응력을 최소화하여 가공변형을 줄이고, 또한 공작물이 일정한 이송속도로 좌우로 자동 왕복되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진직도 및 진원도등 기하학적 형상의 거의 이상적인 공작물의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Pricision cylindrical lapping machine using rotation roller}
본 발명은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공작물이 회전과 동시에 좌우 이송이 되면서 롤러 사이의 속도차 및 마모에 의해 연마되도록 함으로써, 공작물의 고정밀 표면을 얻어낼 수 있도록 한 회전롤러를 이용한 래핑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래핑머신(Lapping machine)이란, 랩 다듬질(Lapping)에 사용하는 기계로서, 연삭기등으로 정밀하게 다듬질한 공작물의 표면을 더욱 고정밀로 다듬질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래핑머신은 랩이라는 공구에 공작물의 표면을 접동시키는 동시에 이 양자 사이에 미세한 입자 분말로 되어 있는 탄화규소,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랩제를 넣음으로써, 서로간의 마모작용에 의하여 공작물의 미세한 볼록(凸)표면이 정밀하게 가공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래핑머신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래핑작업을 실시할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가공될 공작물의 표면에 가공응력이 발생하여 공작물 표면의 진직도, 진원도가 떨어지고, 가공후 변형이 생길 수 있으며, 비산하는 랩제에 의하여 작업이 깨끗하지 못하고, 작업자의 손과 신체에 착용한 작업복등이 더럽혀져 작업성을 떨어뜨리며, 공작물의 가공면에 랩제가 잔류하기 쉽고, 제품을 사용할 때 마멸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고도의 숙련작업성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하는 두 롤러 각각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이 롤러 마모 및 속도차에 의해 공작물의표면이 회전연마되도록 하는 동시에 공작물이 일정한 주기로 좌우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래핑머신에 비해 적은 절삭저항으로 가공응력을 최소화하여 가공변형을 줄이고, 또한 공작물이 일정한 이송속도로 좌우 왕복되어, 공작물의 진직도 및 진원도등 기하학적 형상의 거의 이상적인 공작물의 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회전래핑부의 베어링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회전래핑부의 롤러커플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회전래핑부의 회전롤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회전캠과 이에 장착되는 제 1캠팔로워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8b,8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암지지대와, 암커버와, 암지지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9b,9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회전고정체를 나타내는 바, 도 9a,9b는 회전고정체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9c는회전고정체의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11b,11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좌우이송뭉치를 구성하고 있는 상판과, 중간판과, 하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좌우이송뭉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a, 13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의 좌우이송 한계바와 밀침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a,14b,14c,14d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좌우이송부와 회전래핑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회전롤러 12:제 1구동모터
14:벨트16:회전전달수단
18:제 2구동모터20:회전캠
22:제 1캠팔로워24:제 1슬라이드 홈
26:제 1암28:제 2슬라이드 홈
30:제 2암32:암지지대
34:회전고정체36:제 2캠팔로워
38:상판40:중간판
42:하판44:좌우이송 안내바
46:좌우이송 한계바48:절곡단
50:좌우이송뭉치52:밀침단
54:베어링 하우징56:롤러 커플링
58:벨트풀리60:지지프레임
62:투명 아크릴64:제어판
66:이송롤러68:도어
70:십자홈72:커버
74:돌기76:좌우이송안내홈
78:고정홈80:조임구
82:홀더84:암지지체
86:암지지 샤프트88:슬롯홈
90:암커버100:래핑기
200:회전래핑부300:좌우이송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 1구동모터(12)와 벨트(14)로 연결되어지는 회전전달수단(16)과, 이 회전전달수단(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두 개의 회전롤러(10)로 구성된 회전래핑부(200)와; 제 2구동모터(18)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캠(20)과, 이 회전캠(20)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회전캠(20)에 편심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제 1캠팔로워(22)와, 이 제 1캠팔로워(22)의 상단이 끼워져 슬라이드되도록 일측단에 제 1슬라이드 홈(24)이 형성되고 타단은 암지지대(3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고정체(34)에 고정되는 제 1암(26)과, 상기 회전고정체(34)에 상기 제 1암(26)과 수직으로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 2슬라이드 홈(28)이 형성된 제 2암(30)과, 이 제 2암(30)의 제 2슬라이드 홈(2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캠팔로워(36)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판(38)과 중간판(40)과 하판(42)으로 조립 구성된 좌우이송뭉치(50)와, 이 좌우이송뭉치(50)의 상판(38)과중간판(4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롤러(10)의 양쪽끝 부위에 장착된 고정대에 양단이 고정되는 좌우이송 안내바(44)와,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중간판(40)과 하판(42) 사이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단(46)을 갖는 좌우이송 한계바(46)와, 이 좌우이송 한계바(46)의 절곡단(48)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롤러(10)에 올려져 회전되는 공작물을 동시에 좌우로 이송되도록 공작물의 양측단을 교번으로 밀어주게 되는 밀침단(52)으로 구성된 좌우이송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래핑부(200)와 좌우이송부(300)는 상하 2층 구조의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제 1구동모터(12)는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하층에 설치 고정된다.
