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225B1 -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225B1
KR100307225B1 KR1019980037259A KR19980037259A KR100307225B1 KR 100307225 B1 KR100307225 B1 KR 100307225B1 KR 1019980037259 A KR1019980037259 A KR 1019980037259A KR 19980037259 A KR19980037259 A KR 19980037259A KR 100307225 B1 KR100307225 B1 KR 10030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ir conditioner
type air
window typ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266A (ko
Inventor
최은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225B1/ko
Priority to US09/391,452 priority patent/US6238023B1/en
Priority to CN99119591A priority patent/CN1129746C/zh
Publication of KR2000001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사출성형되는 상하부 케이싱을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사출성형되는 상부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양측면에는 상부플렌지부와 하부플렌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플렌지부는 각 케이싱과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또한, 각 플렌지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외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플렌지부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시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각 케이싱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되는 상하부케이싱을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WINDOW TYPE AIR CONDITIONER HAVING INJECYION-MOLDED UPPER AND LOWER CASING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에 의해 각각 성형되어 상호 결합되는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을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에 흡입그릴(11) 및 토출그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 프론트커버(10), 다수의 통풍용(21)이 형성된 케이싱(20) 및 케이싱(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 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G) 또는 벽(W)에 설치되며, 벽(W)의 외측, 즉 실외로 노출된 부위 내에는 압축기, 응축기 및 팬 등이 장착되고, 벽(W)의 내측 즉 실내에 위치되는 부위 내에는 증발기, 팬 등이 장착된다. 이러한 각종 부품들은 베이스플레이트(30)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플레이트(30)에 케이싱(20)과 프론트커버(10)가 설치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각구성요소, 즉, 케이싱(20)과 베이스플레이트(30) 등이 비싸고 무거운 금속제로 제조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조립공정과 설치 및 운반작업이 비효율적이게 된다. 또한, 케이싱(20)과 베이스플레이트(30)의 일부분이 상시 실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으므로, 외기에 의해 쉽게 부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케이싱을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케이싱(40)은 하부케이싱(41)과 상부케이싱(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40)의 전면에는 흡입그릴(51)과 토출그릴(52)을 갖는 프론트커버(50)가 부착되며, 하부케이싱(41)과 상부케이싱(42)의 측면에는 각각 다수의 통풍구(41a, 41b)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싱(41) 및 상부케이싱(42)은 각각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케이싱(40)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므로, 제작단가가 싸고, 설치 및 운반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부식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사출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부케이싱(41) 및 상부케이싱(42)의 측면이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시에는 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을 분리하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측면을 만곡된 형상으로 성형하므로, 하부케이싱(41) 및 상부케이싱(42)이 만곡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만곡된 측면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기 위해 창문에 설치한 프레임(61)과케이싱(40)간에 갭(62)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갭(62)이 생길 경우, 실내와 실외간에 공기가 흐를 수 있게 되므로 실내의 냉방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또한,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할 경우, 별도의 실링부재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 설치 후 갭(62)을 막아야만 한다.
