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477B1 -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477B1
KR100308477B1 KR1019970081901A KR19970081901A KR100308477B1 KR 100308477 B1 KR100308477 B1 KR 100308477B1 KR 1019970081901 A KR1019970081901 A KR 1019970081901A KR 19970081901 A KR19970081901 A KR 19970081901A KR 100308477 B1 KR100308477 B1 KR 10030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g dial
key
character
initi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622A (ko
Inventor
이성동
김원용
Original Assignee
송문섭
주식회사 현대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섭, 주식회사 현대큐리텔 filed Critical 송문섭
Priority to KR101997008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4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조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죠그 다이얼을 이동단말기에 구현하고, 이 죠그 다이얼의 다양한 조작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쇼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고, 송신할 메시지를 편집하여 송신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죠그 다이얼을 이용하여 한글 문자 메시지를 보다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죠그 다이얼(jog dial)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간단한 방법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구성요소는 이동전화 통신망, 메시지 센터, 이동 단말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짧은 메시지를 편집하고 편집된 메시지를 송신하며,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시지 센터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를 저장 및 전달하고, 이동전화 통신망은 이동단말기와 메시지 센터간을 연결해주어 쇼트 메시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 상호간 또는 단말기와 메시지 센터의 메시지 입력장치간에 짧은 문자(한글/영문/특수문자)를 교환해주어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서비스가 이동단말기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이다.
쇼트 메시지 서비스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점대점 서비스와 방송 서비스 등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점대점 서비스는 단말기 상호간 또는 메시지 센터의 메시지 입력 장치간에 일대일로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호출 및 메시지 서비스를 의미하며, 방송 서비스는 메시지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지역의 단말기 또는 일정한 그룹의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를 일시에 송출하는 단방향 호출 및 메시지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1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키패널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이동전화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전송키(SEND)와; 단말기의 통화를 종료시키는 종료키(END)와;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메시지 편집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표시기(LCD)와; 수신되는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 버튼과;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키(PWR)와; 쇼트 메시지 수신 및 송신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 키(SMS)와; 단말기 동작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키(MENU)와; 상기 액정 표시기(LCD)의 화면을 모두 지우는 클리어키(CLR)와; 상기 액정 표시기(LCD)에 디스플레이된 문자중 선택된 문자를 지우는 수정키(RCL)와; 상기 액정표시기(LCD)에 디스플레이된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키(STO)와; 숫자키와; 커서의 위치를 좌로 이동시키는 좌이동키(*)와; 커서의 위치를 우로 이동시키는 우이동키(#)로 구성된다.
전송키(SEND), 종료키(END), 액정 표시기(LCD), 볼륨 버튼을 키패널을 보호하는 전면덮개(flip)로 덮이지 않는 부분에 위치시키고, 파워키(PWR), 쇼트 메시지 서비스 키(SMS), 메뉴키(MENU), 클리어키(CLR), 수정키(RCL), 저장키(STO), 숫자키, 좌이동키(*), 우이동키(#)를 전면 덮개가 덮이는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키패널이 구성된 일반적인 단말기에서 동작되는 쇼트 메시지 수신 방법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 키가 입력되면, 메시지 수신을 위해 설정된 숫자키를 입력받는 메시지 수신동작 선택단계(ST1-ST2)와; 상기에서 메시지 수신 동작이 선택되면, 입력된 *키와 #키에 따라 메시지 수신 방법을 선택하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메시지 디스플레이 단계(ST3-ST4)로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인 단말기에서 동작되는 쇼트 메시지 송신 방법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 키가 입력되면, 메시지 송신을 위해 설정된 숫자키를 입력받는 메시지 송신동작 선택단계(ST11-ST12)와; 상기에서 메시지 송신 동작이 선택되면, 메시지 송신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위해 설정된 숫자키를 입력받아, 입력된 숫자키가 1번키이면, 메시지가 수신될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숫자키가 3번키이면,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송수신 전화번호 입력단계(ST13-ST17)와; 상기에서 입력된 숫자키가 2번키이면 메시지 편집을 위해, 한글편집 모드에서 볼륨버튼을 아래 위치로 입력받아 한글 초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커서이동을 위해 설정된 숫자키, 쇼트메시지 서비스(SMS)키, *키, #키를 입력받아 해당 초성의 위치로 커서(cursor)를 이동시키는 초성 선택단계(ST18-ST20)와; 초성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볼륨 버튼이 아래위치로 조작되어 입력되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초성이 선택되어 해당 초성과 모든 중성이 결합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커서이동을 위해 설정된 숫자키, 쇼트메시지 서비스 (SMS)키, *키, #키를 입력받아 해당 초성과 중성의 결합 문자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중성 선택 단계(ST21-ST22)와; 초성과 중성의 결합 리스트에서 볼륨 버튼이 아래 위치로 조작되어 입력되면, 상기 이동된 커서위치의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가 선택되어 해당 초성과 중성 및 모든 종성이 결합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커서이동을 위해 설정된 숫자키, 쇼트메시지 서비스(SMS)키, *키, #키를 입력받아 해당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의 결합 문자의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중성종성 선택 단계(ST23-ST25)와; 상기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의 커서 이동 상태 또는 상기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결합된 문자의 커서 이동 상태에서 저장키(STO)가 입력되면, 해당 커서 위치의 문자를 저장하는 선택 문자 저장단계(ST26-ST28)와; 상기 편집된 문자가 저장된 상태에서 메시지 전송키(SEND)가 입력되면, 편집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ST29-ST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호하는 전면덮개 (flip)를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키를 조작하려면, 전면덮개를 열고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키를 조작해야 한다.