특히, 상기 회전전달수단(16)은 상기 벨트(14)가 끼워지는 벨트풀리(58)와, 베어링이 내설되어 지지프레임(60) 상층부 양쪽에 배치되는 한쌍의 베어링 하우징(54)과, 상기 벨트풀리(58)쪽의 베어링 하우징(54)을 관통하여 상기 벨트풀리(58)에 일측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롤러(10)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롤러 커플링(56)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벨트풀리(58)쪽으로 일단이 연결된 회전롤러(10)의 타단도 반대쪽 베어링 하우징(54)의 베어링에 체결되는 롤러 커플링(56)과 체결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는 내부의 래핑 작동상태가 보이도록 여닫이 형태의 투명아크릴(62)로 제작되고, 나머지 부분은 알미늄 판으로 밀폐하되, 전면 하부에는 하부층의 내부와 통하는 도어(68)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래핑기(100)의 작동과 제 1,2구동모터(12),(18)의 속도제어등을 위한 제어 조절판(64)이 설치된다.
상기 제 2구동모터(18)에 고정되어진 회전캠(20)에는 상기 제 1캠팔로워(22)가 편심으로 고정되도록 한 슬롯홈(88)이 형성된다.
상기 암지지대(32)는 상부에 암커버(90)를 갖는 암지지체(84)와, 상기 암커버(90)를 통하여 상기 암지지체(84)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암지지샤프트(86)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고정체(34)에는 상기 제 1암(26)과 제 2암(30)의 제 1,2슬라이드 홈(24),(28)의 반대쪽단이 서로 수직 교차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깊이로 교차된 십자홈(7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저부는 상기 암지지대(32)의 암지지샤프트(86)와 회전 가능하게 결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교차된 상태의 제 1,2암(26),(30)을 덮게되는 암커버(72)가 체결되어진다.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상판(38)의 상면에 상기 제 2 캠팔로워(3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양쪽에 돌기(7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38)과 볼팅 체결되는 중간판(4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38)의 돌기(74)와 밀착되도록 좌우이송 안내바(44)가 삽입되는 좌우이송 안내홈(76)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가 삽입되는 두 개의 고정홈(78)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중간판(40)의 고정홈(78) 바깥쪽으로는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와 함께 홀더(82)가 채워져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중간판(50)의 전후 외부면에는 상기 홀더(82)를 조여주는 수단이 삽입되도록 조임구(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50)의 저면과 밀착되며 볼팅 고정되는 하판(42)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78)에 삽입 고정된 좌우이송 한계바(46)를 누르며 일부가 고정홈(78)에 삽입되는 돌기(74)가 형성된다.
