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010B1 -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010B1
KR100308010B1 KR1019980017613A KR19980017613A KR100308010B1 KR 100308010 B1 KR100308010 B1 KR 100308010B1 KR 1019980017613 A KR1019980017613 A KR 1019980017613A KR 19980017613 A KR19980017613 A KR 19980017613A KR 100308010 B1 KR100308010 B1 KR 10030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unit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285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1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0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티브이에 수신되는 부가정보를 선택분류하여 저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신호로 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부가정보 검출부와, 부가정보 검출부에서 출력된 부가정보의 ID와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정보수신자를 판별하는 ID판별부와, ID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정보수신자에 상응하도록 선택된 부가정보를 데이터 종류별로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부와, 데이터분류부의 출력을 각각 해당 데이터포멧으로 변환하는 데이터포멧 변환부와, 데이터포멧 변환부의 출력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메모리부와 외부기기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부가정보 저장 및 편집이 가능하여 광범위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브이는 방송신호 즉, 음성 및 영상을 화면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일련의 신호처리과정을 통해 출력하는 기기로서, 영상신호에 캡션신호 등의 부가정보가 포함될 경우 신호처리를 통해 영상과 함께 출력시키는데, 현대사회가 멀티미디어화 되어감에 따라 부가정보도 단순 텍스트정보 이외에 영상정보 및 멀티미디어정보가 추가되는 등 그 범위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티브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략적인 구성은 튜너(Tuner)(1), VIF(2), Chroma/Video Gungle(3), RGB 스위치(4), CPT(5), 마이컴(6), 편향부(7), 21H 디텍터/슬라이서(Detector/Slicer)(8), 텍스트 디코더(Text Decoder)(9), RGB 텍스트 제너레이터(Text Generator)(10) 등 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티브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RF신호에서 마이컴(6)의 제어에 의해 특정 IF신호가 검출된다.
이어서 VIF(2)는 상기 IF신호를 복합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CVBS(Composite Video Blank Signal)를 출력한다.
그리고 CVBS는 Chroma/Video Gungle(3)에서 감마보정되고 CPT(5)를 통해 출력시키기위한 RGB신호로 변환되어 RGB 스위치(4)로 입력된다.
한편, 21H 디텍터/슬라이서(8)는 상기 VIF(2)에서 출력된 CVBS를 입력받아 캡션(Caption)정보를 해독하기 위하여 21H라인을 검출한다.
이때 캡션정보는 CVBS의 21H의 필드1과 필드2에 기록되는데, CC1(Closed Caption 1), CC2, 텍스트 모드1(Text Mode1), 텍스트 모드2는 필드1에 기록되고 CC3, CC4, 텍스트 모드3, 텍스트 모드4, EDS(Extend Data Service)는 필드2에 기록된다.
이어서 캡션정보는 텍스트 디코더(9)에 의해 해독되어 문자코드(ASCII)로 변환되고 RGB 텍스트 제너레이터(10)에 의해 RGB신호로 변환되어 RGB 스위치(4)로 입력된다.
그리고 RGB 스위치(4)는 Chroma/Video Gungle(3)에서 입력된 영상RGB와 RGB 텍스트 제너레이터(10)에서 입력된 RGB형태의 캡션정보를 믹싱/스위칭시켜 CPT(5)로 입력시킨다.