이리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키가 입력되면, 도2b의 D2와 같이 메시지 송수신 동작을 선택받기 위한 화면이 단말기의 액정 표시기(LCD)에 디스플레이되며, 이에 1번키를 입력받으면, 메시지 수신 동작이 선택되어 D3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T1-ST2).
수신된 쇼트 메시지가 음성메시지이면 *키를 입력받아 [음성]을 선택하고, 수신된 메시지가 문자 메시지이면, #키를 입력받아 [문자]를 선택한다(ST3). 그러면, D4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해주게 되는 것이다 (ST4).
다음으로, 일반적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키가 입력되면, 도4의 D2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T11). 이후 2번키가 입력되면, 메시지 송신 동작이 선택되어 D10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T12). 이 상태에서 1번키가 입력되면,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지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D11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수신 전화번호를 입력받게 되는 것이다(ST13-ST15).
이렇게 수신 전화 번호가 입력되고 저장(STO)키가 입력되어 수신 전화 번호의 입력이 끝나면, D10의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숫자키를 입력받게 된다. 이때 입력된 숫자키가 3번키이면,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지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D12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T16). 그리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며(ST17), 입력이 끝나면, D10의 화면을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메시지 송신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는다.
이때 2번키가 입력되면, D13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서 한글 편집 모드의 메시지 편집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게 된다(ST18). 이후 단말기의 볼륨버튼이 아래로 조작되어 입력되면, D14와 같이 한글 초성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ST19).
여기서 일반적인 단말기의 커서 이동을 위해 설정된 키를 설명하면, 1-9번키가 조작되면 한글 폰트가 위치한 칼럼(column)을 선택하게 되고, 0번키가 조작되면, 커서를 위로 이동시키게 되며, 쇼트메시지 서비스(SMS)키의 조작은 커서를 아래로, *키의 조작은 커서를 왼쪽으로, #키의 조작은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글 초성 리스크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ㅅ"을 선택하려고 한다면, #키를 조작하여 "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킨다(ST20). 그리고 볼륨 버튼이 아래 위치로 조작되어 입력되면, "ㅅ"이 선택되어 "ㅅ"과 결합가능한 중성으로 이루어진 D15와 같은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T21). 그리고 "사"를 선택하려고 한다면, 커서를 "사"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ST22). 이후 볼륨 버튼이 아래로 조작되어 입력되면, "사"와 종성이 결합 가능한 문자 리스트를 D17과 같이 디스플레이한다(ST24). 상기 D15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볼륨 버튼이 위로 조작되면 이전 D14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볼륨 버튼이 아닌 저장키(STO)가 입력되면, 커서가 위치한 "사" 문자를 선택하여 저장하게 된다(ST27-ST28).