여기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의 각 구성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래핑기(100)의 구성을 크게 나누면, 공작물을 회전시키면서 래핑시키는 회전래핑부(200)와, 공작물의 회전과 동시에 공작물을 좌우로 이송시키며 래핑시키게 되는 좌우이송부(300)로 나누어져 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래핑기(100)의 회전래핑부(200)와 좌우이송부(300)는 전체가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진 2층 구조의 지지프레임(60)에 고정되어지는 바, 상기 지지프레임(60)은 직육면체의 골조틀 형상으로서, 상층과 하층부로 나누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하층부는 공작물과 공구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회전축에 원동벨트풀리가 장착된 상기 두 개의 제 1구동모터(12)가 설치되어지는 공간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개폐 도어(68)가 부착되어지며, 저면의 4곳 꼭지점 부위에는 래핑기(100)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러(66)가 장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의 사방 외관은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아크릴(62)로 둘러싸여지고, 일측면상에는 래핑기(100)의 구동과 제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제어판(64)이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 상면에 설치되어지는 상기 회전래핑부(200)와 좌우이송부(300)의 각 구성부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래핑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하층부에 설치되어진 제 1구동모터(12)의 구동으로 연동되도록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바, 그 구성을 크게 나누어보면 상기 제 1구동모터(12)와 벨트(14)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는 회전전달수단(16)과, 이 회전전달수단(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고정되어 회전전달수단(1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두 개의 회전롤러(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전달수단(16)은 상기 제 1구동모터(12)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진 원동벨트풀리에 대향되는 위치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 일측끝에 설치되는 종속벨트풀리(58)와, 상기 원동벨트풀리와 종속벨트풀리(58)를 연결하는 벨트(14)와, 베어링이 내설되어 좌우로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4)과, 이 베어링 하우징(54)의 베어링에 각각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 커플링(56)으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롤러커플링(56)의 일측단이 종속벨트풀리(58)쪽의 베어링 하우징(54)의 내부를 관통하여 종속벨트풀리(56)의 축과 체결되어, 베어링 하우징(54)내의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고, 반대쪽 베어링 하우징(54)에는 또 다른 롤러 커플링(56)의 일측단이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양쪽으로 고정된 롤러 커플링(56) 사이에는 상기 회전롤러(1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요철 결합으로 체결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 1구동모터(12)는 두 개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에 연결되며 장착되는 원동 및 종속벨트풀리도 두개로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 롤러 커플링은 좌우로 두 개씩 한쌍, 상기 회전롤러(10)는 두 개로서 서로 접촉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송부(300)의 각 구성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좌우이송부(300)는 상기 회전래핑부(200)의 바로 옆쪽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에 설치되는 바, 우선 좌우이송부(300)를 구동시키는 원동력으로서, 제 2구동모터(18)가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 한쪽에 모터의 축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 2구동모터(18)는 모터 지지대에 의하여 고정되고, 모터의 축에는 원형의 회전캠(20)이 장착되는 동시에 이 회전캠(20)의 상단면에는 보다 작은 직경의 제 1캠팔로워(22)가 체결되는데, 제 1캠팔로워(22)의 상부는 자유회전단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캠(20)의 상면에는 반경 길이의 슬롯홈(88)이 형성되어지는 바, 이 슬롯홈(88)에 상기 제 1캠팔로워(22)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어진다.
즉, 상기 회전캠(20)의 중심으로 벗어난 위치의 슬롯홈(88)에 상기 제 1캠팔로워(22)가 편심으로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 1캠팔로워(22)와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지지프레임(60) 상층부면에는 암지지대(32)가 설치되어지는데, 이 암지지대(32)의 구성과 그 설치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상기 암지지대(32)는 중공형의 암지지체(84))의 상면에 암커버(90)가 장착되며, 이 암커버(90)의 상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암지지체(84)내로 암지지 샤프트(86)가 삽입되어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암지지 샤프트(86)의 상단끝은 암지지대 커버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로서, 이곳에 회전고정체(34)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진다.
상기 회전고정체(34)는 저면에 상기 암지지 샤프트(86)가 체결되도록 사각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십자홈(7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십자홈(70)은 가로, 세로가 서로 다른 깊이로 파여진 홈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고정체(34)와 상기 제 1캠팔로워(22) 사이에 제 1암(26)이 장착되는데, 상기 제 1암(26)의 형상과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암(26)은 일측단에 길다란 '∪'형태의 제 1슬라이드 홈(24)이 형성되고 타단은 사각바 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제 1슬라이드 홈(24)에 상기 제 1캠팔로워(22)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사각바 형태의 타단은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십자홈(70)의 깊은쪽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십자홈(70)의 얕은쪽에는 제 1암과 똑같은 형상의 제 2암(30)의 사각바쪽이 삽입되어지는 바,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상부에는 서로 교차되어진 상기 제 1암(26)과 제 2암(30)을 밀착시키면서 커버(72)가 체결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암(30)과 연결되어 연동되어지는 상기 좌우이송뭉치(5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좌우이송뭉치(50)는 상판(38)과 중간판(40)과 하판(42)이 서로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더욱 상게하게는,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상판(38)은 상면에 베어링이 개재되어 상기 제 2캠팔로워(36)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볼팅 체결홈이 형성되며, 저면의 좌우방향의 양쪽 중앙에는 사각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기(7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4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38)과 볼팅 체결되도록 볼팅 체결홈이 형성되고, 그 중앙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좌우이송 안내홈(76)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두 개의 고정홈(78)이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중간판(40)의 좌우이송 안내홈(76)에는 상기 양쪽의 베어링 하우징(54)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좌우이송 안내바(44)가 삽입되는 바, 상기 상판(38)이 중간판(40)에 볼팅 체결시에 상판(38)의 돌기(74)가 상기 좌우이송 안내바(44)를 누르며 좌우이송 안내홈(76)에 함께 삽입되어진다.