또한, 하부케이싱(41) 및 상부케이싱(42)이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이 케이싱들(41, 42)의 강성이 크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출성형되는 케이싱을 구비하여 제작비용이 싸고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창문에 설치시 갭이 발생하지 않는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성이 강한 케이싱을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사출성형되는 케이싱을 구비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케이싱 110,120;하부 및 상부케이싱
111;전면판부 113,123;제 1 및 제 2 측면판부
121;상면판부 210,220;고정플렌지부
300;프론트커버 310;흡입그릴
320;토출그릴 330;리어판넬
331,332;제 1 및 제 2 후면판부 410,420;하부 및 상부 플렌지부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는,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하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 및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플렌지부와 하부플렌지부를 포함한다. 각 플렌지부는 각 케이싱과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각 플렌지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외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플렌지부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시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각 케이싱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플렌지부 및 하부플렌지부는 중공(中空)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각 플렌지부의 외측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각 케이싱을 사출성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부케이싱 및 상부케이싱에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부품실을 형성하는 케이싱(100), 케이싱(100)의 전면에 부착되는 프론트커버(300) 및 케이싱(100)의 후면에 부착되는 리어판넬(3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케이싱(100)은 하부케이싱(110)과 상부케이싱(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싱(110)은 저면판부(111) 및 저면판부(111)의 양측방으로부터 상향연장된 제 1 측면판부(1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케이싱(120)은 상면판부(121) 및 상면판부의 양측방으로부터 하향연장된 제 2 측면판부(1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케이싱(120)과 하부케이싱(110)에 의해 형성되는 부품실 내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 즉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510), 압축기(510)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550), 응축기(550)에서 생성되는 열을 실외로 송풍하는 제 1 팬(540), 응축기(550)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520) 및 증발기(520)에서 생성된 냉기를 실내로 송풍하는 제 2 팬(530)이 수용된다. 이들 부품들은 하부케이싱(110)의 저면판부(111) 상에 도시되지 않는 각종 고정부재들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및 제 2 측면판부(113, 123)에는 다수의 흡기구(119, 129)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커버(300)는 흡입그릴(310)과 토출그릴(320)을 가지고 있다. 제 2 팬(530)의 작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그릴(310)을 통해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520)에 의해 냉각된 후 토출그릴(32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리어판넬(330)에는 배기구(34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팬(540)의 작동시 실외의 공기는 케이싱(100)의 흡기구(119, 129)를 통해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응축기(550)를 냉각시킨 후 배기구(340)를 통해 공조기기 외부로 토출된다.
하부케이싱(110)의 제 1 측면판부(113)의 상측연부와 상부케이싱(120)의 제 2 측면판부(123)의 하측연부에는 각각 고정플렌지부(210, 220)가 마련되어 있다. 각 고정플렌지부(210, 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맞물린다. 각 고정플렌지부(210, 220)에는 다수의 고정공(213, 2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각 고정플렌지부(210, 2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이 고정공(213, 214)에 볼트(230)와 너트(231)가 체결되며, 이에 의해 상부케이싱(120)과 하부케이싱(11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때, 고정플렌지부(210, 220)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은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와 함몰부가 삽입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하부케이싱(110)의 제 1 측면판부(113)에는 각각 하부플렌지부(4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케이싱(120)의 제 2 측면판부(123)에는 각각 상부플렌지부(420)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플렌지부(410)와 상부플렌지부(420)는 동일한 연장선상을 따라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싱(110)과 상부케이싱(120)은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측면판부(113, 123) 및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는 각각 하부케이싱(110) 및 상부케이싱(120)과 일체로 한 번에 사출성형된다. 그리고, 각 측면판부(113, 123)는 각 케이싱(110, 120)의 사출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외측면(413, 423)은 만곡되지 아니하고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측면판부(113, 123)의 폭에 비해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폭이 좁으므로,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외측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도 사출성형에 장애를 주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각 플렌지부(410, 420)는 그 내측부위에 중공부(中空部)(415, 425)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415, 425)가 없을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측면판부(113, 123)의 만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두께가 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출 성형 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부위에 따라 수축의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외측면(413, 423)이 만곡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러나, 중공부(415, 425)에 의해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사출성형 후에도 외측면(413, 423)이 만곡되지 아니하고 평탄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서, 하부케이싱(110)에 설치되는 부품들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케이싱(110)과 상부케이싱(120)이 제 1 및 제 2 측면판부(113, 123) 외에 제 1 및 제 2 후면판부(331, 332)도 가지고 있다. 이 제 1 및 제 2 후면판부(331, 332)에는 다수의 배기구(341, 34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후면판부(331, 332)도 제 1 및 제 2 측면판부(113, 123) 및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와 함께 하부케이싱(110) 및 상부케이싱(120)의 성형시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별도의 리어판넬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이 더욱 간단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의 외측면(413, 423)이 만곡되지 않고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와 창문의 프레임(F) 사이에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갭을 막기 위한 별도의 실링부재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플렌지부(410, 420)가 하부 및 상부케이싱(110, 120)의 제 1 및 제 2 측면판(113, 123)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110, 120)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이 사출성형되므로 케이싱의 제작비용이 싸고 조립공정 효율이 상승되게 된다. 또한, 케이싱의 측방에 형성된 플렌지부에 의해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시 갭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실링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플렌지부는 케이싱의 측방을 보강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케이싱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창문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되며,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하부케이싱;