D17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을 선택하려고 한다면, 쇼트메시지 서비스(SMS)키를 조작하여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키를 조작하여 "상"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게 된다(ST25). 그리고 저장키(STO)가 입력되면, "상"문자가 저장되며, 자동으로 D13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다음 문자 편집을 기다리게 된다(ST28). 이리하여 쇼트 메시지를 편집하게 되고, 메시지 전송을 위한 전송(SEND)키가 입력되면, 편집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ST29-ST30).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경우 다양하고 많은 키를 조작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키 조작에 있어서 조작 방법이 복잡하므로, 쇼트메시지를 수신 및 송신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단말기의 키패드를 보호하는 전면 덮개가 닫혀 있는 경우에 쇼트 메시지 수신 및 발신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죠그 다이얼의 간단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신호 입력 및 한글 편집을 용이토록 하는 죠그 다이얼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쇼트)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한글편집 모드에서, 상기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한글 초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이 위아래로 조작되면 해당 초성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 선택단계와;
상기 초성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상기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초성이 선택되어 해당 초성과 결합 가능한 중성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해당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중성 선택단계와;
상기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해당 문자가 선택되어 해당 문자와 결합가능한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죠그 다이얼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해당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종성 선택단계와; 상기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상기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결합된 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미리 설정된 긴 시간 동안 상기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해당 커서 위치의 문자를 저장하는 선택문자 저장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키패널 구조도,
도 2a 는 종래 쇼트 메시지 수신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b 는 종래 쇼트 메시지 수신에 따른 단말기 액정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흐름도,
도 3 은 종래 쇼트 메시지 송신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 는 일반적인 쇼트 메시지 송신에 따른 단말기 액정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키패널 구조도,
도 6 은 도5의 죠그 다이얼의 조작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 설명도,
도 7a 는 본 발명에 의한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7b 는 도7a의 죠그 다이얼 조작에 따른 단말기 액정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흐름도,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의한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9 는 일반적인 특수문자 편집모드 메시지 편집 동작에 따른 단말기 액정 표시기의 디스플레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단말기 11:죠그 다이얼
12:LCD 13:통화키
14:SMS/벨선택 키 15:종료/전원 키
16:지움 키 17:기호 키
18:문자 키 19:숫자 키
20:* 키 21:# 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이동 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서비스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죠그 다이얼 조작으로 쇼트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 키패널의 실시예 구성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죠그 다이얼(11)과; 단말기(10)로부터의 신호를 이동전화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통화키(13)와; 쇼트 메시지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해주고, 벨(bell)의 종류를 선택하는 쇼트메시지서비스/벨 선택 키(14)와; 단말기(10)의 동작 상태와 메시지 편집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표시기(12)와; 단말기의 통화를 종료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종료/전원키(15)와; 상기 액정 표시기(12)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지우는 지움키(16)와; 메시지 편집시 특수 문자 모드로 만들어주는 기호키(17)와; 메시지 편집시 한글문자 모드와 영문 문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자키(18)와; 영문 문자 모드시 영문 기록 및 숫자 기록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영문/숫자키(19)와;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키(20)와;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키(21)로 구성되며, 죠그 다이얼(11), 액정 표시기(12), 통화키(13), 쇼트메시지서비스/벨선택키(14), 종료/전원키(15)는 전면덮개가 덮이지 않는 부분에 구성되고, 지움키(16), 기호키(17), 문자키(18), 숫자키(19), *키, #키는 전면덮개가 덮이는 부분에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에서 동작되는 쇼트 메시지 수신 방법은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키(14)가 입력되면, 죠그 다이얼(11)의 조작을 입력받아 메시지 수신 동작을 선택하는 메시지 수신 동작 선택단계(ST31-ST32)와; 상기에서 메시지 수단 동작이 선택되면, 죠그 다이얼(11) 조작을 입력받아 수신된 메시지 종류에 따른 수신 방법을 선택하여 메시시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메시지 디스플레이 단계(ST33-ST36)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에서 동작되는 쇼트 메시지 수신 방법은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키(14)가 입력되면, 죠그 다이얼(11)의 조작을 입력받아 메시지 송신 동작을 선택하는 메시지 송신 선택단계 (ST41-ST42)와; 상기에서 메시지 송신 동작이 선택되면, 입력해야할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죠그 다이얼(11)의 위아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죠그다이얼(11) 조작신호가 수신 전화번호 입력동작을 선택하는 신호이면 메시지가 수신될 전화번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된 죠그 다이얼(11) 조작신호가 송신 전화 번호 입력 동작을 선택하는 신호이면 메시지를 발신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송수신 전화번호 입력단계 (ST43-ST47)와; 상기에서 입력된 죠그 다이얼(11)의 조작신호가 메시지 편집동작을 선택하는 신호이면, 한글편집모드를 선택하는 문자키(18)의 조작을 입력받는 한글모드 선택단계(ST48-ST49)와; 상기 한글편집 모드에서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한글 초성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11)이 위아래로 조작되면 해당 초성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 선택단계(ST50-ST52)와; 초성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초성이 선택되어 해당 초성과 결합 가능한 