또한, 상기 중간판(40)의 고정홈(78)에는 좌우이송 한계바(46)가 삽입되는 바, 이 삽입된 좌우이송 한계바(46)의 바깥쪽으로는 홀더(82)가 좌우이송 한계바(46)와 함께 채워져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가 견고하게 고정되어진다.
한편, 상기 중간판(50)의 전후 하단 외부면에는 상기 홀더(82)를 조여주는수단, 즉,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되도록 조임구(8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간판(50)의 저면과 밀착되며 볼팅 고정되도록 하판(42)의 저면에는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78)에 삽입 고정된 좌우이송 한계바(46)의 저면을 누르며 일부가 고정홈(78)에 삽입되는 돌기(7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체결 조립된 좌우이송뭉치(50)는 상기 좌우이송 안내바(44)를 따라 좌우 이송 가능하게 되는 바, 동시에 좌우이송뭉치(50)의 좌우이송과 함께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도 좌우로 이송을 하게 된다.
상기 좌우이송 안내바(44)의 양단은 상기 지지프레임(60)상의 양쪽에 설치된 베어링 하우징(54)쪽의 인접부위에 장착된 고정대에 고정되고, 상기 좌우이송한계바(46)의 양단에는 하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절곡단(48)이 형성되고 이 절곡단(48)에는 섬유와 같은 연성재질의 밀침단(52)이 부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형 래핑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회전롤러(10)에 표면 래핑할 원통형 공작물을 올려놓은 후, 상기 제어판(64)의 조작으로 래핑기(100)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즉, 제 1구동모터(12)와 제 2구동모터(18)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제 1구동모터(12)의 회전속도는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고, 그 회전속도는 조절 가능하다.
상기 제 1구동모터(12)의 구동과 동시에 모터축의 벨트풀리와 반대쪽의 벨트풀리(58)가 회전을 하게 되며, 또한 동시에 이 벨트풀리와 체결된 롤러 커플링(56)이 회전을 하게 되고, 연동하여 롤러 커플링(56)과 체결된 두 개의 회전롤러(10)가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롤러(10)상에서 회전을 하게 되는 공작물에 랩제를 첨가함으로써, 공작물이 래핑되어진다.
이때, 상기 공작물이 회전롤러(10)에 의하여 회전 래핑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이송부(300)에 의하여 회전롤러(10)상에서 좌우로 이송되면서 좌우이송래핑되는데, 상기 좌우이송부(3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구동모터(18)가 회전구동을 하게 되면, 상기 회전캠(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물론 회전캠(20)의 슬롯홈(88)에 장착되어진 상기 제 1캠팔로워(22)도 회전캠(20)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편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캠팔로워(22)의 자유회전단은 상기 제 1암(26)의 제 1슬라이드 홈(24)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제 1캠팔로워(22)의 둘레면과 상기 제 1슬라이드 홈(24)의 내면이 회전마찰을 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캠팔로워(22)가 회전캠(20)에서 편심회전을 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 1암(26)이 제 1캠팔로워(22)가 회전하며 미는힘으로 전후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회동하게 된다.