이어서 CPT(5)는 상기 편향부(7)에서 출력된 H/V Drive신호에 따라 RGB신호를 편향시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종래에는 티브이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캡션신호는 1회성에 불과하여 즉,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일정시간후 클리어되어 그 장면이 지나면 재확인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캡션정보를 저장하고자할 경우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에 녹화해두고 필요시 재생시키는 원시적방법을 이용하거나 상기 캡션정보를 텍스트 디코더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티브이는 단순히 부가정보 즉, 캡션정보를 원상태 그대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출력하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다양화되어가는 부가정보를 다른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원하는 형태로 편집 등을 수행하지 못하여 멀티미디어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의 정보기술발전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티브이에 수신되는 부가정보를 선택분류하여 저장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한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부가정보 검출부 22: 마이컴
23:ID 판별부 24: 데이터 분류부
25: 그래픽포멧 변환부 26: 멀티미디어포멧 변환부
27: 부가정보 저장부 28: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의 특징은 방송신호로 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부가정보 검출부와, 부가정보 검출부에서 출력된 부가정보의 ID와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정보수신자를 판별하는 ID판별부와, ID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정보수신자에 상응하도록 선택된 부가정보를 데이터 종류별로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부와, 데이터분류부의 출력을 각각 해당 데이터포멧으로 변환하는 데이터포멧 변환부와, 데이터포멧 변환부의 출력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메모리부와 외부기기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의 특징은 방송국으로 부터 전송된 방송신호에서 부가정보를 검출하고 그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종류별로 판별된 각각의 부가정보를 해당 데이터포멧으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부가정보를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또는 편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VBS신호로 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부가정보 검출부(21), 부가정보 검출부(21)에서 출력되는 부가정보의 ID에 따라 수신자 즉, 개인 또는 불특정다수를 판별하는 ID판별부(23), 상기 ID판별부(23)에서 출력된 부가정보를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정보 등으로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부(24), 상기 데이터분류부(24)에 의해 분류된 부가정보중 영상정보를 BMP,JPG, TIFF 등의 그래픽포멧으로 변환시키는 그래픽포멧 변환부(25), 상기 데이터분류부(24)에 의해 분류된 부가정보중 멀티미디어정보를 AVI, MPEG 등의 멀티미디어포멧으로 변환시키는 멀티미디어포멧 변환부(26), 상기 그래픽포멧 변환부(25), 멀티미디어포멧 변환부(26) 및 텍스트 디코더(9)의 출력을 저장하기 위한 부가정보 저장부(27), 상기 부가정보 저장부(27)에 저장된 정보를 프린터, PC 등의 외부기기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RS-232직렬 포멧 또는 GPIO(General Purpose I/O)병렬 포멧 등으로 이루어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8), 사용자의 동작명령에 따라 각부가 제어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3)으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구성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8)는 RS-232직렬 포맷 또는 GPIO병렬 포맷을 통해 자체적으로 데이터출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의 부가정보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RF신호는 튜너(1)에 입력되어 사용자의 채널선국명령에 따른 마이컴(22)의 제어에 의해 특정 IF신호가 검출된다.
이때 입력되는 RF신호중 비디오신호에는 종래와 달리 21H라인 뿐만아니라 블랭크구간에 아날로그신호일 경우 '0000', 디지털신호일 경우 '0100', 부가정보 디지털신호일 경우 다시 세분화하여 텍스트정보는 '1000', 그래픽정보는 '1001', 멀티미디어정보는 1010' 등의 디지털코드가 추가로 전송된다.
이어서 VIF(2)는 상기 IF신호를 복합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CVBS를 출력한다.
그리고 부가정보 검출부(21)는 상기 CVBS로 부터 블랭크구간에 추가된 디지털코드에 따라 즉, 디지털코드중 앞의 두자리가 '10'인 신호를 부가정보로 검출하여 ID판별부(23)로 입력시킨다.
이어서 ID판별부(23)는 티브이와 연계구성된 셋탑 박스(Setop-Box)(도시 생략)에 기설정된 사용자 ID와 부가정보의 ID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검출부(21)에서 전송된 부가정보가 개인에게 전송된 정보인지 또는 불특정다수에게 전송된 정보인지 판별하고 사용자개인 또는 불특정다수에게 전송된 정보를 선택하여 데이터분류부(24)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데이터분류부(24)는 입력된 부가정보의 디지털코드의 뒤 두자리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하여 디지털코드 뒤 두자리가 '00'일 경우 텍스트 디코더(9)로 출력시키고 '01'일 경우 그래픽포멧 변환부(25)로 입력시키며, '10'일 경우 멀티미디어포멧 변환부(26)로 입력시킨다.
이어서 텍스트 디코더(9)는 입력된 정보를 ASCII문자코드로 변환하여 CPT(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RGB 텍스트 제너레이터(10)로 입력시킴과 동시에 부가정보 저장부(27)로 입력시킨다.
또한 그래픽포멧 변환부(25)는 입력된 영상정보를 BMP, JPG, TIFF 등의 그래픽포멧으로 변환시켜 부가정보 저장부(27)로 입력시키고 멀티미디어포멧 변환부(26)는 입력된 멀티미디어정보를 AVI, MPEG 등의 멀티미디어포멧으로 변환시켜 부가정보 저장부(27)로 입력시킨다.
이때 부가정보 저장부(27)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외부기기 즉, 프린터 또는 PC 등의 데이터프로세서와 연결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부가정보를 편집하고자할 경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8)를 통해 PC를 연결하고 부가정보를 PC로 읽어들여 편집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8) 자체로 출력이 가능하므로 리모컨 등으로 프린팅명령을 입력하여 프린터를 통해 부가정보를 출력시킨다.
한편, CVBS는 Chroma/Video Gungle(3)에서 감마보정되고 CPT(5)로 출력시키기 위한 RGB신호로 변환되어 RGB 스위치(4)로 입력되고 텍스트 디코더(9)의 출력은 RGB 텍스트 제너레이터(10)에 의해 RGB신호로 변환되어 RGB 스위치(4)로 입력된다.