중성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11)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해당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중성 선택단계(ST53-ST54)와; 상기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해당 문자가 선택되어 해당 문자와 결합가능한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11)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해당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중성종성 선택단계(ST55-ST56)와; 상기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상기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결합된 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긴 시간 동안 죠그 다이얼 (11)이 눌려지면, 해당 커서 위치의 문자를 저장하는 선택문자 저장 단계(ST57-ST59)와; 상기 한글 편집 모드에서 기호키(17)가 입력되면 특수문자 편집모드로 전환되고, 죠그 다이얼(11)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특수문자 리스트 중 특수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특수문자 선택단계(ST60)와; 상기 특수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선택된 문자가 저장되도록 설정된 긴 시간동안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특수문자를 저장하는 특수문자 저장단계(ST61)와; 상기에서 편집된 한글문자 또는 특수 문자가 저장된 상태에서, 통화키(13)가 입력되면 상기 편집되어 저장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ST62-ST6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죠그 다이얼 조작으로 쇼트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죠그 다이얼(11)의 조작 방법에 따른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은 1단계 위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커서를 왼쪽으로 천천히 이동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2번은 2단계 위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커서를 왼쪽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하며, 3번은 1단계 아래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커서를 오른쪽으로 천천히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4번은 2단계 아래로 조작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커서를 오른쪽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도록 하고, 5번은 누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눌려지게 되면, 현재 화면의 다음 화면으로 전환시키도록 하며, 선택된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설정된 긴 시간 동안 눌려지게 되면,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죠그 다이얼(11)의 조작에 따라 간편하게 쇼트메시지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단말기(10)의 전면덮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키(14)가 입력되면 도7b의 D2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쇼트 메시지 송수신 동작을 선택받기 위해 대기한다(ST31). 이후 죠그 다이얼(11)이 상하로 조작되면 메시지 수신동작에 커서를 이동시키고, 눌려지면 커서 위치의 메시지 수신동작이 선택되도록 한다(ST32).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D5의 화면으로 전환되고, 죠그 다이얼(11)을 다시 상하로 조작하여 메시지 수신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는 음성을 선택하였다면 D6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T33), 이때 통화키(13)가 입력되면,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시지 센터로 호출하여 음성 메시지를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ST34-ST35). 이리하여 단말기의 전면덮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죠그 다이얼(11)의 간편한 조작으로 수신된 쇼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키가 입력되면, 도4의 D2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T41). 이후 죠그 다이얼(11)이 상하로 조작되어 메시지 송신 동작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메시지 송신 동작을 선택하여 도4의 D1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ST42). 그리하여 죠그 다이얼(11)의 상하 조작과 누름 조작 입력으로 수신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D11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메시지가 수신될 전화번호를 입력받게 된다(ST43-ST45). 그리고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입력된 수신 전화번호를 저장한 후 D10의 화면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죠그 다이얼(11)의 상하조작 입력으로 송신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D12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송신 전화번화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 그리하여 메시지를 발신하는 발신지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입력된 송신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자동적으로 D1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T46-ST47).
계속해서 죠그 다이얼(11)의 상하조작 입력으로 메시지 편집 동작을 선택하고, 이어 문자키(18)의 조작으로 한글 편집모드를 선택한다(ST48-ST49). 본 발명에서는 영문 편집 모드로 메시지를 편집하는 경우는 제외시킨다.
이렇게 선택된 한글 편집 모드에서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D14와 같은 한글 초성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T51). 이때 "ㅅ"을 선택하려고 한다면, 죠그 다이얼(11)의 위아래 조작을 입력받아 "ㅅ"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며, 이어 죠그 다이얼(11)이 다음 화면인 D15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눌려지면, "ㅅ"과 결합가능한 중성으로 이루어진 D15와 같은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T52-ST53).
이후 "사"를 선택하려고 한다면, 죠그 다이얼(11)의 상하 조작으로 "사" 위치에 커서를 이동시킨다(ST54). 그리고 죠그 다이얼(11)이 D17의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눌려지면, "사"와 결합가능한 모든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ST55-ST56).
상기 D15의 "사"에 커서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죠그 다이얼(11)이 "사"가 선택되도록 설정된 긴 시간동안 눌려지면, "사"를 저장하게 된다(ST58-ST59).
디스플레이된 D17화면에서 "상"을 선택하려 한다면, 죠그다이얼(11)의 상하 조작을 입력받아 "상"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ST56), 이어 죠그 다이얼(11)이 "상"이 저장되도록 설정된 긴 시간동안 눌려지면 "상"을 저장한다(ST57-ST59).
이리하여 한글 편집 모드에서 죠그 다이얼(11)의 상하 조작과 누름 조작을 입력받아 원하는 한글 메시지를 작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D13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호키(17)가 입력되면, 특수문자 편집 모드로 전환되어 자동적으로 도9의 D20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죠그 다이얼(11)의 상하 조작을 입력받아 "?"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고, 커서가 위치한 문자가 선택되어 저장되도록 설정된 긴 시간동안 죠그 다이얼(11)이 눌려지면 "?"를 저장하고, 자동적으로 D20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ST60-ST61).