연이어서, 상기 제 1암(26)의 제 1슬라이드 홈(24)쪽단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을 하는 동시에 제 1암(26)의 타단도 같은 각으로 회동을 하는 바, 이 제 1암(26)의 타단이 회동하며 상기 회전고정체(34)를 밀기때문에 회전고정체(34)도 같은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암(26)의 제 1슬라이드 홈(24)쪽단과 반대쪽단은 일체로서, 항상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는 바, 상기 제 1암(26)의 제 1슬라이드 홈(24)쪽단의 회동각은 반대쪽단의 회동각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암(26)의 제 1슬라이드 홈(24)쪽단의 회동과 동시에 제 1암(26)의 반대쪽단이 같은각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암지지대(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진 회전고정체(34)를 임의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십자홈(70)에 삽입 고정된 상기 제 1암(26)의 반대쪽단과 수직으로 교차되어 고정된 제 2암(30)도 상기 회전고정체(34)의 회전과 동시에 같은각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암(26)과 제 2암(30)은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십자홈(70)에 고정되어 항상 90°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태로서, 상기 제 1암(26)에 의한 회동에 의한 회전고정체(34)의 회전은 상기 제 2암(30)이 제 1암(26)과 90°각을 유지하는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십자홈(70)에 고정된 제 2암(30)의 일측단의 회동과 동시에 반대쪽단인 제 2슬라이드 홈(28)쪽단도 같은각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동시에,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제 2캠팔로워(36)의 자유회전단이 상기 제 2암(30)의 제 2슬라이드 홈(28)에서 회전마찰을 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제 2암(30)의 제 2슬라이드 홈(28)단의 좌우 일정한 각을 이루는 회동으로 인하여 제 2캠팔로워(36)가 좌우로 이송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캠팔로워(36)의 좌우 이송은 제 2캠팔로워(36)가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상판(3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이송뭉치(50)가 좌우로 동시에 이송됨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이송뭉치(50)는 상기 좌우이송 안내바(44)를 따라 좌우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좌우이송과 동시에 좌우이송뭉치(50)의 중간판(40)과 하판(42)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이송한계바(46)도 좌우로 이송되어진다.
동시에, 상기 두 개의 회전롤러(10)상에서 래핑되면서 회전을 하고 있는 공작물의 좌우측면을 상기 좌우이송한계바(46)의 밀침단(52)이 교번으로 밀어주게 되어 공작물이 좌우로 이송되어진다.
이에따라, 래핑될 공작물은 상기 원통형 래핑기(100)의 회전롤러(10)에서 회전 래핑되는 동시에 상기 좌우이송뭉치(50)에 의하여 좌우로 이송되며 정밀하고 고운 표면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캠(20)의 슬롯홈(88)에 상기 제 1캠팔로워(22)의 고정위치를 달리하면, 결국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좌우이송거리가 달라지는 바, 즉, 공작물의 길이에 따라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좌우이송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형 래핑기에의하면, 기존에 공작물을 회전시켜 래핑하는 방법에서 회전과 동시에 좌우로 이송시키면서 공작물을 래핑함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더욱 곱고 정밀한 공작물의 표면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공작물이 래핑되는 도중에 랩제가 비산하여 작업장 및 작업자에 묻게 되는 종래의 래핑기에 비하여 래핑되는 공작물이 투명아크릴로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제 1구동모터(12)와 벨트(14)로 연결되어지는 회전전달수단(16)과, 이 회전전달수단(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 1구동모터(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두 개의 회전롤러(10)로 구성된 회전래핑부(200)와; 제 2구동모터(18)의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캠(20)과, 이 회전캠(20)과 동시에 회전하도록 회전캠(20)에 편심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제 1캠팔로워(22)와, 이 제 1캠팔로워(22)의 상단이 끼워져 슬라이드되도록 일측단에 제 1슬라이드 홈(24)이 형성되고 타단은 암지지대(32)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고정체(34)에 고정되는 제 1암(26)과, 상기 회전고정체(34)에 상기 제 1암(26)과 수직으로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 2슬라이드 홈(28)이 형성된 제 2암(30)과, 이 제 2암(30)의 제 2슬라이드 홈(2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2캠팔로워(36)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판(38)과 중간판(40)과 하판(42)으로 조립 구성된 좌우이송뭉치(50)와, 이 좌우이송뭉치(50)의 상판(38)과 중간판(40)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롤러(10)의 양쪽끝 부위에 장착된 고정대에 양단이 고정되는 좌우이송 안내바(44)와,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중간판(40)과 하판(42) 사이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단(46)을 갖는 좌우이송 한계바(46)와, 이 좌우이송 한계바(46)의 절곡단(48)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롤러(10)에 올려져 회전되는 공작물을 동시에 좌우로 이송되도록 공작물의 양측단을 교번으로 밀어주게 되는 밀침단(52)으로 구성된 좌우이송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형 래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래핑부(200)와 좌우이송부(300)는 2층 구조의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제 1구동모터(12)는 상기 지지프레임(60)의 하층에 설치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형 