    상기 하부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며 사출에 의해 성형되는 상부케이싱;
    상기 상부케이싱의 양측면에 상기 상부케이싱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외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상부플랜지;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양측면에 상기 하부케이싱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플렌지부의 연장선상에 형성되고, 그 외측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하부플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렌지부 및 상기 하부플렌지부는 중공(中空)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19980037259A 1998-09-10 1998-09-10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KR10030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259A KR100307225B1 (ko) 1998-09-10 1998-09-10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US09/391,452 US6238023B1 (en) 1998-09-10 1999-09-08 Window type air conditioner having injection-molded upper and lower casings
CN99119591A CN1129746C (zh) 1998-09-10 1999-09-08 具有注塑上和下机壳的窗式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259A KR100307225B1 (ko) 1998-09-10 1998-09-10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266A KR20000019266A (ko) 2000-04-06
KR100307225B1 true KR100307225B1 (ko) 2002-09-04

Family

ID=1955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259A KR100307225B1 (ko) 1998-09-10 1998-09-10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38023B1 (ko)
KR (1) KR100307225B1 (ko)
CN (1) CN11297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1570B1 (en) * 2002-06-12 2003-06-03 Whirlpool Corporation Exhaust door mechanism for a room air conditioner
CN100348913C (zh) * 2003-06-24 2007-1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体型空调机的机壳设置结构
US7140192B2 (en) * 2004-03-10 2006-11-28 Dometic Environmental Corporation Cover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s
US7841381B2 (en) * 2004-04-22 2010-11-30 Stirling Technology, Inc. Heat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s and methods of use
US20070256433A1 (en) * 2006-05-02 2007-11-08 Bhatti Mohinder S Portable air conditioner
CN103528127B (zh) * 2012-07-02 2018-02-09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机械设备及其空调系统
US11525588B2 (en) 2017-09-1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purifier
US20190376699A1 (en) * 2018-06-07 2019-12-12 Tadiran Consumer And Technology Products Ltd. Building structure for garage mounted apparatus
CN109724172A (zh) * 2019-02-03 2019-05-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窗式空调器
CN109708292A (zh) * 2019-02-25 2019-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上壳体、下壳体、壳体组件、室内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876A (en) * 1933-06-10 1935-12-10 Charles H Canode Air cooling apparatus
US2561592A (en) * 1947-07-05 1951-07-24 Palmer Oscar Charles Evaporative cooler
US2837365A (en) * 1955-06-23 1958-06-03 Schlueter Ernest Double seal joint and lock therefor
US3819244A (en) * 1973-05-29 1974-06-25 Gen Motors Corp Two-sectioned room air conditioner construction cabinet
US4113130A (en) * 1977-08-01 1978-09-12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Joint for a nestable cargo carrier
US4607499A (en) * 1985-09-20 1986-08-26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y of a room air conditioner housing
US5253485A (en) * 1992-03-27 1993-10-1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Low profile room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4816A (zh) 2000-05-31
US6238023B1 (en) 2001-05-29
KR20000019266A (ko) 2000-04-06
CN1129746C (zh)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225B1 (ko)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KR19980085625A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측 차단벽체
US7168259B2 (en) Air conditioner
CN100334404C (zh) 空调器室外机的电机装框
KR100654732B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조립구조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100461651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모터마운트
KR1011407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23519B1 (ko)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과 드레인팬 일체화 구조
KR100345085B1 (ko) 에어콘의 흡입구 프론트 패널
KR20020160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밑판
KR1002962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247801B1 (ko) 창문형 에어콘
KR20018084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판넬구조
KR200155555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외측 차단벽체
KR200156388Y1 (ko) 공조기기
KR200228668Y1 (ko) 공기조화기
KR200225252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
KR100239331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101105756B1 (ko) 공기조화기의 전면패널 설치구조
KR101016304B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서비스밸브 설치구조
KR100289121B1 (ko) 공기조화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KR200178183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외측 차단벽체
KR19990010634U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