이어서 RGB Switch(4)는 Chroma/Video Gungle(3)에서 입력된 영상RGB와 RGB 텍스트 제너레이터(10)에서 입력된 RGB형태의 캡션정보를 믹싱/스위칭시켜 CPT(5)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CPT(5)는 상기 편향부(7)에서 출력된 H/V Drive신호에 따라 RGB신호를 편향시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은 부가정보를 선택적으로 검출하여 텍스트, 그래픽, 멀티미디어 등으로 세분화하고 해당 데이터포맷으로 변환시켜 저장하며, 데이터 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므로 출력은 물론이고 분야별 편집 또한 가능하여 필요한 부분만 이용하거나 필요한 형태로 변환시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티브이에 있어서,
    방송신호로 부터 부가정보를 검출하는 부가정보 검출부;
    상기 부가정보 검출부에서 출력된 부가정보의 ID와 사용자 ID를 비교하여 정보수신자를 판별하는 ID판별부;
    상기 ID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정보수신자에 상응하도록 선택된 부가정보를 데이터 종류별로 분류하는 데이터분류부;
    상기 데이터분류부의 출력을 각각 해당 데이터포멧으로 변환하는 데이터포멧 변환부;
    상기 데이터포멧 변환부의 출력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와 외부기기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포멧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분류부에서 출력된 텍스트정보를 문자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텍스트 디코더와,
    상기 데이터분류부에서 출력된 영상정보를 그래픽포멧으로 변환하기 위한 그래픽포멧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분류부에서 출력된 멀티미디어정보를 멀티미디어포멧으로 변환하기 위한 멀티미디어포멧 변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는 RS-232 또는 GPI/O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4. 방송국으로 부터 전송된 방송신호에서 부가정보를 검출하고 그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종류별로 판별된 각각의 부가정보를 해당 데이터포멧으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부가정보를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또는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 방송신호에서 부가정보를 검출하고 그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방송국에서 방송신호의 블랭크구간에 부가정보 및 부가정보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디지털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디지털코드에 따라 부가정보 및 부가정보의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부가정보를 해당 데이터포멧으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단계는
    텍스트정보를 문자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영상정보를 그래픽포멧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멀티미디어정보를 멀티미디어포멧으로 변환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부가정보를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또는 편집하는 단계는
    프린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데이터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부가정보를 편집 및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부가정보의 해당 정보수신자를 판별하여 현사용자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만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부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의 해당 정보수신자를 판별하는 단계는
    방송국에서 특정수신자에게 부가정보를 전송하고자할 경우 그에 상응하는 ID를 추가하여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정보에 추가된 ID와 사용자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해당 정보수신자로 판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방법.
KR1019980017613A 1998-05-15 1998-05-15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0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613A KR100308010B1 (ko) 1998-05-15 1998-05-15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613A KR100308010B1 (ko) 1998-05-15 1998-05-15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85A KR19990085285A (ko) 1999-12-06
KR100308010B1 true KR100308010B1 (ko) 2001-11-15

Family

ID=37530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613A KR100308010B1 (ko) 1998-05-15 1998-05-15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0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285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6687A2 (en) Broadcasting mode name display apparatus
US8737823B2 (en) Disk reproducing device and video data output method
US20060158551A1 (en) Caption service menu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020085123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030169369A1 (en) Consumer video captioning system
KR100308010B1 (ko) 티브이의 부가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EP0368313B1 (en) Video tape recorder capable of receiving teletext broadcasting
JP2001268473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機
KR100242114B1 (ko) Osd기능을 이용한 자막방송 디지털 tv 수신 장치및 방법
KR100224093B1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웹서치를 이용한 단어서치방법
KR100242345B1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기본 색상 변경방법
KR19990043031A (ko) 검색어에 의한 캡션정보 색인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US6862399B2 (en)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KR19990035594A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부가정보 분류별 저장방법
US200401306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ideo signal of composite image apparatus
KR100224095B1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듀얼자막에 대한 상호 번역출력방법
KR19990026717A (ko) 디지털영상처리장치를 가진 텔레비젼
KR100224092B1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매일박스를 이용한 부가정보 디스플레이방 법
KR100214822B1 (ko) 텔레비전의 긴급방송 인식제어장치
KR19990035597A (ko) 캡션방송 수신장치의 캡션신호 위치정보 표시방법
KR100188271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JPH06276497A (ja) 文書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9990035593A (ko) 캡션방송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JPH07255042A (ja) 文字放送送受信装置
JP2002314955A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表示装置、及び映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