래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16)은 상기 벨트(14)가 끼워지는 벨트풀리(58)와, 베어링이 내설되어 지지프레임(60) 상층부 양쪽에 배치되는 한쌍의 베어링 하우징(54)과, 상기 벨트풀리(58)쪽의 베어링 하우징(54)을 관통하여 상기 벨트풀리(58)에 일측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롤러(10)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롤러 커플링(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형 래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풀리(58)쪽으로 일단이 연결된 회전롤러(10)의 타단도 반대쪽 베어링 하우징(54)의 베어링에 체결되는 롤러 커플링(56)과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상층부는 내부의 래핑 작동상태가 보이도록 투명아크릴(62)로 성형되고, 나머지 부분은 밀폐된 판으로 성형되되, 전면 하부에는 하부층의 내부와 통하는 도어(68)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60)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래핑기(100)의 작동과 제 1,2구동모터(12),(18)의 속도제어등을 위한 제어 조절판(6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모터(18)에 고정되어진 회전캠(20)에는 상기 제 1캠팔로워(22)가 편심으로 고정되도록 한 슬롯홈(8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지지대(32)는 상부에 암커버(90)를 갖는 암지지체(84)와, 상기 암커버(90)를 통하여 상기 암지지체(84)에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암지지샤프트(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체(34)에는 상기 제 1암(26)과 제 2암(30)의 제 1,2슬라이드 홈(24),(28)의 반대쪽단이 서로 수직 교차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서로 다른 깊이로 교차된 십자홈(7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체(34)의 저부는 상기 암지지대(32)의 암지지샤프트(86)와 회전 가능하게 결착되고, 상부에는 상기 교차된 상태의 제 1,2암(26),(30)을 덮게되는 암커버(72)가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상판(38)의 상면에 상기 제 2 캠팔로워(36)가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양쪽에 돌기(7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38)과 볼팅 체결되는 중간판(4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38)의 돌기(74)와 밀착되도록 좌우이송 안내바(44)가 삽입되는 좌우이송 안내홈(76)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가 삽입되는 두 개의 고정홈(7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뭉치(50)의 중간판(40)의 고정홈(78) 바깥쪽으로는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와 함께 홀더(82)가 채워져 상기 좌우이송 한계바(46)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50)의 전후 외부면에는 상기 홀더(82)를 조여주는 수단이 삽입되도록 조임구(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50)의 저면과 밀착되며 볼팅 고정되는 하판(42)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홈(78)에 삽입 고정된 좌우이송 한계바(46)를 누르며 일부가 고정홈(78)에 삽입되는 돌기(7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KR1019990005466A 1999-02-19 1999-02-19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KR10030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66A KR100308519B1 (ko) 1999-02-19 1999-02-19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66A KR100308519B1 (ko) 1999-02-19 1999-02-19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285A KR20000056285A (ko) 2000-09-15
KR100308519B1 true KR100308519B1 (ko) 2001-09-26

Family

ID=1957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466A KR100308519B1 (ko) 1999-02-19 1999-02-19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5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285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3166C (en) Machining and conveying apparatus
KR100991545B1 (ko) 바닥 연삭기
KR100308519B1 (ko) 회전롤러를 이용한 원통 래핑기
CA1146452A (en) Trimming machine
US5697831A (en) Machine tool with plural tool spindles
US20040261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tool relative to a workpiece
CA2092930C (en) Tool spindle, in particular boring spindle
US4878317A (en) Power sander
JP6085871B2 (ja) 刃先交換型切削インサート、切削インサートホルダ、切削工具、旋削装置および旋削方法
KR100457289B1 (ko) 필름 연마재를 사용한 슈퍼피니싱 장치
US5335560A (en) Table-top grinder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US1873011A (en) Electric surfacer
CN103429404A (zh) 工具机系统
KR200226887Y1 (ko) 헤어라인 형성장치
CN109153103A (zh) 带精加工设备
KR19980074385A (ko) 용접봉 자동 연마기
CN105163905A (zh) 用于带式精加工工件的装置
CN215317586U (zh) 一种减速器齿轮孔面打磨装置
JPH0340531Y2 (ko)
KR101463838B1 (ko) 센터리스 연삭기의 피삭재 공급장치
KR100192558B1 (ko) 수직선반용 턴밀 터릿
KR20170090769A (ko) 크랭크샤프트 가공장치
SU16856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енточного шлифовани
KR930005857Y1 (ko) 자동침연마기
SU7573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водки пло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деталей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