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837B1 -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837B1
KR100305837B1 KR1019990005469A KR19990005469A KR100305837B1 KR 100305837 B1 KR100305837 B1 KR 100305837B1 KR 1019990005469 A KR1019990005469 A KR 1019990005469A KR 19990005469 A KR19990005469 A KR 19990005469A KR 100305837 B1 KR100305837 B1 KR 10030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nu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287A (ko
Inventor
황세운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05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8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셀간 결합을 너트와 볼트 결합식으로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셀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한 제1체결수단과,
상기 체1결수단에 결합하게 셀의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과,
상기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에 삽입되어 셀간을 절연하는 절연플레이트의 절연수단을 개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BATTERY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에 적용되는, 'D'셀 타입 배터리(Cell Type Battery)의 마이너스극과 플러스극의 결합을 편리하게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도3은 종래기술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적용된 'D'셀 타입 배터리(2)를 보통 6개씩 시리즈로 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 모듈로 구성하여 차량에 장착 활용하고 있다.
이때 셀(4)과 셀(6)의 결합을 위해 플러스극(8)측의 가장자리턱(10) 내주면에 절연링(12)을 개재하고, 그 위에 수지 절연링(14)을 개재한 다음, 그 위에 결합부재(16)를 설치한 후 결합할 셀(6)을 결합한 후 결합부재(16)와 셀(4)(6)의 접촉부분중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을 용접하여 모듈화 한다.
이러한 셀간의 결합에 이용되는 결합부재의 용접시 마이너스극이나 플럭스극 주변에서 용접이 이루어짐에 따라 셀내에 전기적인 충격이 인입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절연링과 결합부재를 개재함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셀 교체등 셀간 분리시 용접부위를 떼내어야 하므로서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셀간 결합을 너트와 볼트 결합식으로 편리하게 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결합구조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결합구조에 있어서,
배터리의 셀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한 제1체결수단과,
상기 체1결수단에 결합하게 셀의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과,
상기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에 삽입되어 셀간을 절연하는 절연플레이트의 절연수단을 개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은 배터리 셀의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한 제1체결수단과,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을 결합할 수 있게 한 구조로 하므로서 편리하게 분리와 조립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플러스극인 제1체결수단에 스프링와셔의 접촉 증대수단을 개재하여 극간 접촉성을 높이고, 마이너스극인 제2체결수단에 절연플레이트의 절연수단을 개재하여 셀간의 절연 및 와셔기능을 하게 하면서 에어홀을 통해 셀내 생성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결합구조 도시한 측단면도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20)는 볼트극부(22), 너트극부(24), 절연플레이트(28)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볼트극부(22)는 셀(30)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하고 있다.
너트극부(24)는 셀(32)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볼트극부(22)에는 너트극부(24)와의 접촉을 증대하게 삽입한 스프링와셔(26)를 재재하고 있다.
절연플레이트(28)는 너트극부(24)에 삽입되어 셀(30)(32)사이에 개재하여 절연과 와셔기능을 하게 하고 있다.
절연플레이트(28)에는 셀(30)(32)내 생성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에어홀(34)을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너트극부(24)에는 스프링와셔(26)와 접촉하는 가장자리 끝단면에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에어홈(36)을 다수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배터리 셀(30)의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한 볼트극부(22)와,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한 너트극부(24)를 이용하여 결합과 분리를 가능하게 하므로서 셀(30)(32)의 교환등을 편리하게 한다.
이때 볼트극부(22)에는 스프링와셔(26)를 개재하여 너트극부(24)와 접촉을 증대하고, 너트극부(24)에는 절연플레이트(28)를 삽입하여 셀(30)(32)사이에 개재하므로서 절연이 이루어지게 하고 결합력을 높이는 와셔기능을 하게 한다.
그리고 절연플레이트(28)와 너트극부(24)의 단부에 형성한 에어홀(34)과 에어홈(36)을 통해 셀(30)(32)내 생성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셀간의 연결시 결합과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너트와 볼트 결합방식을 선택하므로서 셀간 밀착도를 높혀 저항요소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셀간의 결합에 따른 제조공정이 간단함에 따라 원가절감이 이루어진다.

Claims (6)

  1.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의 셀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한 제1체결수단과,
    상기 제1체결수단에 결합하게 셀의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과,
    상기 너트로 형성한 제2체결수단에 삽입되어 셀간을 절연하는 절연플레이트의 절연수단을 개재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체결수단은 셀의 플러스극을 볼트로 형성한 볼트극부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체결수단은 셀의 마이너스극을 너트로 형성한 너트극부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볼트극부에는 너트극부와의 접촉을 증대하는 스프링와셔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절연수단은 셀내 생성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에어홀을 복수개 형성한 절연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6. 청구항 2항에 있어서, 너트극부에는 스프링와셔와 접촉하는 가장자리 끝단면에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에어홈을 다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KR1019990005469A 1999-02-19 1999-02-19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KR10030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69A KR100305837B1 (ko) 1999-02-19 1999-02-19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469A KR100305837B1 (ko) 1999-02-19 1999-02-19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287A KR20000056287A (ko) 2000-09-15
KR100305837B1 true KR100305837B1 (ko) 2001-09-26

Family

ID=1957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469A KR100305837B1 (ko) 1999-02-19 1999-02-19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8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287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665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used in the same
KR100696685B1 (ko) 이차 전지 모듈
JP3759872B2 (ja) セルモジュール
KR100684763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US7614906B2 (en)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JP4772614B2 (ja) 電池モジュール
US11888169B2 (en) Energy storage module and assembly method
KR10066943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821859B1 (ko) 전극단자 연결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100669468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684764B1 (ko)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연결로드
JP2012515421A (ja) 電気化学的エネルギー貯蔵装置
KR20060026602A (ko) 이차 전지
CN100369295C (zh) 二次电池组件和在该组件中使用的端板
JP5030401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305837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JP2002358983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0696670B1 (ko) 이차 전지 모듈
CN205645972U (zh) 柱形电池单体连接结构
US20080076020A1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Core Assembly of a Secondary Lithium Battery
KR101714170B1 (ko) 차량용 배터리
KR20020051742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커버
KR100658686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KR100599733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