이리하여 특수 문자 편집모드에서 죠그 다이얼(11)의 상하조작과 누름 조작을 입력받아 원하는 특수 문자를 편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죠그 다이얼(11)의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조작 방법에 따라 다양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죠그 셔틀(JOG SHUTTLE)의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릭(click) 기능이 부가된 트랙볼의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럭 기능이 부가된 슬라이드 스위치의 간편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단말기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방법"은, 특히, 죠그 다이얼의 간단한 조작으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키패널을 보호하는 전면 덮개(flip)가 덮히지 않는 부분에 죠그 다이얼과 쇼트 메시지 서비스 키를 구현함으로써 전면덮개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된 쇼트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간편한 조작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제어신호 입력 및 한글 편집을 용이토록 하는 죠그 다이얼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쇼트) 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송을 위한 한글편집 모드에서, 상기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한글 초성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이 위아래로 조작되면 해당 초성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초성 선택단계(ST50~ST52)와; 상기 초성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상기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초성이 선택되어 해당 초성과 결합 가능한 중성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죠그 다이얼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해당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중성 선택단계(ST53~ST54)와; 상기 초성과 중성 결합 문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다음 화면 전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짧은 시간동안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상기 이동된 커서 위치의 해당 문자가 선택되어 해당 문자와 결합가능한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죠그 다이얼의 위아래 조작에 따라 해당 초성과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진 문자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종성 선택단계 (ST55~ST56)와; 상기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또는 상기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결합된 문자 리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미리 설정된 긴 시간 동안 상기 죠그 다이얼이 눌려지면 해당 커서 위치의 문자를 저장하는 선택문자 저장단계(ST57~ST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서비스방법.
KR1019970081901A 1997-12-31 1997-12-31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KR10030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901A KR100308477B1 (ko) 1997-12-31 1997-12-31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901A KR100308477B1 (ko) 1997-12-31 1997-12-31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22A KR19990061622A (ko) 1999-07-26
KR100308477B1 true KR100308477B1 (ko) 2001-12-17

Family

ID=3753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901A KR100308477B1 (ko) 1997-12-31 1997-12-31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54B1 (ko) * 2000-01-28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옵션 메시지 전송 방법
JP4806840B2 (ja) 2000-08-11 2011-11-02 ソニー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9942377B2 (en) 2000-08-11 2018-04-10 Drnc Holdings, Inc. Portable telephone
KR20020076648A (ko) * 2001-03-29 2002-10-11 임헌민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19161A (ko) * 2002-08-26 2004-03-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듀얼 액정화면을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23237A (ko) * 2002-09-11 2004-03-18 주식회사 타임즈텔레콤 휴대폰의 슬라이드 업/다운 버튼
KR100467871B1 (ko) * 2002-10-01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버튼 장치
KR100630048B1 (ko) * 2002-11-14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360A (ja) * 1994-08-31 1996-03-22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360A (ja) * 1994-08-31 1996-03-22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22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003B1 (ko) 휴대 통신 단말기 및 문자/영상 표시 방법
US5914676A (en) Multi-language display keypad
EP1459501B1 (en)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softkeys
JP2000231371A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アイコンの表示方法
KR100308477B1 (ko) 이동단말기의쇼트메시지서비스방법
US7973764B2 (en) Switching between input modes in a limited input device
JP2006087117A (ja) 携帯用端末機のキー入力方法及び装置
JP4936565B2 (ja) 電話端末用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00784537B1 (ko) 키패드 백라이트 색상 변경 방법 및 그 단말기
CN101098357B (zh) 支持盲文输入的通信终端及在该终端上发送盲文的方法
KR10067518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KR19990024320A (ko)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대표문자를 이용한 한글입력 방법
CN101616379A (zh) 一种发送短信的方法和手机
US8036712B1 (en) Radio apparatus with a control element for selecting and/or activating function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EP1111879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crolling means for scrolling through a two-dimensional array of characters
JP2003087389A (ja) 移動電話装置
JP2933058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376316B1 (ko) 무선단말기의 네비게이션 버튼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CN101651729A (zh) 移动终端及其字符输入方法
KR1004551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JP3056123B2 (ja) メッセージ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00295577B1 (ko) 죠그/셔틀을 이용한 무선 호출기의 기능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091940A (ja) 携帯無線機
KR20010058765A (ko) 이동 단말기에서 한글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